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347B1 -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 Google Patents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347B1
KR101183347B1 KR1020110085930A KR20110085930A KR101183347B1 KR 101183347 B1 KR101183347 B1 KR 101183347B1 KR 1020110085930 A KR1020110085930 A KR 1020110085930A KR 20110085930 A KR20110085930 A KR 20110085930A KR 101183347 B1 KR101183347 B1 KR 101183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light guide
guide plate
forming apparatus
patter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최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규 filed Critical 최대규
Priority to KR102011008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63Production of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구적인 커터에 의해 설정된 간격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며,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도록 균일한 산란을 하도록 된 원뿔형태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광판(1)에 깊어질수록 점차 그 내경이 좁아지는 뿔 형태의 홈(2)을 각인하도록 된 뿔 형의 커터날(3)이 단부에 구비된 봉 형상의 커터봉(4)과, 상기 커터봉(4)의 커터날(3)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동이 자유 자재 하도록 고정하는 다수의 관통공(5)을 가지는 고정체(6)로 이루어진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A Cutter of a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in a Light guiding plate}
본 발명은 각종 액정표시장치, 조명간판, 핸드폰, 개인휴대용정보단말기(PDA) 등에서 사용되는 도광판에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균일한 조도를 가지면서 반사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진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형성장치용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구적인 커터에 의해 설정된 간격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며,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도록 균일한 산란을 하도록 된 뿔형태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액정표시장치, 조명간판, 핸드폰, 개인휴대용정보단말기(PDA) 등에서 사용되는 도광판(Light guide panel)은 광원으로부터 빛을 균일하게 산란 및 확산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일종의 플레이트이다.
이와 같은 도광판의 판면에는 광원에서 입사되는 빛은 균일한 조도를 가지면서 반사하여 발광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광판이 적용되는 면광원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한국특허번호 제10-947264호(명칭: 레이저를 이용한 패턴형성장치)에 개략적으로 게재된 바와 같이 빛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산란 및 확산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도록 된 반사판과, 도광판의 상면에 위치되어 도광판을 통해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된 확산판과, 상기 확산판의 상부에 위치되어 확산판에 의해 확산된 빛을 정렬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된 프리즘시트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도광판은 유리 또는 아크릴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받아들여 산란 및 확산하여 전 면적에 걸쳐 군일한 조도로 방출하도록 된 홈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패턴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내부로 확산시켜 균일한 조도를 얻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기존에는 공보에 개재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도광판에 조사하여 도광판의 표면에 설정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즉 입사된 레이저의 열에 의해 도광판의 표면에 홈 형태의 패턴이 형성된다.
물론 레이저가 아닌 가구적인 커터(고강도의 날을 가진 커터)를 이용하여 도광판의 표면에 스크래치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수많은 패턴(하나의 도광판에 대략 45-50만개 가량의 패턴이 형성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확한 간격 및 길이와 깊이로 형성하기 어려워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 레이저를 이용하여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으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패턴을 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은 상기 공보에 게재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설정된 형태로 조사하여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광판의 표면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로, 레이저에 의해 도광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패턴의 내부는 용융된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어 패턴의 깊이가 일정하지 않고 면이 불규칙하여 빛을 확산시킬 때 균일하지 못하여 상(像)이 불명료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로, 적은 갯 수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패턴형성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로, 단순히 도광판의 표면을 레이저로 녹여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도광판의 곡률에 대응하여 깊이조절을 따라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도광판의 표면에 가장 이상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뿔형 홈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적인 커터에 의해 설정된 간격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며,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도록 균일한 산란을 하도록 된 원뿔형태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는 도광판에 깊어질수록 점차 그 내경이 좁아지는 뿔 형태의 홈을 각인하도록 된 뿔 형의 커터날이 단부에 구비된 봉 형상의 커터봉과, 상기 커터봉의 커터날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동이 자유 자재 하게 출몰되도록 고정하는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는 고정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커터날은 커터봉의 양 측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고정체의 양측에서 각각 출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체는 판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이 상하좌우로 연속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관통공은 상하좌우로 연속 반복되는 바둑판형태로 정렬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관통공은 상하좌우로 연속 반복되는 마름모형태로 정렬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고정체는 탄성을 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체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고정체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판체들이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게 배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커터봉의 단부에는 뿔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커터날이 구비된 고정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커터봉의 단부에 구비된 커터날은 뿔 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주변 부위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면으로 이루어진 주변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뿔 형태의 커터날은 단면상 원형상의 원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뿔 형태의 커터날은 단면상 다각 형상의 다각 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다각 뿔 형태의 커터날은 단면상 사각형상의 사각 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고정체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데이터를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연산하여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방출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체에서 중앙부와 중앙과 네모서리의 사이 공간의 중앙부에 타부위보다 커터봉이 더욱 조밀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는 기구적인 커터에 의해 설정된 간격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설정된 깊이를 가지며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뿔 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도록 균일한 산란을 하게 되어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한 번의 동작으로 두 개의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대량생산에 유리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보인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발췌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커터날을 보인 일부 발췌단면 예시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23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에서 커터날의 일 예를 보인 일부 발췌 사시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에서 커터날의 다른 예를 보인 일부 발췌 사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는 도광판(1)에 깊어질수록 점차 그 내경이 좁아지는 뿔 형태의 홈(2)을 각인하도록 된 뿔 형의 커터날(3)이 단부에 구비된 봉 형상의 커터봉(4)과, 상기 커터봉(4)의 커터날(3)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동이 자유 자재 하도록 고정하는 다수의 관통공(5)을 가지는 고정체(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체(6)를 향하여 가압되는 도광판(1)의 판면에 상기 커터날(3)이 파고들어 홈(2)을 가공하게 된다.
