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679B1 - 휴대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679B1
KR101186679B1 KR1020120065054A KR20120065054A KR101186679B1 KR 101186679 B1 KR101186679 B1 KR 101186679B1 KR 1020120065054 A KR1020120065054 A KR 1020120065054A KR 20120065054 A KR20120065054 A KR 20120065054A KR 101186679 B1 KR101186679 B1 KR 101186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handle
support rod
st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찬오
정오균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6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용 사다리는, 서로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대와 사용자가 디딜 수 있도록 상기 세로대들을 잇는 가로대를 구비하는 사다리 몸체와, 상기 사다리 몸체에 결합되는 중공의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상기 지지봉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몸체가 겹쳐지는 제1 상태와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제2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사다리{potable ladd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차량에 휴대 가능하게 장착되는 휴대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사다리는 사용자가 디딜 수 있는 가로대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세로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사용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이동할 수 있다.
군용차량의 기본불출품목(BII)으로 선정되어 운용되는 차량용 사다리는 대부분 손잡이가 없는 구조로 제작되어 운용되고 있다. 사다리 손잡이가 없는 상태에서 차량용 사다리를 운용할 경우 사용자 부주의 또는 지면기울기에 의해서 발생되는 운용상의 진동 등으로 인해 운용자가 사다리에서 지면으로 떨어져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군에서 사용 중인 차량용 탈부착식 사다리는 차량 후면 또는 차량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차량이 정차된 임의 지점에서 탈거 후 도 1과 같이 설치되어 운용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야전에서 운용되는 대부분의 사다리는 별도의 손잡이가 없는 형태로서 사용자가 사다리 오르거나 내릴 시 흔들림 또는 진동에 의해 사다리로부터 낙상의 위험이 항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낙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증가시키면서도, 휴대가 용이한 사다리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사다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용 사다리는, 서로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대와 사용자가 디딜 수 있도록 상기 세로대들을 잇는 가로대를 구비하는 사다리 몸체; 상기 사다리 몸체에 결합되는 중공의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상기 지지봉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몸체가 겹쳐지는 제1 상태와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제2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봉은 각각 상기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 및 상기 돌기부가 회전할 때 이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제2 고정홈까지 연장되는 이동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홈과 상기 고정홈은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홈은 상기 지지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봉의 외주를 따라 180도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지지봉에 삽입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제3 바디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 상태에서 180도의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제3 바디들은 상기 가로대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대는, 상기 차량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대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프레임들은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거나 회전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용 사다리는 사용자의 낙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다리의 운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사다리 설치 시 사다리측면에 접혀져있는 사다리손잡이를 편리하게 세워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다리 제거 시, 펼쳐진 사다리 손잡이를 최초상태로 편리하게 접을 수 있어 운반 및 이동시 편리하게 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사다리가 차량에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손잡이의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손잡이가 결합된 휴대용 사다리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a에 도시된 사다리의 동작 상태도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손잡이가 결합된 휴대용 사다리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들.
도 6은 도 5a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휴대용 사다리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사다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사다리가 차량에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군에서 사용 중인 차량용 탈부착식 사다리(10)는 차량 후면 또는 차량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차량(20)이 정차된 임의 지점에서 탈거 후 도 1과 같이 설치되어 운용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야전에서 운용되는 대부분의 사다리(10)는 별도의 손잡이가 없는 형태로서 사용자가 사다리 오르거나 내릴 시 흔들림 또는 진동에 의해 사다리(10)로부터 낙상의 위험이 항시 존재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손잡이(120)의 사시도이다. 손잡이(120)와 사다리 몸체(110, 도 3a 참조)는 지지봉(1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봉(130)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지지봉(130)은 사다리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사다리 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130)은 금속 재질로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20)는 복수의 바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바디(122)는 지지봉(13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제2 바디(123)는 제1 바디(122)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제3 바디(124)들은 제1 바디(122)와 제2 바디(123)의 양단에서 제1 바디(122)와 제2 바디(123)를 연결한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손잡이(120)가 결합된 휴대용 사다리(100)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들이다. 도 3a는 손잡이(120)와 몸체(110)가 서로 겹쳐지는 제1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손잡이(120)가 몸체(110)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제2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사다리(100)는 서로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대(111, 112)와 사용자가 디딜 수 있도록 세로대(111, 112)들을 잇는 가로대(11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세로대(111, 112)와 가로대(113)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가로대(113)는 사용자가 디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사다리(100)의 사용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가로대(113)는 적어도 일부가 지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로대(111, 112)는 그 길이는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세로대(111, 112)는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들은 힌지에 의해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대하여 다른 하나의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들이 겹쳐진 상태에서 세로대(111, 112)의 길이는 짧아지지만, 펼쳐진 상태에서 세로대(111, 112)의 길이는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세로대(111, 112)에 지지봉(130)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봉(130)은 복수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봉(130)은 제1 고정홈(131)과 제2 고정홈(133), 그리고 제1 고정홈(131)에서 제2 고정홈(133)까지 연장되는 이동 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홈(131)은 제1 상태에서 손잡이(120)에 형성되는 돌기부(121)가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2 고정홈(133)은 제2 상태에서 돌기부(121)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고정홈(131), 제2 고정홈(133), 그리고 이동 홈(132)이 이어진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121)는 홈들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서 고정홈들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a에 도시된 사다리(100)의 동작 상태도들이다.
