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015B1 -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 Google Patents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015B1
KR101186015B1 KR1020120041706A KR20120041706A KR101186015B1 KR 101186015 B1 KR101186015 B1 KR 101186015B1 KR 1020120041706 A KR1020120041706 A KR 1020120041706A KR 20120041706 A KR20120041706 A KR 20120041706A KR 101186015 B1 KR101186015 B1 KR 10118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display area
display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김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재 filed Critical 김성재
Priority to KR102012004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22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in connection with sports or games
    • G07C1/28Indicating playing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코어보드의 문자, 숫자, 등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다수의 LED 유닛이 스코어보드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외 여부나 주변 조도 및 게임의 종목별 특성 등을 고려하여 LED 유닛들의 휘도를 전체적 또는 게임정보 표시 영역별로 조정할 수 있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는, 입력전압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출력전압 중 어느 한 출력전압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전압조절부와, 상기 전압조절부에 출력전압의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전압선택부와, 상기 전압조절부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격자형 배치의 다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소자의 휘도가 상기 전압조절부의 출력전압별로 달라지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Moving type scoreboard adjustable brightness of display unit}
본 발명은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코어보드의 문자, 숫자, 등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다수의 LED 유닛이 스코어보드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외 여부나 주변 조도 및 게임의 종목별 특성 등을 고려하여 LED 유닛들의 휘도를 전체적 또는 게임정보 표시 영역별로 조정할 수 있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는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 소자로써, 그 종류 별로 적색, 녹색, 청색, 황색 등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발산한다.
이러한 LED는 각종 전자 제품이나 계기판 등의 전자 표시판으로 활용되고 있고, 또한 LED는 실내외의 전광판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LED 전광판은 격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LED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점등하면서 숫자, 문자, 기호 등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LED 전광판은 각종 정보를 가시적인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업 광고용, 스포츠 경기장용, 멀티비전용, 교통 신호용, 정보 전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포츠 경기장의 LED 전광판을 예로 설명하면, 스포츠 경기장에는 비교적 대형의 LED 전광판이 설치되며, 이러한 LED 전광판은 통상 현재 게임 스코어, 게임 시간, 출전선수 명단 및 기타 게임 중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이를 게임 관계자 및 관중들이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스포츠 경기장에서 사용되는 LED 전광판(이하 “스코어보드”라 함)의 일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코어보드는 LED보드와 프레임으로 크게 구분된다. LED보드는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에 결합되어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LED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LED 유닛 각각은 LED보드의 한 픽셀(Pixel)을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은 LED보드의 둘레에 결합되어 LED보드를 보호하는 동시에 스코어보드를 설치공간의 벽면에 고정하거나 공중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스코어보드는 LED보드의 각 LED 유닛이 그 제조 시 정한 휘도로만 발광(發光)하며, 이는 스코어보드가 제한된 설치 장소에서만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는 현상으로 이어진다. 다시 말해, 종래 스코어보드는 설치 장소나 기상 상태 등 외부의 환경 변화에 전혀 관계없이 항상 정해진 범위의 휘도로만 발광하므로, 체육관 등 실내에서는 스코어보드의 표시 내용을 잘 확인할 수 있지만 실외에서는 스코어보드의 표시 내용을 잘 확인할 수 없는 현상, 또는 일광이 약한 흐린 기상 상태에서는 스코어보드의 표시 내용을 잘 확인할 수 있지만 일광이 강한 맑은 기상 상태에서는 스코어보드의 표시 내용을 잘 확인할 수 없는 현상 등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스코어보드는 LED보드의 모든 LED 유닛이 동일한 휘도로 발광하므로, 이는 스포츠 게임의 종목별 특성 또는 스코어보드의 주변 조도 등을 고려해 스코어보드의 특정 정보 영역을 더 밝게 표시하는 조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스포츠 종목의 특성이나 동일한 스포츠 종목이라도 경기의 경중(輕重)에 따라 스코어보드의 특정 영역만을 상대적으로 더 밝게 표시해야 할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지만, 종래의 스코어보드는 모든 LED 유닛이 동일한 휘도로 발광함에 따라 이러한 상황에 전혀 대처하지 못하고, 이는 불필요한 전력 낭비 현상으로도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코어보드의 문자, 숫자, 등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다수의 LED 유닛이 스코어보드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외 여부 등 주변 상황의 변화에 따라 여러 다른 조도로 발광하게 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게임의 종목별 특성이나 스코어보드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 조도 등을 고려하여 LED 유닛들의 휘도를 그 표시 영역별로 조정할 수 있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는, 입력전압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출력전압 중 어느 한 출력전압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전압조절부와, 상기 전압조절부에 출력전압의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전압선택부와, 상기 전압조절부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격자형 배치의 다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소자의 휘도가 상기 전압조절부의 출력전압별로 달라지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압조절부는 입력전압을 8~9(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전압모드와 입력전압을 