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266B1 -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 Google Patents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266B1
KR101437266B1 KR1020130009025A KR20130009025A KR101437266B1 KR 101437266 B1 KR101437266 B1 KR 101437266B1 KR 1020130009025 A KR1020130009025 A KR 1020130009025A KR 20130009025 A KR20130009025 A KR 20130009025A KR 101437266 B1 KR101437266 B1 KR 101437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ed
lock
pair
hin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491A (ko
Inventor
김행남
Original Assignee
김행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남 filed Critical 김행남
Priority to KR1020130009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2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26Height adjustable supports for receiving both ladder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2Ladders with a strut which is formed as a ladder and can be secured in line with the ladd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4Means for mounting ladders on uneven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요철이 있는 지면에서도 그 수평도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사다리의 수평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는, 상단의 힌지구조에 의해 A자형으로 벌림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서 부분적으로 그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다리의 전체적인 수평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수평도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주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주 프레임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된 복수의 발판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도 조절유닛은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이동하여 그 위치가 조절가능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내면에 고정된 치형부재와, 상기 치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치합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 측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어 잠금부재 및 치형부재의 잠금 및 해제를 조절하는 잠금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HORIZONTAL LEVEL ADJUSTABLE LADDER}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요철이 있는 지면에서도 그 수평도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사다리의 수평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사다리(ladder)는 높은 곳에 오르내리는데 사용하거나 작업자의 키가 닿지 않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용도나 작업높이 등에 따라 그 사이즈 및 구조 등을 달리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사다리의 기본 구조는 양쪽으로 이격된 지주 프레임들 사이에 복수의 발판이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고, 복수의 발판은 지주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최근에는 작업 위치로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알루미늄 등과 같이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 사다리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사다리의 지지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힌지구조에 의해 "A"자 형태로 벌려 사용하는 A자형 사다리(A type ladder)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종래의 사다리는 평탄한 바닥면에서는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그 수평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그 사용이 편리하지만, 요철이 큰 바닥면에서는 그 수평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작업자가 발판을 딛고 오르내리거나 작업할 경우 사다리가 넘어지거나 전도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에 조절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사다리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에 의해,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평도 조절 사다리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수평도 조절 사다리는 그 수평도의 조절을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기존의 사다리에는 적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그 제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평도 조절 사다리는 그 구조적 복잡성으로 인해 실제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그 수평도를 조절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이루어져 전체적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KR 10-2009-0124442 A(2009.12.03)
본 발명은 종래의 여러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수평도 조절구조가 매우 단순화되어 수평도 조절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사다리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비용 내지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는,
상단의 힌지구조에 의해 A자형으로 벌림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서 부분적으로 그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다리의 전체적인 수평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수평도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주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주 프레임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된 복수의 발판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도 조절유닛은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이동하여 그 위치가 조절가능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내면에 고정된 치형부재와, 상기 치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치합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 측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이동시켜 잠금부재 및 치형부재의 잠금 및 해제를 조절하는 잠금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치형부재에는 복수의 제1치형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치형부재의 제1치형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치형을 가지며, 상기 잠금 조절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연동에 의해 상기 치형부재의 제1치형들과 잠금부재의 제2치형들이 분리가능하게 치합됨에 따라 상기 치형부재와 잠금부재는 잠금 및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내면에는 한 쌍의 치형부재가 양쪽으로 이격되어 대칭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치형부재들 