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656A -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656A
KR20070101656A KR1020060032960A KR20060032960A KR20070101656A KR 20070101656 A KR20070101656 A KR 20070101656A KR 1020060032960 A KR1020060032960 A KR 1020060032960A KR 20060032960 A KR20060032960 A KR 20060032960A KR 20070101656 A KR20070101656 A KR 20070101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rooves
light source
plastic plat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휴완
Original Assignee
박휴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휴완 filed Critical 박휴완
Priority to KR102006003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1656A/ko
Publication of KR2007010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duce indicia, symbols, text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한 면에 등 간격을 두고 종 방향이나 횡 방형 또는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01
"자 형상을 갖는 요홈을 형성하되, 상기 요홈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점 더 깊게 형성된 도광판과,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광판인 투광성 플라스틱판과; 상기 플라스틱판의 한쪽 이상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플라스틱판의 배면에 부착 설치되어 광원에서 발생되어 플라스틱판의 배면부로 새어나가는 빛을 전면부로 반사시켜 주는 빛 반사 필름과; 상기 광원을 어느 한쪽 이상의 측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플라스틱판의 일측 또는 양측 또는 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테두리용 커버;로 조명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광원이 직접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 자체가 매우 밝고, 요구되는 밝기로 빛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얇고 다양한 디자인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조명장치에서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 절감 및 조명 장치 자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도광판을 통해 나오는 빛은 눈에 가장 편안한 빛으로 전환되어 인체가 빛으로 인해 유해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레이저를 이용하여 실선 또는 점선형의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생산성 및 빛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 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광판, 플라스틱, 광원, 빛 반사 필름, 커버, 직선과 점선 및 "+"자형 요홈

Description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Transparent Plastic Light Guide Panel and illumination apparatus with light guide panel}
도 1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실선형 "V"자 요홈의 간격을 더욱더 가깝게 생성한 종래 도광판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종래 광 표출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의 (a)-(c)는 도 2에서 광원을 일측과 양측에 설치할 때 투명 플라스틱판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조명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의 (a)-(g)는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요홈들의 배치상태들을 보인 평면 및 횡 단면도.
도 6의 (a)-(c)는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요홈들 중 종 방향과 횡 방향의 요홈 형태를 보인 플라스틱판의 횡단면도.
도 7의 (a)-(c)는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요홈들 중 종 방향과 횡 방향의 요홈 형태를 보인 플라스틱판의 일부 배면 사시도.
도 8의 (a)-(c)는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요홈들 중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게 형성한 종 방향 요홈과 동일한 깊이를 갖는 횡 방향의 요홈들이 일체 로 형성된 형태를 보인 플라스틱판의 평면 및 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조명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상태 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상태 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상태 측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상태 측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장치 중 빛 반사판을 플라스틱판의 주연부까지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라스틱판 2 : 요홈
3 : 광원 4 : 빛 반사 필름
5 : 테두리용 커버 6 : 인쇄물
21 : 실선 요홈 22 : 점선 요홈
23 : "+"자 요홈
본 발명은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광등(EEFL, T5 등)이나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이하 "CCFL"이라 약칭함) 및 발광다이오드(이하 "LED"라 약칭함) 등과 같은 광원이 직접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 자체가 매우 밝고, 요구되는 밝기로 빛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얇고 다양한 디자인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조명장치에서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 절감 및 조명 장치 자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광판을 통해 나오는 빛은 눈에 가장 편안한 빛으로 전환되어 인체가 빛으로 인해 유해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레이저를 이용하여 실선 또는 점선형의 요홈을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 형성하여 빛의 밝기 및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원 발명은 전원의 소비는 최소화하면서도 외부로 발광되는 빛의 밝기를 최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소비자가 사용 시 눈이 피곤하지 않으며, 가시거리를 늘릴 수가 있으며 사방으로 빛이 고르게 전달되는 구조의 평활성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 기구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형광등 또는 전구 등의 광원을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등 카바 내부에 장착하여 등 카바를 통하여 외부에 빛을 제공하거나, 다수개의 전구를 장식구에 결합한 샹드리아 장식등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명기구는 형광등이나 전구 등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외부로 제공되는데 빛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경우 사람의 눈이 몹시 피곤하고, 특히 광원이 형광등인 경우 난시를 초래하여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 또한 유백색의 플라스틱 등 카바 등을 거쳐 간접적으로 빛이 외부로 제공되는 경우 광원의 형상을 은폐하기 위해 종래 대부분의 조명기구는 등 카바가 광원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있으며 이로 인해 조명 등은 매우 두꺼워지고 빛 투과율이 낮아져 빛의 밝기를 밝게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전구 등의 광원을 설치, 사용함으로 전력소비가 과다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조명 등 카바 내로 곤충 등이 진입하게 되어 일정기간 사용 시 곤충 등의 잔류물이 누적 되어 빛의 밝기가 어두워지며, 정기적으로 등 카바를 해체하여 청소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다른 조명 장치로서 광고용 사인(Sign) 장치는 다수개의 형광등 등의 광원을 광투과성 PVC 원단 후면에 장착하여 빛을 외부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광고용 조명 사인(Sign) 장치는 광투과성 및 광확산성이 우수하지 못한 PVC 원단의 결함 때문에 밝고 또한 밝기가 균일한 광고용 조명 사인(Sign) 장치를 위해서는 PVC 원단과 상당한 거리를 두고 후면에 아주 많은 수량의 형광등을 매우 조밀하고 빽빽하게 설치하게 되어 전력 소비가 매우 많으며 또한 결과적으로 매우 두꺼운 광고용 조명 사인(Sign) 장치가 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건물 및 도시 미관을 훼손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형광등, CCFL, LED 등의 광원이 직접 노출되지 않은 채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의 측면에서 조사하고 제공되는 광원을 빛의 굴절성을 이용하여 조명 발광부가 균일하게 밝을 수 있도록 빛을 제공하는 방안들이 제시되어 광고용 사인 및 PC(Personal Computer) 모니터에 사용 되고 있다.