12~13(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전압모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전압모드와 제2 전압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전압모드가 상기 전압선택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조절부는 입력전압을 펄스 폭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전압모드의 8~9(V)의 출력전압 또는 상기 제2 전압모드의 12~13(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는, 상기 전압선택부의 출력전압 선택을 위한 제1 신호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2 신호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조절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전압조절부에 입력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 공격 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 팀파울 디스플레이 영역, 작전타임 디스플레이 영역,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 전후반/세트/쿼터 디스플레이 영역,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들의 데이터 신호값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대한 상기 데이터 신호값들의 저장 신호 입력용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는 다른 형태로써,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다수의 발광소자가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둘 이상의 게임정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위한 전압을 출력하되, 입력전압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출력전압으로 변환되어 어느 한 출력전압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든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인가되거나 둘 이상의 출력전압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게임정보 표시영역별로 각각 인가되는 전압조절부와, 상기 전압조절부에 출력전압의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전압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게임정보 표시영역이 상기 전압조절부의 하나의 출력전압에 의해 동일한 휘도로 발광되거나 상기 전압조절부의 둘 이상의 출력전압에 의해 서로 다른 휘도로 발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게임정보 표시영역은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 공격 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 팀 파울 디스플레이 영역, 작전타임 디스플레이 영역,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 전후반/세트/쿼터 디스플레이 영역,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압조절부는 입력전압을 8~9(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전압모드와 입력전압을 8~9(V) 및 12~13(V)의 두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전압모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전압모드에서는 8~9(V)의 출력전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든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인가하며 상기 제2 전압모드에서는 12~13(V)의 출력전압을 상기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과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 그리고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가하고 8~9(V)의 출력전압을 나머지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조절부는 입력전압을 8~9(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전압모드와 입력전압을 8~9(V) 및 12~13(V)의 두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전압모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전압모드의 선택 시 8~9(V)의 출력전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하나의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인가하고 12~13(V)의 출력전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코어보드의 문자, 숫자, 등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다수의 LED 유닛(발광소자)이 스코어보드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외 여부 등 주변 상황의 변화에 따라 여러 다른 조도로 발광하게 되고, 따라서 스코어보드를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실내외 모두에서 적정 조도로 발광하여 시각적으로 잘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스코어보드의 LED 유닛(발광소자)이 다양한 게임의 종목별 특성이나 주변 조도 등에 따라 여러 게임정보 표시 영역별로 그 휘도를 달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필요시 게임의 핵심 정보 표시 영역만을 고휘도로 발광시켜 관중 및 게임 관계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력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스코어보드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a) 및 도3(b)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의 사용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의 사용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100: 이하 “스코어보드”라 약칭 함)는 전압조절부(140), 전압선택부,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선택부가 이어서 서술되는 제어부의 기능에 포함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압선택부는 별도의 독립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100)는 전원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압조절부(140)는 입력되는 전압을 다른 전압값의 출력전압으로 변환 후 이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인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전압조절부(140)는 입력되는 전압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전압 레벨 중 어느 한 전압 레벨로 변환 후 이를 출력전압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0)에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조절부(140)가 입력되는 전압을 8~9(V)의 출력전압 또는 12~13(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전압조절부(140)는 입력되는 전압을 8~9(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전압모드 및 입력되는 전압을 12~13(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전압모드를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압조절부(140)는 입력되는 전압을 펄스 폭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의해 8~9(V) 또는 12~13(V)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압조절부(140)의 제1 전압모드 및 제2 전압모드는 전압선택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된다.
