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896B1 - 광 접속용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광 접속용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896B1
KR101181896B1 KR1020110041146A KR20110041146A KR101181896B1 KR 101181896 B1 KR101181896 B1 KR 101181896B1 KR 1020110041146 A KR1020110041146 A KR 1020110041146A KR 20110041146 A KR20110041146 A KR 20110041146A KR 101181896 B1 KR101181896 B1 KR 101181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ferrule
optical cable
bas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완
이평구
박병철
정준호
이연수
김남욱
박민들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텔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텔콤
Priority to KR102011004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3Adjustment or alignment devices for alignment prior to spl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1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grooves to align ferrule ends

Abstract

광섬유 케이블 간 또는 광 섬유 케이블과 페룰의 융착 접속을 위한 광 접속용 홀더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광 접속용 홀더장치는, 베이스수단; 및, 상기 베이스수단 상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고 광 접속되는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되는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은,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수단에 구비된 조립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의 일단부가 걸리어 지지되는 돌턱이 더 구비되고, 상기 조립 베이스의 타측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된 홀더를 지지하거나 또는, 페룰이 탑재된 홀더에 구비된 체결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훅크부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 케이블간 또는 광 케이블과 페룰 각각의 광 섬유(주선)의 융착 접속시, 기존 융착기에 핀 안착구조로 홀더들을 장착하는 것에 비하여, 광 섬유 접속불량을 방지시키는 한편, 특히 광 케이블과 페룰의 광접속 조립단계에서 맞추어 홀더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현장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실용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 접속용 홀더장치{Holder Device for Opical Connecting}
본 발명은 광섬유 케이블 간 또는, 광 섬유 케이블과 페룰의 융착 접속시 사용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섬유 케이블(이하,'광 케이블')간 또는 광 케이블과 페룰 각각의 광 섬유(주선)의 융착 접속시, 기존 융착기에 핀 안착구조로 홀더들을 장착하는 것에 비하여, 광 섬유 접속불량을 방지시키는 한편, 특히 광 케이블과 페룰의 광접속 조립단계에서 맞추어 홀더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현장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실용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 케이블 네트워크의 보급이 진전됨에 따라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 작업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인데, 예를 들어, 현재 인터넷 통신시 사용되는 (가정용) 모뎀 라인(전화선 또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인터넷 통신 라인) 대신에 광 케이블을 이용한 광 통신 라인으로 대체되고 있다.
광섬유는, 빛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섬유 모양의 도파관(導波管)이며, 통상은 여러 가닥으로 결속된 광케이블 형태로 사용된다.
한편, 광 케이블의 광섬유(주선)은 내부 중앙의 코어와 이를 감싸는 클래딩(cladding)의 2중 구조이고, 외부는 2 ~ 3겹의 피복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 케이블을 이용한 광 통신 구축은 외부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나 혼신(混信)이 없고, 도청이 어려우며, 특히 하나의 광섬유에 많은 통신 회선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망 구축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광 케이블을 이용한 광 통신 구축시에는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 작업이 필수적으로 필요한데, 예를 들어 광 케이블을 각 가정의 컴퓨터(PC)와 접속되는 광 모뎀의 어댑터에 접속하기 위하여는 광 케이블의 광섬유(주선)를 접속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컨넥터를 사용한다.
일예로,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시 사용되는 현장 조립형 광 컨넥터(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는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광 컨넥터는, 옥외단자와 각 가정의 광 모뎀 사이에 광 케이블의 연결 접속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광 컨넥터는 옥외 단자와 각 가정의 광 모뎀 사이의 현장에서의 광 케이블의 길이는 현장 환경에 따라 가변되고, 따라서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시에는 광 케이블의 주선을 절단하여 광 컨넥터에 접속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광 케이블의 현장 접속방법들이 알려져 있는데, 일예로 어댑터와 결합되어 실제 광신호를 반대편 광 케이블로 전송시키는 페룰(ferrule)의 주선(광섬유)과 가정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의 주선(광섬유)을 컨넥터 내부에서 매칭 젤을 이용하여 접속시키고, 광 컨넥터화시켜 접속점을 보호하는 현장조립형 광 컨넥터를 이용한 기계식 접속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광 케이블(광 점퍼코드 케이블) 양쪽에 미리 광 컨넥터 작업을 한 광 점퍼코드를 절반(피그테일이라고 불림)으로 나눠 광 점퍼코드 케이블 주선과 현장에 인입된 광 케이블 주선을 광섬유 융착 접속기를 이용해 (열) 융착 접속시키고, 이와 같은 융착된 주선 접속부위에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슬리브(튜브)로 피착 보강한 후 단자함이나 아웃렛 등의 트레이에 장착하여 접속점을 보호하는 융착접속 방법이다.
