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067B1 -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067B1
KR101187067B1 KR1020050043009A KR20050043009A KR101187067B1 KR 101187067 B1 KR101187067 B1 KR 101187067B1 KR 1020050043009 A KR1020050043009 A KR 1020050043009A KR 20050043009 A KR20050043009 A KR 20050043009A KR 101187067 B1 KR101187067 B1 KR 10118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team
water
steam generato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827A (ko
Inventor
박창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067B1/ko
Priority to US11/662,178 priority patent/US20080168805A1/en
Priority to CN2006800181706A priority patent/CN101180428B/zh
Priority to AU2006250246A priority patent/AU2006250246B2/en
Priority to DE112006000052T priority patent/DE112006000052B4/de
Priority to PCT/KR2006/001871 priority patent/WO2006126803A2/en
Publication of KR2006012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06F39/082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etecting faulty draining operations, e.g. filter blockage, faulty pum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발생기 내부로 역류된 스팀이 급수구를 통해 재역류 되지 못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물이 공급되는 통로인 급수구와 스팀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내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구를 연결하며 물이 급수되는 통로인 급수관과, 상기 스팀발생기내에 생성된 스팀이 급수구로 역류되는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된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형성된 급수구와, 상기 급수구와 연결된 급수관 사이에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급수구와 연결된 급수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세탁기,스팀,역류,방지,급수구,토출구

