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156B1 -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156B1
KR101182156B1 KR1020120042683A KR20120042683A KR101182156B1 KR 101182156 B1 KR101182156 B1 KR 101182156B1 KR 1020120042683 A KR1020120042683 A KR 1020120042683A KR 20120042683 A KR20120042683 A KR 20120042683A KR 101182156 B1 KR101182156 B1 KR 10118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kin
fermented
extract
fermented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균
권오흔
류정아
최소영
최성용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4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쌀, 바람직하게는 현미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보다 바람직하게는 증자하거나 끓인 쌀, 바람직하게는 증자하거나 끓인 현미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열처리하고 여과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발효쌀 추출물은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이 증대되고, 피부세포 독성 유발물질의 제거될 뿐만 아니라 콜라겐 생합성능이 증대되고, 여러 가지 미백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노화로 나타나는 여러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효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를 억제 또는 지연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Fermented rice extract for delaying skin ag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부주름, 피부탄력저하, 기미, 주근깨, 피부흑화, 피부반점 등의 피부노화를 억제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러한 발효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지연,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상당히 많은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자연노화 외에도 여러 가지의 외부 환경에 의해서 자극을 받는다. 즉, 분자생물학적인 변화나 외부의 물리, 화학적 인자에 의하여 일련의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피부노화는 섬유아세포에서 분비하는 콜라겐 단백질의 양이 감소하게 되어 피부에 주름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생체 단백질 총중량의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견고한 3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의 유도 등이 있다. 콜라겐은 피부노화의 외적인 원인이 되는 자외선 노출에 의해서도 파괴되며, 자외선에 의한 변화는 자외선에 노출된 시간의 축적에 비례한다. 자외선은 피부 진피층에서 탄력섬유성 물질을 축적시키고 교원섬유를 변성시켜 피부에 주름이 생기게 만들고 탄력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콜라겐은 진피 건조중량의 70~80%를 차지하며, type I과 type Ⅲ 콜라겐이 주요한 성분이다. Type I 콜라겐은 총 콜라겐의 80%를, typeⅢ 콜라겐은 15%를 차지한다. 피부의 주름은 콜라겐의 합성과 분해의 불균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피부에서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들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로부터 피부 내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해 콜라겐 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메트릭스의 성분이 증가되어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한 물질로는 레티노이드, TGF-β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JP 평08-2312709(A)), 베툴린산 (JP 평08-208424(A)), 클로렐라 추출물 (JP 평09-0405239, JP 평10-0362839(A))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레티노이드류의 경우 불안정하고 피부적용 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정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다. 또,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 촉진으로 인한 피부기능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최근 새롭게 등장한 주름치료법으로 초음파 치료 및 피부 스케일링, 레이저 박피술, 보툴리눔톡신 주사, 레스틸렌 주사 등이 있으나 시술 비용 및 지속성 면에서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체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한 촉진제의 개발 및 발굴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원인 중 하나는 자외선에 의해 형성된 활성 산소종이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이 세포 신호체계에 신호를 보내어 결국 피부의 세포간물질 (extracellular matrix, ECM)의 성분인 콜라겐이나 젤라틴 등을 분해하는 효소인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를 생성하여 콜라겐이나 젤라틴을 파괴함으로써 피부에 주름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만성적인 자외선의 영향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농부 혹은 어부의 피부를 들 수 있는데, 그 특징은 외형적으로는 피부의 색이 검고 촉감이 뻣뻣하며 깊은 주름이 생긴다. 이 상태가 더욱 심해지면 피부암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피부의 변화를 자연노화와 구분하여 광노화라고 한다. 이러한 광노화를 억제할 목적으로 지금까지 많은 기능성 화장품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들 중에는 비타민 A 계통의 레티놀을 사용하는 것과 비타민 C 계통의 아스코빅산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들 두 가지 성분은 실온에서 불안정하여 화장품을 장기 보존할 경우 쉽게 분해되어 그 효능을 잃게 된다. 현재 이들 두 성분의 활성 저하를 막기 위하여 이들 물질에 지방산을 결합시켜 변형하거나 리포좀으로 포집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한편 멜라닌은 동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고분자의 천연색소로서 사람의 피부에서는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한 피부손상에 대항하는 기작으로 생합성이 촉진된다. 멜라닌 색소는 피부를 보호하는 긍정적인 면이 있으나, 이의 과잉생성은 기미, 주근깨, 피부반점 등을 유발하며 멜라닌 전구물질의 독성으로 인한 세포의 사멸 및 피부암 생성이 촉진되기도 한다.