즉 뿔 형태의 홈(2)을 각인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구적인 커터날(3)에 의해 깊어질수록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뿔 형태의 홈(2)으로 이루어진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도록 균일한 산란을 하게 되어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체(6)에 고정된 커터봉(4)과 도광판(1)과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면 각인되는 홈(2)의 깊이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커터봉(4)의 길이를 조절하면 도광판에 각인되는 홈(4)의 깊이가 조절되어 각기 다른 깊이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커터날(3)은 커터봉(4)의 양 측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고정체(6)의 양측에서 각각 출몰된다.
따라서 고정체(6)의 양 측부에서 도광판(1)들이 각각 가압되면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한 번의 동작으로 두 개의 도광판(1)에 패턴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대량생산에 유리하여 생산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한 고정체(6)는 판체로 이루어지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5)이 상하좌우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고,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관통공(5)은 상하좌우로 연속 반복되는 바둑판형태로 정렬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5)은 상하좌우로 연속 반복되는 마름모형태로 정렬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도광판(1)들의 판면에 지그재그형태로 홈(2)들의 정렬된 사이 간격이 좁아져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패턴을 구성하는 홈(2)들이 조밀하게 정렬될수록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어, 품질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체(6)는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판면이 굴곡진 도광판(1)의 판면에 적합하게 대응하여 완전 밀착시킬 수 있어, 굴곡진 판면에 홈(2)을 안정되게 각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체(6)는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판체들이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게 배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커터봉(4)의 단부에는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뿔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커터날(3)이 구비된 고정판(7)이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커터봉(4)에 다수의 커터날(3)을 구비하여 최종적으로 커터봉(4)과 관통공(5)의 갯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단가가 낮아져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커터봉(4)의 단부에 구비된 커터날(3)은 도 19 및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뿔 형의 몸체(8)와, 상기 몸체(8)의 주변 부위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면으로 이루어진 주변면(9)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뿔 형태의 커터날에 의해 도광판(1)이 각인될 때 홈(2)의 주변 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주변면(9)이 방지하게 된다.
즉 변형된 홈의 주변 부위에서 빛의 산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산란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뿔 형태의 커터날(3)은 도 2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원형상의 원뿔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면상 다각형상의 다각 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다각 뿔 형태의 커터날(3)은 도 2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사각형상의 사각 뿔 형태 또는 팔각 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홈(2)의 형태를 원형의 뿔 형태 혹은 사각 상의 피라미드형 홈 형태로 각인할 수 있어, 산란의 형태를 동심원형태로 하게 되어 더욱 균일한 조도를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체(6)에는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와, 상기 온도센서(10)에 의해 감지된 온도데이터를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연산하여 전원부(11)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된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방출하는 가열수단(13)이 구비되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체(6)로 근접되는 도광판(1)의 판면에 가열된 커터봉(4)으로 각인하여 홈(2)을 형성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각인하게 된다.
또한 도 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고정체(6)에서 중앙부와 중앙과 네모서리의 사이 공간의 중앙부에 타부위보다 커터봉(4)이 더욱 조밀하게 구비된다.