한편, 최근의 또 다른 융착 접속방법은, 페룰의 주선과 광 케이블의 주선을 정렬시킨 후, 접속부위를 고전압 전극을 이용하여 아크방전을 통하여 열을 가하여 열 융착 접속시키고, 이와 같은 융착된 주선 접속부위에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슬리브(튜브)나 접속구로 피착 보강한 후 광 컨넥터화시켜(성단) 접속점을 보호하는 현장 융착형 광 컨넥터 방법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이와 같은 페룰과 광 케이블의 융착 접속을 도시하고 있는데, 페룰(10)은 페룰 본체(12)와 페룰 본체(12)에 순차로 연결되는 플랜지(14)와 피복부(16) 내측의 주선(18)(광섬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광 케이블(20)은 외피의 내측으로 유리섬유 등의 보호층에 주선(26)이 내재된 피복부(24)가 내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상기 페룰(10)의 주선(18)과 광 케이블(20)의 주선(광섬유)(26)은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은 융착 접속기를 통하여 그 끝단들이 융착 접속된다.(도 1의 'C' 부분)
이때, 융착 접속된 페룰과 광 케이블 주선에는 슬리브(30)가 포위되어 있다가 열을 가하면 수축되어 주선 융착부위를 피착 보강한다.
그런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광 케이블의 주선과 페룰의 주선을 (열) 융착 접속시키기 위하여는, 융착 접속기를 이용하여 주선들을 융착하는데, 통상 이와 같은 광 케이블과 페룰의 주선(심선)들을 융착 접속기에서 융착하기 위하여는 주선들이 융착시 유동되지 않도록 광 케이블과 페룰이 장착되는 홀더들을 융착 접촉기에 장착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융착 접속시 홀더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2에서는 페룰(10)용 홀더만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룰(10)이 안착된 홀더(100)를 통하여 주선(18)만이 돌출된 상태에서, 홀더(100)는 융착기 홀더 안착부(200)의 고정핀(210)이 삽입되는 핀 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100)에 페룰을 고정한 상태에서 홀더에서 돌출된 페룰 주선을 절단하고, 홀더(100)를 융착기 홀더 안착부(200)에 안착시키면 융착기 고정핀(210)이 핀홀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반대측의 도시하지 않은 홀더에 안착된 광 케이블의 주선(26)이 융착기 전극(220)의 방전을 통하여 아크열로 융착 접속되데 된다.
그러나, 도 2와 같은 종래의 경우, 홀더(100)가 융착기 안착부(200)에서 핀 안착구조로 제공되기 때문에, 핀(210)과 홀더 핀홀(110)사이에는 공차(도 2의 'A'부분)가 발생되기 때문에, 페룰과 광 케이블 주선간 융착시 융착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홀더 자체를 다분할 하여 현장 조립 환경에 따라 홀더의 융착기 안착시 그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광 케이블 간 또는 광 케이블과 페룰 각각의 광 섬유(주선)의 융착 접속시, 기존 융착기에 핀 안착구조로 홀더들을 장착하는 것에 비하여, 광 섬유 접속불량을 방지시키는 한편, 특히 광 케이블과 페룰의 광접속 조립단계에서 맞추어 홀더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현장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실용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베이스수단; 및, 상기 베이스수단 상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고 광 접속되는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되는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은,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수단에 구비된 조립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의 일단부가 걸리어 지지되는 돌턱이 더 구비되고, 상기 조립 베이스의 타측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된 홀더를 지지하거나 또는, 페룰이 탑재된 홀더에 구비된 체결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훅크부가 더 구비된 광 접속용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수단은,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이 안착되는 상기 조립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이 안착 고정되는 조립 베이스는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융착기 또는 절단기 탑재를 위하여 제공되는 기기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베이스에는 조립베이스상에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의 안착 고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홀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에 구비된 홀더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사이에 긴밀하게 안착되면서 위치 고정되는 상기 조립 베이스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돌기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수단에 안착되는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은, 상기 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에는, 상기 커버가 체결수단을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홀더에 구비된 양측 돌출부에는 상기 커버에 구비된 금속판과 협력하여 커버의 홀더 고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자석이 장착되는 것이다.
