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403B1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403B1
KR101762403B1 KR1020150147433A KR20150147433A KR101762403B1 KR 101762403 B1 KR101762403 B1 KR 101762403B1 KR 1020150147433 A KR1020150147433 A KR 1020150147433A KR 20150147433 A KR20150147433 A KR 20150147433A KR 101762403 B1 KR101762403 B1 KR 10176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eating
cover
fiel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462A (ko
Inventor
윤성진
윤예섭
김성훈
김희민
Original Assignee
고려오트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오트론(주) filed Critical 고려오트론(주)
Priority to KR102015014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4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2Assembly tools, e.g. crimping tool or pressing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공정으로 현장에서 조립하여 광섬유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광커넥터의 조립시 접속 대상인 두개의 광섬유를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으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섬유가 구부러져서 발생하는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부를 갖는 본체, 본체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제1 코어를 구비하고, 제1 코어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제2 코어가 접촉된 상태로 제1 코어와 제2 코어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제1 고정부와 연결되어 제2 코어를 감싸는 피복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와, 본체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갖는 스플라이스 유닛, 제2 고정부와 결합되며, 제2 고정부가 제2 코어의 피복을 압박하도록 제2 고정부를 압박하는 부트 유닛을 포함하여, 피복의 움직임에 따라 압박링과 부트가 함께 유동하여 광섬유가 구부러져서 발생하는 광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피복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본 발명은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공정으로 현장에서 조립하여 광섬유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커넥터는 정해진 파라메타에 맞게 절단한 광섬유를 공장에서 작업자가 광중심축이 맞도록 광섬유의 코어가 삽입된 페룰을 정렬하여 에폭시 본딩 및 단면 연마 공정을 거쳐서 광 손실을 최소화하고, 양 끝단에 광커넥터를 부착하여 패치코드라는 완제품 형태를 광선로 포설에 사용되어 왔다. 예컨대, LC, ST, FC 및 SC 광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패치코드는 정해진 파라메타에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진 완제품의 형태로 공장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광전송장비와 광섬유케이블 상호간에 접속 및 분리를 필요로 하는 광분배반, 광단자함, 광 중간 절체함에서 광케이블 간의 연결, 광분배반과 광 전송장치 간의 연결, 광 전송장치 상호 간의 연결에 있어 길이의 한계에 직면하였다.
이에, 패치코드의 양측에 마련된 광커넥터를 조립형으로 개조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길이의 패치코드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944702호에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이며, 리셉터클과 정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칼라 본체로서, 칼라 본체는 칼라 본체의 제1 단부 부분 내에 배치되는 섬유 스터브를 포함하고, 섬유 스터브는 페룰 내에 장착되는 제1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섬유는 페룰의 단부면에 인접한 제1 단부를 갖고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칼라 본체는 칼라 본체의 일부분 내에 배치되는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를 더 포함하고,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는 제2 광섬유에 제1 광섬유의 제2 단부를 스플라이스 하도록 구성되는, 칼라 본체와, 하우징 내에 칼라 본체를 보유하고, 작동시 제2 광섬유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재킷부를 클램핑하기 위해 섬유 재킷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백본과, 백본의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 백본에 부착될 때 백본의 섬유 재킷 클램핑부를 작동시키는 부트를 포함한다.