그 중 한 방안은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의 한 면에 수많은 흰색 도트 마크(Dot Mark)를 광원으로부터 멀수록 더욱더 작은 크기로 조밀하게 인쇄를 하여 도광판을 형성시키는 기술인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광판의 경우 밝기 성능이 우수하지 못하여 20.1인치 이하 크기의 PC 모니터용 도광판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큰 사이즈의 조명장치에는 적합하지 못하며,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흰색으로 인쇄된 도트 마크가 퇴색되어 밝기가 점차적으로 떨어지며 불균일한 크기로 인쇄된 흰색의 도트 마크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조명 등에 적용할 경우 흰색의 불균일한 크기의 도트 마크가 현란하여 눈이 아프고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어 조명등 기구에 적용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두 번째 방안으로는 도 1과 같이, 한 장의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A1)의 한면 위에 조각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실선형 "V"자 요홈(A2)을 종 방향으로 배열하는 형태로 형성하되, 광원(A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종 방향 배열의 "V"자 요홈(A2)의 간격을 더욱더 가깝게 생성하는 구성의 도광판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밝기 성능은 전술과 같이 흰색의 도트 마크를 인쇄한 구성의 도광판 보다 우수한 편이나, 광원과 가까운 부분은 요홈 배열들의 간격이 멀어야 하기 때문에 도광판 위에 빛 반사 요홈을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어 도광판의 밝기를 증대하는 데 또한 한계가 있으며, 조각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실선형 "V"자 요홈을 일일이 비등간격으로 생성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또한 비등 간격으로 파이지는 다수개의 실선형 "V"자 요홈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조명등의 경우 비등간격으로 강한 빛이 실선형 "V"자 요홈을 통해 반사되어 배출되므로 결국 빛 자체가 현란하여 눈이 아프고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어 조명등에 적용을 하지 못하고 일부 사인(Sign)에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세 번째 방안으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 10-0541229호인 광 표출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2 및 도 3의 (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이상으로 된 투명플라스틱판(B2)과, 상기 투명플라스틱판(B2)의 일면이나 양면에 서로 평행하도록 파여진 상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빛반사요홈(B3)과, 상기 투명플라스틱판(B2)의 측면에 설치되어 투명플라스틱판의 측면을 통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원(B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표출장치(B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빛반사요홈(B3)들은 광원(B6)에 인접한 부분에서 시작하여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게 파여져 있으며, 또한 상기 각 빛반사요홈(B3)들은 광원(B6)에서 조사되는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투명플라스틱판은 서로 적층되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후방 및 후방의 투명플라스틱판(B2)(B4)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투명플라스틱판(B2)(B4)의 빛반사요홈(B3)(B3a)은 서로 교차되는 상태로 엇갈리게 적층되며, 상기 각각의 투명플라스틱판(B2)(B4)의 측면에는 각각의 빛반사요홈(B3)(B3a)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빛을 조사하도록 광원(B6)(B6a)이 설치된 구성을 가지며, 또한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B2)의 배면에는 전방으로 빛을 반사하는 빛 반사필름(B10)(B11)과,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B4)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에 의해 내용이 드러나게 되는 광고필름(B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네 번째 다른 방안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347501호로써 평활성 빛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기구가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의 내면에 설치되는 형광등 및 전구 등의 광원(C7,C7a)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외부로 제공하기 위한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의 전면판(C2) 및 후면판(C3)으로 구성하되, 상기 전면판(C2)의 전면(C26)에 광원(C7,C7a)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이 사방으로 잘 반사 및 고르게 외부로 제공될수 있도록, 횡 방향 배열의 음각처리를 한 다수개의 요홈으로 형성된 전면요홈부(C22) 및 상기 전면요홈부(C22)의 테두리 외면에 해당하는 전면돌출부(C25)가 설치 되어 있고, 상기 전면요홈부(C22)의 가장자리 부분인 제 1요홈부(C23)에서 중앙부분인 제 2요홈부(C24) 방향으로 이동 할수록 몸체(C21)의 내면으로 깊이 음각으로 요홈처리가 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C3)의 전면(C34)에 광원(C7,C7a)으로 부터 전달되는 빛을 강하고 밝게 외부로 전달키 위한 몸체(C31)의 내면으로 일정 깊이의 음각으로 요홈처리가 되어 있는 종 방향 배열의 다수개의 요홈으로 구성된 후면요홈부(X32) 및 상기 후면요홈부(X32)의 테두리 외면에 해당하는 후면돌출부(C3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C3)의 후면에 빛을 반사할수 있는 반사필름(C4)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판(C2) 및 후면판(C3), 광원(C7,C7a), 반사필름(C4)을 수용할 수 있는 전,후면케이스(C1,C5) 및 고정을 위한 상,하부카바(C61,C62)로 구성되고, 전,후면판(C2,C3)의 상,하,좌,우의 가장자리 부분에 빛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거리의 간격(C27,C27a,C27b,C27c,C35,C35a,C35b, C35c)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전면요홈 부(C22) 및 후면요홈부(C32)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두 조명기구 및 광 표출장치의 도광판은 모두 조각기를 이용하여 한 장의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전면판)의 한 면에 "V"자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빛 반사요홈 또는 요홈부(이하 "실선형 "V"자 요홈"이라 총칭함)를 횡 방향으로 배열(빛이 진행하는 방향)하는 형태로 형성하되, 실선형 "V"자 요홈을 광원으로부터 멀어 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의 내면으로 깊게 생성하고, 또 다른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배면판) 위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실선형 "V"자 요홈을 종 방향으로 배열하는 형태로 생성하여 전면판과 후면판으로 구성하거나, 전면판의 후면에 상기 전면판의 구성과 동일한 후면판을 부착한 구성을 가지므로 결국 밝기 성능은 흰색으로 도트 마크를 인쇄한 것 보다는 밝으고,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의 한면 위에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실선형 "V"자 요홈의 간격을 더욱더 가깝게 생성한 것과는 비슷하나, 조각기를 이용하여 다 수개 깊은 실선형 "V"자 요홈들을 단단한 플라스틱 위에 생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깊이 형성할 수 없어서 밝기를 증대시키는 데 한계가 있으며, 생산성이 매우 낮아 대량 생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조각기의 가공 영역은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 첫째 다양한 디자인의 조명장치 생산이 곤란하고, 둘째 밝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거리를 