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437A -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437A
KR20210001437A KR1020190077532A KR20190077532A KR20210001437A KR 20210001437 A KR20210001437 A KR 20210001437A KR 1020190077532 A KR1020190077532 A KR 1020190077532A KR 20190077532 A KR20190077532 A KR 20190077532A KR 20210001437 A KR20210001437 A KR 20210001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anel
advertisement content
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임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임기술
Priority to KR102019007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437A/ko
Publication of KR2021000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K9/00221
    • G06K9/48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6Descriptors for shape, contour or point-related descriptors, e.g.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or bags of words [BoW]; Salient regional features
    • G06V10/469Contour-based spatial representations, e.g. vector-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8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estimating age from face image; using age information for improving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눈, 코 입을 포함하는 얼굴 특징 벡터를 검출하여 제1 얼굴의 포함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제1 얼굴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얼굴의 회전 각도를 연산하고, 상기 회전 각도와 기 설정된 제1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패널을 주시하는 제2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얼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고, 상기 연령 및 성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얼굴의 제2 얼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속성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상기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AD CONTENTS}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광고 컨텐츠를 주시하는 사용자의 속성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소비 대중을 대상으로 하여 상품의 판매나 서비스의 이용 또는 기업이나 단체의 이미지 증진 등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여 이에 필요한 정보를 매체를 통하여 유료 또는 무료로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에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광고 시설물을 설치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방식의 광고 서비스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고 방식은 광고 교체가 용이하며 동영상 광고 뿐 아니라 다양한 광고를 시간에 따라 스케줄링하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를 하나의 패널에서 송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광고 방식은 지역, 세대 수, 유동인구 위주의 단순 통계를 바탕으로 하여 광고 타겟층을 판단하고, 고정된 시간과 순서에 따라 일방적으로 광고를 송출하기 때문에 광고 효과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을 주시하는 복수의 사용자 속성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와 그렇지 않은 사용자를 구분함으로써 광고 컨텐츠의 노출 대상을 확연하게 구분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눈, 코 입을 포함하는 얼굴 특징 벡터를 검출하여 제1 얼굴의 포함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제1 얼굴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얼굴의 회전 각도를 연산하고, 상기 회전 각도와 기 설정된 제1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패널을 주시하는 제2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얼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고, 상기 연령 및 성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얼굴의 제2 얼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속성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상기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에서 눈, 코 입을 포함하는 얼굴 특징 벡터를 검출하여 제1 얼굴의 포함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영상에 제1 얼굴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얼굴의 회전 각도를 연산하고, 상기 회전 각도와 기 설정된 제1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패널을 주시하는 제2 얼굴을 식별하며, 상기 제2 얼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연령 및 성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얼굴에 대한 제2 얼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얼굴 정보에 따라 상기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속성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상기 패널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을 주시하는 복수의 사용자 속성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광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와 그렇지 않은 사용자를 구분함으로써 광고 컨텐츠의 노출 대상을 확연하게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실시 예들을 설명할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정할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적 표현들은 또한, 해당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 "그리고/또는"은 그 관련되어 나열되는 항목들의 모든 조합들 및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함하고 있는", "구비하는", "갖는", "가지고 있는" 등은 내포적 의미를 갖는 바, 이에 따라 이러한 용어들은 그 기재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를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혹은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들, 프로세스들, 동작들은, 구체적으로 그 수행 순서가 확정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의 수행을 논의된 혹은 예시된 그러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추가적인 혹은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각각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위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위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 개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고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에 따라 상이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 맞춤 광고 컨텐츠 제공 장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서버로 명명한다. 서버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패널에 표시할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DID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DID 패널은 공공정보 게시용 디스플레이 제품을 의미하는데, 기업이나 상품의 광고 및 홍보 영상을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DID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정보를 기반으로 DID 패널에 표시할 광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통신부(100), 정보 추출부(200), 제어부(30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0)는 DID 패널 근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0)는 DID 패널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특정 IP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0)는 DID 패널의 카메라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한 번씩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0)는 수신된 영상을 캐시와 같은 임시 저장소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100)는 광고주로부터 DID 패널에 표시하고자 하는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0)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컨텐츠의 타겟층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여 광고 컨텐츠의 태그에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영상에서 DID 패널을 주시하는 제2 얼굴을 추출하고, 제2 얼굴에 대한 연령 및 성별을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정보 추출부(200)는 얼굴을 인식함에 있어서 색상 값을 사용하지는 않기 때문에 처리 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영상을 회색조로 변환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변환된 영상에 포함된 픽셀의 밝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디언트를 추출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크기가 큰 영상에서 그라디언트를 추출하기 위하여 영상을 일정 크기의 셀로 분할하고, 각 셀 별로 그라디언트를 추출하여 병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영상에서 추출된 그라디언트에 얼굴 특징 벡터와 유사한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얼굴 특징 벡터는 눈썹, 눈, 코, 입, 얼굴 윤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그라디언트에 얼굴 특징 벡터와 유사한 영역이 존재하면, 영상에 제1 얼굴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영상에 제1 얼굴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으면, 제1 얼굴에 대한 랜드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제1 얼굴에 대한 랜드마크를 기반으로 제1 얼굴의 특징 정보, 특히 회전 각도를 연산할 수 있다. 랜드마크는 얼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눈썹, 눈, 코, 입, 턱, 귀, 얼굴 윤곽 등을 나타내는 총 68개의 특징 벡터로 구성되어 있다. 랜드마크는 얼굴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눈썹 모양, 눈동자 색상, 표정, 피부색, 얼굴 각도 등이 그 예이다.