개시된 광섬유 커넥터는 칼라 본체에 의해 제1 및 제2 광섬유를 1차 고정하고, 부트가 장착 구조체에 결합됨과 동시에 장착 구조체를 압박하게 되면, 장착 구조체에 연결된 클램핑부가 함께 압박되어 제2 광섬유의 섬유 재킷을 압박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개시된 광섬유 커넥터는 2차 고정을 실시할 때, 장착 구조체에 장착된 부트에 의해 클램핑부가 간접적으로 제2 광섬유의 섬유 재킷을 압박 고정하게 되어 결합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클램핑부 내부에서 섬유 재킷이 유동하게 되어 구부러지게 되면 광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커넥터의 조립시 접속 대상인 두개의 광섬유를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으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섬유가 구부러져서 발생하는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제1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어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제2 코어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는 피복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갖는 스플라이스 유닛, 상기 제2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2 코어의 피복을 압박하도록 상기 제2 고정부를 압박하는 부트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코어가 지지된 페룰, 일측에 상기 페룰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어를 스플라이스 하기 위한 브이형 그루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이형 그루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복수의 끼움구멍이 형성된 코어 장착부, 상기 코어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플라이스 된 상기 제1 및 제2 코어를 압박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브이형 그루부가 형성된 상기 코어 장착부를 덮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하부에 상기 복수의 끼움구멍에 각각 대응되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끼움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브이형 그루부가 형성된 상기 코어 장착부에 상기 커버 몸체를 결합시켜 상기 브이형 그루브에 지지된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단부를 상기 커버 몸체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게 하는 복수의 끼움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코어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더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 장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코어와,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는 피복이 삽입되고, 상기 부트 유닛에 의해 삽입된 상기 피복을 압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죠들은, 상기 안착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고, 중심부에 상기 피복의 하부를 안착하기 위한 제1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복의 하부를 안착하는 제1 죠, 상기 제1 죠와 이격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고, 중심부에 상기 피복의 상부를 안착하기 위한 제2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복의 상부를 안착하는 제2 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부트 유닛은 내경이 상기 압박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압박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압박부를 압박하는 압박링, 상기 압박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피복을 보호하는 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압박링의 외부면에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부트는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 걸림턱과 대응되는 제1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압박링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죠들의 외측면의 일측에는 각각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압박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제2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로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끼움다리 중 하나를 압박하여 상기 커버몸체를 상부로 들뜨게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코어의 압박을 해제시키는 지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는 피복이 삽입되어 있는 제2 고정부에 직접 끼움 결합되어 제2 고정부를 압박하는 압박링을 구비하고, 압박링에 피복을 보호하는 부트가 결합됨으로써, 피복의 움직임에 따라 압박링과 부트가 함께 유동하여 광섬유가 구부러져서 발생하는 광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피복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는 부트 유닛을 제2 고정부에 직접 끼움 결합하여, 피복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클램핑 구성들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광 커넥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의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의 스플라이스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의 제2 고정부가 피복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의 부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의 스플라이스 유닛과 부트 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의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100)는 서로 다른 광 코어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광 커넥터를 개시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광섬유는 제2 코어(2)와 제2 코어(2)를 감싸는 피복(3)으로 구성된 0.9mm 광섬유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크기와 구성을 갖는 광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100)는 본체(200), 스플라이스 유닛(300) 및 부트 유닛(400)을 포함한다. 그 외 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100)는 지그(500) 및 하우징(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200)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100)를 구성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고, 양측이 관통된 중공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0)의 중공부(210)는 스플라이스 유닛(300)을 내부에 수용하여 유동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스플라이스 유닛(3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플라이스 유닛(300)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본체(100)의 상부면은 스플라이스 유닛(300)의 후술할 커버(313)가 탈부착 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0)는 스플라이스 유닛(300)과의 결합을 위하여 스플라이스 유닛(300)이 삽입되는 방향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220)과, 가이드 홀(220)의 인근 상하부에 형성되는 끼움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0)는 스플라이스 유닛(300)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일측에 스플라이스 유닛(3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스토퍼(25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플라이스 유닛(300)은 본체(200)의 중공부(210)에 삽입되어 본체(200)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스플라이스 유닛(300)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제2 코어(2)와의 신호 교환을 위한 제1 코어(1)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코어(1)는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광섬유의 제2 코어(2)와 접속되어 신호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플라이스 유닛(300)은 내부에 구비된 제1 코어(1)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제2 코어(2)를 정렬한 상태로 1차 고정시키고, 고정된 제2 코어(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2차적으로 제2 코어(2)를 감싸는 피복(3)을 고정할 수 있다.