삭제
이때, 상기 홀더에는 광 케이블 외피나 피복부, 또는 페룰의 피복부가 삽입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스프링을 매개로 압박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홀더에는 광 케이블 또는 페룰이 밀착 지지되는 광 케이블 지지판 또는 페룰 안착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되고, 상기 홀더와 베이스수단에 구비된 조립 베이스에는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볼트구멍과 볼트 체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측 볼트 구멍의 하단부에는 볼트 체결부에 삽입되어 홀더의 안착후 위치 고정을 추가로 가능토록 하는 환형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에는 페룰이 탑재되고, 상기 홀더의 하부에는 베이스수단에 구비된 조립 베이스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홀더 안착후 위치 고정을 추가로 가능토록 제공되는 환형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 케이블 간 또는 광 케이블과 페룰 각각의 광 섬유(주선)의 융착 접속시, 기존 융착기에 핀 안착구조로 홀더들을 장착하는 것에 비하여, 광 섬유 접속불량을 방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광 케이블과 페룰의 처리단계에서 맞추어 홀더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광 케이블 또는 페룰의 전체적인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실용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광 케이블과 페룰 융착 접속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핀 안착 구조로 홀더가 융착기에 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접속용 홀더장치와 홀더장치의 융착기 베이스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5는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광 케이블 및 페룰용 홀더장치들을 각각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홀더장치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페룰용 홀더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광 케이블용 홀더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광 케이블용 홀더장치의 볼트 체결 구조와 환형돌부 지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접속용 홀더장치(500) 즉, 광 케이블의 주선 간 또는 광 케이블과 페룰의 주선들을 각각 융착기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 사용되는 홀더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광 케이블과 페룰의 관련 도면부호는 도 1에서 설명한 도면부호로 설명하고, 그 접속 융착의 필요성이나 작용의 설명은 본 실시예에서는 간략한다.
한편,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홀더장치(500)는 세밀하게는 광 케이블과 페룰 용으로 구분될 수 있고, 그 차이는 광 케이블의 경우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고, 페룰의 경우 볼트 체결없이 훅킹(hooking)으로 조립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기타 전체적인 기본 구조는 광 케이블이나 페룰용 홀더장치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광케이블과 페룰용 홀더장치의 경우 그 차이를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각각 광 케이블(20)과 페룰(10)이 탑재 고정되는 홀더장치(500)를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홀더장치는 광 케이블과 광 케이블간 광 접속 또는 광 케이블과 페룰간 광 접속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페룰과 광 케이블의 광 접속(주선 접속)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접속용(주선 접속용) 홀더장치(500)는 그 구성 일예로서 크게 베이스수단(300)과 상기 베이스수단(400)상에 안착되어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이 장착되는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베이스수단(300)은, 예를 들어 융착기(도 3에서는 융착기에서 홀더장치들이 탑재되는 융착기의 홀더 탑재부(200')를 도시함)에 조립되는 융착기 조립용 베이스수단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홀더장치(500)는, 도 2에서 도시한 공차 발생에 따른 접속 불량을 유발하는 기존의 핀 안착구조 대신에, 홀더수단(400)을 베이스수단(300) 즉, 베이스수단상에 홀더수단을 단순하게 안착시키어도 적어도 수평방향으로 사방으로 홀더가 유동되지 않는 위치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도 2에서와 같이 광 케이블과 페룰의 주선(18)(26)들의 안정적이고 일정한 융착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상기 베이스수단(300)상에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400)만을 안착시키고, 이때 탑재 고정되는 페룰이나 광 케이블의 주선 