멜라닌의 생합성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싸이트(melanocyte)의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DCT(dopachrome tautomerase) 등 특이적인 효소의 연속적 산화반응에 의해서 일어나는데, 그 중 멜라닌 합성의 주요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실험이 멜라닌 중합체 억제제 개발의 초기단계에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타이로시네이즈에 의한 산화반응 이외에, MSH(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각종 사이토카인류,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인자 등 여러 가지 복잡한 요인들이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고, 또한 in vitro에서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억제 물질이 멜라노마(melanoma) 세포주에서는 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등의 문제로 멜라닌 생성을 종합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의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자외선 흡수제나 산란제, 알부틴(arbutin), 코지산(kojic acid),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등과 같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제, 활성 산소종을 소거하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및 유도체,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등이 미백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피부 안전성, 제형 안정성 등의 문제로 사용되지 않거나 제한된 양만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올리고펩타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세포 독성 유발물질인 단백질 분해효소를 실활시키고,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키며, 콜라겐분해효소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발효쌀 추출물 및 이러한 발효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지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주름개선, 피부미백, 피부탄력유지 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쌀에 물을 첨가하고 증자하거나 끓이는 단계 및 상기 증자하거나 끓인 쌀에 특정 균주,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타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콜라겐 생합성을 향상시키며, 콜라겐분해효소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발효 후 95℃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95-110℃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95-105℃로 5-6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5-45분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분 동안 열처리하여 단백질 분해효소(proteinase)를 실활시킴으로써 피부 독성을 줄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처리는 발효물에 물(바람직하게는 발효물 부피의 2-6배의 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2-4배의 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3배의 물)을 가하고 끓임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열처리를 수행한 후 적당한 시간 동안 방냉하고 여과하여 발효쌀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는 증자되거나 끓인 쌀의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접종한 후, 25-50℃, 바람직하게는 30-45℃, 더욱 바람직하게는 30-40℃,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온도로 2-20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3-10일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5-8일 동안, 가장 바람직하게는 6-7일 동안 고체 발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처리 단계 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발효쌀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열처리 후에 건조물을 얻기 위하여 동결건조 방법 및 분무건조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할 경우 수율이 더 좋긴 하였으나, 활성성분으로 추측되는 올리고펩타이드 또는 페놀성분의 함량, 라디칼 소거능 등의 측면에서는 분무건조하는 방법이 더욱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은 쌀, 바람직하게는 백미 또는 현미, 더욱 바람직하게는 현미를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로 발효시킬 경우 올리고펩타이드의 함량이 증가된다는 사실에 기초하며, 특히 발효쌀의 열처리 및/또는 분무건조의 후속 과정에 의해 피부세포 독성 유발물질의 제거 및 콜라겐 생합성능 증가 효과, 콜라겐분해효소 발현 억제 효과 및 피부미백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 등을 갖는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이 증대되고, 피부세포 독성 유발물질의 제거될 뿐만 아니라 콜라겐 생합성능이 증대되고, 콜라겐분해효소 발현이 억제되며, 피부미백과 관련된 여러 효과가 높아져 피부노화를 지연,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을 증진할 수 있으며, 피부를 강화할 수 있고, 피부를 윤택하게 할 수 있으며, 피부반점, 기미, 주근깨 등과 관련된 피부미백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쌀로는 통상의 방법으로 가공된 현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현미와 