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928B1 - 접이식 계단 작업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계단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928B1
KR101314928B1 KR1020110040105A KR20110040105A KR101314928B1 KR 101314928 B1 KR101314928 B1 KR 101314928B1 KR 1020110040105 A KR1020110040105 A KR 1020110040105A KR 20110040105 A KR20110040105 A KR 20110040105A KR 101314928 B1 KR101314928 B1 KR 10131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stair
stair fram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548A (ko
Inventor
한교열
한용호
한건호
Original Assignee
한교열
한건호
한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교열, 한건호, 한용호 filed Critical 한교열
Publication of KR2012007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20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having tip-up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계단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 측면 전, 후에 바퀴(101)를 설치하고, 전방 상부에는 고정고리(102)를 형성한 메인프레임(1)과; 상기 메인프레임(1)의 양측 일단부에 각 한 쌍을 발판(3)의 너비만큼 띄워서 회동 가능케 설치한 계단프레임(2)과; 상기 계단프레임(2) 사이에 네 모퉁이를 힌지 결합하되, 계단 형태가 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는 발판(3)과; 상기 계단프레임(2) 중 하부에 위치한 계단프레임(2)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의 상면을 타고 회전하는 롤러(401)를 설치하며, 상기 롤러(401)의 내측면에는 걸림돌부(40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정고리(10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지지대(4)와; 상기 메인프레임(1)의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하강한 후 고정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고정수단(5, 5')으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도 안정적인 자세로 보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세우거나, 접을 수 있고, 이동과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급 및 보관 등 사용편의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계단 작업대 {Folding stairs table}
본 발명은 접이식 계단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및 고정이 간편하고 안정적인 전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작업 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 및 보관이 편리한 접이식 계단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 농가나, 건축현장, 조선소와 같은 대형 건조물 제조 현장 등에서는 수시로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러한 곳을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다리는 2개의 긴 기둥 사이에 몇 개의 가로장을 드문드문 대고 고정한 형태로써 사용할 때에는 지면과 수직이 되는 세로 벽면 사이에 걸쳐 세워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사다리가 쉽게 흔들려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사용상 어려움이 따르고 자칫 사다리가 넘어지면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도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걸쳐 세워서 사용하는 사다리의 특성상 세로 벽면이 유리벽이나 나무와 같은 약한 구조물인 경우에는 사다리를 걸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사다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A형 사다리"로서 일반적인 형태의 사다리 2개의 상단부를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하고, 두 사다리의 중간 이점에는 두 사다리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대를 설치함으로써 사다리를 펼쳤을 때 형상이 "A" 자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A형 사다리는 지면에 고정되는 발이 4개가 되고, 세로 벽면에 걸쳐 세우지 않아도 사용 가능하여 일반 사다리에 비해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A형 사다리도 기본적으로는 사다리의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판이 좁고, 사용자가 사다리 위로 올라갔을 때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사다리를 이용한 다양한 작업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도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보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계단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에는 간단하게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게 하며, 이동시에는 바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한 접이식 계단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 측면 전, 후에 바퀴(101)를 설치하고, 전방 상부에는 고정고리(102)를 형성한 메인프레임(1)과;
상기 메인프레임(1)의 양측 일단부에 각 한 쌍을 발판(3)의 너비만큼 띄워서 회동 가능케 설치한 계단프레임(2)과;
상기 계단프레임(2) 사이에 네 모퉁이를 힌지 결합하되, 계단 형태가 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는 발판(3)과;
상기 계단프레임(2) 중 하부에 위치한 계단프레임(2)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의 상면을 타고 회전하는 롤러(401)를 설치하며, 상기 롤러(401)의 내측면에는 걸림돌부(40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정고리(10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지지대(4)와;