즉 도광판(1)의 양측에 광원이 위치되어 빛을 양측에서 유입받을 경우, 광원들의 사이 간격에 의해 멀리 떨어져 빛의 유입이 타 부위보다 적은 부위의 산란양을 증대시켜 보정해 줌으로서, 도광판(1)의 전 면적에 걸쳐 균일한 조도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실시예의 커터가 성형장치(15)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커터는 도광판(1)들이 가압수단(14)에 의해 양 측부에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성형장치(15)에 설치되어 근접되어 가압되는 도광판(1)의 판면에 홈(2)을 각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광판(1)들이 가압수단(14)에 의해 본 실시예의 커터의 양 측면으로 각각 근접되어 밀착된 후 더욱 가압될 때, 가압수단(14)의 가압력에 의해 커터봉(4)의 커터날(3)이 도광판(1)의 판면으로 파고들어 각인함으로써 홈(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커터의 양측에서 동시에 근접되는 도광판(1)들에 의해 커터날(3)이 비 정렬된 상태에 있어도 도광판(1)들의 사이에서 정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정렬되어 홈(2)을 안정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양측의 도광판(1)에 동일 하중으로 홈(2)을 각인하게 된다.
즉 일 측으로 편중된 하중으로 홈(2)을 각인하지 않아, 도광판(1)으로의 과도한 하중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도광판(1)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는 기구적인 커터에 의해 설정된 간격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설정된 깊이를 가지며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뿔 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1 : 도광판, 2 : 홈,
3 : 커터날, 4 : 커터봉,
5 : 관통공, 6 : 고정체,
7 : 고정판, 8 : 몸체,
9 : 주변면, 10 : 온도센서,
11 : 전원부, 12 : 제어부,
13 : 가열수단, 14 : 가압수단,
15 : 성형장치.

Claims (17)

  1. 도광판에 깊어질수록 점차 그 내경이 좁아지는 뿔형태의 홈을 각인하도록 된 뿔형의 커터날이 단부에 구비된 봉 형상의 커터봉과,
    상기 커터봉의 커터날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동이 자유 자재하도록 고정하는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는 고정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터날은 커터봉의 양 측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고정체의 양측에서 각각 출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체는 판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이 상하좌우로 연속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관통공은 상하좌우로 연속 반복되는 바둑판형태로 정렬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관통공은 상하좌우로 연속 반복되는 마름모형태로 정렬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체는 탄성을 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체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체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판체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게 배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터봉의 단부에는 뿔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커터날이 구비된 고정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터봉의 단부에 구비된 커터날은 뿔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주변 부위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면으로 이루어진 주변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뿔형태의 커터날은 단면상 원형상의 원뿔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뿔형태의 커터날은 단면상 다각형상의 다각뿔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각뿔형태의 커터날은 단면상 사각형상의 사각뿔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체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데이터를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연산하여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방출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체에서 중앙부와 중앙과 네모서리의 사이 공간의 중앙부에 타부위보다 커터봉이 더욱 조밀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터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도광판에 각인되는 홈의 깊이가 조절되도록 된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각뿔형태의 커터날은 단면상 팔각형상의 팔각뿔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KR1020110085930A 2011-08-26 2011-08-26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KR101183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30A KR101183347B1 (ko) 2011-08-26 2011-08-26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30A KR101183347B1 (ko) 2011-08-26 2011-08-26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347B1 true KR101183347B1 (ko) 2012-09-14

Family

ID=4711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930A KR101183347B1 (ko) 2011-08-26 2011-08-26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34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6587B2 (ja) 導光板および面発光装置
US64679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ser machining light guides, light guides obtained thereby, and back-lit screens incorporating such light guides
JP4392445B2 (ja) 導光板の製造方法、導光板、及び当該導光板を用いた発光式看板
TWI380896B (zh) 導光板的製造方法、導光板、背光裝置、照明裝置、及導光板製造裝置
JP4611202B2 (ja) 導光板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光源装置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
JP2010257846A (ja) 導光板の製造方法、導光板、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照明装置。
JP4524282B2 (ja) 導光板体
KR101183347B1 (ko) 도광판 패턴형성장치용 커터
JP2015130321A (ja) 照明用導光板およびこれを具える照明装置
CN208999600U (zh) 一种导光板
TW201740143A (zh) 兼具高入光展角及均勻出光之導光板與其製造方法及加工機構
JP5608113B2 (ja) 導光板及び導光板の成形方法
JP2010272483A (ja) 照明装置
JP2010257941A (ja) 導光板の製造方法、導光板、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照明装置
TWI723563B (zh) 燈條結構
KR100844159B1 (ko) 백라이트 장치용 도광판 및 그 도광판의 제조장치
KR101166106B1 (ko)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TWM588200U (zh) 燈條結構
JP2010257847A (ja) 導光板の製造方法、導光板、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照明装置。
KR100367912B1 (ko) 액정표시장치의 후면 발광체용 도광판 제조 장치
JP5222963B2 (ja) 導光板、導光板を有する照明装置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US20130135897A1 (en) Back light unit
KR20070101656A (ko)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519013B1 (ko) 렌즈 어레이를 구비한 발광 유닛 및 발광 유닛의 확산 부재 제조 방법
KR101200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도광판 가공 방법 및 도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