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353B1 -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 Google Patents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353B1
KR101182353B1 KR1020100126719A KR20100126719A KR101182353B1 KR 101182353 B1 KR101182353 B1 KR 101182353B1 KR 1020100126719 A KR1020100126719 A KR 1020100126719A KR 20100126719 A KR20100126719 A KR 20100126719A KR 101182353 B1 KR101182353 B1 KR 101182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motor
rotor
turbo blow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537A (ko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로스
Priority to KR102010012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3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3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500)(800)(900)는 터보블로워(1000)(2000)의 로터(23)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터보블로워(1000)(2000)의 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기 모터의 로터(23)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아 터보블로워(1000)(2000)에 장착된 에어베어링(61)(63)(71)(73)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Device for preventing the failure of air bearing in turbo blower}
본 발명은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터보블로워의 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 등에 의한 에어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터보블로워(turbo blower)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임펠러(impeller)를 고속으로 회전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이를 송풍하는 기계를 말하며 분체 이송용이나 하수처리장 등에서 폭기(爆氣)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보 블로워에서 모터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하여 에어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에어베어링은 로터(rotor)의 고속회전에 따라 로터 또는 베어링 디스크와 이와 접하는 포일 사이에 점성을 가지는 유체인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을 형성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말하며, 로터의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포일 에어베어링과 로터의 길이방향의 이동을 지지하는 트러스트포일 에어베어링이 있다.
이들 에어베어링은 톱 포일(top foil)과 범프 포일(bump foil)을 가지며 톱 포일은 직접 로터 또는 베어링 디스크와 접하고 범프 포일은 하부에서 상기 톱 포일을 지지한다.
이러한 에어베어링은 터보블로워의 작동 중에는 그 내부에 형성된 공기압력이 범퍼(bumper)로서 작용을 하여 외부충격에 대하여 상당히 강하다.
그러나 터보블로워가 작동하지 않고 있을 때는 외부충격에 취약할 수 있는데 특별히 로터가 포일과 접하고 있어 충격에 더욱 취약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범프 포일의 탄성으로 어느 정도 수준까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지만 장기간에 걸친 진동이나 충격 또는 강한 충격의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터보블로워의 운송 중에 발현될 수 있다. 즉 터보블로워의 운송은 트럭, 배, 비행기 등의 다양한 운송수단을 거칠 수 있고 그 와중에 장시간의 진동에 노출되고 충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보블로워에 있어서 운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보블로워에 있어서 그 운송 중에 진동과 충격 등에 따른 에어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연통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터보블로워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터보블로워는 상기 모터의 로터의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에어베어링과 상기 모터의 로터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에어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임펠러의 반대측에는 상기 모터를 냉각하는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냉각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모터의 로터와 연결된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축결합공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여기서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주위부는 상기 터보블로워의 케이싱에서 상기 냉각공기유입구를 둘러싼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터보블로워의 냉각공기유입구로 인입되어 상기 로터와 연결된 회전축이 상기 돌출부의 회전축결합공과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돌출부의 주위부가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냉각공기유입구를 둘러싼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터보블로워에 장착이 되어, 상기 터보블로워의 로터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상기 터보블로워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기 모터의 로터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아 상기 터보블로워의 운송중의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상기 저널에어베어링과 트러스트 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의 주위에는 나사결합공이 형성되어 나사가 상기 나사결합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냉각공기유입구를 둘러싼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케이싱의 냉각공기유입구를 둘러싼 부분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돌출부의 회전축결합공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이에 대응한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연통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임펠러의 전방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의 끝단에는 상기 임펠러의 날개를 둘러싸는 슈라이더가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의 날개는 그 전방에서 노출되어 보이고, 상기 임펠러의 날개와 슈라우드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는 