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587B1 -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587B1
KR101187587B1 KR1020100112361A KR20100112361A KR101187587B1 KR 101187587 B1 KR101187587 B1 KR 101187587B1 KR 1020100112361 A KR1020100112361 A KR 1020100112361A KR 20100112361 A KR20100112361 A KR 20100112361A KR 101187587 B1 KR101187587 B1 KR 101187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olysis
heating
acid
inorganic material
alkalin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107A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5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09C1/487Separation; Reco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09C1/482Preparation from used rubber product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09C1/485Preparation involving the use of a plasma or of an electric ar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타이어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촤에 열풍과 마이크로파 조사로 동시가열하여 휘발성 탄화수소를 제거하고,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가 제거된 열분해촤를 산-알카리 용액에 담근다음 열풍과 마이크로파조사에 의해 가열하여 무기물을 제거해 고부가가치를 갖는 카본블랙을 회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Upgrading Waste Tire Pyrolysis Char into High Value Products}
본 발명은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타이어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촤에 열풍과 마이크로파 조사로 동시가열하여 휘발성 탄화수소를 제거하고,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가 제거된 열분해촤를 산-알카리 용액에 담근다음 열풍과 마이크로파조사에 의해 가열하여 무기물을 제거해 고부가가치를 갖는 카본블랙을 회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타이어를 열분해하면 통상적으로 열분해 오일 30-55%, 비응축성 가스 4-35%, 촤 30-38%, 철심 10% 정도가 얻어진다.
여기서 상기 열분해오일은 연료유로 활용될 수 있고, 주로 H2, CO, CO2, CH4, C2H4, C2H6, C3H8, C4H10, H2S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비응축성 가스는 기체연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촤는 주성분이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촤는 주성분이 카본블랙이나 4-15%의 휘발성 탄화수소를 포함하고, 이 외에도 [표 1]과 같이 무기물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하기 표1은 상용 카본블랙과 열분해촤의 성분을 비교하였다.
Figure 112010073814312-pat00001
상기 폐타이어 열분해시 수취하는 촤인 열분해촤에 포함된 무기물은 주로 폐타이어에 묻은 흙과 타이어 제조시 포함된 무기 첨가물로 인한 것이다. 주요 무기물 첨가재로는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실리카(SiO2), 탄산칼슘(CaCO3), 산화철(Fe2O3) 등이 있다.
이와같이 상기 촤에는 휘발성 탄화수소나 무기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거나 정제하지 않으면 열분해촤를 고부가가치로 활용하기 어렵다. 즉, 열분해 과정에서 수취한 열분해촤로부터 고부가가치를 갖는 카본블랙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휘발성 탄화수소와 무기물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상기 촤의 활용가능성은 폐타이어 열분해공정에서의 경제성을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할 것이다.