사이의 이격틈새에 대응하여 슬라이딩부재의 내면에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 조절부재는 일측에 가압곡면부가 돌출되게 마련된 불규칙한 곡면의 캠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 조절부재에는 편심 힌지공이 형성되며, 이 편심 힌지공을 통해 상기 잠금 조절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잠금 조절부재에는 레버가 연장되며, 상기 잠금부재의 중앙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에는 상기 가동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잠금부재의 이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는 한 쌍의 치형부재들 사이의 이격틈새를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부재는 힌지공을 가진 힌지부와, 이 힌지부에서 지주 프레임 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중심부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힌지공에는 상기 잠금 조절부재의 편심 힌지공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공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롯을 통과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단부는 지주 프레임을 관통하여 돌출하고, 이 연장부의 돌출된 단부에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 내면 일측에는 보강부재가 고정되고, 이 보강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가동부재의 연장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삽입공에 대응하는 지주 프레임의 일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 보다 좁게 형성된 제2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 프레임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는 상기 지주 프레임의 삽입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는 지주 프레임의 삽입공을 통과하여 지주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제2연장부의 돌출된 단부에는 스토퍼가 고정되어 상기 제2연장부의 이동은 소정의 이동간격의 범위에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 외면에는 보강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보강프레임는 상기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양단부에는 지지턱이 지주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도 조절유닛의 잠금 조절부재를 단순 회전시킴으로써 잠금부재와 치형부재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매우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단순화 구조로 인해 제조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사다리에서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에 삽입공 및 보강부재를 설치하기만 하면 수평도 조절유닛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사다리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이에 그 제조비용 내지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의 수평도 조절유닛을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수평도 조절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슬라이딩부재의 해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잠금 조절부재가 잠금방향으로 회동한 슬라이딩부재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는 상단의 힌지구조(15)에 의해 A자형으로 벌림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본체부(11)와, 각 본체부(11)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신축부(13)를 구비한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본체부(11)는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주 프레임(11a, 11b), 한 쌍의 지주 프레임(11a, 11b)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된 복수의 발판(11c)을 포함한다.
각 지주 프레임(11a, 11b)은 그 내부에 중공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지주 프레임(11a, 11b)의 단면은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발판(11c)은 지주 프레임(11a, 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각 신축부(13)는 각 지주 프레임(11a, 11b)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지주 프레임(11a, 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신축 프레임(13a, 13b), 한 쌍의 신축 프레임(13a, 13b)에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된 복수의 보조 발판(13c)을 가진다.
신축부(13)와 본체부(11)가 서로 인접한 일측에는 록킹유닛(14)이 설치되고, 이 록킹유닛(14)은 지주 프레임(11a, 11b)의 중공부 내에서 신축 프레임(13a, 13b)을 상하 이동시켜 전체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킨 상태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신축부(13)의 신축 프레임(13a, 13b)을 각 본체부(11)의 지주 프레임(11a, 11b)의 중공부 내에서 하향으로 이동시키면 사다리의 전체 길이는 수축된 상태가 되고, 이런 상태에서 힌지구조(15)를 통해 한 쌍의 본체부(11)를 "A"자형으로 벌려 각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킨 후에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각 신축부(13)의 신축 프레임(13a, 13b)을 각 본체부(11)의 지주 프레임(11a, 11b)의 중공부 내에서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사다리의 전체 길이는 신장된 상태가 되고, 이런 상태에서 힌지구조(15)를 통해 한 쌍의 본체부(11)를 "A"자형으로 벌려 각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킨 후에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부(11)의 하단을 불규칙한 요철을 가진 바닥면에 지지할 경우, 본체부(11)의 하단부에서 부분적으로 그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다리의 전체적인 수평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수평도 조절유닛(20)을 포함한다.
수평도 조절유닛(20)은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에서 이동하여 그 위치가 조절가능한 슬라이딩부재(21), 슬라이딩부재(21)의 내면에 고정된 치형부재(22), 이 치형부재(22)에 분리가능하게 치합되는 잠금부재(23), 슬라이딩부재(2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24), 이 가동부재(24) 측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어 잠금부재(23)와 치형부재(22)의 잠금 및 해제를 조절하는 잠금 조절부재(25)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재(21)는 각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에서 각 지주 프레임(11a, 11b)의 중공부 내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부재(21)의 단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21d)가 마련되고, 이 미끄럼방지부재(21d)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치형부재(22)는 그 일면에 복수의 제1치형(22a)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치형부재(22)는 슬라이딩부재(21)의 내면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치형부재(22)는 슬라이딩부재(21)의 내면에 스폿용접 또는 리벳팅 등을 통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치형부재(22)가 슬라이딩부재(21)의 내면에서 양쪽으로 이격되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이렇게 이격된 한 쌍의 치형부재(22)들 사이의 이격틈새에 대응하여 슬라이딩부재(21)의 내면에는 슬롯(21a)이 형성된다. 슬롯(21a)의 길이(L1)는 치형부재(22)의 길이(L2) 보다 작게 형성된다.