정보 추출부(200)는 제1 얼굴의 회전 각도와 기 설정된 제1 임계 값을 비교하고, 제1 얼굴이 영상에 포함된 시간과 기 설정된 제2 임계 값을 비교하여 DID 패널을 주시하는 제2 얼굴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정보 추출부(200)는 제1 얼굴의 회전 각도가 제1 임계 값인 10도에서 20도 사이의 값을 가지고, 제1 얼굴이 영상에 제2 임계 값인 5초 이상의 시간동안 포함되어 있으면 제1 얼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DID 패널을 주시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제1 얼굴이 DID 패널을 주시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제1 얼굴을 제2 얼굴로 설정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제2 얼굴에 포함된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제2 얼굴의 연령과 성별을 식별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연령 및 성별 관련 패턴과 제2 얼굴의 랜드마크를 비교하여 제2 얼굴의 연령 및 성별을 식별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00)는 제2 얼굴의 성별을 남성, 여성, 미성년자 중 하나로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2 얼굴에 대응하는 연령과 성별을 식별하면, 제2 얼굴이 촬영된 위치, 통신 IP 주소, 일자, 시각, 검출시간, 성별, 연령, 식별 ID, 그리고 검출 횟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얼굴 정보를 생성하여 제2 얼굴의 랜드마크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00)는 제2 얼굴 정보가 생성되면 임시 저장소에 저장된 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2 얼굴 정보를 (위치 1, 위치 2, 위치 3, 위치 4, IP 주소, 일자, 검출 시각, 검출 시간, 성별, 연령, 식별 ID, 검출 횟수)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위치 1은 행정시/일반구, 위치 2는 동/리, 위치 3은 건물, 위치 4는 엘리베이터 식별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8년 6월 3일 오후 2시 3분에 분당구 삼평동 에이치스퀘어 S동에 위치한 엘리베이터 1호기에 설치된 DID 패널에서 6초간 제2 얼굴이 인식되고, 제2 얼굴은 35세의 남성에 대응될 경우, 제어부(300)는 제2 얼굴에 대한 정보를 (분당구, 삼평동, 에이치스퀘어 S동, 1, 192.168.1.10, 2019/06/03, 14:03:00, 6, M, 35, 23, 1)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2 얼굴의 정보가 이미 인식된 제2 얼굴과 대응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제2 얼굴의 검출 횟수를 더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길동'의 제2 얼굴이 검출되면 제어부(300)는 '홍길동'의 제2 얼굴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얼굴의 랜드마크 및 제2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 '홍길동'의 제2 얼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지 판단하고, 만약 이미 저장되어 있다면 '홍길동'의 제2 얼굴에 대한 검출 횟수를 1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출 횟수를 측정함으로써 동일한 사용자가 DID 패널을 주시하는 경우, 제2 얼굴 정보의 중복 저장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300)는 정보 추출부(200)로부터 식별된 제2 얼굴의 수를 카운팅하여 제2 얼굴의 식별 ID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6월 3일 오후 2시 1분까지 인식된 제2 얼굴의 수가 24개이고, 오후 2시 2분에 제2 얼굴이 더 인식되면 제어부(300)는 오후 2시 2분에 인식된 제2 얼굴에 대하여 25번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2 얼굴에 대한 식별 번호를 설정함으로써 DID 패널을 주시하는 사람의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2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별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300)는 제2 얼굴 정보에서 위치(위치 1 내지 위치 4)와 일자, 그리고 시각을 기반으로 제2 얼굴 정보를 제1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300)는 동일한 위치, 일자, 시간대를 갖는 제2 얼굴을 그룹핑하여 제1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2 얼굴에 포함된 시각 정보를 시간 단위로 분류하여 제1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당구, 삼평동, 에이치스퀘어 S동, 1, 192.168.1.10, 2019/06/03, 14:03:00)의 정보를 갖는 제2 얼굴 정보와 (분당구, 삼평동, 에이치스퀘어 S동, 1, 192.168.1.10, 2019/06/03, 14:59:32)의 정보를 갖는 제2 얼굴 정보는 동일한 제1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제2 얼굴 정보에서 동일한 성별 및 연령을 갖는 제2 얼굴 정보를 제2 그룹으로 한 번 더 그룹핑 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2 얼굴 정보에 포함된 연령을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그리고 60대로 구분하여, 10대 미성년자, 20대 여성, 20대 남성, 30대 여성, 30대 남성, 40대 여성, 40대 남성, 50대 여성, 50대 남성, 60대 이상 여성, 60대 이상 남성 각각에 대한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영상에서 식별된 제2 얼굴 정보를 먼저 제1 그룹에 그룹핑하고, 제1 그룹 각각에 대하여 제1 그룹에 속한 제2 얼굴 정보를 제2 그룹에 그룹핑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2 그룹에 속한 제2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그룹이 속한 제1 얼굴에 대응하는 위치 및 일자에 DID 패널을 주시한 사용자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그룹에 속한 제2 얼굴 정보의 수에서 제2 그룹에 속한 제2 얼굴 정보의 수의 비율을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연산된 비율을 이용하여 