터보블로워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터보블로워는 상기 모터의 로터의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에어베어링과 상기 모터의 로터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에어베어링을 가지며; 판부재로서 그 두께는 상기 슈라우드와 상기 임펠러 날개사이의 간극의 두께를 가져, 상기 간극에 끼워져, 상기 임펠러와 연결된 회전축의 반경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상기 터보블로워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기 모터의 로터가 반경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아 상기 터보블로워의 운송중의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상기 저널에어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는 그 전단부가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나아가서,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연통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터보블로워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터보블로워는 상기 모터의 로터의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에어베어링과 상기 모터의 로터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에어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에서 임펠러가 설치된 측은 막혀있는데 상기 회전축은 임펠러쪽 케이싱면에서 돌출되며; 그 내면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원통체의 내면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동휠과; 여기서,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죄어짐에 따라 상기 원통체가 상기 임펠러쪽 케이싱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판부재로서 그 중앙에 상기 진동휠의 원통체의 측면부가 접면하여 놓이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주변부가 상기 임펠러 케이싱면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터보블로워에 장착되면 상기 터보블로워의 로터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상기 터보블로워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기 모터의 로터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아 상기 터보블로워의 운송중의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상기 저널에어베어링과 트러스트 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는 터보블로워의 회전축의 이동을 막고 흔들림을 방지하여 운송중의 진동이나 충격이 에어베어링으로 않도록 하여 에어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베어링의 파손방지기구와 상기 파손방지기구가 터보블로워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도면;
도 3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베어링의 파손방지기구와 상기 파손방지기구가 터보블로워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터보블로워(1000)의 운송 중에 진동과 충격 등에 따른 에어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파손방지기구(500)(800)와 이들이 터보블로워(1000)에 장착된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상기 터보블로워(1000)는 케이싱(100)이 제공되고 그 내부에 모터(20)가 설치되는데, 상기 모터(20)는 스테이터(21)와 로터(23)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0)의 전면에는 공기유입구(32)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구(32)의 내측에 임펠러(30)가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30)는 상기 모터(20)의 로터(23)와 회전축(281)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임펠러(30)는 그 주위를 둘러 날개(38)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100)의 전방은 임펠러가 설치되는 임펠러 케이스부(101)를 이룬다.
상기 임펠러 케이스부(101)의 공기유입구(32)의 끝단에는 슈라우드(shroud)(1014)가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 날개(38)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임펠러 날개(38)는 그 전방에서 노출되어 보이고 상기 임펠러 날개(38)와 슈라우드(1014) 사이에는 간극(S1)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을 둘러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40)가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송풍부(40)는 스크롤(scroll) 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스크롤 형상을 따라 송풍관로(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송풍관로(44)는 통상적으로 디퓨져(diffuser)역할을 하는 유로(43)를 통하여 상기 임펠러(30)의 날개부(38)와 연통된다.
상기 케이싱(100)의 후방에는 모터의 냉각을 위한 냉각공기유입구(52)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20)의 로터(23)와 연결된 회전축(283)에는 냉각팬(50)이 설치된다.
상기 임펠러(30)의 뒤편에는 트러스트 에어베어링 1쌍(61)(63)과 트러스트 러너(60)가 설치되어 상기 로터(23)의 축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로터(23)의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 에어베어링(71)(73)이 로터(2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모터(20)의 로터(2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임펠러(30)가 회전을 하면 상기 케이싱(90)의 공기유입구(32)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임펠러 날개(38)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높아져 상기 유로(43)로 유출되며 이후 송풍부(40)의 송풍관로(44)를 따라 외부로 송풍된다. 또한, 상기 로터(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냉각팬(50)이 회전하여 냉각공기유입구(52)를 통하여 냉각공기를 유입하여 모터(20)를 냉각하게 된다.
이러한 터보블로워(1000)에 대하여 그 운송 중에 미치는 진동과 충격으로 상기 로터(23)의 축방향이동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에어베어링(61)(63)과 그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 에어베어링(71)(7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손방지기구(500)(800)가 설치된다.
도 2의 (a)는 상기 터보블로워(1000)와 같이 공기유입구(32)를 통하여 임펠러(30)의 날개(38)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에, 상기 임펠러(3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파손방지지구(500)를 도시한다.