잠금부재(23)는 치형부재(22)의 제1치형(22a)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치형(23a)을 가진다. 이에 잠금 조절부재(25) 및 가동부재(24)의 연동에 의해 잠금부재(23)의 제2치형(23a)들이 치형부재(22)의 제1치형(22a)들에 치합될 경우 지주 프레임(11a, 11b)의 중공부 내에서 이동한 슬라이딩부재(21)는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 일측에서 고정(록킹)된다. 한편, 잠금부재(23)의 길이(L3)는 치형부재(22)의 길이(L2) 보다 작게 형성되고, 슬롯(21a)의 길이(L1)는 잠금부재(23)의 길이(L3) 보다 길게 형성된다.
잠금부재(23)의 중앙부에는 삽입공(23b)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3b)에는 지주 프레임(11a, 11b) 및 슬라이딩부재(2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가동부재(24)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잠금부재(23)의 이면에는 가이드돌기(35)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35)는 한 쌍의 치형부재(22)들 사이의 이격틈새 및/또는 슬라이딩부재(21)의 슬롯(21a)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특히, 잠금부재(23)의 이면에서 가이드돌기(35)는 잠금부재(23)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고, 이에 잠금부재(23)는 한 쌍의 치형부재(22)들 사이에 대칭적으로 치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잠금부재(23) 및 한 쌍의 치형부재(22)들은 대칭적인 치합을 용이하게 구현함으로써 잠금부재(23)와 치형부재(22)의 잠금 시에 그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가동부재(24)는 힌지공(26a)을 가진 힌지부(26)와, 이 힌지부(26)에서 지주 프레임(11a, 11b) 측으로 연장된 연장부(27)를 포함한다.
힌지부(26)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이 원형의 중심부에 힌지공(26a)이 형성된다.
연장부(27)는 힌지부(26) 보다 좁게 형성되어 잠금부재(23)의 삽입공(23b) 및 슬라이딩부재(21)의 슬롯(21a)을 통과하여 슬라이딩부재(2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가동부재(24)의 연장부(27)는 슬롯(21a) 내에 삽입되어 잠금부재(23)의 가이드돌기(35)가 치형부재(22)들 사이의 이격틈새를 따라 이동할 때 그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연장부(27)가 슬롯(21a)의 양단부에 걸려짐에 따라 슬라이딩부재(21) 및 잠금부재(23)의 길이방향 이동이 슬롯(21a)의 길이(L1)의 범위 내로 규제된다.
연장부(27)는 잠금부재(23)의 삽입공(23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연장부(27a)와, 제1연장부(27a) 보다 좁게 형성된 제2연장부(27b)로 이루어진다.
한편, 지주 프레임(11a, 11b)에는 삽입공(11d)이 형성되고, 제2연장부(27b)의 단부는 지주 프레임(11a, 11b)의 삽입공(11d)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제2연장부(27b)의 단부는 지주 프레임(11a, 11b)의 삽입공(11d)을 통과하여 지주 프레임(11a, 11b)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연장부(27)의 단부 특히, 제2연장부(27b)의 돌출된 단부에는 멈춤링 등과 같은 스토퍼(27c)가 고정되어 제2연장부(27b)의 이동은 소정의 이동간격(도 5의 t1 참조)의 범위에서 규제된다.
