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543B1 - 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543B1
KR101186543B1 KR1020110000690A KR20110000690A KR101186543B1 KR 101186543 B1 KR101186543 B1 KR 101186543B1 KR 1020110000690 A KR1020110000690 A KR 1020110000690A KR 20110000690 A KR20110000690 A KR 20110000690A KR 101186543 B1 KR101186543 B1 KR 101186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ckaging container
mounting member
injection
clos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422A (ko
Inventor
박상용
Original Assignee
원정제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정제관(주) filed Critical 원정제관(주)
Priority to KR102011000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5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포장용 용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포장용 용기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주입부와, 주입부에 구비되는 구속부 및 구속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용기{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은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부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내용물을 저장하는 포장용 용기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한다.
용기본체의 상측에는 주입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주입부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마개에 의해 개폐된다.
유체내용물의 배출시에는, 마개를 조작하여 주입부를 개방시킨 후, 주입부를 통해 유체내용물을 외측으로 배출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용기는 마개를 여러 번 돌려서 주입부를 개폐하므로 주입부의 개폐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주입부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포장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주입부와, 주입부에 구비되는 구속부 및 구속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부를 포함한다.
또한 캡부는, 주입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재 및 밀폐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부재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재는 밀폐위치에서 구속부에 구속되고 개방위치로 이동시 구속부에서 이탈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부재는 구속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부재는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부재는, 밀폐위치에서 장착부재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재에는 개폐부재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입부의 일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커링부가 형성되며, 장착부재에는 밀폐위치에서 커링부에 구속되는 간섭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부재의 내측에 형성되어 압력을 분산하는 압력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는, 개폐부재의 상하 동작만으로 주입부를 커버하는 캡부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부가 구속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므로 재밀봉시에도 높은 밀봉력을 유지할 수 있고, 캡부를 자주 개폐하더라도 캡부의 밀봉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용 용기에 담긴 물체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가 구속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에서 캡부와 주입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에서 캡부와 주입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의 하부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액체용액을 저장하는 포장용 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가 구속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에서 캡부와 주입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에서 캡부와 주입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의 하부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1)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22)를 구비하는 주입부(20)와, 주입부(20)에 구비되는 구속부(26) 및 구속부(26)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개구부(22)를 개폐하는 캡부(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10)에는 액체용액이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기체를 포함한 다른 종류의 유체가 저장될 수 있다.
주입부(20)는 용기본체(10)의 상측(이하 도 1기준)에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주입부(20)의 내측에는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개구부(22)가 형성된다.
주입부(20)의 일단은 개구부(22)를 향한 내측으로 절곡되어 커링부(24)를 형성하며, 커링부(24)의 하측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주입부(20)의 측면에는 걸림부재(54)가 삽입되는 구속부(26)가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러한 구속부(26)는 주입부(20)의 내측인 개구부(22)를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구속부(26)는 장착부재(50)의 걸림부재(54)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홈부가 형성된다.
구속부(26)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개구부(22)를 개폐하는 캡부(30)는, 주입부(20)에 장착되는 장착부재(50) 및 밀폐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부재(50)에 설치되는 개폐부재(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위치는, 장착부재(50)와 나란히 설치되는 개폐부재(40)의 위치를 밀폐위치로 한다.
개폐부재(40)는, 밀폐위치에서 장착부재(5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4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4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밀폐위치에 위치하면, 지지부(46)가 내측몸체(53)를 지지하므로, 걸림부재(54)가 구속부(26)에 삽입되어 캡부(30)가 주입부(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위치는, 장착부재(50)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부재(40)의 위치를 개방위치로 한다.
개폐부재(4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개방위치에 위치하면, 개폐부재(40)의 지지부(46)도 걸림부재(54)의 상부로 이동되어 장착부재(50)의 스토퍼부(55)에 걸리므로 개폐부재(40)의 상측 이동이 구속되며, 걸림부재(54)는 구속부(26)에서 이탈될 수 있다.
개폐부재(40)는, 장착부재(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몸체(42)와, 외측몸체(42)에서 장착부재(5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46)를 포함한다.
지지부(46)는, 밀폐위치에서 장착부재(5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장착부재(50)의 걸림부재(54)가 주입부(20)의 구속부(26)로 삽입된다.