상기 메인프레임(1)의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하강한 후 고정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고정수단(5, 5')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대(103)와 상기 계단프레임(2) 사이에서 계단프레임(2)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대(201) 간에는 쇼크업소버(6)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 일측 단부에는 연결봉(702)을 끼워서 탈·부착할 수 있는 연결봉결합부(104)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계단프레임(2)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대(202)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4)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대(403) 사이에는 쇼크업소버(6')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5, 5')은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501, 501')을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포스트(502, 502')의 상단부에 가압판(503, 503')을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는 접지판(504)을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는 고정구(505, 505')를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하여 그 고정구(505, 505')에 의해 포스트(502, 502')의 위치를 고정 가능케 하며, 상기 포스트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된 높낮이조절너트(506, 506')와 상기 브라켓 상단부 간에는 코일스프링(507, 507')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의 탄성이 포스트에 작용케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계단프레임(2) 상부에는 발판(3) 쪽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7)를 회동장치(704)로 힌지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7)는 계단프레임(2)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하되, 양측 손잡이(7)의 일측 단부에 연결봉(702)을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에 다수의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도 안정적인 자세로 보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시에는 간편하게 세워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며, 바퀴를 구비하여 이동도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편의성과 실용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계단프레임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방 고정수단을 나타낸 정면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후방 고정수단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 회동부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손잡이 연결부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과, 상기 메인프레임(1)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계단프레임(2)과, 상기 계단프레임(2)에 설치되는 발판(3)과, 세워진 계단프레임(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4)와, 상기 메인프레임(1)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 5')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 요소의 구조와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은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하여 양 측면 전, 후에 각각 바퀴(101)를 설치함으로써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네 바퀴(101)가 메인프레임(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바퀴 중 메인프레임(1)의 후방에 위치하는 바퀴는 이동시 방향 선회가 용이하도록 회전이 가능한 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1)의 양측 일단부에는 각 한 쌍씩 모두 4개의 계단프레임(2)을 설치하되, 전후 일렬로 위치하는 한 쌍의 계단프레임은 발판(3)의 너비만큼 띄워서 회동 가능케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프레임을 세우거나,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에는 계단프레임(2)을 메인프레임(1)과 수평이 되도록 눕혀줌으로써 전체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이동이나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4개의 계단프레임(2) 사이에는 네 모퉁이를 힌지 결합하되, 계단 형태가 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발판(3)을 설치함으로써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프레임(2)을 세우면 다수의 발판(3)이 계단 형태가 되어 작업자가 발판(3)을 밟고 오르내릴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계단프레임(2)을 메인프레임(1)과 수평이 되도록 눕히면 계단프레임(2) 사이에 설치된 발판(3)의 각도가 변하면서 발판(3)도 계단프레임(2)과 같이 눕혀지기 때문에 전체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4개의 계단프레임(2)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계단프레임(2)의 일측에는 지지대(4)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4)의 타단부에는 메인프레임(1)의 상면을 타고 회전하는 롤러(401)를 설치하며, 상기 롤러(401)의 내측면에는 걸림돌부(402)를 돌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계단프레임(2)을 세운 상태에서 지지대(4)의 걸림돌부(402)를 메인프레임(1)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 고정고리(102)에 걸어서 고정하면, 세워진 계단프레임(2)이 지지대(4)에 의해 지지가 됨으로써 계단프레임(2) 사이에 설치된 발판(3)이 계단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발판(3)을 계단 삼아 오르내리면서 원하는 높이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세워진 계단프레임(2)을 접을 때는 사용자가 최상부에 위치하는 발판(3) 끝을 잡아서 위로 들어올리면서 지지대(4)의 걸림돌부(402)를 메인프레임(1)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 고정고리(102)에서 이탈시켜 메인프레임(1) 후방으로 밀어주면 롤러(401)에 의해 지지대(4)가 메인프레임 상면을 타고 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4)를 계단프레임(2) 하부에서 계단프레임(2)과 수평이 되도록 눕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프레임(1) 일측 단부에는 연결봉(702)을 탈·부착할 수 있는 연결봉결합부(104)를 형성함으로써 첨부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프레임(2)과 지지대(4)가 메인프레임(1)과 수평이 되도록 눕힌 상태에서 손잡이(7)를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연결봉(702)의 양단부를 연결봉결합부(104)에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메인프레임을 밀어서 이동시키기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메인프레임(1)의 내부에는 메인프레임(1)을 가로지르는 연결대(103)를 형성하고, 양측 계단프레임(2) 사이에도 연결대(201)를 형성하여, 상기 두 연결대(103, 201) 사이에 쇼크업소버를 설치함과 동시에, 양측 계단프레임(2) 사이에 형성된 또 다른 연결대(201)와, 지지대(4)에 형성된 연결대(403) 사이에도 쇼크업소버(6')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쇼크업소버(6, 6')를 설치하게 되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프레임(2)을 