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676B1 - 고로 풍구 밀봉부재 - Google Patents

고로 풍구 밀봉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676B1
KR100865676B1 KR1020070016845A KR20070016845A KR100865676B1 KR 100865676 B1 KR100865676 B1 KR 100865676B1 KR 1020070016845 A KR1020070016845 A KR 1020070016845A KR 20070016845 A KR20070016845 A KR 20070016845A KR 100865676 B1 KR100865676 B1 KR 100865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yere
blast furnace
present
sealing memb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6647A (ko
Inventor
정귀현
Original Assignee
정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귀현 filed Critical 정귀현
Priority to KR1020070016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676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73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의 직경은 크고 하부의 직경은 작은 테이퍼형상의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는 중앙에 통공을 구비하고 안쪽으로 빙둘러서 돌출턱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진 고로 풍구 밀봉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휴풍 작업시 풍구를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풍구의 안쪽 선단부 직경에 맞춰 미리 밀봉부재를 제작해 놓고 작업시 이를 풍구에 밀어넣기만 하면 풍구가 폐쇄되는 구조여서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용기부의 두께를 줄이므로써 풍구의 개방을 위한 파쇄가 매우 용이해져 작업자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파쇄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의 절감 등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단열테이프 또는 세라믹 테이프로 용기부의 외측면을 감싸 파손을 방지하고, 풍구의 내측면과 밀봉부재 외측면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단열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고로, 풍구, 밀봉

Description

고로 풍구 밀봉부재{APPARATUS FOR OF THE TUYERE OF A BLAST FURNACE}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고로 풍구 밀봉부재(이하 '밀봉부재'라 함)
110: 용기부 120: 통공(通孔)
121: 돌출턱 130: 공간부
140: 세라믹 테이프 150: 단열 테이프
B: 고로 C: 풍구
본 발명은 고로 풍구 밀봉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구에서 공 급된 열풍이 역류되어 외부로 누설되면서 풍구가 손상되고 고로 내부의 용융물이 상기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고로 풍구 밀봉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철소 등에서의 고로 조업은 고로 상부의 장입 장치로부터 철광석과 코크스(COKE)를 번갈아 층상으로 장입하고 고로 하부로부터는 열풍로에서 가열된 열풍을 풍구를 통해 송풍시킴으로써 고로 내부에서 철광석을 환원 및 용융시키는 공정을 의미하며, 이러한 고로 조업에 의하여 용융상태의 용선과 슬래그가 생성되어지는데, 대개 대형 고로의 경우 보통 34개의 풍구와 4개의 출선구를 보유하게 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출선구를 번갈아 가면서 개공시켜 고로 내의 용융물울 연속적으로 노 외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로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기적인 고로 내부의 보수작업시 또는 풍구 상에서 용손사고, 노 체 및 장입 설비의 고장시 긴급하게 풍구를 밀봉하게 되는데, 이때 풍구를 신속하게 밀봉(seaing)하지 않으면 외부공기가 고로 내부로 흡입되어 노내 열량이 부족하게 되고, 정비 작업시간이 길어질 경우에는 고로의 냉입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노내 코크스(Coke) 연소를 최대한 억제하여 노내 열량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돌발 풍구 밀봉작업중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면 고로 내의 고온에 의해 코크스광, 철광석이 풍구 주변으로 녹아내리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용융물들이 연소되면서 발생된 슬러지가 블로우 파이프(BLOW PIPE)를 막거나 풍 구 선단부를 폐쇄하여 2차 설비사고의 위험은 물론 노내 열 균형을 무너뜨리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돌발 휴풍작업시에는 풍구를 신속하게 폐쇄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돌발 휴풍작업은 풍구의 선단부에 작업자들이 수작업에 의해 옥토를 이기고 이를 조금씩 밀어넣어 풍구를 차단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진흙형태의 내화물 분말, 즉 옥토를 이기는데 상당한 시간과 작업량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이를 풍구 속으로 밀어넣어 풍구를 차단하는 작업은 상당한 전문성을 요구하고 힘든 작업이어서 작업자들이 이를 기피하며, 작업비용과 작업기간의 증가, 안전사고 발생가능성 등의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한 방법에 의해 밀폐된 옥토는 풍구의 개방을 위해서 다시 깨뜨려야만 하는데 상기 풍구는 약 300mm 정도의 두께로 차단되고 또한 고열에 의해 소성된 상태여서 이를 다시 깨는 것도 용이한 일이 아니다. 상기 옥토 파쇄작업을 위해 작업자는 1200℃ 이상의 높은 열풍에 직접 노출된 상태에서 찌름봉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파쇄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휴풍 작업시 풍구를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옥토를 이기거나 풍구 속으로 밀어넣는 등의 힘들고 오랜 시간을 소요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 며, 또한 풍구의 개방을 위한 파쇄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의 절감, 작업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고로 풍구 밀봉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고로 풍구 밀봉부재(100)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의 직경은 크고 하부의 직경은 작은 테이퍼(taper)형상의 용기부(110)와 상기 용기부(110)의 상부에는 중앙에 통공(120)을 구비하고 안쪽으로 빙둘러서 돌출턱(1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3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용기부(110)의 형상이 깔때기형상을 갖는 이유는 풍구(C)의 내경이 테이퍼형상이기 때문이고, 풍구의 선단부에 용기부(110)를 삽입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 고로 풍구 밀봉부재(100)는 풍구의 후단부에서 선단부까지 밀어넣기만 하면 풍구가 밀봉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고로(B)의 풍구 밀봉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신속해진다.
또한 본 발명 고로 풍구 밀봉부재(100)는 상기 용기부(110)의 외측면에 세라믹 테이프(140) 또는 단열 테이프(150), 또는 세라믹과 단열 이중테이프를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풍구의 내측면과 본 발명 고로 풍구 밀봉부재(100) 외측면 사이의 밀봉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세라믹 테이프(140)는 고순도의 세라믹 섬유에 유,무기 바인더를 첨가하여 부착 가능하게 테이프 상태로 만든 것이고, 단열 테이프(150)는 내열성이 강하고 공업용 및 보온 닥트용, 선박용 등 특수한 용도로 폭넓게 쓰이는 테이프를 사용한다. 이처럼 본 발명 고로 풍구 밀봉부재(100)는 상기 테이프(140,150)들의 신축성에 의해 풍구의 내측면과 본 발명 고로 풍구 밀봉부재(100) 외측면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밀봉효과가 더욱 우수해진다. 또한 내화재로만 제조된 용기부는 매우 취약한 재질이어서 파손이 잘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나, 약간의 쿠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질긴 재질의 단열테이프 또는 세라믹 테이프에 의해 외측면이 감싸진 구조를 갖는 것이어서 파손의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내화재로만 제조된 용기부의 부족한 단열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고로 풍구 밀봉부재(100)에 형성된 통공(120)은 상기 고로 풍구 밀봉부재(100)를 풍구(C)의 선단부에 밀어넣기 위한 설치도구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때 통공(120) 외측으로 빙둘러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턱(121) 역시 설치도구와 고로 풍구 밀봉부재(100)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 상기 고로 풍구 밀봉부재(100)의 내부에 공간부(130)를 형성한 이유는 용기부(11)의 두께를 줄여서 풍구의 개방을 위한 파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휴풍 작업시 풍구를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풍구의 안쪽 선단부 직경에 맞춰 미리 밀봉부재를 제작해 놓고 작업시 이를 풍구에 밀어넣기만 하면 풍구가 폐쇄되는 구조여서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용기부의 두께를 줄이므로써 풍구의 개방을 위한 파쇄가 매우 용이해져 작업자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파쇄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의 절감 등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단열테이프 또는 세라믹 테이프로 용기부의 외측면을 감싸 파손을 방지하고, 풍구의 내측면과 밀봉부재 외측면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단열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중앙에 통공을 구비하고 상부의 직경은 크고 하부의 직경은 작은 테이퍼형상의 용기부로 이루어지는 고로 풍구 밀봉부재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는 안쪽으로 빙둘러서 돌출턱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는 막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부의 외측면에 세라믹 테이프, 단열 테이프, 세라믹과 단열 이중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구 밀봉부재.
  2. 삭제
KR1020070016845A 2007-02-16 2007-02-16 고로 풍구 밀봉부재 KR100865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845A KR100865676B1 (ko) 2007-02-16 2007-02-16 고로 풍구 밀봉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845A KR100865676B1 (ko) 2007-02-16 2007-02-16 고로 풍구 밀봉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647A KR20080076647A (ko) 2008-08-20
KR100865676B1 true KR100865676B1 (ko) 2008-10-29