스플라이스 유닛(300)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부트 유닛(400)은 스플라이스 유닛(300)에 결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부트 유닛(400)은 스플라이스 유닛(300)에 결합되면서, 1차 고정된 제2 코어(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2차적으로 제2 코어(2)를 감싸는 피복(3)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부트 유닛(400)은 스플라이스 유닛(300)에 피복(3)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력을 제공하면서 피복(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피복(3)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지그(500)는 본체(200)를 관통하여 후술할 스플라이스 유닛(300)의 커버(313)를 들뜨게 함으로써, 1차 고정된 제1 코어(1)와 제2 코어(2)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그(500)는 지그몸체(510) 및 지그다리(5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체(200)에는 지그(50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지그몸체(510)는 본체(200)의 하부면과 맞닿는 부분으로 본체(20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지그다리(520)는 지그몸체(51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그몸체(510)가 본체(200)에 결합되게 되면, 본체(200)의 제1 삽입홀(240)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지그다리(520)는 커버(313)를 압박하여 상승시켜 커버(313)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및 제2 코어(1, 2)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600)은 본체(200)와 결합되어 본체(200)를 보호하며, 스플라이스 유닛(300)의 페룰(311)이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600)에 대해서 밖으로 노출되는 페룰(311)은 보호캡(미도시)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하우징(600)의 하부면에는 본체(200)의 제1 삽입홀(24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지그(500)의 지그다리(5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스플라이스 유닛(300)의 커버(313)가 탈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100)의 스플라이스 유닛(3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의 스플라이스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의 제2 고정부가 피복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유닛(300)은 제1 고정부(310), 제2 고정부(320) 및 홀더부(33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310)는 제1 코어(1)를 구비하고, 제1 코어(1)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제2 코어(2)가 접촉된 상태로 제1 코어(1)와 제2 코어(2)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310)는 페룰(311), 코어 장착부(312) 및 커버(313)를 포함한다.
페룰(311)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제2 코어(2)와의 광접속을 위한 제1 코어(1)가 구비된다. 즉 페룰(311)에 고정되는 제1 코어(1)는 코어 장착부(312) 및 커버(313)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제2 코어(2)와 접촉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페룰(311)은 단자함이나 커넥터 등에 결합되어 제2 코어(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제1 코어(1)를 통해 결합되는 단자함이나 커넥터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코어 장착부(312)의 상부면은 평활한 면을 가지며, 페룰(311)의 제1 코어(1)와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제2 코어(2)를 스플라이스 하기 위한 브이형 그루부(312a)가 형성된다.
브이형 그루부(312a)는 길이와 직각 방향의 단면에 브이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상부측의 폭이 제1 및 제2 코어(1, 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 코어(1, 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이형 그루브(312a)의 제2 코어(2)가 삽입되는 입구는 깔때기 모양으로 확개되도록 형성되어 제2 코어(2)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브이형 그루부(312a)의 양측부에는 커버(313)를 결합하기 위한 끼움구멍들(312b)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313)는 제1 및 제2 코어(1, 2)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코어(1 ,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버(313)는 커버 몸체(314)와 복수의 끼움다리(31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몸체(314)는 브이형 그루브(312a)가 형성된 코어 장착부(312)를 덮는다. 복수의 끼움다리(315)는 커버 몸체(314)의 하부에 복수의 끼움구멍(312b)에 각각 대응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끼움다리(315)는 복수의 끼움구멍(312b)에 각각 삽입되어 브이형 그루부(312a)가 형성된 코어 장착부(312)에 커버 몸체(314)를 결합시켜, 브이형 그루브(312a)에 지지된 제1 및 제2 코어(1, 2)의 단부를 커버 몸체(314)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지지한다.
이러한 복수의 끼움다리(315)는 복수의 제1 끼움다리(315a)와 복수의 제2 끼움다리(315b)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끼움다리(315a)는 커버 몸체(314)의 하부의 일측에 배열된다. 복수의 제2 끼움다리(315b)는 제1 끼움다리(315a)와 마주보는 커버 몸체(314) 하부의 타측에 배열된다.
