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198B1 -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 Google Patents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198B1
KR101186198B1 KR1020070081378A KR20070081378A KR101186198B1 KR 101186198 B1 KR101186198 B1 KR 101186198B1 KR 1020070081378 A KR1020070081378 A KR 1020070081378A KR 20070081378 A KR20070081378 A KR 20070081378A KR 101186198 B1 KR101186198 B1 KR 10118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hole
air supply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991A (ko
Inventor
백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08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1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8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F27B3/085Ar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2Arrangements of air or gas suppl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1/00Arrangement of elements for electric heating in or on furnaces
    • F27D11/08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e.g. arc discharge
    • F27D11/10Disposition of 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로의 센터 피스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하여 비산되어 전극봉 홀더를 손상 시키는 비산물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는 중심에는 전극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측벽의 내부에는 분기 집진 유로 및 에어 유로가 형성되는 커버 본체와; 상기 집진 유로에 연결되는 분기 집진관과; 상기 에어 유로에 연결되는 에어 공급관과; 상기 커버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과 집진 유로를 연통시키는 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 플레이트부와; 상기 커버 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과 에어 유로를 연통시키는 에어공급유로가 형성된 에어공급블럭과; 상기 에어공급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로, 전극봉, 전극봉 홀더, 센터 피스

Description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Apparatus for protecting electrode holder and electric furna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로의 센터 피스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하여 비산되어 전극봉 홀더를 손상 시키는 비산물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전기로는 상부가 개구된 로체와, 상기 로체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루프(Roof)와 상기 루프의 중심에 구비되어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센터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에는 로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비산물을 포집하여 배기시키는 집진관이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삽입홀에는 각각 전극봉이 삽입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전극봉은 홀더에 의해 취부되어 승하강 된다.
이러한 전기로를 이용한 고철용해작업은 루프를 개방하여 로체 내에 스크랩과 같은 고철을 일정량 장입한 다음, 루프를 닫고 다수개의 전극봉 홀더에 각각 취부되는 전극봉을 상기 센터 피스의 삽입홀을 통하여 로체 내부로 진입시키며, 상기 전극봉에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되는 전기 아크의 발열원으로서 고철을 용해시 킨다.
고철이 용해되는 과정에서 각종 비산물 및 불꽃이 발생되고, 발생되는 각종 비산물 및 불꽃은 대부분 집진관을 통하여 배기되지만, 일부가 상기 삽입홀을 마모시키게 되고, 더불어 로체 내의 고열 및 전극봉의 고열로 인하여 삽입홀이 마모된다. 삽입홀의 마모 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삽입홀의 직경이 점점 커지게 되면 용강의 비산물 및 불꽃이 삽입홀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어 전극봉을 취부하고 있는 전극봉 홀더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센터 피스의 삽입홀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용강의 비산물 및 불꽃으로부터 전극봉 및 전극봉 홀더를 보호하여 설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는 중심에는 전극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측벽의 내부에는 분기 집진 유로 및 에어 유로가 형성되는 커버 본체와; 상기 집진 유로에 연결되는 분기 집진관과; 상기 에어 유로에 연결되는 에어 공급관과; 상기 커버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과 집진 유로를 연통시키는 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 플레이트부와; 상기 커버 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과 에어 유로를 연통시키는 에어공급유로가 형성된 에어공급블럭과; 상기 에어공급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봉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버 본체의 측벽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를 구획면을 형성하여 내측의 집진 유로 및 외측의 에어 유로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 플레이트부는 개폐공을 개폐하는 플레이트 몸체와;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측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커버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폐공은 관통공 방향이 좁고, 집진유로 방향이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몸체는 상기 개폐공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 상기 집진유로 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경사 및 상기 스토퍼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부의 회동 반경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블럭은 상기 에어공급유로의 중간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에 상기 개폐봉부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폐봉부는 상기 가이드공의 일측으로 몸체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몸체의 외주면으로 상기 에어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봉과; 상기 개폐봉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봉의 슬라이드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나사와; 상기 가이드공의 내주연에 고정되어 상기 