DID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당구, 삼평동, 에이치스퀘어 S동, 1, 192.168.1.10, 2019/06/03, 14)에 대한 제1 그룹에 포함된 제2 얼굴 정보의 수가 총 270개이고, 그 중 20대 여성에 대한 제2 그룹에 포함된 제2 얼굴 정보의 수가 186개이면, 제어부(300)는 2019년 6월 3일 14시~15시에 분당구 삼평동 에이치스퀘어 S동 1호기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DID 패널을 주시한 사용자는 주로 20대 여성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가장 높은 비율을 갖는 제2 그룹을 제3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위 예에서 20대 여성에 대한 제2 그룹이 제3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일자 및 시간대 별로 설정된 제3 그룹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할 광고 컨텐츠의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3 그룹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검색하여 광고 컨텐츠의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일간, 주간, 월간 시간대 별 제3 그룹의 속성을 이용할 수 있는데, 주간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5월 4째주인 5월 26일~6월 1일에 시간대 별로 설정된 제3 그룹에 대하여 통계를 내고 가장 높은 수의 제3 그룹을 해당 시간대의 권장 타겟층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시간대 별 권장 타겟층을 기반으로 하여 각 타겟층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검색하여 광고 컨텐츠의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3 그룹을 기반으로 설정된 권장 타겟층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00)는 시간대 별로 생성된 권장 타겟층을 이용하여 DID 패널의 광고 컨텐츠 표시 스케줄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광고 컨텐츠의 타겟 층인 제3 그룹, 광고 컨텐츠의 송출시간, 제3 그룹에 포함된 제2 얼굴 정보의 수에 서포트 벡터 머신(SVM)을 적용하여 광고 컨텐츠 표시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권장 타겟층이 일간 시간대 별로 생성된 경우를 예로 하면, 2019년 6월 2일 오후 2시~3시에 대한 권장 타겟층이 20대 여성의 제3 그룹이었으나, 2019년 6월 3일 오후 2시~3시에 대한 권장 타겟층이 30대 여성의 제3 그룹으로 변화한 경우, 제어부(300)는 20대 여성을 타겟층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의 시간대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00)는 시간대 별 권장 타겟층이 변화하는 경우, 그에 맞게 광고 컨텐츠의 표시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광고주에게 DID 패널에 표시된 광고 컨텐츠를 주시하는 사용자에 대한 일간/주간/월간 분석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DID 패널에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시간대에 DID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포함하는 분석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간/주간 분석 리포트를 생성함으로써 광고주의 광고 컨텐츠를 주시하는 사용자의 주된 연령층을 판단하고, 광고주가 먼저 설정한 광고 컨텐츠의 타겟층과 리포트에 포함된 주된 연령층이 상이할 경우 광고주가 광고 컨텐츠의 타겟층을 변경할 수 있게 하여, 광고 컨텐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동일한 위치 2에 설치된 DID 패널 각각에 대하여 식별된 제3 그룹을 기반으로 광고주가 제공하고자 하는 광고 컨텐츠에 더 적합한 DID 패널을 더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평동에 위치한 DID 패널에 표시된 광고 컨텐츠가 20대 여성을 타겟층으로 하며, 실제 표시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제3 그룹이 20대 여성으로 식별된 경우, 제어부(300)는 삼평동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DID 패널에서 식별된 제3 그룹을 모두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제3 그룹을 식별하여 광고주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삼평동에 위치한 DID 패널 5개에서 식별된 제3 그룹이 DID 패널-1은 20대 여성, DID 패널-2는 10대 미성년자, DID 패널-3은 40대 남성, DID 패널-4는 20대 여성, DID 패널-5는 40대 여성이라고 하면, 제어부(300)는 광고주에게 DID 패널-1과 DID 패널-4 중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DID 패널-1과 DID 패널-4 중 제3 그룹에 속한 제2 얼굴의 수가 더 큰 것, 또는 제3 그룹의 비율이 더 높은 것을 광고주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고주가 삼평동 에이치스퀘어 S동 1호기에 20대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를 DID 패널에 표시하기 원할 경우, 제어부(300)는 삼평동 에이치스퀘어 S동 1호기에 대한 제3 그룹이 20대 여성인 시간대를 식별하고, 20대 여성을 제3 그룹으로 하는 시간대가 없을 경우 삼평동에 20대 여성을 제3 그룹으로 하는 시간대를 더 식별하여 삼평동을 기준으로 제3 그룹을 추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사용자 맞츰형 광고 컨텐츠 제공 장치와 중복되는 세부 실시 예는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장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서버로 명명한다.
서버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패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100).