Description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steam generator for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드럼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세탁기용 스팀발생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a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기 내부로 물이 급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b는 "A"부를 확대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기에 설치된 역류방지수단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는 "B"부를 확대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기 내부로 물이 급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6b는 "B"부를 확대하여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기에 설치된 역류방지수단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드럼세탁기 101 : 케비넷
102 : 터브 103 : 드럼
104 : 급수밸브 105 : 급수관
106 : 스팀공급관 200 : 스팀발생기
201 : 급수구 202 : 스팀토출구
201a : 단턱 213 : 수위센서
214 : 히터 300 : 스팀발생장치
400 : 체크밸브 401 : 몸체
402 : 유입구 403a : 유로부재
403b : 개폐부재 404 : 스프링
본 발명은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발생장치 내부로 역류된 스팀이 급수구를 통해 재역류 되지 못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크게 판형의 펄세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세탁하는 방식의 펄세이터형 세탁기와, 눕혀진 드럼을 회전시킴에 따라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와 세탁물의 낙차와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방식의 드럼 세탁기로 구분된다.
이 중, 드럼 세탁기는 펄세이터형 세탁기에 비해 엉킴이 적으며 세탁행정시 소요되는 세탁수와 세제의 양이 적어 사용자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술한 드럼세탁기에서는 더욱 깨끗한 세탁을 하기 위해 불림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세탁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드럼세탁기 내에 세탁물의 살균을 위한 별도의 구조가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최근에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별도의 세탁수용 히터가 세탁기내에 구비되어 삶는 세탁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도 있으나 삶기 위해 소요되는 과다한 세탁수 및 전력량으로 인해 선호되지 못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드럼 세탁기를 보완한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관을 이루는 캐비넷(101)과, 상기 캐비넷(101) 내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터브(102)와, 상기 터브(10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03)과, 상기 드럼(103)을 구동 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드럼(103)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팀발생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드럼세탁기(100)의 일측에는 외부의 수도관 등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102) 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 밸브(10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세탁기(100)의 급수관(105)과 연결되는 급수구(201)가 형성되고,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타측에는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드럼세탁기(100)에 구비된 드럼(103) 내부로 공급되도록 스팀공급관 (106)이 연결되는 스팀토출구(20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관(106)은 상기 드럼(103)의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원활하게 분사 가능하도록 그 끝부분이 노즐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스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끝단이 상기 드럼(103)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기(200)는 상기 급수 밸브(104)와 상기 스팀공급관(106)에서 연결되는 유로를 비교적 짧게 구성하고 수리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상기 터브(102)의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2 를 참조하여, 상술한 드럼세탁기에 구비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발생기(200)는, 외관을 이루고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211)와, 상기 하부 케이스(211)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12)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213)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214)와, 상기 히터(214)에 의해 가열되는 물과 증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스팀발생기(200)의 내부로 급수관(105)을 통해 물이 급수되고 수위센서(213)는 이를 감지하여 적당한 수위를 조절한다.
급수된 물은 상기 스팀발생기(200) 내부에 설치된 히터(214)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물이 끓으면서 스팀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215)는 상기 스팀발생기(200) 내부로 급수된 물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생성된 스팀은 스팀발생기(200)의 스팀토출구(202)를 통해 스팀공급관(106)으로 공급되고, 상기 스팀공급관(106)의 끝단은 터브(102)의 전단부와 캐비넷(101)을 밀폐되게 연결하는 가스켓(미도시)을 통해 드럼(103)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드럼(103) 내부로 스팀이 토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드럼세탁기(100)의 스팀발생기(2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드럼(103)과 연결된 스팀공급관(106)의 노즐부분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고온의 스팀이 지속적으로 드럼(103)내부로 토출됨에 따라 드럼(103)내부의 온도상승과 더불어 압력도 동반 상승하게 되어 스팀발생기(200) 쪽으로 역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103)내부로 토출되던 스팀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내부로 역류되고, 역류된 스팀은 스팀발생기(200) 내부에 있던 기존의 스팀과 함께 급수구(201)를 통해 재역류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역류된 고온의 스팀이 급수구(201)를 통해 급수관(105)을 거쳐 급수밸브(104)에 닿음으로써, 상기 급수관(105)과 급수밸브(104)에 손상을 주는 일이 발생하였다.
둘째, 상기와 같이 역압이 발생함에 따라 드럼(103)내부로의 스팀 토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나아가,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스팀이 급수구를 통해 역류되지 못하도록 하는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이 공급되는 통로인 급수구와 스팀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내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구를 연결하며 물이 급수되는 통로인 급수관과, 상기 케이스내에 생성된 스팀이 급수구로 역류되는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된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전,후방향에 삽입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로 급수된 물을 유도하는 유로부재와, 상기 유로부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체크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스팀발생기에 형성된 급수구와, 상기 급수구와 연결된 급수관 사이에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급수구와 연결된 급수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로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는 개별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부재 의 유입구는 상기 개폐부재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유로부재의 단면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를 설명 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 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3 내지 도 4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300)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200)와, 상기 스팀발생기(200) 내에 급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214)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 설치된 급수구(201)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타측에 설치된 토출구(202)와, 상기 급수구(201)와 연결된 급수관(105)과, 상기 급수구(210)에 설치된 역류방지수단(4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급수구(201)는 급수관(105)과 연결이 되며, 상기 급수관(105)은 드럼세탁기(100)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밸브(104)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105)과 상기 급수구(201) 사이에 설치된 역류방지수단(400)은 체크밸브(check valv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밸브(400)는 전,후방향에 삽입홀이 형성된 몸체(401)와, 상기 몸체(40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401)의 내부로 급수된 물을 유도하는 유로부재(403a)와 상기 유로부재(403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03b)로 이루어진 개폐부(403)와, 상기 개폐부의 개폐부재(403b)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부재(403a)의 유입구(402)는 상기 개폐부재(403b)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401)와 연결된 급수관(105)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로부재(403a)의 단면은 대략 중공(中空)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403b)는 상기 유로부재(403a)의 경사진면 안쪽에서 유입구(4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球)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프링(404)은 상기 개폐부재(403b)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급수구(20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403b)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급수구(201)의 입구에는 단턱(201a)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201a)에 스프링(404)이 안착되어 상기 개폐부재(403b)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급수구(201)가 형성된 면과 근접한 다른면에는 스팀발생기(200)에서 생성된 스팀을 토출하기 위한 스팀토출구(202)가 형성된다.
상기 스팀토출구(202)는 스팀공급관(106)과 연결되며, 상기 스팀공급관(106)의 끝단은 터브(102)의 전단부와 캐비넷(101)을 밀폐되게 연결하는 가스켓(미도시)을 통해 드럼(103)에 연결된다.
이때, 스팀공급관(106)은 드럼(103)내부로 연통되어 설치되고 끝단에는 노즐(미도시)이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히터(214)는 상기 스팀발생기(200)내의 저부에 설치되며, 시스히 터(sheath heate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4a 는 스팀발생기 내부로 물이 급수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급수밸브(104)와 연결된 급수관(105)으로 부터 소정의 압력을 갖는 물이 체크밸브(400)의 내부로 급수되고, 급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개폐부재(403b)가 스팀발생기(200)의 급수구(201)쪽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400)의 개폐부(403)가 개방된다.
이로써, 급수밸브(104)로부터 공급된 물은 개방된 상기 체크밸브(400)의 개폐부(403)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급수구(201)를 거쳐 스팀발생기(200)의 내부로 급수된다.
또한, 스팀발생기(200) 내에 설치된 수위센서(미도시)에 의해 적정량의 급수가 완료되면 급수가 중단되고, 이로 인해 체크밸브(400) 내부의 개폐부재(403b)는 상기 개폐부재(403b)를 지지하고 있던 스프링(404)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돌아감으로써 개폐부(403)를 폐쇄한다.
한편, 급수된 물은 상기 스팀발생기(200) 내부에 설치된 히터(214)가 발열하여 물이 가열되고, 스팀이 지속적으로 생성이 된다.
이때, 생성된 스팀은 상기 스팀토출구(202)를 통해 스팀공급관(106)으로 토출되며, 상기 스팀은 상기 스팀공급관(106)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드럼(103)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노즐에 이물질이 쌓여 노즐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노즐과 연결된 스팀공급관(106) 내부에 역압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드럼(103) 내부로 지속되는 고온의 스팀 토출로 인해 드럼(103)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고, 드럼(103)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어 역압이 발생된다.
이때, 역압으로 인해 스팀이 스팀공급관(106)을 따라 스팀발생장치(200)의 내부로 역류되고, 역류된 스팀은 상기 급수구(201)를 통해 재역류된다.
하지만, 상기 급수구(201)와 상기 급수관(105) 사이에 설치된 체크밸브(400)으로 인해 역류된 스팀은 더 이상 급수관(106)으로 유동되지 못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크밸브(400) 내에 있는 개폐부재(403b)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400)의 유로부재(403a)가 폐쇄되므로, 상기 급수구(201)를 통해 역류된 스팀은 더이상 급수관(105)으로 유동되지 못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400)가 상기 급수관(105)과 상기 급수구(201) 사이에 설치된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체크밸브(400)가 급수관(105)과 스팀발생기(200)에 형성된 급수구(201) 사이에 설치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크밸브(400)가 급수관(105)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드럼세탁기(100)의 세탁행정시 드럼세탁기(100) 내에 구비된 모터(미도시)가 회전이 되면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모터 의 회전력으로 인해 드럼세탁기(100) 본체를 비롯한 각 부품들에 진동이 발생된다.
즉, 상기한 체크밸브(400)를 구성하는 유로부재(403a)와 개폐부재(403b)가 개별체로 구성됨으로 진동에 의해 유격이 발생되고, 이로인해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상기 급수관(105)에 설치됨으로써 세탁행정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한 유로부재(403a)와 개폐부재(403b)의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급수관(105)은 상기 드럼세탁기(100)에 직접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부품들에 의해 진동이 1차적으로 흡수되므로 비교적 진동의 전달이 덜 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급수관(105)의 재질 또한 진동 흡수력이 뛰어난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급수관(105)에 미치는 진동은 드럼세탁기(100) 내에 체결된 다른 부품에 비해 적게 전달된다.
이로써, 상기 체크밸브(4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술한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300)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세탁기의 드럼이나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역압으로 인한 고온의 스팀이 스팀발생기의 급수구로 역류시, 급수구를 통해 토출되지 못함으로써, 상기 급수구와 연결된 급수관이나 급수밸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스팀의 역류를 방지함에 따라 제품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된다.