두고 다수개의 실선형 "V"자 요홈을 배열하는 형태로 생성해야 하는데 이럴 수 없으므로 실선형 "V"자 요홈의 깊이를 증대시키게 되며 이는 결국 굵고 강한 실선형의 빛을 노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빛 반사부를 근거리에 다수개 배열하 기 위해서는 실선형의 "V"자 요홈을 가진 복수개의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조합이 필요하여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조명장치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넷째 한 장의 동일한 투광성 플라스틱판 위에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배열이 교차하는 다수개의 깊은 실선형 "V"자 요홈 작업이 곤란하여 두 장 이상의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 위에 각각의 종 방향과 횡 방향의 실선형 "V"자 요홈 작업을 해서 서로 조립을 해야 하므로 낮은 생산성과 굵고 강한 실선형의 빛 발산 및 복수의 플라스틱 판재의 조립에 의한 품질 문제 등으로 인해 정밀한 품질을 요구하는 TV 및 모니터용 조명장치의 경우는 부적합한 기술임은 물론 낮은 생산성과 복잡한 조립 공정으로 인해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한 두 실시 예는 모두 실선형 "V"자 요홈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점 더 깊게 파여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실선형 "V"자 요홈들 사이로는 빛이 그대로 통과하고 반사되지 않음은 물론 빛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점 더 깊게 음각한 경우 실선형 "V"자 요홈에 의해서 생성된 실질적 빛 반사면적은 이와 동일한 면적의 빛 반사 요홈을 빛이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광원으로부터 멀어 질수록 점차 깊게 형성 할 경우 생성된 실질적 빛 반사면적 보다 훨씬 적어 빛의 소실율이 높아 제공되는 광원의 광량을 최대로 활용하지 못해 원하는 조도를 얻을 수 없는 조명장치로서 생산성 및 밝기 등의 본질적인 문제점이 있어 현재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의 한 면에 광원의 빛이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등간격의 다수개의 실선 또는 점선형 요홈을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의 내면으로 깊게 음각 가공 처리를 하고 특히 점선의 요홈을 지그재그로 배열되게 함으로써 동일한 빛 반사 면적의 요홈부를 가공한 종래의 다른 기술들보다 훨씬 밝고 균일한 빛을 제공하는 도광판을 형성하고, 필요시 빛이 진행하는 방향으로도 일정한 등간격의 다수개의 실선형이나 점선형 요홈들을 교차되게 형성하는 방식을 통해 제공되는 광원의 광량을 최대로 많이 외부로 제공할 수 있는 도광판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외 사인, 조명등 기구, PC 모니터 및 TV 등의 조명장치를 제작함으로써 첫째 광원이 직접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 자체가 매우 밝아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둘째 요구되는 밝기로 빛을 더욱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셋째 얇고 다양한 디자인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서 조명 장치 자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넷째 인체가 빛으로 인해 유해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레이저를 이용하여 실선 또는 점선형의 요홈을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광판은,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한 면에 등 간격을 두고 종 방향이나 횡 방향 또는 종 방향과 횡 방형으로 "V"자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V"자 형성의 저면부가 원형으로 만곡진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02
"자 형상을 갖는 요홈을 형성하되, 상기 요홈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게 형성하여 준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한 면에 등 간격을 두고 종 방향과 횡 방형으로 "V"자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03
"자 형상을 갖는 요홈을 형성하되, 상기 종 방향의 요홈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게 형성하고, 횡 방향 요홈은 일정한 깊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홈은 실선 또는 점선의 형태를 포함하되, 실선형의 경우는 광원과 평행하게 종 방향으로 형성하되, 점선의 경우는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한 지점에서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실선과 점선의 요홈 또는 점선과 점선의 요홈이 교차되게 형성하여 "+"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선 또는 "+"자형 요홈은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라인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한 면에 실선형이나 점선 또는 "+"자 중 어느 한 형태을 갖도록 "V"자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된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04
"자 요홈들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되,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요홈들의 깊이는 더 깊게 형성된 투광성 플라스틱판과; 상기 플라스틱판의 한쪽 이상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플라스틱판의 배면에 부착 설치되어 광원에서 발생되어 플라스틱판의 배면부로 새어나가는 빛을 전면부로 반사시켜 주는 빛 반사 필름과; 상기 광원을 내장한 상태에서 플라스틱판의 일측 또는 양측 또는 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테두리용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요홈들 중 실선형 요홈은 광원과 평행하도록 종 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점선 요홈은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교차되어 "+"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점선 또는 "+"자 요홈은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라인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원은 형광등과 CCFL 및 LED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광원은 실선 또는 점선 요홈이 종 방향으로 형성된 플라스틱판의 경우 실선 또는 점선 요홈과 평행상태를 갖도록 설치하여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실선 또는 점선의 요홈에 교차되며 반사되게 하고, 점선 요홈이 횡 방향으로 형성된 플라스틱판의 경우는 점선 요홈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점선 요홈과 같은 방향으로 조사되어 점선 요홈의 경사면에서 반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빛 반사 필름은 광원이 설치되지 않는 플라스틱판의 다른 측면까지 필요에 따라 더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각각 횡 방향과 종 방향으로 점선 요홈이 형성된 서로 다른 두 개의 플 라스틱판을 전,후면에 각각 적층하거나,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실선 또는 점선의 요홈이 동일하게 형성된 두 개 플라스틱판을 각각 요홈들이 서로 교차되게 하여 전,후면에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g)는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요홈들의 배치상태들을 보인 평면 및 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a)-(c)는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요홈들 중 종 방향과 횡 방향의 요홈 형태를 보인 플라스틱판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a)-(c)는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요홈들 중 종 방향과 횡 방향의 요홈 형태를 보인 플라스틱판의 일부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의 (a)-(d)는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요홈들 중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게 형성한 종 방향 요홈과 동일한 깊이를 갖는 횡 방향의 요홈들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보인 플라스틱판의 평면 및 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 조명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11은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은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 장치 중 빛 반사판을 플라스틱판의 주연부까지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광판은,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한 면에 등 간격을 두고 종 방향 이나 횡 방향 또는 종 방향과 횡 방형으로 "V"자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05
