KR101187773B1 -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773B1
KR101187773B1 KR1020110009027A KR20110009027A KR101187773B1 KR 101187773 B1 KR101187773 B1 KR 101187773B1 KR 1020110009027 A KR1020110009027 A KR 1020110009027A KR 20110009027 A KR20110009027 A KR 20110009027A KR 101187773 B1 KR101187773 B1 KR 10118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advertisement
unit
age
custom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679A (ko
Inventor
심광호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심광호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광호,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심광호
Priority to KR102011000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773B1/ko
Priority to PCT/KR2012/000357 priority patent/WO2012102507A2/ko
Publication of KR2012008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의해 특정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피사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여 연령 및 성별에 맞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 피사체의 영상과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은,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영상을 취득하여 피사체의 성별과 연령을 판별하여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성별과 연령에 부합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시키는 맞춤형광고수단과;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에 의해 송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카메라에 의해 특정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피사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여 연령 및 성별에 맞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 피사체의 영상과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함으로써, 특정 피사체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여 이에 따른 타겟 마케팅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advertisement system using motion cognition.}
본 발명은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의해 특정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피사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여 연령 및 성별에 맞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 피사체의 영상과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가상의 3차원 공간모델에 맵핑하여 현실감 있는 증강현실 기반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되었다.
현재, 도시 공간에는 실내/외에 걸쳐 광범위한 지역에 영상 취득 카메라들이 분산 설치되어 있으며 위치와 자세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영상 취득 카메라들이 위치 또는 자세를 실시간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실외에 설치된 영상 취득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실외 공간 객체의 외부에 픽셀 단위로 맵핑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다.
상기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일반적으로 가상 환경 및 가상 현실에서 파생한 용어로서, 실제 환경에 컴퓨터 그래픽 영상을 삽입하여 실세계 영상과 가상의 영상을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실세계 정보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정보도 있고 때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한 정보가 부족할 수도 있다.
즉, 증강 현실 시스템은 실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들은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정 사람의 연령대, 성별 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어 광고 효과면에서는 떨어지는 점이 있었다.
또한, 움직이는 객체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필요한 광고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다소 역부족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에 의해 특정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피사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여 연령 및 성별에 맞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 피사체의 영상과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공간에 다수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연결시켜 길고 넓은 시각적 공간을 확보하여 좌측 끝으로부터 우측끝까지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삭막한 공간을 보행중인 사람들이나 차량 운전자들에게 종래의 공간 들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볼거리 혹은 광고들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광고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사체감지센서를 구성하여 최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특정 피사체가 이동시 다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가 최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특정 피사체인지를 판단하여 동일 피사체일 경우에 해당 피사체에 맞춰진 광고 컨텐츠의 다른 광고 멘트를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영상을 취득하여 피사체의 성별과 연령을 판별하여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성별과 연령에 부합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시키는 맞춤형광고수단과;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에 의해 송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은,
카메라에 의해 특정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피사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여 연령 및 성별에 맞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 피사체의 영상과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함으로써, 특정 피사체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여 이에 따른 타겟 마케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정 공간에 다수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연결시켜 길고 넓은 시각적 공간을 확보하여 좌측 끝으로부터 우측끝까지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삭막한 공간을 보행중인 사람들이나 차량 운전자들에게 종래의 공간 들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볼거리 혹은 광고들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광고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기업 및 상품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피사체감지센서를 구성하여 최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특정 피사체가 이동시 다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가 최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특정 피사체인지를 판단하여 동일 피사체일 경우에 해당 피사체에 맞춰진 광고 컨텐츠의 다른 광고 멘트를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함으로써, 파노라마식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의 맞춤형광고수단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의 맞춤형광고수단 블록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은,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영상을 취득하여 피사체의 성별과 연령을 판별하여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성별과 연령에 부합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시키는 맞춤형광고수단과;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에 의해 송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은,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영상을 취득하여 피사체의 성별과 연령을 판별하여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성별과 연령에 부합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시키는 맞춤형광고수단과;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에 의해 송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는 피사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광고수단은,