서버는 얼굴을 인식함에 있어서 색상 값을 사용하지는 않기 때문에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신된 영상을 회색조로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의 그라디언트를 추출하는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추출된 그라디언트에서 눈썹, 눈, 코, 입, 얼굴 윤곽 등을 포함하는 얼굴 특징 벡터와 유사한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영상에 제1 얼굴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서버는 영상에 제1 얼굴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으면, 제1 얼굴에 대한 랜드마크를 추출(S300)하고, 추출된 랜드마크를 기반으로 제1 얼굴의 특징 정보, 특히 회전 각도를 연산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얼굴의 회전 각도와 기 설정된 제1 임계 값을 비교하고, 제1 얼굴이 영상에 포함된 시간과 기 설정된 제2 임계 값을 비교하여 DID 패널을 주시하는 제2 얼굴을 식별할 수 있다(S400). 예를 들면 서버는 제1 얼굴의 회전 각도가 제1 임계 값인 10도에서 20도 사이의 값을 갖고, 제1 얼굴이 영상에 제2 임계 값인 5초 이상의 시간동안 포함되어 있으면 제1 얼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DID 패널을 주시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얼굴에 포함된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제2 얼굴의 연령과 성별을 판단할 수 있다(S500).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령 및 성별 관련 패턴과 제2 얼굴의 랜드마크를 비교하여 제2 얼굴의 연령과 성별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얼굴의 성별을 남성, 여성, 미성년자 중 하나로 식별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얼굴에 대응하는 연령과 성별을 식별하면, 제2 얼굴이 촬영된 위치, 통신 IP 주소, 일자, 시각, 검출시간, 성별, 연령, 식별 ID, 그리고 검출 횟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얼굴 정보를 생성하여 제2 얼굴의 랜드마크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600). 서버는 제2 얼굴 정보가 생성되면 제2 얼굴이 포함된 영상을 임시 저장소에서 삭제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각 별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S700). 서버는 제2 얼굴 정보에서 위치1 내지 위치 4, 일자, 그리고 시각을 기반으로 제2 얼굴 정보를 제1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제1 그룹에 포함된 제2 얼굴 정보에서 동일한 연령과 성별을 갖는 제2 얼굴 정보를 제2 그룹으로 한 번 더 그룹핑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얼굴 정보에 포함된 연령을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그리고 60대 이상으로 구분하여, 10대 미성년자, 20대 여성, 20대 남성, 30대 여성, 30대 남성, 40대 여성, 40대 남성, 50대 여성, 50대 남성, 60대 이상 여성, 60대 이상 남성 각각에 대한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그룹에 속한 제2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DID 패널을 주시한 사용자를 분석할 수 있다(S800). 서버는 제1 그룹에 속한 제2 얼굴 정보의 수에서 제2 그룹에 속한 제2 얼굴 정보의 수에 대한 비율을 연산하여 DID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가장 높은 비율을 갖는 제2 그룹을 제3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서버는 일자 및 시간대 별로 설정된 제3 그룹을 기반으로 DID 패널에 표시할 광고 컨텐츠의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제3 그룹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검색하여 광고 컨텐츠의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일간, 주간, 월간 시간대 별 제3 그룹의 속성을 이용하여 시간대 별 권장 타겟층을 설정하고, 시간대 별 권장 타겟층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S900).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1.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눈, 코 입을 포함하는 얼굴 특징 벡터를 검출하여 제1 얼굴의 포함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제1 얼굴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얼굴의 회전 각도를 연산하고, 상기 회전 각도와 기 설정된 제1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패널을 주시하는 제2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얼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고, 상기 연령 및 성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얼굴의 제2 얼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속성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상기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상기 제1 얼굴이 포함된 시간과 기 설정된 제2 임계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얼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얼굴의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얼굴의 랜드마크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령 및 성별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광고주로부터 상기 광고 컨텐츠의 타겟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층을 상기 광고 컨텐츠의 태그에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는,
