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662B1 - 에코 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에코 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662B1
KR101183662B1 KR1020100038798A KR20100038798A KR101183662B1 KR 101183662 B1 KR101183662 B1 KR 101183662B1 KR 1020100038798 A KR1020100038798 A KR 1020100038798A KR 20100038798 A KR20100038798 A KR 20100038798A KR 101183662 B1 KR101183662 B1 KR 101183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value
humidity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211A (ko
Inventor
이민구
박용국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3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66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1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vehicle refrigerat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4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humid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60H2001/3257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a compressing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의 온도에 따른 에어컨 가동 여부로 차량 운행 연비가 급격히 변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차량 내 유용한 위치에서 차량의 실내 온도를 정확히 인지하여 에어컨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에어컨 가동 여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따른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차량 내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연비 비교 정보를 제공하여 에코 드라이빙을 유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코 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ECO GUID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CO GUIDE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에코 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경제 운전(Eco-Driving)에 대한 지침(guide)을 제공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 온도(또는 습도)에 따른 기존의 에어컨 조절은 실내 온도 설정 값을 설정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하거나, 차량의 운전자가 피부로 느끼는 온도를 기준으로 에어컨의 동작을 조절하였다. 일부 고급 승용차의 경우, 뒷좌석 등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센서 등을 통해 획득한 온도 정보를 근거로 에어컨의 동작을 조절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차량 내 에어컨의 조절 방식은 운전자의 편의성에만 그 초점을 맞추어 설계되어, 에어컨 가동에 따른 차량 연비의 효율성 저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며, 차량 운행 중 에어컨 가동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또한, 기존의 차량 내 에어컨의 조절방식은 운전자가 뒷좌석의 탑승자를 배려하여 차량의 에어컨을 계속 가동시키는 경우, 뒷좌석에 탑승한 노약자, 아기, 임산부 등이 감기와 같은 질병을 유발시키고, 운전자가 자신의 체감 온도만으로 에어컨 가동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뒷좌석의 탑승자는 에어컨에서 제공하는 냉방 공기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에어컨 조절방식은 차량 내에 탑승한 모든 탑승자에게 냉방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며, 에어컨의 가동 여부와 관련된 차량의 연비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운전자의 에코-드라이빙(Eco-Driving)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의 의미 있는 위치에서의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내에 탑승한 모든 탑승자가 효율적으로 에어컨의 냉방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에어컨 가동에 대한 가이드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경제 운전(Eco-Driving)에 대한 가이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에코 가이드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에코 가이드 시스템은, 차량 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온도 값/습도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값/습도 값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송신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 값 및 습도 값을 제공받고, 상기 차량 내의 OBD-2(On Board Diagnosis 2)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차량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상기 온도 값 및 상기 습도 값 별로 누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로 누적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의 평균 연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평균 연비 정보와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비교한 연비 비교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플랫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에코 가이드 제공 방법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센서 모듈이 차량 내의 온도/습도를 전기적인 신호인 온도 값/습도 값으로서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값/습도 값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단말 플랫폼이 상기 차량 내의 OBD-2(On Board Diagnosis 2)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서 상기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플랫폼이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온도 값 및 습도 값을 전송받아서, 상기 산출된 실시간 연비 정보를 상기 온도 값 및 상기 습도 값 별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로 누적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의 평균 연비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평균 연비 정보와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비교한 연비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대한 온도 정보/습도 정보를 운전자가 제공받아 더욱 쾌적한 주행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차량 내의 적절한 상황인지를 통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케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온도/습도별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평균 연비 정보를 획득하고, 평균 연비 정보와 실시간 연비 정보를 운전자에게 비교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온도/습도와 차량 연비에 대한 상관관계를 인지할 수 있어 차량의 에코 드라이빙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차량에 관한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코 가이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플랫폼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모듈의 외관 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센서 모듈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모듈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플랫폼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그 명확한 구분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값'이란 용어와 '정보'라는 용어가 혼용되어 기재 된다. 또한, 이들 용어들은 '데이터' 또는 '비트 단위의 디지털 신호'의 용어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해석에 따라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해석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코 가이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코 가이드 시스템(500)은 OBD-2(On Board Diagnosis 2) 인터페이스 모듈(200), 단말 플랫폼(300) 및 센서 모듈(400)을 포함한다.