"자 형상을 갖는 요홈(2)을 형성하되, 상기 요홈(2)은 광원(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홈(2)은 실선 또는 점선의 형태를 포함하되, 실선형 요홈(21)의 경우는 광원(3)과 평행하게 종 방향으로 형성하되, 점선 요홈(22)의 경우는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각각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한 지점에서 실선형 요홈(21)과 점선 요홈(22)들이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교차되게 형성하거나, 한 지점에서 점선 요홈(22)들이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교차되게 형성하여 "+"자 요홈(23)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점선 또는 "+"자 요홈(22)(23)은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라인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요홈(2)들은 광원(3)에 가장 가깝게 근접된 요홈(2)의 깊이(d)가 가장 얕고 제일 먼 곳에 위치되는 요홈(2)의 깊이(d)는 제일 깊게 형성하되 광원(3)으로 부터 멀어질수록 차츰 깊어지게 형성하여 요홈(2)들의 반사 단면적이 광원(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해진 비율만큼 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PC 모니터나 TV와 같이 도광판의 부위에 따라 밝기가 달리 요구되는 경우 상기 요홈(2)의 간격을 조절하여 형성하거나, 점선 또는 실선형 요홈(22)(21) 의 종 또는 횡 방향 배열 간격을 조정하거나, 또는 플라스틱판(1)의 한 면으로 생성되는 요홈(2)의 깊이를 부분적으로 달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한 면에 등 간격을 두고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V"자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06
"자 형상을 갖는 요홈(2)을 교차되게 형성하되, 상기 요홈(2)들 중 종 방향의 요홈(2)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게 형성하고, 횡 방향의 요홈(2)은 일정한 깊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한 면에는 등 간격을 두고 종 방향이나 횡 방향 또는 종 방향과 횡 방형으로 "V"자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07
"자 형상을 갖는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을 형성하되, 상기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은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양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광원(3)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어지게 양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한 면에 실선형이나 점선 또는 "+"자 중 어느 한 형태을 갖도록 "V"자 또는 레이저를 조사해 형성된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08
"자 요홈(2; 21,22,23)들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되, 광원(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요홈(2)들의 깊이는 점차적으로 더 깊게 형성된 투광성 플라스틱판(1)과;
상기 플라스틱판(1)의 어느 한쪽 이상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3)과;
상기 플라스틱판(1)의 배면에 부착 설치되어 광원(3)에서 발생되어 플라스틱 판(1)의 배면부로 새어나가는 빛을 전면부로 반사시켜 주는 빛 반사 필름(4)과;
상기 광원(3)을 어느 한쪽 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플라스틱판(1)의 일측 또는 양측 또는 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테두리용 커버(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요홈(2)들 중 실선형 요홈(21)은 광원(3)과 평행하도록 종 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점선 요홈(22)은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하거나,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점선 요홈(22)을 교차시켜 "+"자 형태로 요홈(23)을 형성하되, 상기 점선 또는 "+"자 요홈(22)(23)은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라인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한 지점에서 실선형 요홈(21)과 점선 요홈(22)들이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교차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한 면에 등 간격을 두고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09
"자 형상을 갖게 형성되는 요홈(2)들 중 종 방향의 요홈(2)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게 형성하고, 횡 방향의 요홈(2)은 일정한 깊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원(3)은 형광등과 CCFL 및 LED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광원(3)은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이 종 방향으로 형성된 플라스틱판(1)의 경우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과 평행상태를 갖도록 설치하여 광원(3)에서 조사되는 빛이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에 교차되며 반사되게 하고,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이 횡 방향으로 형성된 플라스틱판(1)의 경우는 실선 또는 점선 요 홈(21)(22)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광원(3)에서 조사되는 빛이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과 같은 방향으로 조사되어 요홈들의 경사면에서 반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빛 반사 필름(4)은 광원(3)이 설치되지 않는 플라스틱판(1)의 다른 측면까지 필요에 따라 더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 횡 방향과 종 방향으로 점선 요홈(22)이 형성된 서로 다른 두 개의 플라스틱판을 전,후면에 각각 배치하거나,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이 동일하게 형성된 두 개 플라스틱판을 각각 전,후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명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빛은 외부로 직접 노출시켜 실내외의 조명등 기구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플라스틱판(1)의 전면부에 각종 인쇄물이나 사인물 등을 부착 도는 설치하여 광고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전기 전자 장치 등과 연결시켜 PC 모니터나 TV의 조명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1)에 형성되는 요홈(2)들 중 종 방향의 요홈(2)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게 형성하고, 횡 방향의 요홈(2)은 일정한 깊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한 면에 실선형이나 점선 또는 "+"자 중 어느 한 형태을 갖도록 "V"자 또는 레이저 조사를 통해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10