잠금 조절부재(25)는 가압곡면부(25b)가 돌출되게 마련된 불규칙한 곡면의 캠 구조로 구성된다. 잠금 조절부재(25)의 가압곡면부(25b)를 가진 캠 구조에는 레버(25c)가 일측으로 연장되고, 이 레버(25c)의 단부에는 절곡부(25d)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 조절부재(25)에는 편심 힌지공(25a)이 형성되고, 잠금 조절부재(25)의 편심 힌지공(25a)은 힌지핀(28)을 통해 힌지부(26)의 힌지공(26a)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잠금 조절부재(25)가 힌지부(26)의 힌지공(26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잠금 조절부재(25)의 가압곡면부(25b)는 힌지부(26)의 힌지공(25a)에 대해 편심되게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조절부재(25)는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잠금 조절부재(25)들 사이에는 이격틈새가 형성되며, 한 쌍의 잠금 조절부재(25)들 사이의 이격틈새에는 가동부재(24)의 힌지부(26)가 삽입되고, 힌지부(26)의 힌지공(26a)과 잠금 조절부재(25)의 힌지공(25a)에 힌지핀(28)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조절부재(25)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동부재(25)는 슬라이딩부재(2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잠금 조절부재(25)의 회전과 가동부재(25)의 직선방향 이동에 의해 잠금부재(23)와 치형부재(22)의 잠금 및 해제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 조절부재(25)가 가동부재(24)의 힌지부(26)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구조에 의해, 잠금 조절부재(25)는 가동부재(24)의 힌지부(26)에 대해 잠금 회전방향(도 5의 화살표 L 참조) 및 해제 회전방향(도 6의 화살표 U 참조)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잠금 조절부재(25)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동부재(24)는 슬라이딩부재(2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직선방향으로 잠금 직선방향(도 5의 화살표 L1 참조) 및 해제 직선방향(도 6의 화살표 U1 참조)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의 해제 위치(잠금부재(23) 및 치형부재(22)의 해제 상태)에서 잠금 조절부재(25)가 잠금 회전방향(도 5의 화살표 L 참조)으로 회전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조절부재(25)의 가압곡면부(25b)가 잠금부재(23)의 상면(23d)을 가압하고, 이에 연동하여 가동부재(24)는 잠금부재(23)를 향해 잠금 직선방향(도 5의 화살표 L1 방향 참조)으로 직선이동함으로써 가동부재(24)의 연장부(27)의 스토퍼(28)는 지주 프레임(11a, 11b)의 이면을 가압한다. 즉, 잠금 조절부재(25)의 가압곡면부(25b)가 잠금부재(23)의 일면(23d)을 가압함과 동시에 그 반대편에서 가동부재(24)의 스토퍼(27d)가 지주 프레임(11a, 11b)의 이면을 가압함으로써 잠금부재(23)의 제2치형(23a)들과 치형부재(22)의 제1치형(22a)들의 치합 상태(즉, 잠금부재(23)와 치형부재(22)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고, 이에 슬라이딩부재(21)의 이동된 위치는 지주 프레임(11a, 11b)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다.
반대로, 도 6의 잠금 위치에서(잠금부재(23) 및 치형부재(22)의 잠금 상태)에서 잠금 조절부재(25)가 해제 회전방향(도 6의 화살표 U 참조)으로 회전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조절부재(25)의 가압곡면부(25b)가 잠금부재(23)의 일면(23d)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여 잠금 조절부재(25)는 잠금부재(23)의 일면(23d)에서 소정의 이동간격(t2) 만큼 이격된다. 이 때, 잠금부재(23)는 잠금부재(23)의 일면(23d)과 잠금 조절부재(25) 사이에서 소정의 이동간격(도 5의 t2 참조)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잠금 조절부재(25)가 해제 회전방향으로 회전함에 연동하여 가동부재(24)는 지주 프레임(11a, 11b)의 외측을 향해 해제방향(도 6의 화살표 U1 참조)으로 직선이동함으로써 가동부재(24)의 연장부(27)의 스토퍼(28)는 지주 프레임(11a, 11b)의 이면에서 소정간격(t1)만큼 이격된다. 즉, 잠금 조절부재(25)는 잠금부재(23)의 일면(23d)에서 소정의 이동간격(t2) 만큼 이격됨과 동시에 그 반대편에서 가동부재(24)의 스토퍼(27d)가 지주 프레임(11a, 11b)의 이면에서 이격됨으로써 잠금부재(23)의 제2치형(23a)들과 치형부재(22)의 제1치형(22a)들 사이의 치합이 해제(즉, 잠금부재(23)와 치형부재(22)의 해제 상태)된다. 이러한 도 5의 해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21)는 지주 프레임(11a, 11b)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에 대해 그 위치가 조절되면, 다시 잠금 조절부재(25)를 도 5의 화살표 L방향(즉, 잠금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술한 잠금부재(23)와 치형부재(22)의 잠금 상태(도 6의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이에 슬라이딩부재(21)의 조절된 위치는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 일측위치에 고정(록킹)될 수 있다.