전압선택부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압조절부(140)에 출력전압의 선택 신호를 입력한다. 이러한 전압선택부는 푸시버튼이나 로터리 타입의 스위치로 이루어져 전압조절부(140)의 상기 제1 전압모드시의 출력단자 및 상기 제2 전압모드시의 출력단자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50)와 스위칭시키는 형태일 수 있으나,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선택부가 스코어보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기능에 포함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다. 즉, 전압선택부(140)의 출력전압 선택을 위한 외부 신호가 제어부(120)에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해당 제어신호를 전압조절부(140)에 입력하여 상기 제1 전압모드 및 제2 전압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출력전압이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다수의 발광소자가 격자형의 배치를 이루며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발광소자는 전압조절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값에 따라 서로 다른 휘도로 발광한다. 다시 말해 발광소자는 전압조절부(140)의 출력전압에 따라 다른 휘도로 발광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발광소자가 엘이디(LED:Light-Emitting Diode)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소자는 전압의 레벨 차이에 따라 다른 조도로 발광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광소자가 LED인 것을 예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1), 공격 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2),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153), 팀 파울 디스플레이 영역(154), 작전타임 디스플레이 영역(155),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156), 전후반/세트/쿼터 디스플레이 영역(157),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1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30)는 전압선택부의 출력전압 선택을 위한 제1 신호 및 디스플레이부(150)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2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즉 통신부(130)는 노트북 컴퓨터(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노트북 컴퓨터(200)는 스코어보드(100)의 전체적인 작동 신호를 생성 후 이를 스코어보드(100)의 통신부(13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노트북 컴퓨터(200)에 대해서는 스코어보드(100)의 제어부(120) 및 전원부(110)의 설명 후 이어서 설명키로 한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30)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따라 전압조절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전원부(110)는 제어부(120)에 전원을 인가하는 동시에 전압조절부(140)에 전원을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게임 정보들의 데이터 신호값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통신부(13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에 게임정보 표시를 위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이 신호와 동일한 신호값을 저장부(160)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이를 위해 스코어보드(100)에는 저장부(160)에 대한 저장 신호 입력용의 스위치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노트북 컴퓨터(200)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스코어보드(100)에 전압조절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에 대한 작동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노트북 컴퓨터(200)의 작동 제어신호가 스코어보드(100)에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트북 컴퓨터(200)의 작동 제어신호는 스코어보드(100)에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다.
노트북 컴퓨터(200)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노트북 컴퓨터(200)는 전원부(210), 입력부(22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통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부(210)는 제어부(230)에 전원을 입력하는 기능을 하며, 제어부(20)는 입력부(220)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통신부(250)를 통해 스코어보드(100)에 전송하거나 노트북 컴퓨터(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40)는 노트북 컴퓨터(20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처리되는 데이터들을 화면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100)의 작용을 전압조절부(140)의 작동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0)의 발광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코어보드(100)의 전원부(110)로부터 제어부(120) 및 전압선택부(140)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노트북 컴퓨터(200)의 통신부(250)로부터 전압조절부(140)에 대한 제어신호가 스코어보드(100)에 전송된다. 다시 말해, 스코어보드(100)의 통신부(130)가 노트북 컴퓨터(200)의 통신부(250)로부터 스코어보드(100)의 전압조절부(140)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스코어보드(100)의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노트북 컴퓨터(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압조절부(140)의 제1 전압모드와 제2 전압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전압모드를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압조절부(140)는 이렇게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8~9(V) 또는 12~13(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 후 이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인가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이렇게 전압조절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의 출력전압에 따라 다른 조도로써 발광한다.