성별 및 연령별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령 특징값과 비교하여 연령을 연산하는 연령연산부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성별 특징값과 비교하여 성별을 연산하는 성별연산부와,
얼굴 정보의 특징값과 연령 특징값 및 성별 특징값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연령연산부 및 성별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최종 결과값을 획득하여 성별 및 연령을 결정하는 최종결정부와,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종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연령 및 성별에 부합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하여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키는 광고컨텐츠매칭부와,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에 의해 매칭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패널에 송출하는 정보송출부와,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와, 연령연산부와, 성별연산부와,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와, 최종결정부와, 광고컨텐츠매칭부와, 정보송출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맞춤형광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광고수단은,
성별 및 연령별 맞춤형 광고 컨텐츠와 디스플레이패널별 광고 멘트를 저장하고 있는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령 특징값과 비교하여 연령을 연산하는 연령연산부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성별 특징값과 비교하여 성별을 연산하는 성별연산부와,
얼굴 정보의 특징값과 연령 특징값 및 성별 특징값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연령연산부 및 성별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최종 결과값을 획득하여 성별 및 연령을 결정하는 최종결정부와,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종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연령 및 성별에 부합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하여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키는 광고컨텐츠매칭부와,
어느 한 피사체감지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감지되면 카메라에 촬영 신호를 송출하는 촬영신호송출부와,
다른 피사체감지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감지되면 이전에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과 유사도를 판별하는 유사도판별부와,
상기 유사도판별부에 의해 유사한 피사체의 영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의 다른 광고 멘트를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다른광고멘트추출부와,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에 의해 매칭된 정보와 다른 광고 멘트를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에 송출하는 정보송출부와,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와, 연령연산부와, 성별연산부와,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와, 최종결정부와, 광고컨텐츠매칭부와, 촬영신호송출부와, 유사도판별부와, 다른광고멘트추출부와, 정보송출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맞춤형광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 혹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은,
카메라 고유번호, 카메라의 위치, 촬영일시의 필드를 저장하고 있는 카메라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맞춤형광고수단은,
피사체가 착용한 옷의 형태를 분석하여 최종결정부에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옷형태분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은,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100)와;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영상을 취득하여 피사체의 성별과 연령을 판별하여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성별과 연령에 부합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시키는 맞춤형광고수단(300)과;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에 의해 송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카메라(100)에 의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게 되면, 해당 영상을 맞춤형광고수단으로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맞춤형광고수단(300)에서는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영상을 취득하여 피사체의 성별과 연령을 판별하여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성별과 연령에 부합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패널(200)에 출력시키게 된다.
도 1과 같이, 좌측 끝단의 카메라로부터 최초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면 해당 피사체의 성별과 연령을 판단하게 되어 남성이고, 연령대는 30대로 판별하게 되고, 남성이며 30대에 해당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같이 따라가면서 광고 컨텐츠의 문구나 이미지들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는데, 특정 피사체의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여주면서 문구 혹은 이미지도 말풍선과 같이 피사체의 영상 주변으로 매칭시켜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특정 피사체에게 관심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다른 불특정 다수의 피사체들에게도 광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100)와;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영상을 취득하여 피사체의 성별과 연령을 판별하여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성별과 연령에 부합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시키는 맞춤형광고수단(300)과;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에 의해 송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200)과;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는 피사체감지센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은 피사체감지센서를 다수 개 구성하는 것이다.
즉, 피사체가 사람인지 혹은 사물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감지센서 혹은 초음파감지센서를 이용하게 된다.
이는 오동작을 방지하여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며, 동물이나 기타 사물이 사람과 동시에 촬영된다면 오동작할 수 있는 요소가 발생하므로 사전에 피사체가 사람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의 맞춤형광고수단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맞춤형광고수단(300)은,
성별 및 연령별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310)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령 특징값과 비교하여 연령을 연산하는 연령연산부(320)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성별 특징값과 비교하여 성별을 연산하는 성별연산부(330)와,
얼굴 정보의 특징값과 연령 특징값 및 성별 특징값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340)와,
상기 연령연산부 및 성별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최종 결과값을 획득하여 성별 및 연령을 결정하는 최종결정부(350)와,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종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연령 및 성별에 부합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하여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키는 광고컨텐츠매칭부(360)와,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에 의해 매칭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패널에 송출하는 정보송출부(370)와,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와, 연령연산부와, 성별연산부와,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와, 최종결정부와, 광고컨텐츠매칭부와, 정보송출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맞춤형광고제어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310)는 성별 및 연령별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즉, 성별 및 연령대에 맞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20대 여성을 위한 화장품, 전자제품 등의 광고 컨텐츠, 30대 남성을 위한 정장, 자동차 등의 광고 컨텐츠를 의미한다.