OBD-2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OBD 2 포트를 통해 차량에 내장된 OBD-2 시스템(100)과 연결되고, OBD-2 시스템(100)으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 예컨대, 차량 연비 판단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서 단말 플랫폼(300)으로 제공한다.OBD-2 시스템(100)은 차량 내의 각종 기계 장치들과 전자 장치들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는 시스템으로서, MAF(Mass Air Flow) 센싱 정보, MAP(Manifold Absolute Press) 센싱 정보, 인젝터 연료 분사량 정보,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 등과 같은 차량 연비 판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단말 플랫폼(300)은 OBD-2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통해 상기 차량의 연비 판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센서 모듈(400)로부터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예컨대, 무선 센서 네트워크)으로 제공받아 차량 운행중 운전자에게 에코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센서 모듈(400)은 차량 내의 유용한 위치에 설치되어, 해당 위치에서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인 온도 값 및 습도 값을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 플랫폼(3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센서 모듈(400)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전자 의자 뒷부분에 그물과 가죽 포켓의 형태로 되어 있는 곳에 부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고정 고리와 같은 고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모듈(400)은 고정 고리를 통해 운전자 의자 뒷부분에 있는 그물이나 가죽 포켓에서 고정된 상태로 운행중 센서 정보 즉, 온도 값 및 습도 값을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에코 가이드 시스템(500)에 구비된 상기 단말 플랫폼(300)은 차량 내의 유용한 위치에 설치된 센서 모듈(400)로부터 유용한 위치에서의 온도 및 습도 값을 실시간으로 무선을 통해 제공받아 각각의 온도 변화에 따른 차량 운행 연비 정보(이하, '실시간 연비 정보'라 한다.)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한다. 이때 실시간 연비 정보의 획득은 OBD-2 포트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관련 정보 즉, MAF 센싱 정보, MAP 센싱 정보, 인젝터 연료 분사량 정보, 차량의 주행 거리 정도 등을 가공하여 해당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 플랫폼(300)은 차량 내 유용한 위치에서의 온도/습도 정보와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운전자에게 해당 차량의 기존 운행에 대한 차량 연비 정보와 실시간으로 차량 내 온도에 따른 연비 비교 정보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운전자가 에코 드라이빙을 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한다.
이하, 도 2 및 도 3, 4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 플랫폼(300) 및 상기 센서 모듈(400)이 상세히 기술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플랫폼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플랫폼(300)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모듈(도 1의 400)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 값 및 습도 값을 무선으로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차량 내의 OBD-2(On Board Diagnosis 2)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 받은 차량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한다. 이때, 상기 단말 플랫폼(300)은 상기 산출된 실시간 연비 정보를 상기 온도 값 및 상기 습도 값 별로 누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로 누적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의 평균 연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평균 연비 정보와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비교한 연비 비교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플랫폼(300)은 연비 산출부(310), 정보 수집부(32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330), 메모리부(340), 제어부(350), 정보 가공부(360), 표시부(370) 및 사용자 입력부(380)를 포함한다.
연비 산출부(310)는 OBD-2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통해 상기 OBD-2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MAF(Mass Air Flow) 센싱 정보, MAP(Manifold Absolute Press) 센싱 정보, 인젝터 연료 분사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서, 실시간 연비 정보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OBD-2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MAF 센싱 정보와 MAP 센싱 정보와 같은 센싱 정보들은 차량의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량을 결정하기 위해서 엔진에 들어오는 공기량을 감지하는 정보로서, 상기 연비 산출부(310)는 MAF 센싱 정보와 MAP 센싱 정보와 상기 주행 거리 정보를 취합하여 실시간 연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인젝터 연료 분사량 정보와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취합하여 실시간 연비 정보를 산출한다.