세우고, 지지대(4)를 이용해 계단프레임(2)을 지지할 때 계단프레임(2)이나 지지대(4)가 쉽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눕혀진 상태의 계단프레임(2)을 세울 때는 쇼크업소버(6, 6') 내부에 충진된 가스 압력에 의해 로드가 돌출되면서 계단프레임(2)을 밀어올리기 때문에 계단프레임(2)을 쉽게 세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체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계단프레임(2)을 눕힐 때 계단프레임(2)의 갑작스런 하강을 방지함으로써 계단프레임(2)을 눕히는 과정에서 계단프레임(2)의 갑작스런 하강에 의한 작업자의 충격이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프레임(1)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하강한 후 고정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고정수단(5, 5')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작업대를 특정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 고정수단(5, 5')을 지면에 밀착 고정시켜 메인프레임(1)의 전후좌우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5, 5')은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압판(503, 503')을 발로 직접 밟거나, 가압대(503a)를 회전시켜 포스트(502, 502')를 하향시키면 포스트(502, 502') 하단부에 형성된 접지판(504, 504')에 지면에 밀착됨으로써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브라켓의 외측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된 고정구(505, 505')가 회동하여 상기 포스트(502, 50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며, 나사와 고정구(505, 505')와의 결합을 인위적으로 해소하면, 스프링(507, 507')의 복원력에 의해 포스트(502, 50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수단(5, 5')의 작동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계단프레임(2) 상부 양측에는 회동장치(704)를 이용해 손잡이(7)를 설치하여 손잡이가 발판(3) 쪽으로 회동 가능케 하고, 양측 손잡이(7)의 일측 단부에는 연결봉(702)을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동장치(704)에는 첨부도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장공(705)을 형성하여 손잡이(7)의 지주(703)의 하단부에 형성된 회전축이 상기 장공(705)을 따라서 승강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장공(705)에 끼워진 상태로 지주(703)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잡이(7)의 회동이 가능케 된다.
또한, 상기 회동장치(704)에는 손잡이(7)의 지주(703) 부분이 세워졌을 때 지주(703)가 세워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회동장치(704)의 외벽을 관통하여 지주(703)의 외표면에 밀착되는 고정나사(70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손잡이(7)와 연결봉(702)을 결합할 때는 첨부도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7)의 단부에 연결봉(702)을 삽입한 후 체결나사나 체결볼트 등과 같은 결합 보조수단을 이용하여 손잡이(7)와 연결봉(702)에 각각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될 것이다.
1: 메인프레임 101: 바퀴
102: 고정고리 103: 연결대
104: 연결봉결합부 2: 계단프레임
201, 202: 연결대 3: 발판
4: 지지대 401: 롤러
402: 걸림돌부 403: 연결대
5: 고정수단 501, 501': 브라켓
502, 502': 포스트 503, 503': 가압판
504, 504': 접지판 505, 505': 고정구
506, 506': 높낮이조절너트 507, 507': 스프링
6, 6': 쇼크업소버 7: 손잡이
701: 결합부 702: 연결봉

Claims (7)

  1. 양 측면 전, 후에 바퀴(101)를 설치하고, 전방 상부에는 고정고리(102)를 형성한 메인프레임(1)과;
    상기 메인프레임(1)의 양측 일단부에 각 한 쌍을 발판(3)의 너비만큼 띄워서 회동 가능케 설치한 계단프레임(2)과;
    상기 계단프레임(2) 사이에 네 모퉁이를 힌지 결합하되, 계단 형태가 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는 발판(3)과;
    상기 계단프레임(2) 중 하부에 위치한 계단프레임(2)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의 상면을 타고 회전하는 롤러(401)를 설치하며, 상기 롤러(401)의 내측면에는 걸림돌부(40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정고리(10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지지대(4)와;
    상기 메인프레임(1)의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하강한 후 고정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고정수단(5, 5')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계단 작업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 일측 단부에는 연결봉(702)을 끼워서 탈·부착할 수 있는 연결봉결합부(104)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계단 작업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프레임(2)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대(202)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4)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대(403) 사이에는 쇼크업소버(6')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계단 작업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 5')은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501, 501')을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포스트(502, 502')의 상단부에 가압판(503, 503')을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는 접지판(504)을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는 고정구(505, 505')를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하여 그 고정구(505, 505')에 의해 포스트(502, 502')의 위치를 고정 가능케 하며, 상기 포스트에 나사 결합된 높낮이조절너트(506, 506')와 상기 브라켓 상단부 간에는 코일스프링(507, 507')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의 탄성이 포스트에 작용케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계단 작업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프레임(2) 상부에는 발판(3) 쪽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7)를 회동장치(704)로 힌지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계단 작업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7)는 계단프레임(2)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하되, 양측 손잡이(7)의 일측 단부에 연결봉(702)을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계단 작업대.
