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396B1 -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396B1
KR101185396B1 KR1020100053931A KR20100053931A KR101185396B1 KR 101185396 B1 KR101185396 B1 KR 101185396B1 KR 1020100053931 A KR1020100053931 A KR 1020100053931A KR 20100053931 A KR20100053931 A KR 20100053931A KR 101185396 B1 KR101185396 B1 KR 101185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support
clamping unit
upper protrus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121A (ko
Inventor
주성호
이동훈
김대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39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4Ladders attached to structures, such as windows, cornices, poles, or the like
    • E06C1/36Ladders suspendable by hoo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발판부로 구성되는 사다리의 상단부를 상부 돌출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사다리 고정장치로서, 상기 사다리의 한 쌍의 지지부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돌출물에 위치고정 가능한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장착되어 상기 서포트를 상기 상부 돌출물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클램핑 유닛을 작동시키도록 와이어를 통해 상기 클램핑 유닛과 연결되는 클램핑 유닛 작동부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작업 시, 사용되는 사다리를 클램핑 유닛을 이용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에 오르지 않고 지면에서 사다리의 선단을 상부 돌출물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안정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LADDER FOR HIGH PLACE WORK}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 작업 시, 사다리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또는 대형 기구 구조물을 제작하는 작업현장은 대상물의 특성상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는 고소작업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고소작업 시에는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 올라가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추락하는 위험성이 많이 존재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부위의 주변에 비계라는 임시 작업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사다리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비계를 설치할 경우, 상기 비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작업부위의 주변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이 비계의 설치와 철거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작업이나 상기 비계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는 통상적으로 사다리를 사용하여 고소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사다리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바, 작업자 외 보조작업자가 사다리가 미끄러지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고소작업이 필요한 위치에서 상부의 상부 돌출물에 사다리 선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사다리 고정장치의 다양한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사다리 고정장치(1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의 선단을 고리(11)를 형성하고,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접촉부재(12)를 부착하여 상기 상부 돌출물(1)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마찰형(도 1의 (a))과, 스크류(13)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 돌출물(1)에 사다리(3)를 고정시키는 바이스(Vice) 고정형(도 1의 (b))과, 단면이 삼각형상의 쐐기(15)를 강제로 삽입하는 쐐기 삽입형(도 1의 (c))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다리 고정장치(10) 중, 마찰형은 무게중심이 변하거나 요동이 있을 경우 사다리가 전도될 위험성이 있으며, 바이스 고정형과 쐐기 삽입형의 경우 초기 설치 작업 시, 단순히 사다리(3)를 걸쳐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3)를 타고 올라가 스크류(13)를 조이거나 쐐기(15)를 타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다리(3)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걸쳐진 상태에서 사다리(3)를 타고 직접 올라가야 함에 따라, 작업자가 오르내리다가 무게중심의 변화로 사다리(3)가 전복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소작업 시, 사용되는 사다리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로서, 작업자가 사다리에 직접 오르지 않고 사다리의 선단을 상부 돌출물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발판부로 구성되는 사다리의 상단부를 상부 돌출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사다리 고정장치로서, 상기 사다리의 한 쌍의 지지부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돌출물에 위치고정 가능한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장착되어 상기 서포트를 상기 상부 돌출물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클램핑 유닛을 작동시키도록 와이어를 통해 상기 클램핑 유닛과 연결되는 클램핑 유닛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상부 돌출물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상부 돌출물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클램핑 유닛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장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로케이터; 상기 로케이터의 일측에 연결링크에 의하여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측이 상기 와이어에 의하여 작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링크; 및 상기 로케이터의 타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작동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부에 접촉부재가 설치되는 클램퍼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클램퍼의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상부 돌출물의 하측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서포트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상부 돌출물과 접촉되는 면이 널링 가공되며, 상기 장착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접촉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상부 돌출물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널링 가공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유닛 작동부는 상기 작동 링크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일단부는 상기 사다리의 일측에 위치되는 고정그립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일단부는 상기 작동링크의 하측에 위치되는 해제그립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각각의 