절단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홀더장치(500)가 반드시 융착기에 탑재 사용될 필요는 없고,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조립 베이스와 이에 안착되는 홀더수단은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상기 베이스수단(300)을 융착기에 조립 탑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수단(300)은, 바람직하게는 융착기에 구비된 이동수단(미도시)에 체결되는 융착기 체결부(310)가 구비된 조립베이스(330) 및, 상기 조립 베이스상에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의 안착 고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홀더 위치고정수단(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융착기 이동수단은 도 3의 융착기의 홀더 안착부(200')에 제공되는 레일, 이동 블록 등의 에컨대, 알려진 엘엠(LM) 이송수단일 수 있고, 상기 조립베이스(330)에 구비되는 체결부(310)는 상기 엘엠 이송수단의 이동 블록에 체결되는 융착기 체결부(312)(총 4개가 구비됨)와 조립 베이스의 저부에서 돌출되어 엘엠 이송수단에 연계되는 연계부(314)(예를들어, 레일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홀더장치 들의 홀더(410)들은 융착기에서 엘엠 이송수단 등의 이동원을 매개로 이동하면서, 도 2와 같이 전극으로 주선들의 융착 접속시 그 간격 등을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위치고정수단(350)은,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의 홀더 양측에 제공된 돌출부(412)가 사이에 긴밀하게 안착되면서 홀더수단이 베이스수단의 조립베이스(330) 상에서 위치 고정토록 상기 조립 베이스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위치고정용 돌기(352)(354)(356)(35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위치 고정용 돌기들은 구체적으로는 조립 베이스(330)의 일측에 마주하는 길이를 갖는 돌기(353))(354) 및, 길이를 갖지않는 조립 베이스의 타측에 제공되는 돌기(356)(358)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길이를 갖는 돌기들은 홀더수단(400)의 홀더(410)의 양측면이 밀착되는 밀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돌기들사이에는 상기 홀더의 양측에서 수평하게 돌출하는 돌출부(412)들이 사이에 긴밀하게 삽입된다.
결국, 본 발명 홀더장치(500)의 경우, 융착기와의 조립시 기존에 핀 구조 대신에, 홀더(410)를 베이스수단의 조립베이스(330)상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홀더들은 베이스상에서 사방으로 유동되지 않고 긴밀하게 위치 고정된다.
물론,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안았지만, 상기 조립 베이스(330)의 체결부(310)는 광 케이블간 또는 광 케이블과 페룰 주선 접속전에 그 끝을 일정하게 하는 절단기 체결부로 제공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 베이스의 체결부는 기기 체결부(310)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융착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접속용 홀더장치(500)에서,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400)은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이 상부에 안착되는 앞에서 설명한 홀더(410) 및, 상기 홀더에 조립되면서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커버(4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홀더수단(400)은, 베이스수단(300)의 조립 베이스(330)상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는 홀더(410)에 선택적으로 광 케이블(20) 또는 페룰(10)이 안착되고, 그 위로 커버(430)가 조립되면서 체결되어 광 케이블과 페룰은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430)는 체결수단(450)을 매개로 상기 홀더(410)상에 분해 가능하면서 회동 방식으로 조립되는데, 이와 같은 체결수단(450)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핀(456)이 통과하여 서로 체결되는 홀더상의 제1 체결부(452)와 상기 제1 체결부 양측에 위치되는 커버(430)상의 제2 체결부(454)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체결수단(45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홀더(410)의 양측에 제1 체결부가 제공되고, 커버(430)에는 일측에만 제2 체결부가 제공되므로, 커버를 양측의 제1 체결부에 선택적으로 핀으로 조립될 수 있어, 커버 방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커버(430)는 핀(456)으로 간단하게 홀더(410)상에 조립되고, 상기 핀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와 같은 본 발명 커버(430)에는 도 4와 같이 커버 회동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430a)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430)는 체결수단(45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홀더(410)상에 