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 내면 일측에는 보강부재(31)가 고정되고, 이 보강부재(31)의 중심부에는 삽입공(31a)이 형성되며, 보강부재(31)의 삽입공(31a)에 대응하는 지주 프레임(11a, 11b)의 일측에는 삽입공(11c)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부재(31)의 삽입공(31a) 및 지주 프레임(11a, 11b)의 삽입공(11c)에는 제2연장부(27b)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특히, 보강부재(31)는 지주 프레임(11a, 11b)과 슬라이딩부재(21) 사이에 개재된 구조로 배치되고, 잠금 조절부재(25) 및 힌지부재(26)의 가압작동에 의해 잠금부재(23)가 치형부재(22) 측에 고정될 경우 보강부재(31)는 지주 프레임(21)에 대해 슬라이딩부재(21)를 지지하여 슬라이딩부재(21)의 휨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부재(21)와 지주 프레임(11a, 11b)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 외면에는 보강프레임(33)이 결합되고, 보강프레임(33)는 "ㄷ"자형 지주 프레임(11a, 11b)을 감싸도록 "ㄷ"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33)의 양단부에는 지지턱(33a)이 지주 프레임(11a, 11b)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이 지지턱(33a)은 슬라이딩부재(21)의 양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1)가 잠금부재(23), 가동부재(24) 및 잠금 조절부재(25)에 의해 지주 프레임(11a, 11b) 측에 록킹되었을 때 슬라이딩부재(21)가 길이방향으로 요동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프레임(33)은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 외면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주 프레임(11a, 11b)의 외면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프레임(33)은 슬라이딩부재(21)의 길이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보강프레임(33)은 슬라이딩부재(21)에 의해 본체부(11)의 전체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확실하게 보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도 조절유닛(20)의 잠금 조절부재(25)를 단순 회전시킴으로써 잠금부재(23)와 치형부재(22)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매우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단순화 구조로 인해 제조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사다리에서 지주 프레임(11a, 11b)의 하단부에 삽입공(11d) 및 보강부재(31)를 설치하기만 하면 수평도 조절유닛(2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사다리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이에 그 제조비용 내지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1: 본체부 13: 신축부
14: 록킹유닛 15: 힌지구조
20: 수평도 조절유닛 21: 슬라이딩부재
22: 치형부재 23: 잠금부재
24: 가동부재 25: 잠금 조절부재
26: 힌지부 27: 연장부

Claims (7)

  1. 상단의 힌지구조에 의해 A자형으로 벌림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서 부분적으로 그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다리의 전체적인 수평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수평도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주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주 프레임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된 복수의 발판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도 조절유닛은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이동하여 그 위치가 조절가능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내면에 고정된 치형부재와, 상기 치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치합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 측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이동시켜 잠금부재 및 치형부재의 잠금 및 해제를 조절하는 잠금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치형부재에는 복수의 제1치형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치형부재의 제1치형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치형을 가지며, 상기 잠금 조절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연동에 의해 상기 치형부재의 제1치형들과 잠금부재의 제2치형들이 분리가능하게 치합됨에 따라 상기 치형부재와 잠금부재는 잠금 및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내면에는 한 쌍의 치형부재가 양쪽으로 이격되어 대칭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치형부재들 사이의 이격틈새에 대응하여 슬라이딩부재의 내면에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 조절부재는 일측에 가압곡면부가 돌출되게 마련된 불규칙한 곡면의 캠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 조절부재에는 편심 힌지공이 형성되며, 이 편심 힌지공을 통해 상기 잠금 조절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잠금 조절부재에는 레버가 연장되며, 상기 잠금부재의 중앙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에는 상기 가동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잠금부재의 이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는 한 쌍의 치형부재들 사이의 이격틈새를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힌지공을 가진 힌지부와, 이 힌지부에서 지주 프레임 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중심부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힌지공에는 상기 잠금 조절부재의 편심 