스톱나사가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실링링과; 상기 스톱나사의 둘레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실링링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봉에 접촉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블럭은 상기 개폐 플레이트부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는 상부가 개구된 로체와; 상기 로체의 상부를 개폐하고, 전기로 본체 내부의 비산물을 포집하는 주 집진관이 연결되는 루프와; 상기 루프의 중심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형성된 센터 피스와;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되는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을 취부하여 승하강시키는 전극봉 홀더와; 상기 삽입홀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와; 상기 각각의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의 분기 집진관과 연결되고, 상기 주 집진관과 연통시키는 보조 집진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삽입홀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의 관통공과 상기 삽입홀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터 피스의 삽입홀을 통하여 로체 외부로 분출되는 용강의 비산물 및 불꽃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전극봉 및 전극봉 홀더를 보호하고, 설비사고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 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는 상부가 개구된 로체(10)와; 상기 로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루프(20)와; 상기 루프(20)의 중심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31)이 형성된 센터 피스(30)와; 상기 삽입홀(31)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되는 전극봉(40)과; 상기 전극봉(40)을 취부하여 승하강시키는 전극봉 홀더(50)와; 상기 삽입홀(31) 각각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로체(10)는 고철을 용해하여 용강을 생성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고철 등을 장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는 고철 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그 하면에는 양전압이 인가되는 하부 전극(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루프(Roof)(20)는 상기 로체(10)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중심부에는 상기 센터 피스(30)가 장착되고, 센터 피스(30)가 장착되는 지점을 제외한 소정의 지점에는 로체(10) 내부의 비산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배기시키는 주 집진관(21)이 연결된다. 상기 주 집진관(21)에는 펌프(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로체(10) 내부의 비산물을 흡입시킨다.
상기 센터 피스(30)는 상기 루프(20)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극봉(40)이 상기 로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31)이 형 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홀(31)의 직경은 상기 전극봉(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홀(31)의 내주연으로는 상기 삽입홀(31)의 내경을 확대시키는 다수의 요홈(33)이 형성된다. 그래서, 비산물이 삽입홀(31)을 통하여 로체(10) 외부로 분출되더라도, 비산물이 삽입홀(31)을 통과하는 동안 요홈(33) 주위에서 저하되는 압력의 영향으로 분출 속도가 저하됨에 따라 비교적 비중이 큰 비산물은 하부로 낙하된다.
상기 전극봉(40)은 통상 흑연 전극봉을 사용하며, 로체(10) 내부에 인입되어 음전압이 인가된다. 물론 상기 전극봉(4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로에 사용되는 다양한 전극봉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봉 홀더(50)는 상기 전극봉(40)의 상단을 취부하는 수단으로서, 별도의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되는 아암(51)에 연결되어 아암(51)의 승강에 의해 일체로 승강된다. 상기 전극봉 홀더(50)는 전극봉(40)을 취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방식으로 구성되도 무방하다.
상기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100)는 상기 삽입홀(31)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홀(31)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비산물을 포집하는 수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100)는 커버 본체(110)와; 상기 커버 본체(110)와 연결되어 비산물을 배기시키는 분기 집진관(120)과; 상기 커 버 본체(110)에 연결되어 커버 본체(110)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130)과; 상기 커버 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 집진관(120)으로 배기되는 비산물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 플레이트부(150)와, 상기 커버 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되어 관통공(111)으로 분사되는 에어의 공급을 단속하는 에어공급블럭(160) 및 개폐봉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본체(110)는 중심에 전극봉(40)이 관통되는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측벽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를 내측의 집진 유로(115) 및 외측의 에어 유로(117)로 구획하는 구획면(113)이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에어 유로(117)에는 상기 에어 공급관(130)이 연결되고, 상기 집진 유로(115)에는 상기 분기 집진관(120)이 연결된다.
상기 관통공(11)의 직경은 상기 센터 피스(30)의 삽입홀(31)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관통공(111)과 삽입홀(31)이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본체(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집진 유로(115)와 관통공(111)을 연통시키는 개폐공(119)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공(119)은 상기 커버 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공(119)은 상기 개폐 플레이트부(15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개폐 플레이트부(150)는 개폐공(119)을 개폐하는 플레이트 몸체(151)와; 상기 플레이트 몸체(151)의 상측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연결부(15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53)는 상기 커버 본체(110)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핀(155)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부(153)가 상기 커버 본체(11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도록 하였다. 그래서 상기 연결부(153)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몸체(151)가 상기 개폐공(119)을 개폐한다.