Claims (4)

  1.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 상기 케비넷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통로인 급수구와 스팀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구를 연결하며 물이 급수되는 통로인 급수관과;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어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과;
    상기 케이스 내에 생성된 스팀이 급수구로 역류되는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일단은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구에 연결되는 몸체;
    상기 급수관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구를 구비하여 단면이 중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유로부재;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구 형상의 개폐부재;
    일단은 상기 개폐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구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2.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 상기 케비넷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통로인 급수구와 스팀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구를 연결하며 물이 급수되는 통로인 급수관과;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어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과;
    상기 케이스 내에 생성된 스팀이 급수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급수관에 구비되는 몸체;
    상기 급수구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구를 구비하여 단면이 중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유로부재;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구 형상의 개폐부재;
    일단은 상기 개폐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관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50043009A 2005-05-23 2005-05-23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101187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009A KR101187067B1 (ko) 2005-05-23 2005-05-23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US11/662,178 US20080168805A1 (en) 2005-05-23 2006-05-18 Laundry Device
CN2006800181706A CN101180428B (zh) 2005-05-23 2006-05-18 洗衣装置
AU2006250246A AU2006250246B2 (en) 2005-05-23 2006-05-18 Laundry device
DE112006000052T DE112006000052B4 (de) 2005-05-23 2006-05-18 Wäschemaschine mit Dampfgenerator
PCT/KR2006/001871 WO2006126803A2 (en) 2005-05-23 2006-05-18 Laund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009A KR101187067B1 (ko) 2005-05-23 2005-05-23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827A KR20060120827A (ko) 2006-11-28
KR101187067B1 true KR101187067B1 (ko) 2012-09-27

Family

ID=3770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009A KR101187067B1 (ko) 2005-05-23 2005-05-23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145B1 (ko) * 2008-12-24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 공급 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50211B1 (ko) * 2019-06-28 2019-11-29 제주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팀발생모듈을 구비한 자동 이동식 태양광 패널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827A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3396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KR100504501B1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AU761962B2 (en) Penetration type washing machin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ub cover for the same
US20040244432A1 (en) Steam supplying apparatus in washing machine
KR20070049406A (ko) 드럼 세탁기
JP2004298616A (ja) 蒸気噴射式ドラム洗濯機
JP2004298614A (ja) 蒸気噴射式ドラム洗濯機
KR20070088068A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WO2006101358A1 (en) Laundry machine
KR20050018182A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KR20060085784A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 역류 방지 구조
KR10148367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187067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20070088212A (ko) 세탁기 및 세제공급기구의 세척방법
KR101216073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101215351B1 (ko) 드럼세탁기의 스팀발생장치
KR100751765B1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20060120826A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100696423B1 (ko) 스팀 발생장치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KR200392582Y1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동파 방지 구조
KR200465498Y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060114107A (ko) 드럼세탁기의 증기분사장치
KR101033595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200397083Y1 (ko)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KR100404211B1 (ko) 세탁기의 액체첨가제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