동일량의 물을 넣고 증자키거나 끓인 후 냉각시켜 발효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쌀 품종 중에서 본 발명의 피부노화 지연의 목적 상 운광벼, 밀양248, 수원518, 다산벼, 일품벼, 칠보벼 또는 삼덕벼 품종이 바람직하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하며, 이들 품종 중에서 특히 수원518과 삼덕벼 품종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쌀 추출물이 본 발명의 목적상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쌀품종 중에서는 삼덕벼 품종이, 육성계통 중에서는 수원518이 본 발명의 여러 목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특히 삼덕벼 품종이 피부 자극, 피부주름 및 피부미백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또 원료의 수급 등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였다.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로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로34에 소재한 기탁기관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12년 4월 5일자로 기탁 의뢰하여 2012년 4월 16일자로 수탁번호 KACC91718P를 부여받았으며, 이러한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 균주는 통상적인 바실러스 속 미생물의 배양방법으로 배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쌀의 제조 방법에서 수득되는 발효쌀에 함유된 고분자의 단백질, 지질, 전분 등은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가 분비하는 다양한 효소에 의해 분해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단백질 분해산물인 올리고펩타이드의 생성 및 용출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올리고펩타이드는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호물질로 작용하여서 세포활성 조절인자로 작용하여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의 저해효과 및 항산화, 항혈전, 콜레스테롤 강하, 항암 효과, 칼슘 흡수 촉진, 항비만 효과를 갖을 것으로 예상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이론적 추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S1) 증자되거나 끓인 쌀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를 0.2-8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30-45℃에서 3-10일 동안 고체 발효시키는 단계; (S2) 상기 발효쌀을 95-110℃에서 5-30분 동안 열처리하고 추출하는 단계; 및 (S3) 상기 추출물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발효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지연용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지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쌀 추출물에서는 올리고펩타이드의 함량이 증가되고, 콜라겐 생합성이 향상되며, 콜라겐분해효소의 발현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미백 관련 효과를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발효쌀 추출물을 화장품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측면의 피부노화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발효쌀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손상된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합성량을 증가시키고, 콜라겐분해효소의 발현을 억제함으로 인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 및 증진시키고, 피부주름 개선 또는 억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결과적으로 피부노화를 억제시킨다. 또,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발효쌀 추출물은 피부윤택, 피부반점, 기미, 주근깨 등의 개선효과를 가져오는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발효쌀 추출물은 증자하거나 끓인 쌀을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로 발효하여 제조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발효쌀 추출물은 증자하거나 끓인 쌀을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로 발효한 후 95-110℃에서 열처리하여 피부독성을 줄인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는 기탁번호 KACC91718P 균주가 바람직하고, 상기 쌀은 운광벼, 밀양248, 수원518, 다산벼, 일품벼, 칠보벼 또는 삼덕벼 품종이 바람직하며, 특히 수원518 또는 삼덕벼 품종이 더욱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여러 목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삼덕벼 품종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노화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발효쌀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로 포함된다. 