상기 개폐공(119)은 관통공(111) 방향이 좁고, 집진 유로(115) 방향이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몸체(151)는 상기 개폐공(119)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플레이트 몸체(151)가 회동될 때 개폐공(119)의 경사 및 플레이트 몸체(151)의 경사에 의해 상기 개폐 플레이트부(150)의 일측 회동 반경을 제한한다. 물론 개폐 플레이트부(150)의 일측 회동 반경을 제한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 몸체(151)의 회동을 제한하는 멈춤턱과 같은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몸체(151)에는 상기 집진 유로(115) 방향으로 스토퍼(157)가 돌출 형성되어, 플레이트 몸체(151)의 회동시 상기 스토퍼(157)가 구획면(113)에 접촉됨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부(150)의 타측 회동 반경이 제한한다. 물론 개폐 플레이트부(150)의 타측 회동 반경을 제한하는 방식도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블럭(160) 및 개폐봉부(170)는 상기 에어 공급관(130)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관통공(111)으로 분사하는 수단으로 상기 전극봉(40)의 냉각과 함께 비산물이 관통공(111)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지 못하도록 에어커튼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공급블럭(160)은 상기 커버 본체(11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111)과 에어 유로(117)를 연통시키는 에어공급유로(161)가 형성된다. 그리 고, 상기 에어공급유로(161)의 중간부에 가이드공(163)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163)에 상기 개폐봉부(170)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유로(161)를 개폐한다.
상기 에어공급블럭(160)은 상기 개폐 플레이트부(150)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유는 로체(10) 내부의 비산물이 로체(10)의 외부로 비산되기 위하여 삽입홀(31) 및 관통공(111)을 통과할 때 개폐 플레이트부(150)가 설치된 개폐공(119)보다 높은 위치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에 따라 비산물이 최대한 개폐공(119)을 통하여 집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개폐봉부(170)는 상기 가이드공(163)에서 슬라이드 되는 개폐봉(171)과; 상기 개폐봉(171)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봉(171)의 슬라이드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나사(173)와; 상기 가이드공(163)의 내주연에 고정되어 상기 스톱나사(173)가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실링링(175)과; 상기 스톱나사(173)의 둘레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실링링(175)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봉(171)에 접촉되는 스프링(1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봉(171)은 일측이 상기 가이드공(163)의 하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플레이트 몸체(151)에 접촉됨에 따라 슬라이드 범위의 하단이 제한되고, 몸체의 외주면으로 상기 에어공급유로(161)를 개폐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봉(171)이 상하로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유로(161)가 개폐된다.
상기 커버 본체(110) 각각에 구비되는 여러 개의 분기 집진관(120)은 보조 집진관(60)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집진관(60)은 전술된 주 집진관(21)과 연통된 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의 자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용강의 생산을 위하여 로체(10)의 내부 공간에 고철을 장입한다. 그리고, 루프(20)로 로체(10)의 상부를 닫고, 센터 피스(30)에 형성된 삽입홀(31)을 통하여 전극봉(40)을 인입시킨다. 그런다음, 전극봉(40)에 음전압을 인가하고, 하부 전극에 양전압을 인가하여 고철을 용해시킨다. 여기서, 고철의 용해를 돕기 위하여 로체(10) 내부에 산소를 취입시킬 수 있다. 이때 고철 용해 및 산소 취입시 불꽃 및 용강의 비산물이 발생된다.
용강의 비산물은 밀폐되어 있는 로체(10) 내에서 외부로 분출되기 위하여 주 집진관(21) 및 센터 피스(30)의 삽입홀(31) 방향으로 비산된다. 그러면, 주 집진관(21)에 마련된 펌프를 작동시켜 주 집진관(21)을 향한 비산물을 주 집진관(21)으로 흡입한다.