지지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개구홈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부 표면에는 상기 고정그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쇠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에 의하면, 고소작업 시, 사용되는 사다리를 클램핑 유닛을 이용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에 오르지 않고, 지면에서 고정그립 또는 해제그립을 당기는 조작으로서, 사다리의 선단을 상부 돌출물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다리 선단의 고정방법을 나열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투영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B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투영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B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100)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10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01)를 상호 연결하는 발판부(103)로 구성되는 사다리(105)의 상단부를 상부 돌출물(107)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105)에 직접 오르지 않고 사다리(105)의 선단을 상부 돌출물(107)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이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100)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110), 클램핑 유닛(120), 및 클램핑 유닛 작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서포트(110)는 상기 사다리(105)의 한 쌍의 지지부(101)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돌출물(107)에 위치 고정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러한 서포트(110)는 안착부(111), 장착부(113), 및 연결부(115)로 구성되는데, 먼저, 상기 안착부(111)는 상기 상부 돌출물(107)의 상면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11)는 상기 상부 돌출물(107)과 접촉되는 면이 널링 가공되어 마찰면(112)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장착부(113)의 길이보다 더 길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13)는 상기 상부 돌출물(107)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클램핑 유닛(12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15)는 상기 안착부(111)과 장착부(113)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서포트(110)는 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101)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트(110)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01)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 형상과 개수는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유닛(120)은 상기 서포트(110)를 상기 상부 돌출물(107)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클램핑 유닛(12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케이터(121), 작동링크(125), 및 클램퍼(127)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로케이터(121)는 상기 장착부(113)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부(101)가 장착되는 반대측에 장착된다.
상기 작동링크(125)는 상기 로케이터(121)의 일측에 연결링크(123)에 의하여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측이 상기 각 와이어(131, 133)에 의하여 작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퍼(127)는 상기 로케이터(121)의 타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작동링크(125)의 타단부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부에 접촉부재(129)가 설치되며, 상기 작동링크(125)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클램퍼(127)의 접촉부재(129)가 상기 상부 돌출물(107)의 하측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재(129)는 그 재질이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 상기 접촉부재(129)가 상기 상부 돌출물(107)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128)를 구비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128)는 상기 상부 돌출물(107)과의 접촉 시, 마찰을 최대화하도록 널링 가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유닛 작동부(130)는, 도 1과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클램핑 유닛(12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와이어(131, 133)를 통해 상기 클램핑 유닛(120)과 연결된다.
이러한 클램핑 유닛 작동부(130)는 상기 작동링크(125)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131, 13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131)의 일단부는 상기 사다리(105)의 일측에 위치되는 고정그립(135)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133)의 일단부는 상기 작동링크(125)의 하측에 위치되는 해제그립(137)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링크(125)는 상기 제1, 제2 와이어(131, 133)와 연결되는 단부에 상기 제1, 제2 와이어(131, 133)를 걸어서 장착하도록 장착홀(1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다리(105)의 한 쌍의 지지부(101)는 각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101)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부의 형상은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와이어(131)는 상기 각각의 지지부(101)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101)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개구홈(109)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그립(135)과 연결된다.
즉, 상기 고정그립(135)은 작업자가 상기 클램핑 유닛(120)을 작동시켜 상기 상부 돌출물(107)에 클램핑 시킬 경우, 작업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사다리(105)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상부 돌출물(107)에 상기 서포트(110)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고정그립(13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제1 와이어(131)와 연결된 작동링크(125)가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클램퍼(127)는 작동링크(125)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상부 돌출물(107)의 하측면을 가압하여 클램핑하고, 이 경우, 상기 접촉부재(129)는 상기 클램퍼(127)가 상부 돌출물(107)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작동을 통해, 상기 클램핑 유닛(120)은 상기 서포트(110)를 상부 돌출물(107)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사다리(105)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돌출물(107)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지지부(101)의 하부 표면에는 상기 고정그립(1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쇠(140)가 형성된다.