발효쌀 추출물의 함량이 일정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일정 함량을 초과일 경우에는 화장료의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피부노화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외용연고는 본 발명의 발효쌀 추출물 이외에 바셀린 50~97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5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의 발효쌀 추출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의 발효쌀 추출물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의 발효쌀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의 발효쌀 추출물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의 발효쌀 추출물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화장료에 본 발명의 발효쌀 추출물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발효쌀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은 피부노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러한 발효쌀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효쌀 추출물은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이 증대되고, 피부세포 독성 유발물질의 제거될 뿐만 아니라 콜라겐 생합성능이 증대되고, 콜라겐분해효소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노화와 관련된 여러 증상을 개선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이 증대되고, 피부세포 독성 유발물질의 제거될 뿐만 아니라 콜라겐 생합성능이 향상되며, 콜라겐분해효소의 발현이 억제되고, 다양한 미백 효과를 갖는 발효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면, 피부의 자연노화 및 일광에 노출되어 분해되는 피부 콜라겐의 합성량을 증가시켜 피부의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 또는 억제에 기여하며, 또 피부미백과 관련된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억제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현미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를 접종하였을 때 생성된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을 배양일수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7종류 쌀 샘플의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발효쌀 추출물의 올리고펩타이드 분포를 SDS-PAGE 상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에 따른 발효쌀 추출물의 무게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에 따른 발효쌀 추출물의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에 따른 발효쌀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에 따른 발효쌀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UV-손상 세포에 대한 비열처리 발효쌀 추출물, 레티노산 및 무발효쌀의 세포생존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UV-손상 세포에 대한 100℃ 열처리 발효쌀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정상 세포에 대한 비열처리 발효쌀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정상 세포에 대한 100℃ 열처리 발효쌀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발효쌀 추출물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단백질 분해효소(proteinase) 실활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UV-손상 세포에 대한 100℃ 열처리 발효쌀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삼덕벼 고체발효 추출물의 섬유아세포 재생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삼덕벼 고체발효 추출물의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삼덕벼 고체발효 추출물의 콜라겐분해효소(MPP-1) 발현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쌀 고체발효 추출물의 예상되는 피부노화억제 작용 기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쌀 추출물 함유 쌀화장품의 시제품 효능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현미와 동일 량의 물을 넣고 증자하여 제조한 현미쌀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기탁번호 KACC91718P)를 2 중량% 접종한 후 35℃를 유지하면서 6 내지 7일 동안 고체 발효시켰다.
고체발효에 사용된 쌀 샘플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하에서는 샘플번호로 쌀 종류를 구분하였다.
고체발효 중 생성되는 올리고펩타이드 함량 분석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1 g 발효쌀에 10 ㎖ 물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추출한 후 여과한 여액 50 ㎕을 채취하여 1 ㎖ OPA(Sigma P0532) 용액과 혼합하고 상온에서 20분 유지시킨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산화 글루타치온(Oxidised glutathione)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여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을 표시하였다.
샘플번호 벼 품종 및 계통명 샘플번호 벼 품종 및 계통명
1 동진1호 14 다산벼
2 조생흑찰 15 익산525
3 다미 16 밀양232
4 조아미 17 익산514
5 보석벼 18 진수미
6 해오름미 19 주남벼
7 삼광벼 20 새추청벼
8 운광벼 21 일품벼
9 밀양240 22 호품벼
10 익산524 23 칠보벼
11 한마음벼 24 삼덕벼
12 밀양248 25 조광벼
13 수원518