또한, 센터 피스(30)의 삽입홀(31)을 향한 비산물은 삽입홀(31)을 통과하는 도중 삽입홀(31)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33)에 의해 그 주위의 압력이 낮아줘서 비산 속도가 줄어듦에 따라 비교적 비중이 큰 비산물은 로체(10)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비중이 비교적 작은 비산물은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100)에 의해 포집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집진관(21)에 연결된 펌프가 작동하여 흡입력이 발생되면, 주 집진관(21)과 연결된 보조 집진관(60) 및 분기 집진관(120)을 통하여 펌프의 흡입력이 전달되고, 이 흡인력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부(150)가 회동되어 개폐공(119)이 오픈된다. 이때 개폐 플레이트부(150)의 플레이트 몸체(151)는 연결부(153)의 핀(155)을 기준으로 집진 유로(115)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개폐공(119)이 오픈되고, 흡인력이 계속 유지됨 따라 삽입홀(31)을 통과한 다음 관통공(111)을 통과하는 비산물이 개폐공(119)으로 집진된다. 개폐공(119)을 통하여 집진되는 비산물은 집진 유로(115)를 통과한 다음 분기 집진관(120) 및 보조 집진관(60)을 통하여 주 집진관(21)으로 유도되어 로체(10)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 개폐 플레이트부(150)의 플레이트 몸체(151)가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 몸체(151)과 접촉되어 슬라이드가 단속되고 있던 개폐봉(171)은 플레이트 몸체(151)와 접촉이 해제되고, 스프링(177)의 텐션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때 상기 개폐봉(171)은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드 된 다음 스톱나사(173)가 실링링(175)에 접촉됨에 따라 슬라이드가 정지된다.
이에 따라, 에어공급블럭(160)에 형성된 에어공급유로(161)가 오픈되어 에어 공급관(130)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공급유로(161)를 통하여 관통공(111)으로 분사된다. 이렇게 분사되는 에어는 전극봉(40)에 접촉되어 전극봉(40)을 냉각시키는 동시에 그 주위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관통공(111)을 통과하는 비산물이 더 이 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관통공(111)을 통과하여 비산되는 비산물을 집진하여 전극봉(40) 및 전극봉 홀더(50)의 손상을 방지한다.
전기로에서의 작업이 완료되면 주 집진관(21)에 연결된 펌프의 작동을 멈춘다. 그러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플레이트부(150)에 제공되던 흡인력이 소멸되고, 개폐 플레이트부(150)는 플레이트 몸체(151)의 자중에 의해 개폐공(119)을 닫게 된다.
플레이트 몸체(151)가 개폐공(119)을 닫게 되면 플레이트 몸체(151)의 상단이 개폐봉(171)을 밀어 가이드공(163)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드 시키게 되고, 개폐봉(171)이 에어공급유로를 차단하게 되어 관통공(111)으로 공급되던 에어의 공급이 차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의 자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로체 20: 루프
21: 주 집진관 30: 센터 피스
31: 삽입홀 33: 요홈
40: 전극봉 50: 전극봉 홀더
51: 아암 60: 보조 집진관
100: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110: 커버 본체
111: 관통공 113: 구획면
115: 집진 유로 117: 에어 유로
119: 개폐공 120: 분기 집진관
130: 에어 공급관 150: 개폐 플레이트부
151: 플레이트 몸체 153: 연결부
155: 핀 157: 스토퍼
160: 에어공급블럭 161: 에어공급유로
163: 가이드공 170: 개폐봉부
171: 개폐봉 173: 스톱나사
175: 실링링 177: 스프링

Claims (10)

  1. 중심에는 전극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측벽의 내부에는 분기 집진 유로 및 에어 유로가 형성되는 커버 본체와;
    상기 집진 유로에 연결되는 분기 집진관과;
    상기 에어 유로에 연결되는 에어 공급관과;
    상기 커버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과 집진 유로를 연통시키는 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 플레이트부와;
    상기 커버 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과 에어 유로를 연통시키는 에어공급유로가 형성된 에어공급블럭과;
    상기 에어공급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봉부를 포함하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의 측벽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를 구획면을 형성하여 내측의 집진 유로 및 외측의 에어 유로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부는 개폐공을 개폐하는 플레이트 몸체와;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측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커버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공은 관통공 방향이 좁고, 집진유로 방향이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몸체는 상기 개폐공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 상기 집진유로 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경사 및 상기 스토퍼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부의 회동 반경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블럭은 상기 에어공급유로의 중간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에 상기 개폐봉부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부는