이때 복수의 끼움다리(315)가 각각 복수의 끼움구멍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끼움다리(315a, 315b) 간의 폭은 커버 몸체(314)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증가한다. 제1 및 제2 끼움다리(315a, 315b)의 하부의 폭은 브이형 그루브(312a)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양쪽에 위치하는 끼움구멍(312b)들 간의 폭보다는 넓게 형성한다.
복수의 끼움다리(315)가 각각 복수의 끼움구멍(312b)에 삽입 및 끼움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끼움구멍(312b)의 하단에는 각각, 끼움구멍(312b)의 내주면에 대해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걸림턱(31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끼움다리(315) 각각, 하부의 외측에 걸림턱(312c)에 걸리는 걸림훅(316)이 걸림턱(312c)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고정부(310)는 1차적으로 제1 및 제2 코어(1, 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부(320)는 제1 고정부(3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부(320)는 제1 고정부(310)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된 제2 코어(2)를 감싸는 피복(3)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부(320)는 안착부(321) 및 압박부(322)를 포함한다.
안착부(321)는 코어 장착부(312)로부터 제2 코어(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홀더부(330)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안착부(321)는 외경이 홀더부(30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안착된 홀더부(330)가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321)는 압박부(322)에 형성되는 죠들(323, 324)과 대응되도록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박부(322)는 안착부(321)로부터 제2 코어(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코어 장착부(312)에 안착되는 제2 코어(2)와, 제2 코어(2)를 감싸는 피복(3)이 삽입되고, 부트 유닛(400)에 의해 삽입된 피복(3)을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압박부(322)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죠들(323, 3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죠들(323, 324)은 안착부(321)의 하부로부터 연장되고, 중심부에 피복(3)의 하부를 안착하기 위한 제1 안착홈(323a)이 형성되어 피복(3)의 하부를 안착하는 제1 죠(322) 및 제1 죠(322)와 이격되어 안착부(321)의 상부로부터 연장되고, 중심부에 피복(3)의 상부를 안착하기 위한 제2 안착홈(324a)이 형성되어 피복(3)의 상부를 안착하는 제2 죠(3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죠(323, 324)는 제2 코어(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부트 유닛(400)의 끼움 결합이 원할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죠(323, 324)의 최내측 외경은 부트 유닛(400)의 압박링(410)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압박링(410)이 끼움 결합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코어(2)와, 제2 코어(2)를 감싸는 피복(3)은 제1 및 제2 죠(323, 324)의 제1 및 제2 안착홈(323a, 324a)으로 삽입되어, 제2 코어(2)는 코어 장착부(312)로 삽입되어 브이형 그루부(312a)에 안착되고, 피복(3)은 제1 및 제2 안착홈(323a, 324a)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안착홈(323a, 324a) 사이의 간격은 제2 코어(2) 및 피복(3)을 포함하는 광섬유가 삽입되는 도중에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복(3)의 지름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죠(323, 324)의 끝 부분에는 부트 유닛의 삽입이 원활이 될 수 있도록 안쪽으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안착홈(323a, 324a)에 안착된 피복(3)은 부트 유닛(400)이 제1 및 제2 죠(323, 324)에 끼움 결합되면서 제1 및 제2 죠(323, 324)를 압박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홀더부(330)는 압박부(322)로부터 삽입되어 안착부(321)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부(330)는 본체(200)의 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220)과, 상하부에 형성되는 끼움홈(230)과 대응될 수 있는 가이드부(331)와 끼움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부(330)는 본체(200)와 스프링(340)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홀(220)을 따라 이동하여 끼움부(332)가 끼움홈(230)에 결합됨으로써, 페룰(311)이 장착된 코어 장착부(312)를 페룰(311)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스프링(340)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부(330)는 별도의 피복(3)를 압박하기 위한 클램핑 구성을 구비하지않고, 본체(200)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됨으로써 구성을 최소화하여 제조되는 광 커넥터(1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트 유닛(40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의 부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부트 유닛(400)은 압박링(410) 및 부트(420)를 포함한다.