본 발명에 사용한 쌀 샘플 품종 및 계통은 경상북도지역에 추천하는 장려품종(동진 1호, 조생흑찰, 다미, 조아미, 보석벼, 해오름미, 삼광벼, 운광벼, 한마음벼, 다산벼, 진수미, 주남벼, 새추청벼, 일품벼, 호품벼, 칠보벼, 삼덕벼, 조광벼) 및 육성계통(밀양240, 익산524, 밀양248, 수원518, 익산525, 밀양232, 익산514)으로 농촌진흥청에서 지역적응 및 용도개발 등으로 보급확대 및 품종화할 쌀로써 필요에 따른 종자의 보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현미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를 접종하였을 때 생성된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을 배양일수별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8번 운광벼, 12번 밀양248, 13번 수원518, 14번 다산벼, 21번 일품벼, 23번 칠보벼, 24번 삼덕벼에서 우수한 올리고펩타이드 생성을 보였다. 상기에서 선발된 7종류의 쌀에 대하여 반복실험을 수행하여 올리고펩타이드 생성량이 1,000 ㎍/㎖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도 2는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7종류 쌀 샘플의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고체 발효쌀에 3배 이상의 물을 첨가하고 100℃에서 10분간 끓여 열처리를 한 후 1시간 방냉한 다음 여과하여 발효쌀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수득된 발효쌀 추출물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도 3은 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의 올리고펩타이드 양상을 SDS-PAGE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쌀 샘플 대부분이 10 kDa 이하의 올리고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UV처리 섬유아세포에 불가사리 유래 24-116kDa 올리고펩타이드를 처리한 결과 분자량이 작을수록 MMP-1 발현저해율이 높다는 보고(J. Food Sci. Technol. 39:625-629)에 기초할 때, 본 발명으로 제공되는 10kDa 이하의 올리고펩타이드는 MMP-1 발현저해에 매우 유용할 것임을 추측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이론적 예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와 비교하여 발효쌀 추출물을 동결건조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수득된 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의 수율을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한 발효쌀 추출물의 수율은 3.6 ~ 5.6%였고, 분무건조 방법을 이용한 경우는 1.6 ~ 4.0%였다. 또, 12번 밀양248 무발효물의 분무건조 수율은 0.4%이었는데(맨 왼쪽 막대 "무발효"), 발효물 분무건조 수율은 3.4%로 놀랍게 향상되었다. 즉, 이러한 발효과정을 통해 수율이 약 8배 높아져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분해효소에 의해 수용성 물질이 증가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에 따른 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의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보듯이, 단위무게당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이 동결건조에 비하여 분무건조에서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수득된 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비교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검액 200 ㎕에 200 ㎕의 Folin-ciocalteau을 넣고 6분간 실온에 방치한 후 2 ㎖ 7% Na2CO3 용액을 넣었다. 그 후 실온에서 1시간 30분 방치한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시약으로는 탄닌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6에서 나타내었으며, 여기에서 보듯이, 분무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에 비하여 총 페놀함량에서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수득된 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도는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 1 ㎖ DPPH와 검액 4 ㎖를 실온에서 20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분무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발효쌀 추출물에 비하여 항산화 활성도가 2배 정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UV-손상세포 세포독성 검사
본 실험에 이용한 세포는 HS68이며 ATCC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배양은 10% 소태아 혈청 (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0 U/㎖)을 첨가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배양기에 적응시켜 계대배양하였다.
HS68 세포를 1X105cells/㎖ 농도로 24-웰 플레이트에 넣고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HS68 세포에서 배양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척하였다. 인산완충액을 500 ㎕ 첨가한 다음 자외선 조사(광원으로부터 65 ㎝, 1분 40초) 후 신선한 세포배양배지로 교체하였다. 실험원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자외선 조사 후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세포생존율을 비교하여 UV-손상세포의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도 8에는 UV-손상 세포에 대한 비열처리 발효쌀 추출물, 레티노산 및 무발효쌀의 세포생존율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보듯이, 비열처리 샘플의 경우 UV-손상세포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독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도 9는 UV-손상 세포에 대한 100℃ 열처리 발효쌀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보듯이, 열처리 샘플은 UV-손상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손상을 입은 세포의 경우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며 오히려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정상세포 세포독성 검사