"자 요홈(2; 21,22,23)들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되, 양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요홈(2)들의 깊이는 점 차적으로 더 깊게 형성된 투광성 플라스틱판(1)과;
상기 플라스틱판(1)의 어느 양 측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3)과;
상기 플라스틱판(1)의 배면에 부착 설치되어 광원(3)에서 발생되어 플라스틱판(1)의 배면부로 새어나가는 빛을 전면부로 반사시켜 주는 빛 반사 필름(4)과;
상기 광원(3)을 양쪽 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플라스틱판(1)의 일측 또는 양측 또는 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테두리용 커버(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도광판은 일정두께와 폭을 갖는 사각형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한 면에 "V"자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11
"자 형상을 갖는 요홈(2)을 종 방향이나 횡 방향 또는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등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되, 도 6의 (a)-(c) 및 도 7의 (a)-(c)에 나타낸 횡단면 및 사시도와 같이 광원(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어지게 요홈(2)을 형성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도 8의 (a)-(d)와 같이 종 방향의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12
"자 요홈(2)은 광원(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어지게 형성하고, 횡 방향의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13
"자 요홈(2)은 광원(3)의 빛 진행 방향에 대해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투광성 플라스틱판(1)이 요홈(2)을 형성할 때 종래와 달리 조각기 를 이용하지 않고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게 되면 레이저의 발생량이나 레이저가 플라스틱판(1) 위를 지나가는 속도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형상 및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14
"자형 빛 반사 요홈(2)들을 매우 깊고 정교하게 형성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디자인과 아주 밝은 조명장치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이는 조각기에 의해 형성된 “V"자형 요홈보다 빛을 골고루 반사시켜 조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2)은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상,하,좌,우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빛이 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거리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음각처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요홈(2)을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플라스틱판(1)의 내면으로 깊게 생성하는 이유는, 빛의 성질(직진성, 반사, 거리와 밝기 등)을 이용하여 도광판(Light Guide Panel)을 통해 제공되는 광원(3)의 광량을 최대한 많이 외부로 전달하고 도광판의 전면(全面) 조도를 균일하게 하며, 인체의 눈에 편한 빛이 나오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상기 요홈(2)은 종래의 도광판들과 같이 실선형 요홈(21)을 포함함은 물론 종래와 전혀 다른 점선(22)의 형태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에 있어서 실선형 요홈(22)은 광원의 빛 조사방향과 같이 횡 방향으로 형성된 종래의 도광판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a)와 같이 광원(3)과 평행하게(즉, 빛의 조사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종 방향으로 형성하여 광원(3)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등 간격을 갖는 각각의 실선형 요홈(21) 전체에서 교차되며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실선형 요홈(21)의 반사율을 종래보다 대폭 증진시킬 수 있 다.
또한, 상기 점선 요홈(22)의 경우는 도 5의 (b) 및 (c)와 같이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각각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의 (d)와 같이 한 지점에서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두 점선 요홈이 교차되게 형성하여 "+"자 요홈(23)으로 형성한다.
또, 상기 점선 또는 "+"자 요홈(22)(23)은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의 (e) 및 (f)와 같이 각각의 라인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식으로 배열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의 (g)와 같이 횡 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기 실선형 요홈(21)에 대해 교차되도록 점선 요홈(21)을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한 면에서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15
"자의 요홈(2)을 형성할 때, 필요에 따라서는 도 8의 (a)와 같이 종 방향의 선형 요홈(21)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게 형성하고 횡 방향의 실선형 요홈(21)은 일정한 깊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 도 8의 (b)와 같이 종 방향의 실선형 요홈(21)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게 형성하고 횡 방향의 점선 요홈(22)은 일정한 깊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도 8의 (c)와 같이 "+"자형의 점선 요홈(23) 중 종 방향의 점선 요홈(22)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깊게 형성하고 횡 방향의 점선 요홈(22)은 일정한 깊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요홈(2)들은 광원(3)에 가장 가깝게 근접된 요홈(2)의 깊이(d)가 가장 얕고 제일 먼 곳에 위치되는 요홈(2)의 깊이(d)는 제일 깊게 형성하되 광원(3)으로 부터 멀어질수록 차츰 깊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홈(2)들의 반사 단면적이 광원(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해진 비율로 변화되는 깊이의 변화량에 부응하여 커지게 되어 광원(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빛의 조사 강도는 약해지나 반사 단면적이 그에 비례하여 넓어지므로 플라스틱판(1) 전체에서 반사되는 빛의 조도는 동일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요홈(2)을 형성시키는 기법의 주요 특징은 한정된 플라스틱판(1)의 한 면에 최대의 빛 반사 면적을 생성하고, 도광판 위의 균일한 조도를 위해 3차원적으로 요홈(2)의 깊이를 조정하며, 또한 플라스틱판(1) 위에 여러 가지 동일 면적의 요홈 생성 방법 중에서도 플라스틱판(1) 위에 빛의 실질적인 반사 면적을 극대화하여 밝기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우선 빛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종 방향)으로 다수개의 점선 또는 실선의 요홈 배열을 생성하되(이는 빛의 진행 방향으로 동일한 면적의 요홈을 생성하는 것보다 실질적인 빛 반사 면적이 훨씬 많음) 동시에 플라스틱판(1) 위의 균일한 조도를 위해서 광원(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플라스틱판(1)의 내면으로 깊게 점선 또는 실선형의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16
"자 요홈(22)(21)을 생성하며, 아울러 횡 방향의 다수개의 점선 또는 실선형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17
"자 요홈(22)(21)을 생성하여 조도 및 균일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한편, 일정한 크기(가로 20cm, 세로 20cm, 판 두께 10mm)의 투명 아크릴 플라스틱판 위에 요홈(2)이 생성되는 방법에 따라 도광판의 밝기를 실제 비교 측정해 본 결과 아래와 같았다.