상기 연령연산부(320)는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는데, 사람의 얼굴, 머리모양, 콧수염, 눈썹 모양, 이목구비 등의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령 특징값과 비교하여 연령을 연산하는 것이다.
성인과 어린이를 구별하는 것이 제일 용이한데 키 혹은 얼굴 크기 대비 이목구비의 크기 비율 등을 이용하여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게 되고 연령대별 특징값들이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와 비교하여 연령대를 판별해내는 것이다.
상기 성별연산부(330)는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성별 특징값과 비교하여 성별을 연산하는데, 성인 그룹으로 구분된 얼굴 정보에 대하여 성인의 성별 특징을 고려한 성별 특징추출을 수행하여 성인 그룹의 얼굴 정보를 남성 그룹 또는 여성 그룹으로 구별하고, 남성 그룹으로 구분된 얼굴 정보에 대하여 남성의 연령별 특징값을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비교 판단하는 것이다.
이후, 최종결정부(350)에서는 연령연산부 및 성별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최종 결과값을 획득하여 성별 및 연령을 결정하는데, 연산된 성별 및 연령에 대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호 유사도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성별 및 연령을 판별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360)는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종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연령 및 성별에 부합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하여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키는데, 도 1을 예를 들자면, 피사체의 영상 상측의 어느 일측에 광고 컨텐츠의 문구인 '물건을 살까? 말까?'를 매칭시켜 하나의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시키는 것이다.
상기 광고 컨텐츠의 운영 방식은 제휴업체들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별도의 광고스케쥴링모듈을 통해 자유롭게 스케쥴링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입한 광고업주에게 더욱 다양한 광고를 유치할 수 있게 되어 수익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간대별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광고 가격에 따라 연령층 혹은 성별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하여 예를 들어, 출퇴근 시간대에는 중장년층 직장인, 학생들이 관심이 많은 영상 광고물을 화면에 제공하게 되며, 출퇴근 시간대 이후에는 노년층, 가정주부, 아동들이 관심이 많은 영상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의 맞춤형광고수단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맞춤형광고수단(300)은,
성별 및 연령별 맞춤형 광고 컨텐츠와 디스플레이패널별 광고 멘트를 저장하고 있는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310)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령 특징값과 비교하여 연령을 연산하는 연령연산부(320)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성별 특징값과 비교하여 성별을 연산하는 성별연산부(330)와,
얼굴 정보의 특징값과 연령 특징값 및 성별 특징값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340)와,
상기 연령연산부 및 성별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최종 결과값을 획득하여 성별 및 연령을 결정하는 최종결정부(350)와,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종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연령 및 성별에 부합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하여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키는 광고컨텐츠매칭부(360)와,
어느 한 피사체감지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감지되면 카메라에 촬영 신호를 송출하는 촬영신호송출부(385)와,
다른 피사체감지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감지되면 이전에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과 유사도를 판별하는 유사도판별부(390)와,
상기 유사도판별부에 의해 유사한 피사체의 영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의 다른 광고 멘트를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다른광고멘트추출부(395)와,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에 의해 매칭된 정보와 다른 광고 멘트를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에 송출하는 정보송출부(370)와,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와, 연령연산부와, 성별연산부와,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와, 최종결정부와, 광고컨텐츠매칭부와, 촬영신호송출부와, 유사도판별부와, 다른광고멘트추출부와, 정보송출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맞춤형광고제어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어느 한 피사체감지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감지되면 카메라에 촬영 신호를 송출하는 촬영신호송출부(385)와,
다른 피사체감지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감지되면 이전에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과 유사도를 판별하는 유사도판별부(390)와,
상기 유사도판별부에 의해 유사한 피사체의 영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의 다른 광고 멘트를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다른광고멘트추출부(395)를 구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어느 한 피사체감지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감지되면 촬영신호송출부(385)에 의해 카메라에 촬영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좌측에서 첫번째 카메라에 특정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카메라에 촬영 신호를 송출하여 피사체 영상을 획득하게 되고, 피사체의 특징값을 추출하게 된다.