HS68 세포를 1X105cells/㎖ 농도로 24-웰 플레이트에 넣고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것에 각 샘플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생존율을 무처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도 10은 정상세포에 비열처리 발효쌀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로서, 50 ㎍/㎖ 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1은 정상세포에 열처리 발효쌀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로 무발효쌀 추출건조물과 비교 시 100 ㎍/㎖까지 생존율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5~10 ㎍/㎖의 농도에서 세포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예 6> 열처리 온도에 따른 단백질 분해효소의 실활 측정
열처리 온도 즉, 발효쌀을 각각 60℃, 70℃, 80℃, 90℃ 및 100℃에서 열처리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단백질 분해효소의 실활 정도를 측정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5% 카제인을 함유한 1 ㎖ mellvine 완충액과 1 ㎖ 1.5 mM Na2EDTA과 검액 1 ㎖을 잘 혼합한 다음 30℃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3 ㎖ 0.4M TCA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킨 후 여과한 여액 1 ㎖과 2.5 ㎖ 0.55M Na2CO3과 Folin 시약 1.5 ㎖을 혼합하여 6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표준물질로 Tyrosine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도 12는 발효쌀 추출물의 열처리온도에 따른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90℃에서도 무처리군 대비 43%의 효소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단백질 분해효소가 완전히 실활되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온도는 100℃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7> 발효쌀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측정
피부 진피세포 내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UV-손상 섬유아세포(HS68)에 열처리(100℃) 발효쌀 추출물을 0.5~10 ㎍/㎖농도 희석한 것을 처리하여 HS68 세포를 48시간 배양한 다음 콜라겐 생합성 촉진능을 분석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정도는 Marcello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즉, HS68 세포를 1X105cells/㎖ 농도로 12 well plate에 넣고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배양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척하였다. 인산완충액을 1,000 ㎕ 첨가한 다음 자외선 조사(광원으로부터 65 cm, 1분 40초) 후 신선한 세포배양배지를 사용하여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 후 48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각 웰에 lysis 용액(100 mM Tris HCl, 0.5 mM MgCl2, 0.1% TritonX-100)을 넣은 후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를 모은 후 원심분리(2,000 rpm, 4℃, 5 min)를 수행하여 얻은 상등액 50 ㎕를 96웰에 넣었다. 이어서, 37℃에서 16시간 동안 방치한 후 건조 오븐에서 24시간 방치했다. 다음으로 증류수 200 ㎕를 이용하여 3번 헹구고 0.1% Sirius Red F3BA를 포함하는 포화 피크르산(saturated picric acid) 용액을 만들어 각 웰에 100 ㎕씩 넣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에 10 mM HCl 용액을 각 웰에 200 ㎕씩 넣어 5회 세척하였다. 그리고 각 웰에 0.1 N NaOH 200 ㎕를 넣고 5분간 방치한 후 새로운 플레이트에 옮긴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총 단백질로 보정하였다.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발효쌀 추출물의 UV조사에 따른 콜라겐 생합성 촉진능을 분석한 결과는 도 1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0.5 또는 1 ㎍/㎖ 농도범위에서 13, 14, 21, 23, 24번 샘플이 콜라겐 생합성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3번의 경우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 농도에서 31.7% 이상 콜라겐 생합성량이 증가하였고, 24번 샘플인 삼덕벼의 경우에도 1 ㎍/㎖의 처리 농도에서 21.9% 생합성을 증가시켜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광노화는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Tumor necrosis factor-α, tumor necrosis factor-γ, nitric oxide, 인터루킨 등이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을 억제하고,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을 촉진시켜 발생하며 이러한 결과로 피부홍반, 거칠기, 주름, 흑화를 만들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쌀 고체발효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고 콜라겐 생성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광노화 등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피부홍반, 거칠음, 주름, 흑화 등의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8> 발효쌀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작용기작 규명
발효쌀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작용기작을 규명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발효쌀 추출물의 피부노화 지연 효과를 다시 한 번 평가해 보고자 상기 24번 샘플인 삼덕벼 유래 발효쌀 추출물을 대상으로 세포재생능, 프로콜라겐 발현 촉진능, 콜라겐분해효소(MMP-1) 발현 억제능을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14 (피부세포 재생능 평가), 도 15 (프로콜라겐 발현 촉진능 평가), 및 도 16 (콜라겐분해효소 발현 억제능 평가)에 나타내었다.