먼저, 0.75mm 일정 깊이의 요홈(2)을 종방향 배열로 99개의 라인을 형성하되 광원(3)으로부터 멀어 질수록 종 방향 배열의 요홈의 간격을 더욱더 가깝게 생성하는 구성의 도광판과 2mm 일정 간격으로 99개 라인을 종 방향으로 요홈을 생성하되 광원으로부터 멀어 질수록 점차로 더욱더 깊게 (광원에 가장 인접한 라인의 깊이는 0.5mm, 광원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한 라인의 깊이는 1mm) 형성한 도광판의 밝기를 실제 측정해 본 결과 후자가 전자 보다 약 26% 더 밝았다.
또한, 0.5mm 일정 깊이의 요홈(2)을 2mm 간격으로 99개 라인을 종 방향으로 생성한 도광판과 0.5mm 일정 깊이의 요홈을 2mm 간격으로 99개 라인을 횡 방향으로 요홈을 생성한 도광판의 밝기를 실제 측정해 본 결과 종 방향(빛이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되게)으로 99개 라인의 실선 또는 점선 요홈이 생성된 경우의 도광판의 밝기가 횡 방향(빛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99개 라인의 실선 또는 점선 요홈이 생성된 경우의 도광판의 밝기보다 44% 더 밝았으며, 아울러 이 현상은 광원으로부터 멀어 질수록 점점 더 깊이 요홈을 생성하는 경우도 동일한 결과이었다.
상기 실제 시험 결과는 동일한 면적의 요홈을 투명성 플라스틱 위에 생성하여 도광판을 제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요홈을 빛의 진행 방향으로 생성하는 것보다는 빛이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되게 생성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어서 보다 밝은 도광판 및 조명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으며 또한 이 사항이 본 발명 의 핵심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선형, 점선형 또는 "+"자형으로 요홈들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되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깊게 형성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빛 반사율을 각각 시험한 결과 횡 방향 점선(도 5의 c) < 종 방향 점선(도 5의 b), 지그재그식 종 방향 점선(도 5의 e) < 종 방향 실선(도 5의 a) < 종 방향 "+"자(도 5의 d), 지그재그식 종 방향 "+"자(도 5의 f) < 종 방향 실선, 횡 방향 점선(도 5의 g) 순의 형태를 나타냈다.
또한, 상기 실선형 및 점선의 요홈들을 종 방향에 대해서는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깊게 형성하고 횡 방향에 대해서는 일정깊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빛 반사율을 각각 시험한 결과 "+"자 요홈(도 8의 c, d) < 종 방향 실선, 횡 방향 점선(도 8의 b) < 종, 횡 방향 모두 실선(도 8의 a) 순의 형태를 나타냈다.
그러나, 상기에서 점선과 실선에 의한 도광판의 밝기 차이는 빛 반사면적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서 실선 요홈에 의해 형성된 만큼의 빛 반사면적을 점선으로 동일하게 형성할 때는 도광판의 밝기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오히려 점선으로 요홈이 형성된 도광판은 실선으로 요홈이 형성된 도광판 보다 밝기가 훨씬 균일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광판은 그 사용 목적이나 대상, 도광판의 넓이 등에 따라 요홈(2)의 형상 및 배열을 결정하면 된다.
또한, TV 나 PC 모니터와 같이 도광판의 부위별 밝기가 달라질 것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요홈(2)의 간격을 조절하여 형성하거나, 점선 또는 실선형 요 홈(22)(21)의 종 방향 또는 횡 방향 배열 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고, 또는 플라스틱판(1)의 한 면으로 생성되는 요홈(2)의 깊이를 부분적으로 달리 형성하면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도광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크게 도 9 및 도 10과 같이 투광성 플라스틱판(1)과 광원(3), 빛 반사 필름(4) 및 테두리용 커버(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 면에 실선형이나 점선 또는 "+"자 중 어느 한 형태을 갖도록 "V"자 또는 레이저 조사를 통해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18
"자 요홈(2)들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되, 광원(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요홈(2)들의 깊이는 더 깊게 형성된 형태를 갖거나, 또는 종 방향으로 형성된 요홈(2)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깊게 형성하고 횡 방향에 대해서는 일정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광원(3)은 플라스틱판(1)의 어느 한쪽 이상의 측면부 설치되는데, 이때 형광등과 CCFL 및 LED를 포함하게 된다.
즉, 상기 광원(3)은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이 종 방향으로 형성된 플라스틱판(1)의 경우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과 평행상태를 갖도록 설치하여 광원(3)에서 조사되는 빛이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에 교차되며 반사되도록 하고,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이 횡 방향으로 형성된 플라스틱판(1)의 경우는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광원(3)에서 조사되는 빛이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과 같은 방향으로 조사되어 요홈들의 경사면에서 반사되도록 하게 되며, "+"자 요홈(23)이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경우 역시 그 깊이가 낮은 측에 설치하면 된다.