정보 수집부(320)는 상기 연비 산출부(310)에 의해 산출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330)을 통해 센서 모듈(400)로부터의 온도 값/습도 값을 무선으로 입력받아서,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수집한다.
메모리부(340)는 RAM(Random Access Memory), EDORAM(Enhanced Data Output RAM), SDRAM(Synchronous DRAM),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RAM) 등과 같은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수집부(320)에 의해 수집된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전달받아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며, 메모리 사이즈를 고려할 때, 룩-업(LOOK-UP)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350)는 단말 플랫폼의 내부에 구성된 각 구성들(310, 320, 330, 340, 360, 370, 38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기본적으로, 평균 연비 산출부(352)와 비교부(354)를 포함한다. 상기 평균 연비 산출부(352)는 상기 메모리부(340)부터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로 저장되어 누적된 실시간 연비 정보를 입력받아서 평균 연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비교부(354)는 상기 연비 산출부(310)로부터 제공되는 현재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평균 연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연비 비교 정보(C1)로서 생성한다. 이 연비 비교 정보(C1)는 최종적으로 운전자에게 경제 운전(Eco-Driving)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정보로서 사용된다. 또한, 제어부(350)는 경제 운전(Eco-Driving)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정보 외에 운전자에게 에어컨 가동 여부에 대한 지침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에어컨 상태 정보(C2)를 추가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를 구성하는 비교부(354)가 상기 센서 모듈(400)로부터의 온도 값 및 습도 값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직접 입력받아서, 상기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임계 범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 내에 설치된 에어컨 가동 상태가 부적절함을 통보하는 상기 에어컨 상태 정보를 상기 연비 비교 정보와 함께 제공한다. 여기서, 임계 범위 값은 운전자에 의해 기 설정된 값으로서, 사용자 입력부(380)를 통해 입력되고, 입력된 임계 범위 값은 메모리부(340)에 저장되거나 제어부(354) 내의 구비된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비 비교 정보(C1)와 에어컨 상태 정보(C2)는 제어부로부터 동시에 출력되거나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경우에서는, 사용자 입력부(380)는 운전자에게 일반 보기 모드와 상세 보기 모드를 제공한다. 운전자가 사용자 입력부(380)를 통해 일반 보기 모드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354)는 에어컨 상태 정보(C2)를 출력하고, 상세 보기 모드를 설정한 경우, 연비 비교 정보(C1)를 출력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단말 플랫폼(300)에 구비된 상기 정보 가공부(360)는 제어부(350)로부터 제공되는 연비 비교 정보(C1)와 에어컨 상태 정보(C2)를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정보로 가공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 가공부(360)에는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상기 연비 비교 정보(C1)와 상기 에어컨 상태 정보(C2)를 그래프 형태의 정보, 게이지 형태의 정보, 수치 형태의 정보, 그래픽 형태의 정보 및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정보가 조합된 시각적인 정보의 형태로 가공한다.