상기 열분해 촤로부터 휘발성 탄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열분해촤를 가열하여 휘발성 탄화수소를 휘발 또는 유기증기화 시켜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나, 종래 문헌에는 폐타이어를 열분해 하는 방법과, 열분해촤 또는 카본블랙을 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열방식으로는 대상물질을 담은 용기 또는 로의 외벽을 가열하여 벽을 통해 내부에 담긴 대상물질을 가열하는 외부직접가열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용기를 통해서 열에너지를 전달하게 됨으로 에너지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열분해 촤로부터 휘발성 탄화수소를 제거하고, 이와 연계하여 열분해 촤로부터 무기물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은,
내부체적에 직접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가열방식을 적용하여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열풍에 의한 간접가열을 동시에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가열방식으로 열분해촤로부터 휘발성 탄화수소의 제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가 제거된 열분해촤는 산-알카리용액조에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무기물이 제거되게 함은 물론 상기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게 함으로서 가열효율을 향상시키고 폐타이어 열분해 공정에서의 경제성을 향상시킨 장치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방법은,
폐타이어를 열분해하여 생성된 열분해촤를 자원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분해촤에 열을 가하여 휘발성 탄화수소를 제거하는 휘발성탄화수소 제거과정과;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가 제거된 열분해촤를 산-알카리 용액에 투입하여 무기물을 제거하는 무기물제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휘발성탄화수소 제거과정에서의 가열은 열분해촤의 체적에 대해 직접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조사와, 열분해촤를 담은 용기를 가열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풍가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가열이고,
상기 무기물제거과정에서의 산-알카리 용액에는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한 직접가열과, 산-알카리용액을 담은 조를 열풍으로 가열하는 간접가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가열단계가 더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촤의 자원화 장치는,
폐타이어를 열분해하여 생성된 열분해촤를 자원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열분해촤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휘발성탄화수소를 제거한 다음 배출하는 가열조와; 상기 가열조에서 배출된 열분해촤를 공급받아 산 용액에 투입하여 무기물을 제거하는 무기물제거반응조와; 상기 무기물이 제거된 열분해촤를 공급받아 알카리 용액에 투입하여 중화시키는 중화처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조는 수용부를 갖는 수평챔버와; 상기 수평챔버의 일단 상부와 타단 하부에 형성된 열분해촤 투입구 및 배출구와; 상기 수평챔버 내에 축설되어 투입구로 유입된 열분해촤를 배출구 방향으로 밀어내는 이송장치와; 상기 수평챔버의 내벽에 설치되어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동되는 열분해촤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다수의 마그네트론과; 상기 수평챔버에서 배출구가 형성된 단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열분해된 유기증기를 배출하는 유기증기배출구와; 상기 수평챔버의 외벽에 설치되어 열풍으로 수평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자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기물제거반응조와 중화처리조는 산 또는 알카리 용액을 수용하는 통체의 수직반응챔버와; 상기 수직반응챔버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열분해촤를 공급받는 투입구와; 상기 수직반응챔버에 수직축을 갖도록 축설하여 내부의 산 또는 알카리용액과 열분해촤를 교반시키는 스터러와; 상기 수직반응챔버의 측면하부에 형성되어 산 또는 알카리용액이 혼합된 열분해촤혼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수직반응챔버의 내측 상부면에 설치되어 산 용액 또는 산과 알카리가 혼합된 용액과 열분해촤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수직반응챔버의 외벽에 설치되어 열풍으로 수직반응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자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은,
폐타이어 열분해시 발생되는 열분해 촤(Char)로부터 고순도의 카본블랙과 휘발성탄화수소를 회수하는 작업을 통해 고부가가치화 하였다. 또한, 상기 작업과정에서는 마이크로파에 의한 직접가열과 열풍에 의한 간접가열을 동시에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가열방식을 적용하여 가열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가열효율을 향상시키는 등 폐타이어 열분해 공정의 경제성을 향상시킨 유용한 장치 및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촤의 자원화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물제거반응조 또는 중화처리조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촤의 자원화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폐타이어를 열분해하여 생성된 열분해촤를 자원화하는 방법은, 열분해 촤(Char)에 열을 가하여 휘발성 탄화수소를 제거하는 휘발성탄화수소 제거과정과,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가 제거된 열분해촤를 산-알카리 용액에 투입하여 무기물을 제거하는 무기물제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휘발성탄화수소 제거과정과 무기물제거과정에서의 운전은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물제거과정은 휘발성 탄화수소가 제거된 열분해촤를 산 용액에 투입하여 무기물을 제거하는 무기물제거단계와, 상기 무기물이 제거된 열분해촤를 알카리용액에 투입하여 중화처리하는 중화단계;로 분리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무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대표적인 산용액으로는 H2SO4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고, 중화단계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알카리용액으로는 NaOH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다. 