또, 상기 빛 반사 필름(4)은 요홈(2)들이 형성된 상기 플라스틱판(1)의 배면에 부착 설치되어 광원(3)에서 발생되어 플라스틱판(1)의 배면부로 새어나가는 빛을 전면부로 반사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광원(3)이 설치되지 않는 플라스틱판(1)의 다른 측면까지 도 14와 같이 더 부착 설치하여 플라스틱판(1)의 측면부를 통해 새어 나가는 빛을 차단하여 빛 반사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용 커버(5)는 광원(3)을 어느 한쪽 이상의 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플라스틱판(1)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하여 줌으로써 빛 반사 필름(4)이 배면부에 부착 설치된 플라스틱판(1)의 어느 일측면에 광원(3)만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광원(3)의 빛 일부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명장치 자체의 외관을 미려하지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폭이 매우 길 경우에는 상기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19
"자 요홈(2)들을 도 13과 같이 내측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형성하고 광원(3)은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양측(즉, 요홈(2)의 깊이가 제일 낮은 측)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각각의 광원(3)에서 발생되는 빛이 양측에서 투광성 플라스틱판(1)의 중심부측으로 조사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빛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형상으로 요홈(2)들이 형성된 한 장의 플라스틱판(1)과 광원(3), 빛 반사 필름(4) 및 테두리용 커버(5)로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 밖에도 도 11과 같이 각각 횡 방향과 종 방향으로 점선 요홈(2)이 형성된 서로 다른 두 개의 플라스틱판(1)(1a)을 전,후면에 각각 배치하거나, 도 12와 같이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실선 또는 점선 요홈(21)(22)이 동일하게 형성된 두 개 플라스틱판(1)(1a)을 각각 전,후면에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3장 이상도 부착하여 조명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요홈(2)의 형상과 형성 방향이 같은 두 장의 플라스틱판(1)이나 요홈(2)의 형상과 형성 방향이 서로 다른 두 장의 플라스틱판(1)을 전,후면에 배치시키는 형태로 조명장치를 제작하여 빛 반사 요홈부를 늘려서 빛 반사면적을 증대함으로써 빛의 밝기를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때론 생산성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명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빛은 외부로 직접 노출시켜 실내외의 조명등 기구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플라스틱판(1)의 전면부에 각종 사인 등과 같은 인쇄물(6) 등을 부착 또는 배치하여 광고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전기 전자 장치 등과 연결시켜 TV나 PC 모니터의 조명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의 한 면에 광원의 빛이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등간격의 다수개의 실선 또는 점선형 요홈을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의 내면으로 깊게 음각 가공 처리를 하고 특히 점선의 요홈을 지그재그로 배열되게 함으로써 동일한 빛 반사 면적의 요홈부를 가공한 종래의 다른 기술들보다 훨씬 밝고 균일한 빛을 제공하는 도광판을 형성하고, 필요시 빛이 진행하는 방향으로도 일정한 등간격의 다수개의 실선형이나 점선형 요홈들을 교차되게 형성하는 방식을 통해 제공되는 광원의 광량을 최대로 많이 외부로 제공할 수 있는 도광판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외 사인, 조명등 기구, PC 모니터 및 TV 등의 조명장치를 제작함으로써 첫째 광원이 직접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 자체가 매우 밝아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둘째 요구되는 밝기로 빛을 더욱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셋째 얇고 다양한 디자인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서 조명 장치 자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넷째 인체가 빛으로 인해 유해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레이저를 이용하여 실선 또는 점선형의 요홈을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의 한 면에 광원의 빛이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등간격의 다수개의 실선 또는 점선형 요홈을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 판재의 내면으로 깊게 음각 가공 처리를 하고 특히 점선의 요홈을 지그재그로 배열되게 함으로써 동일한 빛 반사 면적의 요홈부를 가공한 종래의 다른 기술들보다 훨씬 밝고 균일한 빛을 제공하는 도광판을 형성하고, 필요시 빛이 진행하는 방향으로도 일정한 등간격의 다수개의 실선형이나 점선형 요홈들을 교차되게 형성하는 방식을 통해 제공되는 광원의 광량을 최대로 많이 외부로 제공할 수 있는 도광판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외 사인, 조명등 기구, PC 모니터 및 TV 등의 조명장치를 제작함으로써 첫째 광원이 직접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 자체가 매우 밝아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둘째 요구되는 밝기로 빛을 더욱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셋째 얇고 다양한 디자인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서 조명 장치 자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넷째 인체가 빛으로 인해 유해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레이저를 이용하여 실선 또는 점선형의 요홈을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4)

  1.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한 면에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교차하는 종 방향 또는 빛 조사 방향과 같은 횡 방향 배열로 요홈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요홈들은 광원으로부터 멀어 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홈들은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교차되도록 종 방향 배열에 대해 실선형의 "V"자 또는"
    Figure 112006025170791-PAT00020
    "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홈들은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교차되도록 종 방향 배열에 대해 점선형의 "V"자 또는"
    Figure 112006025170791-PAT00021
    "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홈들은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같도록 횡 방향 배열에 대해 점선형의 "V"자 또는"
    Figure 112006025170791-PAT00022
    "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5.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한 면에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교차하는 종 방향과 빛 조사 방향과 같은 횡 방향 배열로 요홈들을 서로 교차되게 등간격으로 형성하되, 상호 교차되는 상기 종 방향과 횡 방향의 요홈들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종 방향과 횡 방향 배열의 요홈들이 점선형의 "V"자 또는"
    Figure 112006025170791-PAT00023
    "자 형상으로 가공 처리하여 “+”자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종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실선형의 "V"자 또는"
    Figure 112006025170791-PAT00024
    "자 형상으로 가공 처리되고, 횡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점선형의 "V"자 또는"
    Figure 112006025170791-PAT00025
    "자 형상으로 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8.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한 면에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교차되는 종 방향과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같은 횡 방향 배열의 다수개의 요홈들을 서로 교차되게 등간격으로 형성하되, 종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음각 가공 처리되고 횡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일정 깊이로 음각 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종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실선형의 "V"자 또는"
    Figure 112006025170791-PAT00026
    "자 형상으로 가공 처리되고 횡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실선 또는 점선형의 "V"자 또는"
    Figure 112006025170791-PAT00027
    "자 형상으로 가공 처리하여 교차점이 “+”자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종 방향과 횡 방향 배열의 요홈들이 점선형의 "V"자 또는"
    Figure 112006025170791-PAT00028
    "자 형상으로 가공 처리하여 “+”자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11. 한 면에 실선 또는 점선형의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29
    "자 요홈들이 형성된 투광성 플라스틱판과;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어느 일측이나 양측 또는 사방 전체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배면에 부착 설치되어 광원에서 발생되어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배면부로 새어나가는 빛을 전면부로 반사시켜 주는 빛 반사 필름과;