Family

ID=3987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845A KR100865676B1 (ko) 2007-02-16 2007-02-16 고로 풍구 밀봉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8975B (zh) * 2019-09-11 2024-08-09 大冶特殊钢有限公司 高炉炼铁用风口陶瓷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161A (ko) * 2003-03-21 2004-10-01 주식회사 포스코 용손확인 및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풍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161A (ko) * 2003-03-21 2004-10-01 주식회사 포스코 용손확인 및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647A (ko)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98529B (zh) 改进型侧吹熔池熔炼炉
US9068779B2 (en) Water-cooled burner and/or injector panel kits, water-cooled burner and/or injector panel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9306387B (zh) 一种高炉冷却壁烧损后炉皮保护修复方法
JP5726614B2 (ja) 転炉の耐火レンガの冷却構造及びその方法
KR100865676B1 (ko) 고로 풍구 밀봉부재
KR102587684B1 (ko) 로저의 승온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버너 랜스
KR101714347B1 (ko) 폐열을 이용한 고효율 용해로
KR20020048161A (ko) 출선구 보호벽 형성장치
US689585A (en) Iron-notch for blast-furnaces.
CN219907386U (zh) 一种玻璃窑炉烤窑加料装置
CN207702990U (zh) 一种用于炉窑维修时的氧熔枪熔渣飞溅保护结构
KR101538805B1 (ko) 고로 출선구 충전용 블록
JP2014173164A (ja) ステーブクーラーおよびこのステーブクーラーを備えた高炉
KR101585808B1 (ko) 스테이브와 이의 마모 지연 방법
KR102273074B1 (ko) 용융로 내화물 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로
KR100432130B1 (ko) 풍구 내경 차단판 및 해머 건을 이용한 내화물 파쇄장치
JPH04323311A (ja) 出銑口部の耐火物構造
US1932354A (en) Melting furnace and method of constructing and operating same
KR20090102134A (ko) 전기로의 버너장치
Cele et al. An Overview of Submerged Arc Furnaces Tapping Operations and Tap-Hole Management at Assmang Manganese Cato Ridge Works
CN105849453A (zh) 快速接头装置,含有一个斜切圆空筒和两个内环槽
KR200442413Y1 (ko) 고로 출선구의 개량된 트라프 커버
KR100979044B1 (ko) 용광로 출선구의 가스 제거장치
KR101543900B1 (ko) 대풍구 및 풍구 손상 방지장치
KR100417691B1 (ko) 래들 바닥의 캐스타블 시공시 벤트홀 보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