조립되나, 광 케이블이나 페룰이 홀더 상에 안착되면 압박하여 긴밀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자력을 이용하여 홀더 상에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과 같이,홀더(410)의 양측에서 수평 돌출되는 돌출부(412)에는 자석(414)들이 내장(자석 장착홈부(미부호)를 형성함)되고, 상기 커버(430)의 내측(저부)에는 금속판(432)들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430)가 핀을 축으로 회동하여 금속판(432)이 홀더측 자석에 근접하면 자력으로 금속판은 자석상에 밀착 고정되고, 이때 커버의 홀더 탑재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더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홀더수단(400)의 홀더(410)의 일측에 형성된 오목부(412a)는 상기 조립베이스(330)의 일측에 제공된 돌턱(332)에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조립 베이스상의 홀더 위치고정수단(350)의 돌기들과 홀더(410)의 양측 돌출부(412)의 밀착 고정에 더하여, 홀더(410)의 오목부와 조립 베이스(330)의 돌턱의 밀착으로 그 유동이 더 안정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홀더장치(500)에서, 광 케이블(20)과 페룰(10)이 홀더수단(400)의 홀더(410)상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20)의 피복부(24) 또는 페룰(10)의 피복부(16)가 통과하면서 긴밀하게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 바람직하게는, 양측의 고정부(418)(4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일측 고정부(420)는 광 케이블인 경우에만 필요할 수 있는데, 예컨대 광 케이블의 피복부(24)나 외피(22)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418)(420)들은 중앙에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 않는 피복부 통로들을 포함하고, 경사진 절개면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페룰인 경우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룰 몸체가 일측 고정부(420)측에 고정되기는 어렵고 길이도 짧기 때문에, 페룰 피복부가 고정되는 타측의 고정부만(418)을 사용하면 된다.
물론, 이들 제1,2 고정부는 광 케이블과 페룰의 주 압박 수단은 아니고, 이들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와 홀더의 자력 밀착 고정으로 압박 고정되고, 다만 주선만이 피복부에서 돌출되어 사전에 절단되고, 광 케이블과 페룰 주선들의 끝 부분이 융착 접속되게 된다.
이때, 더 바람직하게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이 홀더 상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홀더(410)에는 중앙부분에 오목한 부분에 광 케이블(20)을 지지하는 광 케이블 지지체(422) 예를 들어 탄력소재(고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페룰(10)이 홀더에 안착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홀더(410)의 상부면에는 페룰 본체(12)가 안착 삽입되는 페룰 안착홈부(4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시에, 도 6과 같이, 상기 커버(430)의 내측 공간에는 2개 정도의 스프링(434)를 매개로 압박판(436)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박판(436)에는 광 케이블의 피복부 또는 페룰 본체에 대응하는 홈부(436a)가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홀더에 광 케이블(20)이 안착되고, 커버(430)를 앞에서 설명한 체결수단(450)의 핀(456)을 축으로 회전하여 자석과 금속판의 상호 작용으로 커버가 홀더상에 밀착 고정되면, 고무인 지지체상의 광 케이블(피복부)는 커버의 압박판으로 긴밀하게 압박되면서 접속시 광 케이블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페룰인 경우, 페룰 본체(12)를 다른 홀더의 페룰 안착홈부(424)에 안착시키고, 커버를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력으로 홀더상에서 덮어서 고정하면 상기 커버의 압박판은 페룰 본체를 압박하고, 따라서 페룰이 홀더에 안착되는 경우에도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홀더장치의 홀더와 커버는 페룰과 광 케이블에 따라 그 안착 구조만을 변경하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도 4,5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홀더장치(500)에서는 기본적으로 광 케이블(20)인 경우, 추가로 볼팅으로 홀더수단의 홀더(410)와 베이스수단(300)의 조립베이스(330)를 체결 고정하고, 페룰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볼트 체결 없이 훅킹으로 홀더와 조립 베이스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케이블(20)인 경우 홀더장치의 조립베이스와 홀더를 조립하기 전에, 그 융착 접속을 위하여 광 케이블(20)의 외피(22)를 잡고 주선(26)을 절단하여 홀더장치(500)의 홀더(410)를 조립 베이스(330)에 볼팅 체결하면 그 상태로 융착기 홀더 장착부(도 3의 200')에 체결부(310)를 매개로 엘엠 이송수단 등에 체결하여 융착을 구현하면 된다.