상기 파손방지기구(500)는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판부재로서 그 두께는 상기 임펠러 케이싱부(101)의 슈라우드(1014)와 상기 임펠러 날개(38)사이의 간극(S1)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이와 같은 파손방지기구(500)를 상기 임펠러 케이싱부(101)의 슈라우드(1014)와 상기 임펠러 날개(38)사이의 간극(S1)에 끼워 넣게 된다. (도 1의 A 참조) 바람직하기로는 이러한 파손방지기구(500)를 회전축(281)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따라 다수 개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파손방지기구(500)가 회전축(281)의 반경(radial)방향의 이동을 막아 그 흔들림을 막게 되며, 이에 따라 로터(23)가 반경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터보블로워(1000)의 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상기 저널 에어베어링(71)(7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저널 에어베어링(71)(73)의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특별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손방지기구(500)는 그 전단부(580)를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슈라우드(1014)와 임펠러 날개(38)사이의 간극(S1)에 끼워 넣기 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b)는 상기 터보블로워(1000)와 같이 그 일단에 냉각공기유입구(52)가 형성되는 터보블로워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파손방지기구(800)를 도시한다.
상기 파손방지기구(800)는 몸체부(810)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810)의 주위에는 나사결합공(801)이 형성된다.
상기 파손방지기구(800)는 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840)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840)는 중앙에 회전축(283)이 결합되는 회전축결합공(848)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결합공(848)의 내면에는 나사부(8488)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회전축결합공(848)의 나사부(8488)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283)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파손방지기구(800)는 그 돌출부(840)가 상기 냉각공기유입구(52)로 인입되어 로터(23)와 연결된 회전축(283)이 상기 회전축결합공(848)에 끼워져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810)에서 상기 돌출부(840)의 주위부(846)는 상기 케이싱(100)에서 상기 냉각공기유입구(52)를 감싸는 부분(103)에 접하고 상기 나사결합공(801)을 통하여 나사(7)를 결합하여 몸체부(810)가 상기 냉각공기유입구(52)를 감싸는 부분(103)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파손방지기구(800)는 상기 로터(23)와 연결된 회전축(283)이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흔들림을 막게 된다. 이에 따라 로터(23)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터보블로워(1000)의 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상기 트러스트 에어베어링(61)(63)과 상기 저널 에어베어링(71)(7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트러스트 에어베어링(61)(63)과 상기 저널베어링(71)(73)의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터보블로워(2000)의 운송 중에 진동과 충격 등에 따른 에어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파손방지기구(900)(800)와 이들이 터보블로워(2000)에 장착된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상기 터보블로워(2000)는 케이싱(100)이 제공되고 그 내부에 스테이터(21)와 로터(23)를 가지는 모터(20)가 설치된다.
상기 로터(23)와 연결된 회전축(281)에 임펠러(3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00)에서 임펠러가 설치된 측은 막혀있는데 상기 회전축(281)은 임펠러쪽 케이싱면(108)에서 돌출된다. (도 5 참조)
상기 케이싱(100)을 둘러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40)가 형성되고 송풍부(40)의 스크롤 형상을 따라 송풍관로(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관로(44)는 유로(43)를 통하여 상기 임펠러(30)의 날개부와 연통된다.
상기 케이싱(100)의 후방에는 냉각공기유입구(52)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기 모터(20)의 로터(23)와 연결된 회전축(283)과 연결된 냉각팬(5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32)의 주위를 둘러 개방부(422)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422)는 상기 임펠러(30)와 연통된다.
상기 냉각팬(50)의 뒤편에는 트러스트 에어베어링 1쌍(61)(63)과 트러스트 러너(60)가 설치되어 상기 로터(23)의 축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로터(23)의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 에어베어링(71)(73)이 로터(2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모터(20)의 로터(2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임펠러(30)가 회전을 하면 상기 케이싱(90)의 개방부(422)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임펠러 날개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높아져 상기 유로(43)로 유출되며 이후 송풍부(40)의 송풍관로(44)를 따라 외부로 송풍된다. 한편 이 경우 상기 개방부(422)에는 냉각핀(4221)이 설치되어 모터의 스테이터(21)를 냉각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로터(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냉각팬(50)이 회전하여 냉각공기유입구(52)를 통하여 냉각공기를 유입하여 모터(20)를 냉각하게 된다.