물론 산용액과 알카리용액은 공지된 다양한 산과 알카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휘발성탄화수소 제거과정에서의 가열은 열분해촤의 체적에 대해 직접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조사와, 열분해촤를 담은 용기를 가열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풍가열이 동시에 수행되는 하이브리드 가열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이브리드 가열에 의해 투입된 열분해촤를 열분해온도까지 급속하게 가열하여 열분해촤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탄화수소를 휘발 또는 유기증기화하여 분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가열은 무기물제거과정에서도 적용된다. 즉, 상기 무기물제거과정에서의 산-알카리 용액에는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한 직접가열과, 산-알카리용액을 담은 조를 열풍으로 가열하는 간접가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가열단계가 더 이루어져 산-알카리용액의 처리온도를 25-100℃로 하여 무기물용출과 중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휘발성탄화수소제거과정과 무기물제거과정에서의 마이크로파 출력은 열분해 촤 1kg당 0.1-10 kW이며, 출력량은 열분해 촤 1kg당 0.1-10 kWh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물제거반응조 또는 중화처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촤의 자원화장치(10)는 폐타이어를 열분해하여 생성된 열분해 촤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휘발성탄화수소를 제거한 다음 배출하는 가열조(20)와, 상기 가열조에서 배출된 열분해촤를 공급받아 산 용액에 투입하여 무기물을 제거하는 무기물제거반응조(30)와, 상기 무기물이 제거된 열분해촤를 공급받아 알카리 용액에 투입하여 중화시키는 중화처리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조(20)는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통체인 수평챔버(21)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챔버는 수평방향의 일단의 상부와 타단의 하부에 각각 투입구(22)와 배출구(23)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22)로는 열분해촤가 공급되고, 배출구(23)로는 가열에 의해 휘발성탄화수소가 제거된 열분해 촤를 배출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단부의 상측에는 유기증기배출구(26)가 형성되어 가열에 의해 열분해된 유기증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수평챔버 내부에는 이송장치(24)가 축설되어 투입구로 유입된 열분해촤를 배출구 방향으로 밀어내어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장치로는 스크류 또는 페달을 사용하여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속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챔버(21)의 내벽에는 다수의 마그네트론(25)이 설치된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이송장치에 의해 수평챔버내에서 이동되는 열분해촤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열분해 촤의 체적에 대해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마그네트론(25)은 축방향으로 일렬로 다수 형성되거나, 수평챔버 내벽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다수 설치하고 이를 축방향으로 다열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론으로의 전원공급과 제어는 공지된 건이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수평챔버(21)의 외벽에는 가열자켓(27)이 더 설치된다. 상기 가열자켓은 외부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수평챔버를 가열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열풍투입구(271)와 열풍배출구(272)가 수평챔버의 열분해 촤 투입구 하측과 열분해 촤 배출구 상측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형성함으로써 가장 큰 온도를 갖는 열풍이 열분해촤가 투입된 부분의 수평챔버를 가열하여 신속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해 휘발성 탄화수소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무기물제거반응조(30)와 중화처리조(40)는 동일한 구조로 내부에 저장된 용액에 따라 구분된다. 상기 무기물제거반응조(30)는 내부에 산용액이 저장되어 가열조에서 배출된 열분해촤로부터 무기물을 용출하여 분리하고, 상기 중화처리조(40)는 내부에 알카리용액이 저장되어 무기물제거반응조에서 배출되는 열분해촤와 무기물이 용출된 산용액을 중화처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무기물제거반응조(30)와 중화처리조(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산 또는 알카리 용액을 수용하는 통체의 수직반응챔버(31,41)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반응챔버는 수직통체 바람직하게는 원통체로 형성한 밀폐된 통체이다.
이러한 수직반응챔버의 상부면에는 열분해 촤가 공급되는 투입구(32,42)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는 무기물제거반응조(30)에서는 가열조에서 배출된 열분해 촤가 공급되고, 중화처리조(40)에서는 무기물제거반응조에서 배출되는 열분해촤 혼합물 즉, 무기물이 제거된 열분해촤와 용출된 무기물이 포함된 산용액의 혼합물이 공급된다.