이때, 물론 베이스수단(300)의 조립베이스(330)를 먼저 융착기 홀더 장착부(200')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부(310)의 볼팅 체결부(312)를 체결한후, 홀더(410)를 조립 베이스(330)상에 핀 안착 구조없이 안착시키어 위치 고정시키고, 추가로 볼팅을 통하여 이들은 견고하게 조립하면 된다.
즉, 홀더수단(400)의 홀더와 커버 체결(자력 고정)을 통하여 광 케이블(20)을 고정한 상태에서 융착기에 조립된 조립 베이스(330)상에 볼팅 조립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홀더장치(500)의 경우 광 케이블(20)과 페룰(10)이 탑재되는 홀더(410)의 조립 베이스(330) 안착 고정구조는 차이가 있는데, 예를 들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광 케이블(20)인 경우 훅킹(hooking) 대신에 볼팅으로 조립 베이스와 홀더를 최종적으로 체결 고정하고, 페룰인 경우 홀더와 조립 베이스는 혹킹으로 고정되게 된다.
즉, 도 7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20)이 탑재되는 홀더(410)의 일측단부는 조립 베이스(330)의 일측에 제공된 훅크(334)상에 지지되고 앞에서 설명한 타측 고정부(418)가 상부에 형성되는 단차진 수평돌출부(4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홀더 위치고정수단(350)에 의하여 안착되면서 위치 고정되는 광 케이블이 탑재된 홀더(410)는 조립 베이스(330)의 훅크부에 훅킹되지 않고 수평돌출부가 훅크부 상면에 안착 지지된다.
이때, 도 4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20)이 탑재되는 홀더(410)의 일측(예를 들어 커버 외곽)에는 체결볼트(B)가 통과하는 볼트구멍(426)이 형성되고, 하측의 조립 베이스(330)에는 이에 맞추어 위치 조정되는 볼트 체결부(33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 체결부(336)에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구멍에 볼트가 체결되는 금속 나사부(337)가 장착된다.
따라서, 체결볼트(B)는 홀더(410)를 관통하여 그 머리부분이 볼트 구멍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이때 볼트는 조립 베이스(330)상의 볼트 체결부(336)의 나사부(337)에 체결된다.
이때, 도 9와 같이, 상기 홀더측 볼트구멍(426)의 하단부에는 볼트 체결부(336)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는 환형돌부(426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환형돌부(426a)는 사실상 볼트를 체결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홀다를 조립 베이스상에 안착시킬 때,볼트 체결부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기 때문에, 홀더가 조립 베이스 상에서 유동되는 것은 홀더 위치고정수단(350)인 돌기들과 홀더 돌출부와 협력하여, 홀더가 조립 베이스에서 유동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하단시킨다.
결국, 본 발명의 홀더장치는 광 케이블이 홀더장치에 탑재 고정되는 경우, 광 케이블 자체는 상,하에서 홀더와 커버 조립 구조로 긴밀하게 고정하는 한편, 특히 홀더(410)는 위치 고정수단이나 횐형돌부 등으로 수평상태에서는 사방으로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400)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하여,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의 경우 홀더와 조립 베이스를 볼팅 체결을 통하여 고정하나, 페룰의 경우 볼팅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홀더(410)의 일측 하부에 환형돌부(426a')만을 형성시키어 상기 환형돌부(426a')를 조립 베이스 상에 형성된 오목부(336')에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환형돌부는 오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페룰인 경우에도 홀더(410)는 조립 베이스(330)상에서 유동없이 안착된후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페룰(10)이 안착되는 홀더와 조립 베이스에는 볼트 통가구멍과 볼트 체결부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즉, 페룰용 홀더(410)와 조립 베이스(330)에는 광 케이블과는 다르게 볼트 통과구멍(426)과 볼트 체결부(336)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홀더 제작상 형성시키고 볼트를 체결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룰(10)이 홀더장치(500)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 베이스(330)상에 홀더(410)를, 광 케이블의 볼트 체결을 제거하고, 훅킹만으로 홀더의 조립 베이스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이다.