표시부(3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 수단을 구비하여, 정보 가공부(360)에 의해 시각적인 정보로 가공된 연비 비교 정보(C1)와 에어컨 상태 정보(C2)를 그래프, 게이지, 수치, 그래픽 및 이들 중 적어도 2개가 조합된 형태로 운전자에게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플랫폼(300)은 OBD-2 포트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연비 판단에 관한 정보(MAF, MAP, 인젝터 연료 분사량 등)를 OBD-2 인터페이스 모듈(330)을 통해 공급받고, 센서 모듈(400)로부터 제공되는 온도/습도 정보를 무선(무선 센서 네트워크)으로 제공받아 운행중 운전자에게 에코 드라빙을 위한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단말 플랫폼은, 센서 모듈(400)을 차량 내의 유용한(또는 의미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온/습도 값을 실시간으로 무선을 통해 제공받아 각각의 온도 변화에 따른 차량 운행 연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때 차량 운행 연비 정보의 획득은 자동차 OBD-2 포트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관련 정보(MAF, MAP, 인젝터 연료 분사량 등)등을 가공하여 해당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산출해 내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플랫폼(300)은 차량 내 유용한 위치에 대한 온/습도 정보와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의 기존 운행에 대한 차량 연비 정보와 실시간으로 차량 내 온도에 따른 연비 비교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에코 드라이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센서 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모듈의 외관 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센서 모듈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내의 유용한 위치 예컨대, 운전자 의자 뒷부분에 형성된 그물과 가죽 포켓의 형태로 되어 있는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앞면에 고정 고리(402)를 구비하여, 이 고정 고리(402)를 통해 운전자 의자 뒷부분에 있는 그물이나 가죽 포켓에 고정된 상태로 센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차량 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케이스의 후면에는 다수의 에어 홀(air hole: 404)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관 형태를 갖는 센서 모듈(400)은 단말 플랫폼(300)으로 차량 내의 온도 정보와 습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온도/습도 센서부(450)를 구비하며, 센서 모듈(400) 내에 구비된 배터리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기 위하여 진동 센서부(420)를 추가로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은 진동 센서부(440)가 차량의 진동을 감지한 경우 즉, 차량이 운행 중인 경우에 한해서 온도/습도 센서부(440)에 의해 감지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단말 플랫폼(3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차량이 정상 주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는 센서 모듈(400)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여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센서 모듈(400)은 진동 센서부(420)와 온도/습도 센서부(440) 외에 사용자 입력부(410), 제어부(43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450)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4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센서 모듈(400)을 구동시키는 ON 신호를 출력한다.
진동 센서부(420)는 사용자 입력부(410)로부터의 ON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진동 즉, 차량의 운행 시작 여부의 감지를 개시하는데, 차량의 진동이 없는 경우, 즉, 차량이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 또는 차량의 진동이 미약한 경우, 즉, 차량이 서행하는 경우에는 제1 진동 값을 출력하고, 차량이 정상 주행 즉, 일정 속도 값 이상으로 주행을 시작하면, 제2 진동 값을 출력한다.
제어부(430)는 일종의 CPU로서, 기본적으로 센서 모듈(400)을 구성하는 각 구성 블록들(410, 420, 440, 4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430)가 진동 센서부(420)로부터 제1 진동 값을 입력받으면, 각 구성 블록들(410, 420, 440, 450)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제어한다. 여기서, 슬립 모드란 각 구성 블록들을 연결하는 신호 라인은 동작 상태에 있으나 이 신호 라인을 통해 어떠한 제어나 정보의 전송도 없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는 온도/습도 센서부(440)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I/F)(450)이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부(430)로부터 어떠한 제어나 정보를 전송받지 않는다. 따라서, 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는 센서 모듈(400)의 전력 소비에 있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는 무선 통신 기능이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센서 모듈(400)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진동 센서부(420)가 차량의 정상 주행 중임을 감지하면, 인터럽트 신호 즉, 제2 진동 값을 생성하여 제어부(430)로 출력하고, 제어부(430)는 상기 제2 진동 값에 응답하여 센서 모듈(400)을 구성하는 각 구성 블록들(410, 420, 440, 450)을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Wake up)로 전환한다. 이 전환된 시점 이후, 제어부(430)는 각 구성 블록들로 어떠한 제어나 정보의 전송을 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430)는 차량이 정상 주행 중임을 알리는 제2 진동 값을 진동 센서부(420)로부터 입력받으면, 온도/습도 센서부(440)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450)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동작 개시 신호(DS)를 출력하고, 온도/습도 센서부(440)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450)은 동작 개시 신호(DS)에 응답하여 감지 동작 및 무선 통신 동작을 각각 개시한다.