KR1020110040105A 2010-12-31 2011-04-28 접이식 계단 작업대 KR101314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40007 2010-12-31
KR1020100140007 2010-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548A KR20120078548A (ko) 2012-07-10
KR101314928B1 true KR101314928B1 (ko) 2013-10-04

Family

ID=4671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105A KR101314928B1 (ko) 2010-12-31 2011-04-28 접이식 계단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9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5200A (zh) * 2016-01-29 2016-05-04 成都绿迪科技有限公司 一种携带方便的园林梯
KR20190087775A (ko) * 2018-01-17 2019-07-25 유수원 접힘 가능한 이동식 작업 사다리
KR20210007598A (ko) 2019-07-12 2021-01-20 신류 접이식 기능을 가진 계단
KR102219439B1 (ko) 2019-10-15 2021-02-23 유수원 발판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201A (ko) 2018-03-22 2019-10-02 유수원 승강식 캐스터를 구비한 작업발판
CN110080673A (zh) * 2019-04-28 2019-08-02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电气设备的多功能维护检修工具梯
CN114737737A (zh) * 2022-05-11 2022-07-12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方便使用的建筑施工承载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460A (ko) * 1984-06-04 1986-01-29 미쯔히로 기시 승강 장치
KR200387551Y1 (ko) 2005-03-15 2005-06-20 (주)다몬과함께 다용도 사다리
KR20060087622A (ko) * 2005-01-29 2006-08-03 이광주 접철식 이동작업대
KR20100096445A (ko) * 2009-02-24 2010-09-02 (주) 한마루무역 접이식 계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460A (ko) * 1984-06-04 1986-01-29 미쯔히로 기시 승강 장치
KR20060087622A (ko) * 2005-01-29 2006-08-03 이광주 접철식 이동작업대
KR200387551Y1 (ko) 2005-03-15 2005-06-20 (주)다몬과함께 다용도 사다리
KR20100096445A (ko) * 2009-02-24 2010-09-02 (주) 한마루무역 접이식 계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5200A (zh) * 2016-01-29 2016-05-04 成都绿迪科技有限公司 一种携带方便的园林梯
KR20190087775A (ko) * 2018-01-17 2019-07-25 유수원 접힘 가능한 이동식 작업 사다리
KR102016109B1 (ko) * 2018-01-17 2019-08-29 유수원 접힘 가능한 이동식 작업 사다리
KR20210007598A (ko) 2019-07-12 2021-01-20 신류 접이식 기능을 가진 계단
KR102219439B1 (ko) 2019-10-15 2021-02-23 유수원 발판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548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928B1 (ko) 접이식 계단 작업대
KR101648967B1 (ko) 접이식 발판형 안전사다리
JP7111748B2 (ja) 可搬式ステージシステム
US6408983B1 (en) Ladder stabilizing device
US6827181B2 (en) Low level adjustable scaffold with workbench
WO2014132733A1 (ja) 脚立
KR200460273Y1 (ko) 사다리 거치장치
EP2367994A1 (en) Scaffolding
KR200478605Y1 (ko) 접이식 작업대
WO2012168684A1 (en) Support apparatus and improved height access apparatus
JP4035485B2 (ja) トラック用昇降梯子
US10519715B2 (en) Intermediate rung apparatus for a ladder
KR200486260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접이식 발판형 안전사다리
US20140262617A1 (en) Ladder
CN205777416U (zh) 梯式脚手架
CN211201090U (zh) 一种脚手架
KR20150085879A (ko) 안전 사다리
KR20210015011A (ko) 사다리
KR102180099B1 (ko) 작업용 사다리
JP5476051B2 (ja) 基台および昇降式移動足場
CN214697648U (zh) 一种土木工程用增高架
JP3883981B2 (ja) 足場装置
KR102371325B1 (ko) 접철식 사다리, a자형 접철식 사다리, 우마형 접철식 사다리
KR20130065528A (ko) 접이식 사다리
KR101552245B1 (ko)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