부연 설명하면, 스코어보드(100) 주변의 외부 조도가 낮을 시, 사용자는 노트북 컴퓨터(200)를 통해 스코어보드(100)의 전압조절부(140)를 제1 전압모드로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스코어보드 디스플레이부(150)의 각 LED에 8~9(V)의 전압이 인가되며, 디스플레이부(150)의 LED는 이렇게 입력되는 8~9(V)의 전압에 해당하는 휘도로써 발광한다. 이와 달리 스코어보드(100) 주변의 외부 조도가 높을 시, 사용자는 노트북 컴퓨터(200)를 통해 스코어보드(100)의 전압조절부(140)를 제2 전압모드로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스코어보드 디스플레이부(150)의 각 LED에 12~13(V)의 전압이 인가되며, 디스플레이부(150)의 LED는 이렇게 입력되는 12~13(V)의 전압에 해당하는 휘도로써 발광한다.
도 3(a)와 도 3(b)는 스코어보드(100)의 디스플레이부(150)가 전압조절부(140)의 제1 전압모드 및 제2 전압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조도로 발광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써, 도 3(a)는 전압조절부(140)가 제1 전압모드로 동작하여 디스플레이부(150)의 각 LED가 8~9(V)의 출력전압에 해당하는 휘도로써 발광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전압조절부(140)가 제2 전압모드로 동작하여 디스플레이부(150)의 각 LED가 12~13(V)의 출력전압에 해당하는 휘도로써 발광하는 상태, 다시 말해 도 3(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밝게 발광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식 스코어보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이동시 스코어보드(300: 이하 “스코어보드”라 약칭 함)는 디스플레이부(150), 전압조절부(340), 전압선택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300)는 전원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의 스코어보드(300)는 상술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100)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부(150)와 전압조절부(340) 및 전압선택부(360)의 구성이 다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디스플레이부(150)와 전압조절부(340) 및 전압선택부(3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는 둘 이상의 게임정보 표시영역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게임정보 표시영역은 다수의 발광소자가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게임정보 표시영역은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1), 공격 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2),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153), 팀 파울 디스플레이 영역(154), 작전 타임 디스플레이 영역(155),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156), 전후반/세트/쿼터 디스플레이 영역(157),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15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발광소자가 엘이디(LED:Light-Emitting Diode)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압조절부(340)는 입력전압을 다른 전압 레벨의 출력전압으로 변환 후 이를 디스플레이부(150)의 구동용 전압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조절부(34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모든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동일 레벨의 출력전압을 인가하거나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50)의 전체 게임정보 표시영역을 둘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서로 다른 레벨의 출력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전압조절부(34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대한 출력 전압값을 기준으로 제1 전압조절모드(341)로부터 제n 전압조절모드의 전압조절모드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전압조절부(340)의 제1 전압조절모드(341)는 디스플레이부(150)의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1),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153),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158)에 각각 12~13(V)의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또한 전압조절부(340)의 제2 전압조절모드(342)는 디스플레이부(150)의 공격 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2), 팀 파울 디스플레이 영역(154), 작전타임 디스플레이 영역(155),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156), 전후반/세트/쿼터 디스플레이 영역(157)에 8~9(V)의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외부 신호에 의해 전압조절부(340)의 제1 전압조절모드(341) 및 제2 전압조절모드(342)가 각각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50)의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1),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153),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158)에 각각 12~13(V)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50)의 공격 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2), 팀 파울 디스플레이 영역(154), 작전타임 디스플레이 영역(155),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156), 전후반/세트/쿼터 디스플레이 영역(157)에 8~9(V)의 출력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150)의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1),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153),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158)이 디스플레이부(150)의 공격 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2), 팀 파울 디스플레이 영역(154), 작전타임 디스플레이 영역(155),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156), 전후반/세트/쿼터 디스플레이 영역(157)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휘도로 발광한다. 이는 스코어보드(300)가 야외에 설치된 경우 등 스코어보드(300)의 주변 조도가 높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50)의 모든 게임정보 표시영역을 고휘도로 발광시키기엔 전력 소모가 크므로, 게임 진행에 핵심적인 정보로 판단되는 디스플레이 영역만 더 고휘도로 발광시켜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잘 확인될 수 있게 하려는 의도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150)의 게임정보 표시영역이 그룹지어져 각 그룹별로 달리 발광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의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1),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153),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158)이 전후반/세트/쿼터 디스플레이 영역(157), 작전타임 디스플레이 영역(155),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156), 공격 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2)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휘도로 발광하는 상태이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전압조절부(340)가 도면 상에 제1 전압조절모드(341)부터 제n 전압조절모드까지 있는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전압조절부(34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의 모든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동일 전압 레벨의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모드도 포함됨은 물론이다.