상기 수직반응챔버(31,41)에는 수직으로 축설하여 내부의 산 또는 알카리 용액과 투입구(32,42)로 공급된 열분해촤를 교반시키는 스터러(stirrer)가 설치된다. 상기 스터러(34,44)는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것으로 교반속도는 제어부에서 조절가능하도록 하고, 수직반응챔버의 상부와 접하는 부분에는 베어링결합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반응챔버(31,41)의 측면하부에는 배출구(33,43)가 형성되어 산 또는 알카리용액이 혼합된 열분해촤혼합물을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33,43)에는 밸브를 장착하여 배출구의 개폐를 단속함으로써 수직반응챔버 내에서의 반응시간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여 개폐의 단속이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반응챔버의 상부면 내측에는 마그네트론(35,45)이 설치된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스터러 축을 중심으로 환형태로 다수 배치하여 수직반응챔버 내에 고르게 마이크로조사가 이루지게 한다. 이러한 마그네트론에 의한 마이크로파 조사는 수직반응챔버 내에 저장된 산 용액 또는 산과 알카리가 혼합된 용액과 열분해 촤를 가열시켜 중화작용을 촉진시킨다.
아울러 상기 수직반응챔버의 외벽은 가열자켓(36,46)이 더 설치되어 수직반응챔버를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자켓은 측면에 열풍유입구(361,461)와 열풍배출구(362,462)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반응챔버 측면 상부에 열풍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열풍유입구와 대향되는 측면의 하부에 열풍배출구가 형성되어 유입된 열풍과 수직반응챔버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열자켓에 열풍을 통과시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나, 열풍 이외에 온수를 통과시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한 바와같이 열분해 촤는 가열조(20)의 열분해촤 투입구(22)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공급된 열분해 촤는 내부에서 회전하는 이송장치(24)에 의해 배출구(23)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열분해촤는 이송과정에서 마그네트론(25)에서 조사받는 마이크로파와 가열자켓(27)에서의 전달되는 열에 의해 하이브리드 가열이 이루어져 열분해촤에 잔존하는 휘발성 탄화수소를 기체 또는 유증상태로 분리하게 된다. 상기 분리된 기체 또는 유증은 유기증기배출구(26)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휘발성탄화수소가 제거된 열분해촤는 배출구(23)를 통해 무기물제거반응조(30)의 수직반응챔버(31)로 공급된다.
무기물제거반응조 수직반응챔버의(31) 투입구(32)를 통해 연속공급된 열분해촤는 수직반응챔버에 저장된 산용액과 혼합되고 스터러(34)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열분해촤에 포함된 무기물이 용출되어 분리된다. 이 때 상기 산 용액과 열분해촤는 마그네트론(35)의 마이크로파 조사와 가열자켓(36)을 통한 열을 전달받아 반응이 촉진된다.
상기 일정시간 반응이 이루어진 열분해촤는 수직반응챔버의 배출구(33)를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 배출은 열분해촤와 산용액이 혼합된 열분해촤혼합물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열분해촤 혼합물은 중화처리조(40)의 투입구(42)로 공급되어 산용액을 중화시킨다. 상기 중화처리조의 투입구로 연속공급된 열분해촤 혼합물은 중화처리조의 수직반응챔버(41)에 저장된 알카리용액과 혼합되어 중화가 이루어지며,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스터러(44)에 의한 교반이 이루어지며,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무기물제거반응조에서와 같은 마그네트론(45)의 마이크로파조사와 가열자켓(46)을 통한 열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중화처리가 완료된 열분해촤는 중화처리조의 배출구(43)를 통해 배출되며, 여과단계를 거쳐 카본블랙의 순도를 향상시킨 열분해촤를 회수한다.