온도/습도 센서부(440)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30)로부터의 동작 개시 신호(DS)에 응답하여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차량의 내의 유용한 위치에서의 현재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및 습도를 전기적 신호인 온도 값 및 습도 값으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450)은 상기 제어부(430)로부터의 동작 개시 신호(DS)에 응답하여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온도/습도 센서부(440)로부터의 온도 값/습도 값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단말 플랫폼(3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센서 모듈(400)은 운전자 의자 뒷부분에 그물과 가죽 포켓의 형태로 되어 있는 곳에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탈부착할 수 있는 고정고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운전자 의자 뒷부분에 있는 그물이나 가죽 포켓에서 고정된 상태로 관련 센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해 낼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400)은 기본적으로 세 가지의 센서로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진동센서를 구비하는데,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는 개별적으로 설계될 수도 있으나, 센서 모듈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체형의 복합 센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동센서는 별개로 구현된다. 이때, 센서 모듈 내에 구비된 진동센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센서 모듈(400) 내에 구비된 제한적 자원인 배터리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다. 즉, 진동센서가 차량의 정상 주행에 대응하는 진동을 감지하면, 센서 모듈(400)을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 시킴으로써,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하, 지금까지 설명한 에코 가이드 시스템에 기초하여, 아래에서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순서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센서 모듈의 동작과정과 단말 플랫폼의 동작과정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모듈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운전자가 센서 모듈(도 4의 400)의 동작시키기 위하여 센서 모듈(400)의 사용자 입력부(도 4의 410)에 구비된 스위치 방식(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현된 입력 수단을 통해 센서 모듈을 ON 시키고, 차량 내의 유용한 위치에 설치한다(S510).
이어, 센서 모듈(도 4의 400)은 초기에 슬립(Sleep) 모드로 동작하게 되고(S520), 진동 센서부(420)가 차량의 정상 주행으로 인해 기준치 이상의 물리적인 진동을 감지하면(S530), 감지된 물리적인 진동을 제2 진동 값으로서 인터럽트를 발생한다(S540).
이어, 센서 모듈(도 4의 400)의 제어부(도 4의 430)(또는 CPU)는 발생한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자신뿐만 아니라 센서 모듈(400) 내의 다른 모든 구성 블록들을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 즉, ON 상태로 전환한다.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된 제어부(도 4의 430)는 진동 센서부(420)로부터의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동작 개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온도/습도 센서부(도 4의 440)로 전달하면, 온도/습도 센서부는 동작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을 개시한다(S550). 이때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도 4의 450)의 무선 통신 기능도 ON이 된다(S560).
이어,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ON) 된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도 4의 450)은 온도/습도 센서부(도 4의 440)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값/습도 값을 무선 통신 전송 규격에 따른 전송 포맷으로 변환하여 단말 플랫폼(도 1의 300)에 무선 전송하게 된다. 이 같은 동작을 수행하다가 다시 슬립 모드로 되돌아가 다음의 진동 값이 감지될 때까지 저전력으로 대기하게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플랫폼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운전자가 단말 플랫폼 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도 2의 380)를 통해 최소값(S1) 및 최대값(S2)을 포함하는 온/습도 설정 값(S1)을 세팅하게 된다(S610).
이어, 도 4의 센서 모듈(400)로부터 온도 값 및 습도 값(T1)을 실시간으로 무선 수신하게 된다(S620). 이때, 운전자는 사용자 입력부(도 2의 380)을 통해 일반 보기 모드 및 상세 보기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한다.
이어, 사용자가 일반 보기 모드를 선택하고(S630), 무선 수신된 현재의 온도 값 및 습도 값(T1)이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임계 범위(S1 ~ S2)를 초과(T1 > S2)하게 되면(S640), 단말플랫폼이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의 에어컨 상태가 부적절함을 알리는 에어컨 상태 정보를 알린다(S650). 이때,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도 있도록 에어컨 상태 정보를 그래프, 게이지, 수치, 그래픽 등과 같은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한다.