외측몸체(42)의 상측에는 외측몸체(42)의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는 테두리부재(44)가 구비되며, 이러한 외측몸체(42)와 테두리부재(44)의 단면 형상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테두리부재(44)의 일측이 개폐부재(4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부(48)를 형성하므로,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외측몸체(42)의 상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테두리부재(44)의 내측은, 밀폐위치에서 장착부재(50)의 상측에 구비된 스토퍼부(55)의 상측에 걸려서 지지되므로, 개폐부재(40)의 상측 흔들림을 방지한다.
외측몸체(42)의 하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지지부(46)는, 밀폐위치에서 장착부재(50)의 하측에 접하므로, 개폐부재(40)의 하측 흔들림을 방지한다.
밀폐위치에서 지지부(46)는, 장착부재(50)의 하측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므로, 장착부재(50)의 걸림부재(54)가 주입부(20)의 구속부(26)로 삽입되어, 장착부재(50)를 주입부(20)에 고정시킨다.
개폐부재(40)의 내측에 설치되는 장착부재(50)는, 개구부(22)의 상측에 위치하는 중앙부(51)와, 중앙부(51)의 외측을 둘러싸며 하측으로 절곡된 홈부를 형성하는 절곡부(52) 및 절곡부(52)와 연결되며 외측몸체(42)와 대향하며 설치되는 내측몸체(53)를 포함한다.
내측몸체(53)의 내측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걸림부재(54)가 주입부(20)의 구속부(26)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재(54)는, 개폐부재(40)가 밀폐위치로 이동시에는 구속부(26)에 구속되며, 개폐부재(40)가 개방위치로 이동시에는 구속부(26)에서 이탈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걸림부재(54)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밀폐위치에서 지지부(46)는 걸림부재(54)를 구비하는 내측몸체(53)를 지지하므로, 용기본체(10)의 내압으로 구속부(26)를 포함한 주입부(20)가 외측으로 밀리는 것과, 구속부(26)에서 걸림부재(54)의 이탈을 방지한다.
개방위치에서 걸림부재(54)를 구비하는 내측몸체(53)는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내측몸체(53)는 힘이 가해질 경우에 휘어지는 연성 재질로 성형된다.
내측몸체(53)의 상측에서 개폐부재(40)의 외측몸체(42)를 향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스토퍼부(55)를 형성한다.
스토퍼부(55)는 개폐부재(40)의 상측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위치에 변형 설치될 수 있다.
절곡부(52)에서 커링부(24)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간섭부(56)는 밀폐위치에서 커링부(24)에 구속된다.
즉, 돌기 형상의 간섭부(56)가, 개구부(22)를 향한 내측으로 절곡된 커링부(24)의 하단에 걸리므로, 장착부재(50)가 주입부(20)에서 쉽게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장착부재(50)의 내측에는, 용기본체(10)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분산하는 압력분산부(57)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분산부(57)는 중앙부(51)의 하부면에 복수의 압력홈(58)을 구비한다. 압력홈(58)의 형상으로 장착부재(50)의 내부 표면적이 증가하여 압력 분산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30)가 주입부(20)를 밀봉한 상태에서, 개폐부재(40)의 지지부(46)는 걸림부재(54)를 구속부(26) 방향으로 가압하여, 주입부(20)에서 장착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한다.
장착부재(50)의 간섭부(56)는 커링부(24)의 일단에 걸리므로, 장착부재(50)를 포함한 캡부(30)가 주입부(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48)를 잡고 개폐부재(4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므로, 개폐부재(4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개방위치에 위치한다.
개폐부재(40)의 이동으로 내측몸체(53)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46)도 상측으로 이동된다.
내측몸체(53)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지지부(46)는 스토퍼부(55)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므로, 개폐부재(40)는 개방위치에 정지된다.
내측몸체(53)의 이동을 구속하는 지지부(46)가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내측몸체(53)와 걸림부재(54)는 구속부(26)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걸림부재(54)가 구속부(26)에서 이탈되므로, 캡부(30)를 주입부(20)에 고정시키는 체결력이 해제된다.