도 14 내지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삼덕벼 유래 고체발효추출물은 UV로 손상된 섬유아세포의 재생에 효과가 인정되어 세포를 사멸쪽보다는 활성화쪽으로 진행시킴을 확인하였다. 콜라겐의 전구체인 프로콜라겐은 단백질 합성과 함께 골지체로 이동하여 세포밖으로 분비되어 분화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분비된 프로콜라겐량을 분석하여 고체발효쌀 추출의 프로콜라겐 발현 촉진능을 측정한 결과, 도 15와 같이 21% 이상 발현량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의 발현억제능을 확인하고자 ELISA법을 이용하여 MMP-1 단백량을 측정한 결과로서 55% 이상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피부노화는 콜라겐 합성과 콜라겐 전사 이후에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해 일어나며 Tranformation growth factor-β, epidermal growth factor, fibroblast growth factor 등과 같은 성장호르몬의 감소가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콜라겐 합성과 분해가 본 발명에 따른 발효쌀 추출물에 의해 유도된 TGF-β의 작용으로 콜라겐 합성은 증가하고 콜라겐분해효소(MMP-1) 합성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추측되며, 본 발명에 따른 발효쌀 추출물은 TGF-β signaling pathway를 통해 프로콜라겐 생성량을 높이고 콜라겐분해효소(MMP-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피부콜라겐 함량을 증가시킴으로 피부노화 억제효과를 보이게 되는 것으로 예상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이론적 기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9> 발효쌀 추출물 화장료 조성물의 간이 임상 시험
상기 24번 샘플과 같이, 삼덕벼 현미를 재료로 하여 1주일간 Bacillus licheniformis로 고체발효를 수행하고 열수 추출한 다음 분무건조하여 제조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쌀화장품을 제조하였다. 화장품 종류는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4종으로 전체 구성에 0.02 중량%의 쌀고체발효추출물과 70 중량% 에탄올을 이용하여 제조한 쌀추출물 0.2 중량%를 첨가하여 쌀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상기 스킨, 로션, 에센스 및 크림으로는 통상적인 스킨, 로션, 에센스 및 크림 제조방법으로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 생산라인에서 500 세트를 주문 생산하였다. 제조한 화장품 4종 세트를 400명의 피험자에게 1개월간 사용 후 피부주름 개선, 미백, 윤택 및 반점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화장품 사용 후 총 피험자의 81%가 주름개선효과가 있다고 답하였으며, 모든 피험자가 미백효과가 있다고 평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모든 피험자가 피부윤택 및 반점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미백 관련 종래의 제품이 피부 자극(안전성), 피부 부작용으로 인한 사용량의 제한 등이 문제되었으나, 본 발명의 발효쌀 추출물의 경우 이와 같은 피부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 화장품으로 쌀의 유용성을 극대화시킨 것이라고 평가되었다.
본 발명은 피부노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러한 발효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특히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효쌀 추출물은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이 증대되고, 피부세포 독성 유발물질의 제거될 뿐만 아니라 콜라겐 생합성능이 증대되고, 콜라겐분해효소의 발현이 억제되며, 여러 가지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노화와 관련된 여러 가지 피부 증상을 억제 및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올리고펩타이드 함량이 증대되고, 피부세포 독성 유발물질의 제거될 뿐만 아니라 콜라겐 생합성능이 향상되고, 콜라겐분해효소의 발현이 억제되며, 여러 가지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발효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를 지연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면, 피부의 자연노화 및 일광에 노출되어 분해되는 피부 콜라겐의 합성량을 증가시켜 피부의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 또는 억제에 기여하여,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피부반점의 출현을 억제하며, 미백 효과를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지연에 기여할 수 있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1718P 20120416

Claims (17)

  1. 쌀에 물을 첨가하고 증자하거나 끓이는 단계 및 상기 증자하거나 끓인 쌀에 기탁번호 KACC91718P로 수탁된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타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미백 효과를 가지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발효 후 95℃ 이상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피부 독성을 줄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발효 후 물을 가하고 끓임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최종 결과물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현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운광벼, 밀양248, 수원518, 다산벼, 일품벼, 칠보벼 또는 삼덕벼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수원518 또는 삼덕벼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S1) 증자되거나 끓인 쌀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를 0.2-8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30-45℃에서 3-10일 동안 고체 발효시키는 단계;
    (S2) 상기 발효쌀을 95-110℃에서 5-30분 동안 열처리하고 추출하는 단계; 및
    (S3) 상기 추출물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10. 기탁번호 KACC91718P로 수탁된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에 의해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지연용 화장료 조성물.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쌀 추출물은 증자하거나 끓인 쌀을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로 발효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지연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쌀 추출물은 증자하거나 끓인 쌀을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로 발효한 후 95-110℃에서 열처리하여 피부독성을 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지연용 화장료 조성물.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운광벼, 밀양248, 수원518, 다산벼, 일품벼, 칠보벼 또는 삼덕벼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지연용 화장료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수원518 또는 삼덕벼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지연용 화장료 조성물.