이어, 운전자가 사용자 입력부(도 2의 380)를 통해 상세 정보 보기 모드를 선택하면(S660), 단말 플랫폼(300)은 데이터베이스 내에 누적 저장되어 있는 온/습도별 차량의 평균 연비와 현재 운행중인 실시간 연비 정보를 비교한 연비 비교 정보를 제공한다(S670). 이때 상기 에어컨 상태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과 같이 효율적인 다양한 방법 예컨대, 그래프와 게이지, 수치, 그림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최종적으로 운전자는 위와 같은 에어컨 상태 정보와 연비 비교 정보를 참고로 에어컨 동작을 조절한다(S68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고급 차량에서만 제공되던 실내 다양한 위치에 대한 온도/습도 정보를 차량의 연비 정보와 연계시켜 운전자가 제공받아 더욱 쾌적한 주행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차량 내의 적절한 상황인지를 통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케 된다.
또한, 유아 등을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카시트 등에 온도/습도 센서 모듈을 손쉽게 장착하여 유아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적절한 온/습도 제어를 해 줌으로 유아 등이 감기에 걸릴 수 있는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다. 노약자와 임산부 등의 경우에도 핸드백과 가방, 옷의 등에 부착이 가능한 온도/습도 센서 모듈을 설치하여 해당 동일한 해당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경제 운전(Eco-Driving)을 가이드(guide) 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온도 값/습도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값/습도 값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송신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 값 및 습도 값을 제공받고, 상기 차량 내의 OBD-2(On Board Diagnosis 2) 시스템으로부터의 차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상기 온도 값 및 상기 습도 값 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에 대한 평균 연비 정보와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비교한 연비 비교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말 플랫폼;
    을 포함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OBD-2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OBD-2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MAF(Mass Air Flow) 센싱 정보, MAP(Manifold Absolute Press) 센싱 정보, 인젝터 연료 분사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산출하는 연비 산출부;
    산출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로 저장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입력받아서 평균 연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연비 산출부로부터 제공되는 현재의 실시간 연비 정보와 상기 평균 연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상기 연비 비교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연비 비교 정보를 제공받아서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상기 온도 값/습도 값을 입력받아서,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정렬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제공하는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연비 비교 정보를 그래프 형태의 정보, 게이지 형태의 정보, 수치 형태의 정보, 그래픽 형태의 정보 및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정보가 연동한 정보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비 비교 정보를 그래프 정보, 게이지 정보, 수치 정보, 그래픽 정보 및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정보가 조합된 정보의 형태로 가공하는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이 탑재된 정보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온도 값 및 습도 값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내에 설치된 에어컨 상태가 부적절함을 통보하는 에어컨 상태 정보를 상기 연비 비교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일반 보기 모드 및 상세 보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반 보기 모드에서, 상기 에어컨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상세 보기 모드에서, 상기 연비 비교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차량의 정지 시 또는 서행 운행 시에는, 슬립 모드(sleep mode)를 유지하여, 상기 온도 값/습도 값을 상기 단말 플랫폼으로 무선 송신하지 않고,
    상기 차량의 정상 운행 시에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wake up mode)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온도 값/습도 값을 상기 단말 플랫폼으로의 무선 송신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차량의 운행 시에 발생하는 상기 차량의 물리적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물리적 진동을 전기적 신호인 진동 값으로 출력하는 진동 센서부;
    상기 진동 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진동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웨이크 업 모드로의 전환을 알리는 동작 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차량의 내의 현재의 온도 및 습도에 대응하는 상기 온도 값/습도 값을 출력하는 온도/습도 센서부; 및
    상기 동작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온도/습도 센서부로부터의 상기 온도 값/습도 값을 상기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 플랫폼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차량 내부의 임의 곳에 고정되도록 고정 고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시스템.