즉, 페룰의 경우 광 케이블과는 다르게 작업 여건상 조립 베이스(330) 상에서 교체를 해야하는데, 예를 들어 주선 절단 등의 작업시 홀더수단(400)을 잡고서 작업하거나 절단기 안착 처리 등을 하기 때문에, 광 케이블과 같이 홀더를 조립 베이스에 볼팅으로 고정하면, 그 교체가 불편하기 때문에, 훅킹으로 홀더는 조립 베이스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룰이 안착되는 홀더(410)의 일측 단부에는 조립 베이스상에 제공된 앞에서 설명한 훅크부(334)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체결돌기(416)가 양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수단(400)의 홀더(410)와 커버(430) 내측에 페룰을 안착 고정한 상태에서, 홀더(410)의 체결돌기(4160를 조립 베이스(330)의 훅크부(334)에 경사방향으로 삽입하면서, 위에서 아래로 훅크를 누르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훅크 양측의 돌출부(412)는 조립 베이스 상의 홀더 위치고정수단(350)의 돌기들 사이에 긴밀하게 삽입되면서, 홀더 타측의 오목부(412a)는 조립 베이스(330)상의 돌턱(332)에 걸리어 지지된다.
결국, 페룰이 탑재된 홀더수단(400)의 경우, 훅킹을 통하여 조립 베이스 상에 쉽게 교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홀더장치(500)의 경우 사실상 융착기 이송수단에 베이스수단(300)의 조립 베이스(330)가 체결되면서 마주하는 양측 예를 들어, 광 케이블(20)과 페룰(10)이 탑재 고정된 홀더수단(400)들은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주선간 간격 즉, 도 1,2와 같이, 전극의 고전압 방전을 통한 아크 융착시 주선간 간격 조정은 융착기에서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되면 되므로, 상하 방향 예컨대,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홀더장치의 경우 일차적으로 홀더 위치고정수단(350)들의 돌기들과 홀더 양측 돌출부사이에 긴밀한 위치 고정이 이루어져 기존 핀 안착 구조와는 다르게 홀더와 조립 베이스의 안착 고정 구조를 가능하게 하고, 추기로 홀더 오목부와 조립 베이스의 돌턱 및, 훅크부 등으로 더 견고한 홀더의 조립 베이스 안착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홀더수단(400)이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수단(300)과, 홀더수단(400)은 독립적으로 융착기가 아니라 주선의 용접전에 그 끝을 일정하게 하는 절단기상에 안착되도록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 페룰부재 12.... 페룰본체
14.... 페룰 피복부 16.... 페룰 주선(광섬유)
20.... 광 케이블 24.... 광케이블 피복부
26.... 광 케이블 주선(광섬유) 100.... 종래 홀더
300.... 베이스수단 310.... 융착기 체결부
330.... 조립베이스 334.... 훅크부
350.... 홀더 위치고정수단 400....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
410.... 홀더 412.... 돌출부
414.... 자석 416.... 체결돌기
422.... 광 케이블 지지체 424.... 페룰 안착홈부
430.... 커버 432.... 금속판
434.... 스프링 436.... 압박판
450.... 체결수단 500.... 광 접속용 홀더장치

Claims (12)

  1. 베이스수단(300); 및, 상기 베이스수단 상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고 광 접속되는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되는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400)은,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되는 홀더(41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수단(300)에 구비된 조립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의 일단부가 걸리어 지지되는 돌턱(33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조립 베이스의 타측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된 홀더(410)를 지지하거나 또는, 페룰이 탑재된 홀더(410)에 구비된 체결돌기(416)가 삽입 고정되는 훅크부(334)가 더 구비된 광 접속용 홀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단(300)은,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400)이 안착되는 상기 조립베이스(330)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이 안착 고정되는 조립 베이스(330)는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융착기 또는 절단기 탑재를 위하여 제공되는 기기 체결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베이스(330)에는 조립베이스상에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의 안착 고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홀더 위치고정수단(3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위치고정수단(350)은, 상기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에 구비된 홀더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412)가 사이에 긴밀하게 안착되면서 위치 고정되는 상기 조립 베이스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돌기부(352)(354)(356)(358)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단(300)에 안착되는 안착 고정형 홀더수단(400)은, 상기 홀더(4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페룰 또는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커버(4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10)에는, 상기 커버(430)가 체결수단(450)을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홀더에 구비된 양측 돌출부(412)에는 상기 커버(430)에 구비된 금속판(432)과 협력하여 커버의 홀더 고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자석(414)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