    상기 가이드공의 일측으로 몸체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몸체의 외주면으로 상기 에어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봉과;
    상기 개폐봉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봉의 슬라이드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나사와;
    상기 가이드공의 내주연에 고정되어 상기 스톱나사가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실링링과;
    상기 스톱나사의 둘레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실링링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봉에 접촉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블럭은 상기 개폐 플레이트부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8. 상부가 개구된 로체와;
    상기 로체의 상부를 개폐하고, 전기로 본체 내부의 비산물을 포집하는 주 집진관이 연결되는 루프와;
    상기 루프의 중심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형성된 센터 피스와;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되는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을 취부하여 승하강시키는 전극봉 홀더와;
    상기 삽입홀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와;
    상기 각각의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의 분기 집진관과 연결되고, 상기 주 집진 관과 연통시키는 보조 집진관을 포함하는 전기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의 관통공과 상기 삽입홀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KR1020070081378A 2007-08-13 2007-08-13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KR101186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378A KR101186198B1 (ko) 2007-08-13 2007-08-13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378A KR101186198B1 (ko) 2007-08-13 2007-08-13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91A KR20090016991A (ko) 2009-02-18
KR101186198B1 true KR101186198B1 (ko) 2012-10-08

Family

ID=4068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378A KR101186198B1 (ko) 2007-08-13 2007-08-13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15B1 (ko) * 2010-03-19 2011-04-01 주식회사 엠텍이엔지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KR101293060B1 (ko) 2011-03-30 2013-08-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용 지붕
KR101299096B1 (ko) * 2011-03-30 2013-08-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로용 지붕
KR101242947B1 (ko) * 2011-04-20 2013-03-18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로의 루프 장치
KR101456782B1 (ko) * 2013-04-26 2014-11-03 추상우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7892U (ko) 1985-09-11 1987-03-24
US5787108A (en) 1996-04-30 1998-07-28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Exhaust device for electric arc furnaces and relative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7892U (ko) 1985-09-11 1987-03-24
US5787108A (en) 1996-04-30 1998-07-28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Exhaust device for electric arc furnaces and relativ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91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198B1 (ko)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CN211190556U (zh) 一种预破机进料斗防护罩
JP6419287B1 (ja) 堆積物処理方法
KR101558785B1 (ko) 굴착비트와 이를 이용한 굴착장치
KR100836000B1 (ko) 충진형 센터피스
JP2007030026A (ja) プラズマ溶接ロボットシステム
CN201569296U (zh) 水冷炉盖
CN218311625U (zh) 一种防火型焊机
KR20120078219A (ko) 출강구의 슬리브 연와 파쇄장치
KR20200063498A (ko)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KR20220015564A (ko) 발화 및 폭발 방지 기능을 갖는 폐리튬 전지용 방전장치
CN221085707U (zh) 一种取样探头自动样块分离的装置
CN215727407U (zh) 一种防爆膜检测装置
JP6063185B2 (ja) コークス炉の燃焼室清掃装置及びコークス炉の燃焼室清掃方法
KR100865676B1 (ko) 고로 풍구 밀봉부재
KR20030002571A (ko) 고로 출선구의 부착물 제거장치
KR101159664B1 (ko) 고로용 집진장치
KR102637916B1 (ko) 스크랩 강제 취출이 가능한 노칭금형
CN216803045U (zh) 一种爬壁机器人抛丸机
CN219156902U (zh) 一种出铁沟撇渣器
CN211415395U (zh) 一种用于载带成型机的边料回收机构
CN213335469U (zh) 一种冲天炉的前炉
CN215280372U (zh) 一种激光切割机的风门除尘系统
JP5539470B2 (ja) 石炭灰サンプリング方法
KR20090048897A (ko) 가스 흡입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