이후, 피사체가 좌측에서 두번째 카메라와 연동되는 피사체감지센서에 특정 피사체가 감지하게 되면 두번째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이때, 유사도판별부(390)에서는 다른 피사체감지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감지되면 이전에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과 유사도를 판별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최초 판별된 특징값과 두번째 판별된 특징값 들간의 유사도를 판별하는 것이다.
이후, 유사도판별부에 의해 유사한 피사체의 영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의 다른 광고 멘트를 다른광고멘트추출부(395)를 통해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게 된다.
이는 파노라마식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유사도를 판별하는 이유는 불특정 다수의 피사체를 카메라를 통해 복수개 촬영할 수 있는데, 최초 판별된 피사체와 동일한 피사체를 다른 카메라에서도 인식해야만 파노라마식 광고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중간에 최초 피사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은 다른 피사체를 인식하게 된다면 파노라마식 광고 제공이 불가능하여 효율적인 광고 효과를 제공할 수 없을 것이다.
즉, 증강현실과 같이 처리하기 위해서는 보행 중인 사람을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에 보여주면서 연속적인 광고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관심도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에는 #1카메라에 의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패널 #1에는 '물건을 살까? 말까?'라는 광고 문구를, #2카메라에 의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패널 #2에는 '아! 결심했어.'라는 광고 문구를, #3카메라에 의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패널 #3에는 '삼성 카메라를 사야겠어'라는 광고 문구를, #4카메라에 의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패널 #4에는 웃는 캐릭터 이미지를 피사체의 영상의 상측 어느 한 곳에 영상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이는 시간 순서에 의한 광고로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따라가면서 문구나 이미지도 동시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므로 카메라에 촬영되는 사람뿐만 아니라, 주변의 불특정 다수들에게도 흥미를 유발시켜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현실적인 피사체의 영상에 컨텐츠를 합성시킨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은 카메라 고유번호, 카메라의 위치, 촬영일시의 필드를 저장하고 있는 카메라정보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고유번호를 맞춤형광고제어부에서 획득하여 관리자에 의해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패널 위치를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1카메라의 고유번호가 #123이라면, #123의 고유번호를 가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2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시키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출력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위치를 바꿀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맞춤형광고수단은 피사체가 착용한 옷의 형태를 분석하여 최종결정부에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옷형태분석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최종결정부에서 연령대 혹은 성별을 결정지을 경우에 옷형태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옷의 형태를 통해 다시 한번 체크하여 정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연령대가 30대이며 남자로 판별되었는데, 상기 옷형태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옷의 형태가 치마라면, 남자가 아닐 확률이 높으므로 맞춤형광고제어부에서는 특정 카메라에 다시 한번 영상 촬영신호를 전송하여 다시 촬영하도록 하여 재분석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바지를 입었는지, 치마를 입었는지에 따라 성별을 구분할 수 있으며, 정장을 입었는지, 청바지를 입었는지, 유니폼을 입었는지, 교복을 입었는지를 분석하여 옷의 형태에 따라 최종결정부에서 최종 성별 및 연령대 결정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광고 컨텐츠에는 상업적 광고 뿐만 아니라, 공익적 광고일 수 있으며,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각종 유행어, 명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카메라에 의해 특정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피사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여 연령 및 성별에 맞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 피사체의 영상과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함으로써, 특정 피사체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여 이에 따른 타겟 마케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정 공간에 다수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연결시켜 길고 넓은 시각적 공간을 확보하여 좌측 끝으로부터 우측끝까지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삭막한 공간을 보행중인 사람들이나 차량 운전자들에게 종래의 공간 들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볼거리 혹은 광고들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광고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기업 및 상품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피사체감지센서를 구성하여 최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특정 피사체가 이동시 다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가 최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특정 피사체인지를 판단하여 동일 피사체일 경우에 해당 피사체에 맞춰진 광고 컨텐츠의 다른 광고 멘트를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함으로써, 파노라마식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카메라
200 : 디스플레이패널
300 : 맞춤형광고수단

Claims (6)

  1. 삭제
  2.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영상을 취득하여 피사체의 성별과 연령을 판별하여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성별과 연령에 부합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시키는 맞춤형광고수단과;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에 의해 송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는 피사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은,
    성별 및 연령별 맞춤형 광고 컨텐츠와 디스플레이패널별 광고 멘트를 저장하고 있는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령 특징값과 비교하여 연령을 연산하는 연령연산부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피사체 영상의 얼굴 정보 중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성별 특징값과 비교하여 성별을 연산하는 성별연산부와,