또한, 전압조절부(340)는 전원부(110)의 입력전압을 펄스 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의해 제1 전압조절모드(341)의 8~9(V) 출력전압 또는 제2 전압조절모드(342)의 12~13(V)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전압선택부(360)는 전압조절부(340)에 출력전압의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전압선택부(360)는 전압조절부(340)의 전압조절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압선택부(360)는 스코어보드(300)에 별도의 전압조절 스위치부가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이러한 전압조절 스위치부를 조작하여 전압조절부(340)의 전압조절모드를 선택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른 형태로써, 노트북 컴퓨터(200)의 입력부(420)에 전압조절신호 입력모드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400)로부터 전압조절신호가 스코어보드(300)에 전송되며, 스코어보드(300)의 제어부(120)가 이러한 노트북 컴퓨터(400)의 전압조절신호에 따라 전압조절부(340)의 전압조절모드를 선택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노트북 컴퓨터(400)의 전원부(21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통신부(250)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200)의 해당 구성들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조절부(340)의 제1 전압조절모드(341)에서 디스플레이부(150)의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151),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153),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158)에 12~13(V)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압조절부(340)의 제1 전압조절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모든 게임정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12~13(V)의 출력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전압조절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 12~13(V)와 다른 전압레벨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형태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코어보드(100,300)는 문자, 숫자, 등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다수의 LED가 스코어보드(100,300)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외 여부 등 주변 상황의 변화에 따라 여러 다른 조도로 발광하고, 따라서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동시에 실내외 모두에서 적정 조도로 발광하여 시각적으로 잘 확인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코어보드(100,300)의 LED 유닛(발광소자)이 다양한 게임의 종목별 특성이나 주변 조도 등에 따라 여러 게임정보 표시 영역별로 그 휘도를 달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필요시 게임의 핵심 정보 표시 영역만을 고휘도로 발광시켜 관중 및 게임 관계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300 : 스코어보드 110 : 전원부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340 : 전압조절부 150 : 디스플레이부
151 :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 152 : 공격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
153 :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 154 : 팀파울 디스플레이 영역
155 : 작전타임 디스플레이 영역 156 :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
157 : 전후반, 세트, 쿼터 디스플레이 영역
160 : 저장부 200,400 : 노트북 컴퓨터
210 : 전원부 220,420 : 입력부
230 : 제어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통신부 341 : 제1 전압조절모드
342 : 제2 전압조절모드 360 : 전압조절 스위치부
421 : 전압조절신호 입력모드

Claims (11)

  1. 입력전압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출력전압 중 어느 한 출력전압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전압조절부;
    상기 전압조절부에 출력전압의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전압선택부;
    상기 전압조절부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격자형 배치의 다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소자의 휘도가 상기 전압조절부의 출력전압별로 달라지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절부는 입력전압을 8~9(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전압모드와 입력전압을 12~13(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전압모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전압모드와 제2 전압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전압모드가 상기 전압선택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절부는 입력전압을 펄스 폭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전압모드의 8~9(V)의 출력전압 또는 상기 제2 전압모드의 12~13(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선택부의 출력전압 선택을 위한 제1 신호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2 신호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조절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전압조절부에 입력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 공격 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 팀파울 디스플레이 영역, 작전타임 디스플레이 영역,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 전후반/세트/쿼터 디스플레이 영역,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6. 다수의 발광소자가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둘 이상의 게임정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위한 전압을 출력하되, 입력전압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출력전압으로 변환되어 어느 한 출력전압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든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인가되거나 둘 이상의 출력전압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게임정보 표시영역별로 각각 인가되는 전압조절부;