  17. 제10항, 제12항, 제13항,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 지연은 피부주름개선, 피부탄력증진, 피부강화, 피부윤택, 피부반점억제, 또는 피부미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지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42683A 2012-04-24 2012-04-24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83A KR101182156B1 (ko) 2012-04-24 2012-04-24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83A KR101182156B1 (ko) 2012-04-24 2012-04-24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156B1 true KR101182156B1 (ko) 2012-09-12

Family

ID=4707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683A KR101182156B1 (ko) 2012-04-24 2012-04-24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1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52B1 (ko) * 2012-10-04 2014-10-28 주식회사 국순당 현미 약주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37204A (ko) 2018-05-31 2019-12-11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지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수용성 펩타이드
KR102475684B1 (ko) 2022-07-13 2022-12-09 주식회사 비케이브로스 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329B1 (ko) 2001-01-31 2006-02-20 가부시키카이샤 테크노블 화장료
JP2006137755A (ja) 2004-11-10 2006-06-01 L'oreal Sa 米タンパク質加水分解物および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合成を増大させる薬剤を含む美容組成物
KR101086461B1 (ko) 2010-11-18 2011-11-25 두보식품 주식회사 마이크로파와 쌀 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현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329B1 (ko) 2001-01-31 2006-02-20 가부시키카이샤 테크노블 화장료
JP2006137755A (ja) 2004-11-10 2006-06-01 L'oreal Sa 米タンパク質加水分解物および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合成を増大させる薬剤を含む美容組成物
KR101086461B1 (ko) 2010-11-18 2011-11-25 두보식품 주식회사 마이크로파와 쌀 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현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52B1 (ko) * 2012-10-04 2014-10-28 주식회사 국순당 현미 약주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37204A (ko) 2018-05-31 2019-12-11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지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수용성 펩타이드
KR102475684B1 (ko) 2022-07-13 2022-12-09 주식회사 비케이브로스 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1133B1 (ko) 2022-07-13 2022-12-27 주식회사 비케이브로스 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3044A1 (en) Antioxidant, skin-whitening and wrinkle-reducing multi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rice by-product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WO2009145419A2 (ko) 식물성 펩톤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
KR20090098706A (ko) 브라소카틀레야 마르셀라 코스 난초 추출물 및 피부 탈색제로서의 그의 용도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2156B1 (ko)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발효쌀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9589B1 (ko) 피부노화 억제를 위한 발효쌀 추출물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수득된 발효쌀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0857B1 (ko) 국화 및 목련 유성온천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6656B1 (ko) 락토바실러스 속 복합균주를 활용한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1074A (ko)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KR101724526B1 (ko) 퀴노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72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20200064944A (ko) 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85121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1917711B1 (ko) 방가지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5423A (ko) 단풍잎돼지풀 및 개망초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5418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2125409B1 (ko) 백당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1843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8338A (ko) 시금치 추출물의 효모발효액을 함유하는 주름 예방 및 노화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10067567A (ko) 와일드프란지파니꽃 및 진퍼리하늘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KR102329921B1 (ko) 락토바실러스 속 신균주를 이용한 바다제비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618301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071A (ko) 피부 광노화 억제 및 피부손상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광노화 억제 및 피부손상세포 재생용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