    상기 광원을 어느 한 측면 이상의 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일측 또는 양측 또는 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테두리용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은 그 한 면에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교차되도록 종 방향 배열의 일정한 등간격의 실선형으로 된 다수 개의 요홈들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들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음각 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은 그 한 면에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교차되도록 종 방향 배열의 일정한 등간격의 점선으로 된 다수개의 요홈들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들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음각 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은 그 한 면에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같도록 횡 방향 배열의 점선으로 된 일정한 등간격의 다수개의 요홈들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들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음각 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후면부에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또 다른 투광성 플라스틱판을 부가 설치하되, 각각의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배면에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들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지그재그로 적층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은 그 한 면에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교차되는 종 방향과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같은 횡 방향 배열의 일정한 등간격의 다수개의 요홈들을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되, 상기 종 방향과 횡 방향의 요홈들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음각 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종 방향과 횡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점선으로 가공 처리하여 “+”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종 방향 배열 요홈들은 실선으로 가공 처리되고 횡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점선으로 가공 처리되어 교차점이 “+”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은 그 한 면에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교차되는 종 방향과 광원의 빛 조사 방향과 같은 횡 방향 배열의 일정한 등 간격의 다수개의 요홈들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되, 상기 종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음각 가공 처리되고, 상기 횡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일정 깊이로 음각 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종 방향 배열 요홈들은 실선으로 가공 처리되고 상기 횡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실선 또는 점선으로 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종 방향과 횡 방향 배열의 요홈들은 점선으로 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22. 종 방향 배열의 실선 또는 점선형의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30
    "자 요홈들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형성된 것과, 횡 방향 배열의 점선형의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31
    "자 요홈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형성된 것을 전,후면으로 적층시켜 각각에 형성된 요홈들이 서로 교차되도록 한 두 개의 투광성 플라스틱과;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어느 일측이나 양측 또는 사방 전체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배면에 부착 설치되어 광원에서 발생되어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배면부로 새어나가는 빛을 전면부로 반사시켜 주는 빛 반사 필름과;
    상기 광원을 어느 한 측면 이상의 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일측 또는 양측 또는 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테두리용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23. 종 방향 배열의 실선 또는 점선형의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32
    "자 요홈들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플라스틱판의 내면으로 점차 더 깊게 형성된 것과, 횡 방향 배열의 실선 또는 점선형의 "V"자 또는 "
    Figure 112006025170791-PAT00033
    "자 요홈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 것을 전,후면으로 적층시켜 각각에 형성된 요홈들이 서로 교차되도록 한 두 개의 투광성 플라스틱과;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어느 일측이나 양측 또는 사방 전체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배면에 부착 설치되어 광원에서 발생되어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배면부로 새어나가는 빛을 전면부로 반사시켜 주는 빛 반사 필름과;
    상기 광원을 어느 한 측면 이상의 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일측 또는 양측 또는 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테두리용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24.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22 또는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라스틱판의 전면부에는 각종 광고용 인쇄물이나 사인물들을 부착 또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KR1020060032960A 2006-04-11 2006-04-11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070101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960A KR20070101656A (ko) 2006-04-11 2006-04-11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960A KR20070101656A (ko) 2006-04-11 2006-04-11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656A true KR20070101656A (ko) 2007-10-17

Family

ID=3881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960A KR20070101656A (ko) 2006-04-11 2006-04-11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16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665A (ko) 2019-08-13 2021-02-23 (주)바이오스마트 엘이디 조명등 기구의 조립방법
KR20210019666A (ko) 2019-08-13 2021-02-23 (주)바이오스마트 인쇄문양 시트를 포함한 엘이디 조명등 기구의 조립방법
WO2021167170A1 (ko) * 2020-02-17 2021-08-26 김광원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665A (ko) 2019-08-13 2021-02-23 (주)바이오스마트 엘이디 조명등 기구의 조립방법
KR20210019666A (ko) 2019-08-13 2021-02-23 (주)바이오스마트 인쇄문양 시트를 포함한 엘이디 조명등 기구의 조립방법
WO2021167170A1 (ko) * 2020-02-17 2021-08-26 김광원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KR20210114366A (ko) * 2020-02-17 2021-09-23 김광원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099B1 (ko) 광가이드 플레이트 및 엣지 라이트 백라이트 장치
CN103149627B (zh) 一种带孔的导光板及其制作方法
EP2707648A1 (en) Thin flat panel led luminaire
JP2011040279A (ja) 面状照明装置
US20060120107A1 (en) LED backlight module
CN101963330A (zh) 带有图形的导光板
US20080123366A1 (en) Backlight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groups of concentric microstructures on reflective surface thereof
TW201135294A (en) Lighting apparatus and light guide plate
CN102128415A (zh) 导光板、背光模块及液晶显示装置
CN101430064A (zh) Led背光源结构
CN101684919B (zh) Led路灯透镜
KR20070101656A (ko)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CN202253389U (zh) 一种拼图式立体导光板和照明灯具
CN203615093U (zh) 双面发光型的平面灯具
JP2011233308A (ja) 照明装置
CN101986019A (zh) 一种拼图式导光板及其制作方法
JP2008218223A (ja) 面発色装置
CN201836815U (zh) 一种拼图式导光板
CN203275693U (zh) 一种带孔的导光板及由其构成的立体组件
CN202501389U (zh) 一种两面设有导光点的导光板及照明灯具
KR20010035196A (ko) 이종 패턴으로 구성된 무인쇄 도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백라이트
JP3181799U (ja) 照光装置
KR101240780B1 (ko) 엘이디 면조명 장치
CN201032081Y (zh) 背光模块
CN103851540A (zh) 一种用于背光模组的导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