    상기 전압조절부에 출력전압의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전압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게임정보 표시영역이 상기 전압조절부의 하나의 출력전압에 의해 동일한 휘도로 발광되거나 상기 전압조절부의 둘 이상의 출력전압에 의해 서로 다른 휘도로 발광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게임정보 표시영역은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 공격 제한시간 디스플레이 영역,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 팀 파울 디스플레이 영역, 작전타임 디스플레이 영역, 공격권 디스플레이 영역, 전후반/세트/쿼터 디스플레이 영역,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압조절부는 입력전압을 8~9(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전압모드와 입력전압을 8~9(V) 및 12~13(V)의 두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전압모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전압모드에서는 8~9(V)의 출력전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든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인가하며 상기 제2 전압모드에서는 12~13(V)의 출력전압을 상기 경기시간 디스플레이 영역과 점수 디스플레이 영역 그리고 팀명/선수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가하고 8~9(V)의 출력전압을 나머지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절부는 입력전압을 8~9(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전압모드와 입력전압을 8~9(V) 및 12~13(V)의 두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전압모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전압모드의 선택 시 8~9(V)의 출력전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하나의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인가하고 12~13(V)의 출력전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게임정보 표시영역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절부는 입력전압을 펄스 폭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전압모드의 8~9(V)의 출력전압 또는 상기 제2 전압모드의 12~13(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선택부의 출력전압 선택을 위한 제1 신호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2 신호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조절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전압조절부에 입력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11.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들의 데이터 신호값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대한 상기 데이터 신호값들의 저장 신호 입력용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KR1020120041706A 2012-04-20 2012-04-20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KR10118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706A KR101186015B1 (ko) 2012-04-20 2012-04-20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706A KR101186015B1 (ko) 2012-04-20 2012-04-20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015B1 true KR101186015B1 (ko) 2012-09-26

Family

ID=4711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706A KR101186015B1 (ko) 2012-04-20 2012-04-20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0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126B1 (ko) 2012-12-04 2013-05-27 김성재 패킷 크기 기준의 기기 호환성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전광판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25405B1 (ko) * 2013-05-29 2013-11-04 김성재 스포츠 경기의 공격제한시간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853A (ja) 1998-06-30 2000-01-1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スコアボード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853A (ja) 1998-06-30 2000-01-1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スコアボード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126B1 (ko) 2012-12-04 2013-05-27 김성재 패킷 크기 기준의 기기 호환성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전광판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25405B1 (ko) * 2013-05-29 2013-11-04 김성재 스포츠 경기의 공격제한시간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836B1 (ko) 전자 장치 내의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 및 장치
TWI389077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KR102207464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RU2010154084A (ru) Устройств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дключенной нагрузкой потребителя и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использую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TW200501795A (en) Color OLED display system
JP2008085324A (ja) 光源装置
EP3130382A1 (en) Stage representation system and stage representation method
JP2006276718A5 (ko)
JP2009054928A (ja) 発光素子制御回路
TWI462079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之驅動方法
KR101186015B1 (ko) 표시부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의 이동식 스코어보드
KR20030012303A (ko) 자체 발광 표시 소자의 구동 제어 방법
KR102101564B1 (ko) Led 전광판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8364604A (zh) 一种Micro-LED显示系统
CN208157018U (zh) 一种Micro-LED显示系统
KR100896413B1 (ko) 엘이디 전광판
KR20140004508U (ko) 교호식 원격 조정 발광장치
KR100783759B1 (ko) 입체적인 배경효과를 제공하는 2단형 전광판 시스템
KR101224243B1 (ko) 스코어보드의 게임운영정보 제어시스템
JP4660730B1 (ja) 電力状態プレビュー装置、電力状態プレビュー方法、プログラム
US20230282152A1 (en) Self-emissive element panel, led panel, and planetarium using same
KR200449291Y1 (ko) 부채꼴 형상을 갖는 발광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전광판 장치
KR20120071077A (ko) 엘이디 조명 기구 및 엘이디 조명 기구의 작동 방법
KR200467872Y1 (ko) 조명 키보드용 광 컬러 조절 장치
KR102325411B1 (ko) 구동에너지 관리형 led 전광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