이러한 터보블로워(2000)에 대하여 그 운송 중에 미치는 진동과 충격으로 상기 로터(23)의 축방향이동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에어베어링(61)(63)과 그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 에어베어링(71)(7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손방지기구(900)(800)가 설치된다.
상기 파손방지지구(800)는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파손방지기구(900)는 상기 임펠러(30)가 설치된 임펠러쪽 케이싱면(108)에서 돌출된 회전축(281)에 설치되는 진동휠(300)과 상기 진동휠(300)을 지지하는 지지판(400)을 가진다.
상기 진동휠(300)은 원통체(310)의 내면에 상기 회전축(281)이 관통하는 관통공(38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80)을 관통하여 상기 원통체(310)의 내면으로 돌출된 회전축(281)에 결합되는 너트부재(3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너트부재(308)가 상기 회전축(281)에 결합되어 죄어짐에 따라 상기 원통체(310)가 상기 임펠러쪽 케이싱면(108)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진동휠(300)은 터보블로워(2000)가 진동에 노출된 경우 그 진동에 따라 상기 너트부재(308)가 풀리게 되며, 그 풀린 정도로서 진동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판(400)은 판부재로서 그 중앙에 상기 진동휠(300)의 원통체(310)의 측면부가 접면하여 놓이는 관통공(480)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 나사공(401)이 형성된다.
상기 판부재(400)를 그 관통공(480)이 상기 돌출된 회전축(281)이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임펠러 케이싱면(108)에 밀착하고 나사(7)를 통하여 상기 임펠러 케이상면에 결합하고, 이후 상기 관통공(480)에 상기 진동휠(300)의 원통체(310)를 넣어 접면되어 상기 임펠러 케이싱면(108)에 밀착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너트부재(308)를 상기 회전축(281)에 결합하여 상기 원통체(310)가 상기 임펠러 케이싱면(108)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회전축(281)은 반경방향과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흔들림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서 터보블로워(2000)의 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상기 트러스트 에어베어링(61)(63)과 상기 저널 에어베어링(71)(7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트러스트 에어베어링(61)(63)과 상기 저널베어링(71)(73)의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1000, 2000: 터보블로워
20: 모터, 21: 스테이터, 23: 로터
281, 283: 회전축
30: 임펠러
32: 공기유입구
52: 냉각공기유입구
50: 냉각팬
500, 800, 900: 파손방지기구
300: 진동휠, 400: 지지판

Claims (6)

  1. (a)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연통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터보블로워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터보블로워는 상기 모터의 로터의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에어베어링과 상기 모터의 로터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에어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임펠러의 반대측에는 상기 모터를 냉각하는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냉각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b1) 몸체부와;
    (b2)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모터의 로터와 연결된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축결합공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여기서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주위부는 상기 터보블로워의 케이싱에서 상기 냉각공기유입구를 둘러싼 부분에 결합되며;
    (b3) 상기 돌출부가 상기 터보블로워의 냉각공기유입구로 인입되어 상기 로터와 연결된 회전축이 상기 돌출부의 회전축결합공과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돌출부의 주위부가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냉각공기유입구를 둘러싼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터보블로워에 장착이 되어, 상기 터보블로워의 로터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상기 터보블로워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기 모터의 로터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아 상기 터보블로워의 운송중의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상기 저널에어베어링과 트러스트 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주위에는 나사결합공이 형성되어 나사가 상기 나사결합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냉각공기유입구를 둘러싼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케이싱의 냉각공기유입구를 둘러싼 부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회전축결합공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이에 대응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4. (a)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연통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임펠러의 전방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의 끝단에는 상기 임펠러의 날개를 둘러싸는 슈라이더가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의 날개는 그 전방에서 노출되어 보이고, 상기 임펠러의 날개와 슈라우드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는 터보블로워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터보블로워는 상기 모터의 로터의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에어베어링과 상기 모터의 로터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에어베어링을 가지며;