상기 걸쇠(140)는 작업자에 의해 당겨진 상기 각 고정그립(130)을 상기 각 지지부(101)의 하부 측면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클램핑 유닛(120)의 클램핑 작동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걸쇠(140)는 상기 제1 와이어(131)와 고정그립(135)이 상기 발판부(103)에 위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사다리(105)를 오르내릴 때, 상기 제1 와이어(131)나 고정그립(135)에 걸려서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와이어(133)는 상기 작동링크(125)의 장착홀(126)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해제그립(137)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와이어(133)는 상기 해제그립(137)의 자중에 의해 상기 작동링크(125)의 하측에 위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되며,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클램핑 유닛(120)의 클램핑 작동을 해제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을 통해 상기 사다리(105)를 상부 돌출물(107)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소작업을 완료한 후, 사다리(105)에서 내려와 상기 걸쇠(140)에 걸려서 고정된 고정그립(135)을 빼낸 상태로 상기 해제그립(137)을 당기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와이어(133)는 상기 클램핑 유닛(120)의 작동링크(125)를 클램핑 작동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125)와 힌지 연결된 상기 클램퍼(127)가 클램핑 작동 때와는 반대로 회전되면서, 클램핑이 해제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작업자는,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소작업을 수행할 위치에 상기 사다리(105)를 이동시킨 후, 상기 상부 돌출물(107)에 상기 서포트(110)를 끼우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서포트(110)의 안착부(111) 하면에 형성된 마찰면(112)이 상기 상부 돌출물(107)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이 경우, 상기 클램핑 유닛(120)의 클램퍼(127)는 클램핑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 후, 작업자는 상기 상부 돌출물(107)에 상기 서포트(110)를 끼운 상태로,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유닛 작동부(130)의 고정그립(135)을 당기게 되면, 상기 고정그립(130)과 연결된 제1 와이어(131)가 상기 각 지지부(101)의 내부에서 당겨져 상기 작동링크(125)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링크(125)가 회전되면, 상기 클램퍼(127)는 상기 작동링크(125)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서포트(110)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돌출물(107)의 하측면을 상기 접촉부재(129)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클램핑하여 상기 서포트(110)를 상기 서포트(1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퍼(127)는 상기 상부 돌출물(107)의 하측면을 클램핑 시, 상기 접촉부재(129)의 미끄럼 방지부(128)를 통해 접촉됨으로써, 마찰력을 최대화시켜 상기 접촉부재(129)가 상부 돌출물(107)과 미끄럼이나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그런 후, 작업자는 당겨진 상기 고정그립(135)을 상기 각 지지부(101)의 측면에 각각 장착된 상기 걸쇠(140)에 걸어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핑 유닛(120) 통해 상기 사다리(105)가 상부 돌출물(107)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작업자는 상기 사다리(105)에 올라가 고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 후, 고소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사다리(105)에서 내려와 상기 각 걸쇠(140)에 걸어 고정된 상기 각 고정그립(135)을 걸쇠(140)로부터 이탈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클램핑 유닛 작동부(130)의 해제그립(137)을 당기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작동링크(125)는,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제그립(137)과 연결된 제2 와이어(132)에 의해 클램핑 작동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클램퍼(127)는 상기 작동링크(125)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상부 돌출물(107)의 클램핑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 유닛(120)의 클램핑이 해제되면, 상기 상부 돌출물(107)에 고정되었던 상기 서포트(110)의 고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사다리(105)를 이용한 고소작업은 완료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사다리(105)를 다른 고소작업이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켜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 수행하게 되는 바, 고소작업 시, 사다리(105)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전한 작업수행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100)를 적용하면, 고소작업 시, 사용되는 사다리(105)를 클램핑 유닛(120)을 이용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105)에 오르지 않고, 지면에서 상기 클램핑 유닛 작동부(130)의 고정그립(135) 또는 해제그립(157)을 각각 당기는 조작으로서, 사다리(105)의 선단을 상부 돌출물(107)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사다리 고정장치 101...지지부
103...발판부 105...사다리
107...상부 돌출물 109...개구홈
110...서포트 111...안착부
112...마찰면 113...장착부
115...연결부 120...클램핑 유닛
121...로케이터 123...연결링크
125...작동링크 126...장착홀
127...클램퍼 129...접촉부재
130...클램핑 유닛 작동부 131...제1 와이어
133...제2 와이어 135...고정그립
137...해제그립 140...걸쇠

Claims (10)

  1.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발판부로 구성되는 사다리의 상단부를 상부 돌출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사다리 고정장치로서,