손잡이(120)의 제1 바디(122, 도 2 참조)는 지지봉(130)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바디(122)의 외주에 앞서 설명한 홈들에 삽입되는 돌기부(121)가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21)가 제1 고정홈(131)에 삽입된 상태가 제1 상태이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21)가 제2 고정홈(133)에 삽입된 상태가 제2 상태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상측을 향하여 밀게 되면 돌기부(121)가 제1 고정홈(131)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회전시키면 이동 홈(132)을 따라 돌기부(121)가 일정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하측을 향하여 밀게 되면 돌기부(121)가 제2 고정홈(13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 상태에서 손잡이(120)는 사다리 몸체(11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상태에서 손잡이(120)는 사다리 몸체(110)와 직교하거나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손잡이(120)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홈들에 삽입되어 손잡이(12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다. 제2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바디(123, 도 2 참조)를 잡고 사다리(100)의 가로대(113)를 디딜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다리(100)를 이용하여 차량(20)을 오르거나 내릴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손잡이(220)가 결합된 휴대용 사다리(200)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대(211, 212)에 형성된 홈에 지지봉(230)이 삽입되어 세로대(211, 212)에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봉(230)에는 앞서 설명한 제2 고정홈(233) 외에 제3 고정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홈(233)은 이동 홈(232)을 따라 지지봉(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고정홈(231)과 90도 내외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3 고정홈(234)은 지지봉(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고정홈(231)과 180도 내외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기존의 제3 바디(224) 외에 제1 바디(222)와 제2 바디(223)를 연결하는 제3 바디(225)들이 형성된다. 제3 바디(225)들은 제1 바디(222)와 제2 바디(223)의 양단에서 제1 바디(222)와 제2 바디(223)를 서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일정 지점에서 제1 바디(222)와 제2 바디(223)를 서로 연결한다. 이렇게 연결되는 제3 바디(225)들은 돌기부(221)가 제3 고정홈(234)에 결합될 때, 가로대(213)의 연장선상에 배치된다. 즉, 제3 바디(225)들은 사다리 몸체(210)의 가로대(213)를 연장하는 것으로서 사다리(200)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도 6은 도 5a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휴대용 사다리(200)가 차량(2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다리 몸체(210) 및 손잡이(220) 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사다리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부(250)와 고정부(260)가 형성된다.
사다리 몸체(210)의 상부에는 차량(20)에 사다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50)가 형성된다. 결합부(250)는 사다리를 탈착 가능하게 차량(20)에 장착시킨다.
사다리 몸체(210)의 하부에는 고정부(260)가 형성된다. 산악 지역이나 경사가 있는 지역에서 고정부(260)는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사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사다리는 사다리 설치 시 사다리 측면에 접혀져있는 사다리의 손잡이를 편리하게 세워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다리 제거 시, 펼쳐진 사다리의 손잡이를 최초상태로 편리하게 접을 수 있어 운반 및 이동시 편리하게 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용 사다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차량에 장착되는 휴대용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는,
    서로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대와 사용자가 디딜 수 있도록 상기 세로대들을 잇는 가로대를 구비하는 사다리 몸체;
    상기 세로대에 결합되는 중공의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봉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몸체가 겹쳐지는 제1 상태와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제2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외주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은,
    각각 상기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 및
    상기 돌기부가 회전할 때 이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제2 고정홈까지 연장되는 이동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사다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홈과 상기 고정홈은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사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홈은 상기 지지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봉의 외주를 따라 180도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사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지지봉에 삽입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제3 바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사다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 상태에서 180도의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제3 바디들은 상기 가로대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사다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는,
    상기 차량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사다리.
  8. 삭제
KR1020120065054A 2012-06-18 2012-06-18 휴대용 사다리 KR101186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054A KR101186679B1 (ko) 2012-06-18 2012-06-18 휴대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054A KR101186679B1 (ko) 2012-06-18 2012-06-18 휴대용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679B1 true KR101186679B1 (ko) 2012-09-28

Family

ID=4711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054A KR101186679B1 (ko) 2012-06-18 2012-06-18 휴대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974B1 (ko) * 2017-02-16 2018-11-12 주식회사 디유이엔지 전동차용 비상 사다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361Y1 (ko) * 2004-03-05 2004-05-20 김성기 차량용 사다리
KR200417517Y1 (ko) * 2006-03-16 2006-05-29 도아기업 주식회사 공간절약형 접철식 고정 사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361Y1 (ko) * 2004-03-05 2004-05-20 김성기 차량용 사다리
KR200417517Y1 (ko) * 2006-03-16 2006-05-29 도아기업 주식회사 공간절약형 접철식 고정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974B1 (ko) * 2017-02-16 2018-11-12 주식회사 디유이엔지 전동차용 비상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0314B1 (en) Collapsible ladder
US8117994B1 (en) Animal ramp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2019524164A5 (ko)
KR20170002456U (ko) 우마형 사다리
KR20150002915U (ko)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 기구
CN103321397A (zh) 折叠脚手架
US20160160513A1 (en) Adjustable scaffold assembly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KR101314928B1 (ko) 접이식 계단 작업대
KR101281327B1 (ko)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KR101186679B1 (ko) 휴대용 사다리
KR101667157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US8807278B1 (en) Hunting stand apparatus
EP3192942A1 (fr) Echafaudage comportant deux ensembles d'echelle maintenus distants l'un de l'autre par une base pliante pre-montee
KR100899226B1 (ko) 작업대
KR101769363B1 (ko) 사다리
JP6831989B2 (ja) 可搬式作業台
TWI542435B (zh) Supporting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untertop tool
KR101437266B1 (ko)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RU2013113626A (ru) Пандус (варианты)
EP3309349B1 (en) Movable ladder
KR102381438B1 (ko) 말비계 겸용 a자형 안전사다리
KR200486641Y1 (ko) 사다리용 안전발판
KR101578578B1 (ko) 가변형 사다리
JP4480183B2 (ja) 折り畳み式作業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