    (b) 판부재로서 그 두께는 상기 슈라우드와 상기 임펠러 날개사이의 간극의 두께를 가져, 상기 간극에 끼워져, 상기 임펠러와 연결된 회전축의 반경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c) 상기 터보블로워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기 모터의 로터가 반경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아 상기 터보블로워의 운송중의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상기 저널에어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는 그 전단부가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6. (a)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연통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터보블로워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터보블로워는 상기 모터의 로터의 회전을 지지하는 저널에어베어링과 상기 모터의 로터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에어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에서 임펠러가 설치된 측은 막혀있는데 상기 회전축은 임펠러쪽 케이싱면에서 돌출되며;
    (b) 그 내면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원통체의 내면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동휠과; 여기서,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죄어짐에 따라 상기 원통체가 상기 임펠러쪽 케이싱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c) 판부재로서 그 중앙에 상기 진동휠의 원통체의 측면부가 접면하여 놓이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주변부가 상기 임펠러 케이싱면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c) 상기 터보블로워에 장착되면 상기 터보블로워의 로터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상기 터보블로워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기 모터의 로터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아 상기 터보블로워의 운송중의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상기 저널에어베어링과 트러스트 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KR1020100126719A 2010-12-13 2010-12-13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KR101182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719A KR101182353B1 (ko) 2010-12-13 2010-12-13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719A KR101182353B1 (ko) 2010-12-13 2010-12-13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537A KR20120065537A (ko) 2012-06-21
KR101182353B1 true KR101182353B1 (ko) 2012-09-24

Family

ID=4668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719A KR101182353B1 (ko) 2010-12-13 2010-12-13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944B1 (ko) 2023-02-03 2023-07-19 한국터보기술 주식회사 모터 효율을 향상시킨 터보 블로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509B1 (ko) * 2014-03-26 2018-02-05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임펠러 체결 구조 및 터보 압축기
CN105003453A (zh) * 2014-07-18 2015-10-28 河北联合大学 一种矿井风机在线监测与故障诊断系统
CN107605765A (zh) * 2017-10-19 2018-01-19 潍坊富源增压器有限公司 离心风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849B1 (ko) 2004-10-18 2006-04-24 주식회사 뉴로스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인 모터 냉각이 가능한 터보 블로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849B1 (ko) 2004-10-18 2006-04-24 주식회사 뉴로스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인 모터 냉각이 가능한 터보 블로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944B1 (ko) 2023-02-03 2023-07-19 한국터보기술 주식회사 모터 효율을 향상시킨 터보 블로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537A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353B1 (ko) 터보블로워의 에어베어링 파손방지기구
EP3553275B1 (en) Compressor or turbine with back-disk seal and vent
US7507068B2 (en) Heat-dissipating mechanism for a motor
EP2401507B1 (en) Rotor assembly
US20080106867A1 (en) Fan motor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70031248A1 (en) Passive fan assembly
JP3879169B2 (ja) ターボ分子ポンプ
JP6101816B2 (ja) 回転機械システム
CN101101006B (zh) 作为用于冷却汽车驱动装置的风扇的组成部分的叶轮
JP4946114B2 (ja) 回転機械
JP7377640B2 (ja) 真空ポンプ、及び、真空ポンプに用いられるロータ並びに回転翼
JP5353569B2 (ja) ターボ機械
CN103062101A (zh) 轴帽
JP4895178B2 (ja) ターボ分子ポンプ
JP5583687B2 (ja) 真空ポンプ
KR102281117B1 (ko) 터보 압축기
JP2023042410A (ja) 回転装置、及び粉砕機
JP6935766B2 (ja) スピンドル装置
EP3754214B1 (en) Spindle device
KR102271971B1 (ko) 전자식 워터 펌프
JP6378637B2 (ja) 圧縮装置
KR100573383B1 (ko) 자동 조심 베어링 어셈블리
JP2002081397A5 (ko)
JP3784250B2 (ja) 真空ポンプ
EP3754212B1 (en) Spind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