손잡이부(48)나 테두리부재(44)를 잡고 상측으로 계속 들어올리면, 걸림부재(54)를 포함한 내측몸체(53)가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걸림부재(54)와 구속부(26)는 분리되므로, 캡부(30)는 주입부(20)에서 분리된다.
캡부(30)의 재밀봉시에는, 개폐부재(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재(54)와 연결된 내측몸체(53)가 외측으로 휘어졌다가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걸림부재(54)는 구속부(26)에 걸려 고정된다.
걸림부재(54)가 구속부(26)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캡부(30)가 주입부(20)를 재밀봉시키는 체결력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1)는, 개폐부재(40)의 상하 동작만으로 주입부(20)를 커버하는 캡부(30)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캡부(30)가 구속부(26)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므로 재밀봉시에도 높은 밀봉력을 유지할 수 있고, 캡부(30)를 자주 개폐하더라도 캡부(30)의 밀봉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포장용 용기(1)에 담긴 물체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액체용액을 저장하는 포장용 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종류의 유체 저장에도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포장용 용기 10: 용기본체
20: 주입부 22: 개구부
24: 커링부 26: 구속부
30: 캡부 40: 개폐부재
42: 외측몸체 44: 테두리부재
46: 지지부 48: 손잡이부
50: 장착부재 51: 중앙부
52: 절곡부 53: 내측몸체
54: 걸림부재 55: 스토퍼부
56: 간섭부 57: 압력분산부
58: 압력홈

Claims (9)

  1.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에 구비되는 구속부; 및
    상기 구속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는, 상기 주입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재; 및
    밀폐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장착부재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의 내측에 형성되어 압력을 분산하는 압력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밀폐위치에서 상기 구속부에 구속되고 개방위치로 이동시 상기 구속부에서 이탈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구속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밀폐위치에서 상기 장착부재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7.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8.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의 일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커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에는 밀폐위치에서 상기 커링부에 구속되는 간섭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9. 삭제
KR1020110000690A 2011-01-04 2011-01-04 포장용 용기 KR101186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690A KR101186543B1 (ko) 2011-01-04 2011-01-04 포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690A KR101186543B1 (ko) 2011-01-04 2011-01-04 포장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422A KR20120079422A (ko) 2012-07-12
KR101186543B1 true KR101186543B1 (ko) 2012-10-08

Family

ID=4671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690A KR101186543B1 (ko) 2011-01-04 2011-01-04 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5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757B1 (ko) * 2015-04-21 2016-01-11 인성산업 주식회사 드럼통용 보호링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통
KR101943072B1 (ko) * 2017-04-20 2019-01-29 최규석 밀폐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187A (ja) * 2002-08-07 2004-03-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打栓キャップ
JP2006282178A (ja) * 2005-03-31 2006-10-19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8503406A (ja) * 2004-06-23 2008-02-07 デュボアス・リミテッド 包装用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187A (ja) * 2002-08-07 2004-03-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打栓キャップ
JP2008503406A (ja) * 2004-06-23 2008-02-07 デュボアス・リミテッド 包装用品
JP2006282178A (ja) * 2005-03-31 2006-10-19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422A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165B2 (en) Two-piece child-resistant dispensing closure
US6390315B1 (en) Retrofittable cap
KR101147005B1 (ko) 버튼식 용기마개
KR102191471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ATE539007T1 (de) Verschluss und behälter damit
JP2016519633A5 (ko)
JP5551646B2 (ja) 詰め替え容器
KR101186543B1 (ko) 포장용 용기
JP6670340B2 (ja) 密閉容器
CN110352166A (zh) 盖的密封结构
US10150597B2 (en) Cap for a container and a package comprising such a cap
KR20100005468U (ko)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구조
KR101415854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161650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KR101355042B1 (ko) 용기뚜껑 오프너
KR20160094670A (ko) 크림 내장형 화장품 용기
KR20150045110A (ko) 탄성이 부여된 잠금장치
KR200479030Y1 (ko) 원터치형 물통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JP3198644U (ja) 包装用容器
KR20090078706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KR101803180B1 (ko)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가스배출장치
KR101383581B1 (ko) 속마개
KR101122273B1 (ko)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KR101071784B1 (ko) 배출관이 구비된 공기주입식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