10 : 자원화장치
20 : 가열조
21 : 수평챔버 22,32,42 : 투입구
23,33,43 : 배출구 24 : 이송장치
25,35,45 : 마그네트론 26 : 유기증기배출구
27,36,46 : 가열자켓
271,361,461 : 열풍투입구 272,362,462 : 열풍배출구
30 : 무기물제거반응조
31,41 : 수직반응챔버 34,44 : 스터러
40 : 중화처리조

Claims (10)

  1. 폐타이어를 열분해하여 생성된 열분해촤를 자원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분해촤에 열을 가하여 휘발성 탄화수소를 제거하는 휘발성탄화수소 제거과정과;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가 제거된 열분해촤를 산-알카리 용액에 투입하여 무기물을 제거하는 무기물제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휘발성탄화수소 제거과정에서의 가열은 열분해촤의 체적에 대해 직접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조사와, 열분해촤를 담은 용기를 가열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풍가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가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촤의 자원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탄화수소 제거과정과 무기물제거과정은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촤의 자원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제거과정은
    휘발성 탄화수소가 제거된 열분해촤를 산 용액에 투입하여 무기물을 제거하는 무기물제거단계와;
    상기 무기물이 제거된 열분해촤를 알카리용액에 투입하여 중화처리하는 중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촤의 자원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제거과정에서의 산-알카리 용액에는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한 직접가열과, 산-알카리용액을 담은 조를 열풍으로 가열하는 간접가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가열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촤의 자원화 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의 출력은 열분해 촤 1kg당 0.1-10 kW이며, 출력량은 열분해 촤 1kg당 0.1-10 kW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촤의 자원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제거과정에서의 산-알카리용액의 처리온도는 25-1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촤의 자원화 방법.
  8. 폐타이어를 열분해하여 생성된 열분해촤를 자원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열분해촤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휘발성탄화수소를 제거한 다음 배출하는 가열조(20)와;
    상기 가열조에서 배출된 열분해촤를 공급받아 산 용액에 투입하여 무기물을 제거하는 무기물제거반응조(30)와;
    상기 무기물이 제거된 열분해촤를 공급받아 알카리 용액에 투입하여 중화시키는 중화처리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조(20)는
    수용부를 갖는 수평챔버(21)와;
    상기 수평챔버의 일단 상부와 타단 하부에 형성된 열분해촤 투입구(22) 및 배출구(23)와;
    상기 수평챔버 내에 축설되어 투입구로 유입된 열분해촤를 배출구 방향으로 밀어내는 이송장치(24)와;
    상기 수평챔버의 내벽에 설치되어 이송장치로 이동되는 열분해촤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다수의 마그네트론(25)과;
    상기 수평챔버에서 배출구가 형성된 단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열분해된 유기증기를 배출하는 유기증기배출구(26)와;
    상기 수평챔버의 외벽에 설치되어 열풍으로 수평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자켓(2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제거반응조(30)와 중화처리조(40)는
    산 또는 알카리 용액을 수용하는 통체의 수직반응챔버(31,41)와;
    상기 수직반응챔버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열분해촤를 공급받는 투입구(32,42)와;
    상기 수직반응챔버에 수직으로 축설하여 내부의 산 또는 알카리용액과 열분해촤를 교반시키는 스터러(34,44)와;
    상기 수직반응챔버의 측면하부에 형성되어 산 또는 알카리용액이 혼합된 열분해촤혼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33,43)와;
    상기 수직반응챔버의 내측 상부면에 설치되어 산 용액 또는 산과 알카리가 혼합된 용액과 열분해촤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35,45)과;
    상기 수직반응챔버의 외벽에 설치되어 열풍으로 수직반응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자켓(36,4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KR1020100112361A 2010-11-12 2010-11-12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KR101187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361A KR101187587B1 (ko) 2010-11-12 2010-11-12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361A KR101187587B1 (ko) 2010-11-12 2010-11-12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107A KR20120051107A (ko) 2012-05-22
KR101187587B1 true KR101187587B1 (ko) 2012-10-02

Family