  11. 경제 운전(Eco-Driving)을 위한 에코 가이드 제공 방법에 있어서,
    차량 내부에 설치된 센서 모듈이 차량 내의 온도/습도를 전기적인 신호인 온도 값/습도 값으로서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값/습도 값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
    단말 플랫폼이 상기 차량 내의 OBD-2(On Board Diagnosis 2)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서 상기 차량의 실시간 연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 플랫폼이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온도 값 및 습도 값을 전송 받아서, 산출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상기 온도 값 및 상기 습도 값 별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값/습도 값 별로 누적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의 평균 연비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평균 연비 정보와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비교한 연비 비교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코 가이드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온도 값 및 습도 값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내에 설치된 에어컨 가동의 조절 여부를 묻는 에어컨 상태 정보를 상기 연비 비교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상기 단말 플랫폼 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일반 보기 모드 및 상세 보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일반 보기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에어컨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세 보기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연비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상태 정보와 상기 연비 비교 정보 각각은
    그래프 정보, 게이지 정보, 수치 정보, 그래픽 정보 및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정보가 조합된 정보의 형태로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단계는,
    OBD-2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MAF(Mass Air Flow) 센싱 정보, MAP(Manifold Absolute Press) 센싱 정보, 인젝터 연료 분사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실시간 연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제공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생성된 온도 값/습도 값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모듈의 내부에 구비된 진동 센서가 차량의 물리적인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진동의 레벨이 차량의 정상 주행에 대응하는 일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진동 센서가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한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 모듈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가 감지동작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발생한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 모듈의 내부에 구비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이 무선 통신 기능을 개시하는 단계; 및
    개시된 상기 무선 통신 기능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온도 값 및 습도 값을 실시간으로 상기 단말 플랫폼으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 가이드 제공 방법.
KR1020100038798A 2010-04-27 2010-04-27 에코 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118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798A KR101183662B1 (ko) 2010-04-27 2010-04-27 에코 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798A KR101183662B1 (ko) 2010-04-27 2010-04-27 에코 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211A KR20110119211A (ko) 2011-11-02
KR101183662B1 true KR101183662B1 (ko) 2012-09-17

Family

ID=4539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798A KR101183662B1 (ko) 2010-04-27 2010-04-27 에코 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335A (ko) 2014-12-02 2016-06-10 (주)닥터소프트 차량 연비 비교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010A (ja) 2004-11-04 2006-05-25 Toyota Motor Corp 燃料情報表示装置
US20070129878A1 (en) 2005-12-07 2007-06-07 Netistix Technologies Corp. Methods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sumption and fuel efficiency in vehicles
JP2008163781A (ja) 2006-12-27 2008-07-17 Toyota Motor Corp 省燃費運転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010A (ja) 2004-11-04 2006-05-25 Toyota Motor Corp 燃料情報表示装置
US20070129878A1 (en) 2005-12-07 2007-06-07 Netistix Technologies Corp. Methods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sumption and fuel efficiency in vehicles
JP2008163781A (ja) 2006-12-27 2008-07-17 Toyota Motor Corp 省燃費運転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211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03853B (zh) 车辆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057826A (zh) 汽车组合仪表控制单元、汽车组合仪表及其显示控制方法
JP2015056948A (ja) 車両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装置
CN113815381B (zh) 车载空调的控制方法、控制装置、控制系统和车辆
CN102416916B (zh) 一种车载自动空调和音响系统的共屏显示控制方法
KR101183662B1 (ko) 에코 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N111976626A (zh) 模式控制方法、装置、车辆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441642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280004B1 (ko) 충전시스템 연계형 배터리 온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12021733A (ja) 空気調和機
CN104848474B (zh) 可穿戴设备的误判确定方法、装置及系统
JP4577390B2 (ja) 車両用操作装置
CN105438094B (zh) 一种车载hud开关机的控制方法及系统
JP5278383B2 (ja) 燃費情報提供装置、電子制御ユニット、燃費情報提供方法
CN201437349U (zh) 汽车空调能耗提醒装置和空调系统
CN113733923A (zh) 一种纯电动汽车自行设定回收扭矩的控制方法及装置
JP4003589B2 (ja) 自動車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12594876A (zh) 一种空调风速调节遥控器及空调
CN111292493A (zh) 一种振动提醒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CN205890697U (zh) 电动汽车以及用于电动汽车低速行驶时的行人提醒装置
JP2015054642A (ja) 車両情報出力装置
CN213441967U (zh) 一种汽车内部控制系统
CN218141143U (zh) 一种集成式座椅控制系统
JP2015134524A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4334416A (zh) 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