힌지공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공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롯을 통과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단부는 지주 프레임을 관통하여 돌출하고, 이 연장부의 돌출된 단부에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 내면 일측에는 보강부재가 고정되고, 이 보강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가동부재의 연장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삽입공에 대응하는 지주 프레임의 일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 보다 좁게 형성된 제2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 프레임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는 상기 지주 프레임의 삽입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는 지주 프레임의 삽입공을 통과하여 지주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제2연장부의 돌출된 단부에는 스토퍼가 고정되어 상기 제2연장부의 이동은 소정의 이동간격의 범위에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 외면에는 보강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보강프레임는 상기 지주 프레임의 하단부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양단부에는 지지턱이 지주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KR1020130009025A 2013-01-28 2013-01-28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KR10143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25A KR101437266B1 (ko) 2013-01-28 2013-01-28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25A KR101437266B1 (ko) 2013-01-28 2013-01-28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91A KR20140096491A (ko) 2014-08-06
KR101437266B1 true KR101437266B1 (ko) 2014-09-02

Family

ID=5174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025A KR101437266B1 (ko) 2013-01-28 2013-01-28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2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431U (ko) 2015-01-02 2016-07-12 임형택 수평설치가 가능한 사다리
KR20190065769A (ko) 2017-12-04 2019-06-12 최정묵 자동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366Y1 (ko) * 2022-01-27 2023-01-11 조상현 필로티 건물 비상 대피용 접이식 사다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767A (ja) * 1994-12-05 1996-06-18 Pika Corp:Kk 伸縮部材のロック装置
JPH1122351A (ja) * 1997-06-30 1999-01-26 Shinwa Kk 伸縮梯子の位置決め装置
KR200390434Y1 (ko) 2005-04-13 2005-07-22 주식회사 두남경금속 높낮이 조절부가 구비된 휴대용 사다리
KR20090053455A (ko) * 2007-11-23 2009-05-27 장영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767A (ja) * 1994-12-05 1996-06-18 Pika Corp:Kk 伸縮部材のロック装置
JPH1122351A (ja) * 1997-06-30 1999-01-26 Shinwa Kk 伸縮梯子の位置決め装置
KR200390434Y1 (ko) 2005-04-13 2005-07-22 주식회사 두남경금속 높낮이 조절부가 구비된 휴대용 사다리
KR20090053455A (ko) * 2007-11-23 2009-05-27 장영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431U (ko) 2015-01-02 2016-07-12 임형택 수평설치가 가능한 사다리
KR20190065769A (ko) 2017-12-04 2019-06-12 최정묵 자동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91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2019B1 (en) Adjustable ladders, ladder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KR100714992B1 (ko) 절첩식 작업대
KR101437266B1 (ko) 수평도 조절형 사다리
US7686134B1 (en) Ladder support and bracing apparatus
KR200479669Y1 (ko) 사다리의 전도 방지 장치
KR20190087775A (ko) 접힘 가능한 이동식 작업 사다리
KR20180111720A (ko)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US20100326770A1 (en) Accessory mounting
KR200479292Y1 (ko) 스탠딩 테이블
KR200478652Y1 (ko) 스탠딩 테이블
KR20090088155A (ko) 작업대
KR101769363B1 (ko) 사다리
CA2643539A1 (en) Extendable scaffold bracket
JP2013199824A (ja) 梯子固定装置
KR20140055744A (ko) 각도 조절 가능한 계단형 사다리 잠금장치
KR200429498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KR200481652Y1 (ko) 수평설치가 가능한 사다리
JP2008266918A (ja) 脚立
EP3224444A1 (en) Ladder supporting arrangement
KR200486641Y1 (ko) 사다리용 안전발판
KR100736331B1 (ko) 에이형 사다리
JP6634238B2 (ja) アウトリガー式脚装置
KR20210015011A (ko) 사다리
JP2019078110A (ja) 踏桟幅拡張器具
KR20200036123A (ko) 안전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