    시간대 별로 측정된 상기 제2 얼굴 정보 중 가장 높은 비율을 갖는 연령 및 성별을 권장 타겟층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권장 타겟층에 기반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표시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에 따라 상기 패널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6.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에서 눈, 코 입을 포함하는 얼굴 특징 벡터를 검출하여 제1 얼굴의 포함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영상에 제1 얼굴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얼굴의 회전 각도를 연산하고, 상기 회전 각도와 기 설정된 제1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패널을 주시하는 제2 얼굴을 식별하며, 상기 제2 얼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연령 및 성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얼굴에 대한 제2 얼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얼굴 정보에 따라 상기 패널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속성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상기 패널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제2 얼굴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얼굴이 상기 영상이 포함된 시간과 기 설정된 제2 임계 값을 더 비교하고,
    상기 제2 얼굴의 랜드마크를 추출하며, 상기 제2 얼굴의 랜드마크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령 및 성별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얼굴의 연령 및 성별을 판단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상기 제2 얼굴 정보를 그룹핑하고, 상기 연령 및 성별 별 그룹의 비율에 따라 시간대 별 권장 타겟층을 설정하고, 상기 권장 타겟층에 기반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표시 스케줄을 생성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0190077532A 2019-06-28 2019-06-28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01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532A KR20210001437A (ko) 2019-06-28 2019-06-28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532A KR20210001437A (ko) 2019-06-28 2019-06-28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37A true KR20210001437A (ko) 2021-01-06

Family

ID=7412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532A KR20210001437A (ko) 2019-06-28 2019-06-28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4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826B1 (ko) 2021-08-07 2021-12-10 이현우 휴대용 장작 쪼개기 장치
KR102456273B1 (ko) * 2022-07-14 2022-10-20 주식회사 그랜드엔터프라이즈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826B1 (ko) 2021-08-07 2021-12-10 이현우 휴대용 장작 쪼개기 장치
KR102456273B1 (ko) * 2022-07-14 2022-10-20 주식회사 그랜드엔터프라이즈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02678B1 (ko) * 2022-07-14 2023-02-23 주식회사 그랜드엔터프라이즈 Did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02679B1 (ko) * 2022-07-14 2023-02-23 주식회사 그랜드엔터프라이즈 포토 스튜디오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4845B2 (en) Content determination program and content determination device
KR101348142B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JP4876687B2 (ja) 注目度計測装置及び注目度計測システム
US200902173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ence measurement and targeting media
WO2009096428A1 (ja) 表示システム、表示効果測定システム、表示方法、表示効果測定方法、及び、記録媒体
KR101744198B1 (ko) 현장 맞춤형 이동식 차량 광고시스템
US201403794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2252654A (ja) 顔画像検索システム、及び顔画像検索方法
CN104112209A (zh) 显示终端的受众统计方法和系统
KR101390296B1 (ko) 개인 맞춤형 서비스 과금방법 및 장치
CN103914691A (zh) 基于人脸识别的目标群体分析系统、方法及身高识别方法
US104970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4066534A (zh) 基于人工智能的电梯广告投送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10001437A (ko)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81907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advertising based on personal physical characteristics
WO20081381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ence measurement and targeting media
KR101817773B1 (ko) 깊이 영상 센싱 기반의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KR101187773B1 (ko)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CN105938603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人员感兴趣程度检测系统及方法
JP6516702B2 (ja) 人数集計システム、人数集計方法、及び人数集計結果の閲覧方法
KR20200004014A (ko) 의류피팅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디스플레이 방법
CN114746882A (zh) 交互感知和内容呈现的系统和方法
KR102178396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220021689A (ko) 인공지능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Sümer et al. A Novel Computer Vision-Based Advertisement System for Individual Mark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