  7. 삭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10)에는 광 케이블 외피나 피복부, 또는 페룰의 피복부가 삽입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418)(4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30)의 내측에는 스프링(434)을 매개로 압박판(436)이 더 구비되고,
    상기 홀더에는 광 케이블 또는 페룰이 밀착 지지되는 광 케이블 지지판(422) 또는 페룰 안착홈부(42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광 케이블이 탑재되고, 상기 홀더와 베이스수단에 구비된 조립 베이스(330)에는 체결볼트(B)가 통과하는 볼트구멍(426)과 볼트 체결부(33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측 볼트 구멍(426)의 하단부에는 볼트 체결부에 삽입되어 홀더의 안착후 위치 고정을 추가로 가능토록 하는 환형돌부(426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
  12.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페룰이 탑재되고, 상기 홀더의 하부에는 베이스수단에 구비된 조립 베이스에 형성된 오목부(336')에 삽입되어 홀더 안착후 위치 고정을 추가로 가능토록 제공되는 환형돌부(426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접속용 홀더장치.
KR1020110041146A 2011-04-29 2011-04-29 광 접속용 홀더장치 KR101181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146A KR101181896B1 (ko) 2011-04-29 2011-04-29 광 접속용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146A KR101181896B1 (ko) 2011-04-29 2011-04-29 광 접속용 홀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896B1 true KR101181896B1 (ko) 2012-09-13

Family

ID=4711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146A KR101181896B1 (ko) 2011-04-29 2011-04-29 광 접속용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8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749A (ja) 2000-05-22 2001-11-30 Fujikura Ltd 定偏波光ファイバ融着接続方法及びそのための融着接続機
JP2008181004A (ja) * 2007-01-25 2008-08-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ェルールホルダ
JP2010072245A (ja) 2008-09-17 2010-04-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ホルダ、その移動構造及び融着接続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749A (ja) 2000-05-22 2001-11-30 Fujikura Ltd 定偏波光ファイバ融着接続方法及びそのための融着接続機
JP2008181004A (ja) * 2007-01-25 2008-08-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ェルールホルダ
JP2010072245A (ja) 2008-09-17 2010-04-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ホルダ、その移動構造及び融着接続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964B1 (ko) 융착 접속기
KR100850925B1 (ko) 광섬유 일체형 광어탭터
US8254743B2 (en) Optical fiber cable holder, fusion splicer including the holder, and fusion splicing method using the holder
KR101808369B1 (ko)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
US9513439B2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US20170242193A1 (en) Fusion splicer
JP2012145885A (ja) 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CN106068472A (zh) 光学组件的制造方法
JP5303673B1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US20130236145A1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US10107964B1 (en) Fiber holding tool and a fiber spacing adjustment method
US6715933B1 (en) Optical-fiber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on to the end of an optical-fiber-cable
WO2001061813B1 (en) Adapter retaining method and pull-protector for fiber optic cable
WO2016069359A1 (en) Laser cleaving multi-row ribbon fibers
EP3504530B1 (en) Fiber optic connector termination testing tool
KR101096495B1 (ko) 접속기 홀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KR101181896B1 (ko) 광 접속용 홀더장치
KR100969225B1 (ko) 하나로 모듈화된 얼라인베이스·메인스테이지를 통한 정밀제어가 향상된 광섬유 융착 접속기
KR20130063770A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KR101762403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20150331190A1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with cutting and positioning function
WO2019112759A1 (en) Light launch device with improved usability and performance
KR10179255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CN209928066U (zh) 一种保护性好的光纤适配器
KR101513190B1 (ko) 현장조립형 광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