    얼굴 정보의 특징값과 연령 특징값 및 성별 특징값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연령연산부 및 성별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최종 결과값을 획득하여 성별 및 연령을 결정하는 최종결정부와,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종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연령 및 성별에 부합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하여 피사체의 영상 주변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키는 광고컨텐츠매칭부와,
    어느 한 피사체감지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감지되면 카메라에 촬영 신호를 송출하는 촬영신호송출부와,
    다른 피사체감지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감지되면 이전에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과 유사도를 판별하는 유사도판별부와,
    상기 유사도판별부에 의해 유사한 피사체의 영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의 다른 광고 멘트를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다른광고멘트추출부와,
    상기 광고컨텐츠매칭부에 의해 매칭된 정보와 다른 광고 멘트를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에 송출하는 정보송출부와,
    상기 맞춤형광고데이터베이스와, 연령연산부와, 성별연산부와, 특징정보데이터베이스와, 최종결정부와, 광고컨텐츠매칭부와, 촬영신호송출부와, 유사도판별부와, 다른광고멘트추출부와, 정보송출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맞춤형광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은,
    카메라 고유번호, 카메라의 위치, 촬영일시의 필드를 저장하고 있는 카메라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광고수단은,
    피사체가 착용한 옷의 형태를 분석하여 최종결정부에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옷형태분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KR1020110009027A 2011-01-28 2011-01-28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KR10118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27A KR101187773B1 (ko) 2011-01-28 2011-01-28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PCT/KR2012/000357 WO2012102507A2 (ko) 2011-01-28 2012-01-16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27A KR101187773B1 (ko) 2011-01-28 2011-01-28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679A KR20120087679A (ko) 2012-08-07
KR101187773B1 true KR101187773B1 (ko) 2012-10-05

Family

ID=4658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027A KR101187773B1 (ko) 2011-01-28 2011-01-28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7773B1 (ko)
WO (1) WO201210250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937B1 (ko) * 2013-08-30 2014-10-07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랩 다목적 디지털 안내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25B1 (ko) * 2012-08-31 2014-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CN110310144A (zh) * 2019-05-22 2019-10-08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年龄的广告推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86056B1 (ko) * 2020-07-23 2022-04-13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JP2022086027A (ja) * 2020-11-30 2022-06-09 株式会社電通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219979B1 (ko) * 2020-12-01 2021-02-25 큐보스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099A (ja) * 2003-05-30 2004-12-16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情報管理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エンジン装置
US7706677B2 (en) * 2005-01-14 2010-04-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100028748A (ko) * 2008-09-05 2010-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05191A (ko) * 2009-03-20 201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937B1 (ko) * 2013-08-30 2014-10-07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랩 다목적 디지털 안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679A (ko) 2012-08-07
WO2012102507A2 (ko) 2012-08-02
WO2012102507A3 (ko)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773B1 (ko)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JP6267861B2 (ja) 対話型広告のための使用測定技法およびシステム
JP4876687B2 (ja) 注目度計測装置及び注目度計測システム
US92240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ward human object
US20120169583A1 (en) Scene profiles for non-tactile user interfaces
KR101348142B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US201101502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CN106599853B (zh) 远程教学过程中进行形体姿态纠正的方法及其设备
CN110349667A (zh) 结合调查问卷及多模态范式行为数据分析的孤独症评估系统
JP2005315802A (ja) ユーザ支援装置
KR101455200B1 (ko) 학습 모니터링 장치 및 학습 모니터링 방법
CN105339867A (zh) 使用视觉逼真的对象显示
JP5225870B2 (ja) 情動分析装置
EP31634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to head mounted display user
WO2010060146A1 (en) Metric for quantifying atten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JP610928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Velardo et al. Real time extraction of body soft biometric from 3d videos
JP565163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64273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이미지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200004014A (ko) 의류피팅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디스플레이 방법
JP2010204823A (ja) 視線認識装置
CN109767262B (zh) 一种用于广告屏的三维人脸表情识别打分评估方法
KR20210001437A (ko)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44382A (ko) 안면 인식 및 IoT 기반 애드큐레이션 사이니지 시스템
KR102477231B1 (ko) 응시 대상 관심도 검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