ID=4626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361A KR101187587B1 (ko) 2010-11-12 2010-11-12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5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668A (ko) * 2014-01-02 2015-07-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정제된 카본블랙의 제조 방법, 정제된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20190092024A (ko) 2018-01-30 2019-08-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교반 및 가열 스크류가 구비된 폐타이어 급속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방법
KR20200002768A (ko) 2019-12-30 2020-01-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교반 및 가열 스크류가 구비된 폐타이어 급속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618B1 (ko) * 2014-10-28 2016-08-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폐타이어 열분해 카본 블랙의 고품위화를 위한 정제방법
KR102490101B1 (ko) * 2021-02-18 2023-01-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탄소계 부산물을 이용한 타르 개질 공정 및 촉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089B1 (ko) * 1995-08-08 1999-06-15 싱 리 폐고무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가솔린, 디젤 및 카본블랙의 제조방법
US20020117388A1 (en) 2000-09-29 2002-08-29 Denison Gilbert W.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marketable products from scrap rubber
KR100526017B1 (ko) * 2002-11-25 2005-1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분해 비응축성 가스를 회수하는 고분자 폐기물열분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089B1 (ko) * 1995-08-08 1999-06-15 싱 리 폐고무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가솔린, 디젤 및 카본블랙의 제조방법
US20020117388A1 (en) 2000-09-29 2002-08-29 Denison Gilbert W.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marketable products from scrap rubber
KR100526017B1 (ko) * 2002-11-25 2005-1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분해 비응축성 가스를 회수하는 고분자 폐기물열분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668A (ko) * 2014-01-02 2015-07-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정제된 카본블랙의 제조 방법, 정제된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101594825B1 (ko) * 2014-01-02 2016-02-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정제된 카본블랙의 제조 방법, 정제된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20190092024A (ko) 2018-01-30 2019-08-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교반 및 가열 스크류가 구비된 폐타이어 급속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방법
KR20200002768A (ko) 2019-12-30 2020-01-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교반 및 가열 스크류가 구비된 폐타이어 급속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107A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587B1 (ko) 폐타이어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 촤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US9440214B2 (en) Device for processing domestic and industrial organic waste
CN104163555B (zh) 一种微波辐照湿污泥干化热解连续反应装置及方法
KR101516789B1 (ko)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환원 유전가열장치
CN109439354B (zh) 一种高粘度液体有机废弃物连续热解炭化系统
CN107200452B (zh) 微波热解污泥的装置及方法
CN106977068A (zh) 一种提高污泥碳产量的方法
CN111996019A (zh) 无害化和资源化处理的含漆废物裂解工艺
WO2019085542A1 (zh) 一种微波等离子体处理塑料垃圾装置
CN106524188A (zh) 带节能预加热系统的等离子体废液处理系统
CN111377579B (zh) 一种油泥处理方法
CN203999297U (zh) 一种微波辐照湿污泥干化热解连续反应装置
KR102261308B1 (ko) 음식물쓰레기 감량처리 및 바이오오일 추출장치
WO2021010385A1 (ja) 鶏糞飼料製造方法および鶏糞飼料製造装置
AU2012272546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inuous carbonisation of wood chips or wastes and other charring organic materials
RU2391359C1 (ru)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изношенных шин
CN204554824U (zh) 一种病畜尸体热解炭化回转窑
CN106338067A (zh) 一种固体有机材料裂解系统
CN105524631A (zh) 一种利用污泥制备能源气同时无害化铬渣的方法
KR100817738B1 (ko) 폐플라스틱의 유화 방법 및 그 장치
RU962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бытовых и промышленных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CN111303928A (zh) 一种橡胶热循环加热的微负压裂解系统及裂解方法
KR101507857B1 (ko)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회수 장치
CN215162084U (zh) 一种立式含油污泥分离处理装置
CN116515530A (zh) 废弃物处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