    상기 사다리의 한 쌍의 지지부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돌출물에 위치고정 가능한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장착되어 상기 서포트를 상기 상부 돌출물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클램핑 유닛을 작동시키도록 와이어를 통해 상기 클램핑 유닛과 연결되는 클램핑 유닛 작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상부 돌출물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상부 돌출물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클램핑 유닛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장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로케이터;
    상기 로케이터의 일측에 연결링크에 의하여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측이 상기 와이어에 의하여 작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링크; 및
    상기 로케이터의 타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작동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부에 접촉부재가 설치되는 클램퍼;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클램퍼의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상부 돌출물의 하측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용 사디리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상부 돌출물과 접촉되는 면이 널링 가공되며, 상기 장착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상부 돌출물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널링 가공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 작동부는
    상기 작동 링크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일단부는 상기 사다리의 일측에 위치되는 고정그립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일단부는 상기 작동링크의 하측에 위치되는 해제그립에 연결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각각의 지지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개구홈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 표면에는 상기 고정그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쇠가 형성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KR1020100053931A 2010-06-08 2010-06-08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KR101185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931A KR101185396B1 (ko) 2010-06-08 2010-06-08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931A KR101185396B1 (ko) 2010-06-08 2010-06-08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121A KR20110134121A (ko) 2011-12-14
KR101185396B1 true KR101185396B1 (ko) 2012-09-24

Family

ID=4550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931A KR101185396B1 (ko) 2010-06-08 2010-06-08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05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태웅물산 롤러가 구비된 사다리 고정장치
KR102479820B1 (ko) 2022-02-18 2022-12-23 (주)남성전력 난간을 가지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9689B (zh) * 2018-08-17 2020-02-21 温州宏量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的悬挂梯
US11982127B2 (en) * 2020-10-29 2024-05-14 Delta Prévention Inc. Ladder safet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1099U (ja) 1982-03-18 1983-09-22 鶴巻 育男 掛梯子安定装置
JP2001003530A (ja) 1999-06-22 2001-01-09 Tanizawa Seisakusho Ltd 屋根上作業用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1099U (ja) 1982-03-18 1983-09-22 鶴巻 育男 掛梯子安定装置
JP2001003530A (ja) 1999-06-22 2001-01-09 Tanizawa Seisakusho Ltd 屋根上作業用安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05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태웅물산 롤러가 구비된 사다리 고정장치
KR102131807B1 (ko) * 2018-11-15 2020-07-08 주식회사 태웅물산 롤러가 구비된 사다리 고정장치
KR102479820B1 (ko) 2022-02-18 2022-12-23 (주)남성전력 난간을 가지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121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396B1 (ko)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US20050284703A1 (en) Mid-span fall protection system
FR2885927A1 (fr) Ensemble compose d'un garde-corps et d'une perche pour la fixation du garde-corps sur la traverse
JP4417539B2 (ja) 屋根工事用作業足場
US2967585A (en) Adjustable scaffold support
JP4942074B2 (ja) 手摺の取付装置
US8230971B2 (en) Ladder support apparatus
KR100904066B1 (ko) 족장 고정용 클램핑 장치
KR102115892B1 (ko)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확보방법
JPH10178717A (ja) 高所作業用安全装置
JP3180696U (ja) 手摺取付金具
JP3554272B2 (ja) 棒体抱持金具及び足場形成方法
JP2006188917A (ja) 転倒防止機能付梯子
JP2012188873A (ja) 養生用シートのクランプ装置
CN114159707B (zh) 一种建筑施工用安全固定装置
JP4535996B2 (ja) 電柱設置装置
JP2001262963A (ja) 梯 子
JP2000297510A (ja) 傾斜屋根の昇降・作業装置
US20060214146A1 (en) Systems for extracting construction forms and other embedded elements
KR200475244Y1 (ko) 사다리용 안전이동장치
FR3073834B1 (fr) Dispositif de hissage portatif
JP2002325516A (ja) 雪吊り具
KR200344096Y1 (ko) 신축 사다리
JP4022317B2 (ja) 仮設足場用ブラケット
JP3551257B2 (ja) 避難用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