압박링(410)은 링 형상으로 제2 고정부(320)의 압박부(322)에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압박링(410)은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내경이 압박부(322)의 외경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제2 고정부(3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압박링(410)의 외주면에는 제1 걸림턱(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411)은 압박링(4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트(420)는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제1 걸림턱(411)과 대응되는 제2 걸림홈(421)이 형성되어 압박링(410)이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부트(420)는 일측이 압박링(410)에 결합되고, 타측이 피복(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피복(3)을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트(420)는 피복(3)의 움직임에 따라 압박링(410)과 함께 유동하여 피복(3)이 구부러져서 발생하는 광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피복(3)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의 스플라이스 유닛과 부트 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100)는 본체(200) 및 스플라이스 유닛(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코어(1), 제2 코어(2) 및 제2 코어(2)를 감싸는 피복(3)이 삽입되게 되면, 커버(313)를 장착하여 제1 및 제2 코어(1, 2)를 1차 고정하고, 압박링(410)에 결합된 부트(420)를 압박링(410)을 통해 제2 고정부(320)에 결합함과 동시에 피복(3)을 2차 고정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 코어(1, 2)를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100)는 피복(3)이 삽입되어 있는 제2 고정부(320)에 직접 끼움 결합되어 제2 고정부(320)를 압박하는 압박링(410)을 구비하고, 압박링(410)에 피복(2)을 보호하는 부트(420)가 결합됨으로써, 피복(3)의 움직임에 따라 압박링(410)과 부트(420)가 함께 유동하여 피복(3)이 구부러져서 발생하는 광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피복(3)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100)는 부트 유닛(400)을 제2 고정부(320)에 직접 끼움 결합하여, 피복(3)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클램핑 구성들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광 커넥터(1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700)는 압박부(710)와 압박링(720)의 구조를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700)는 외측면의 일측에 각각 제2 걸림턱(711)이 형성된 압박부(7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박부(710)에 결합되는 압박링(720)의 내주면에는 제2 걸림턱(711)과 대응되는 제2 걸림홈(7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700)는 압박부(710)의 외측면에 각각 제2 걸림턱(711)을 형성하고, 압박부(710)과 결합되는 압박링(720)의 내측면에 제2 걸림턱(711)과 대응되는 제2 걸림홈(721)을 형성하여 압박링(720)과 압박부(710) 사이에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 : 제1 코어 2 : 제2 코어
3 : 피복 100, 700 :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200 : 본체 210 : 중공부
220 : 가이드 홀 230 : 끼움홈
240 : 제1 삽입홀 250 : 스토퍼
300 : 스플라이스 유닛 310 : 제1 고정부
311 : 페룰 312 : 코어 장착부
312a : 브이형 그루브 312b : 끼움구멍
312c : 걸림턱 313 : 커버
314 : 커버몸체 315 : 끼움다리
315a : 제1 끼움다리 315b : 제2 끼움다리
316 : 결합훅 317 : 돌출부
320 : 제2 고정부 321 : 안착부
322, 710 : 압박부 323 : 제1 죠
323a : 제1 안착홈 324 : 제2 죠
324a : 제2 안착홈 330 : 홀더부
331 : 가이드부 332 : 끼움부
340 : 스프링 400 : 부트 유닛
410, 720 : 압박링 411 : 제1 걸림턱
420 : 부트 421 : 제1 걸림홈
500 : 지그 510 : 지그몸체
520 : 지그다리 600 : 하우징

Claims (9)

  1. 양측이 개방된 중공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제1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어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제2 코어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는 피복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갖는 스플라이스 유닛;
    상기 제2 고정부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고정부를 압박하여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는 피복을 압박하도록 상기 제2 고정부를 압박하는 부트 유닛;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코어가 지지된 페룰;
    일측에 상기 페룰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어를 스플라이스 하기 위한 브이형 그루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이형 그루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복수의 끼움구멍이 형성된 코어 장착부;
    상기 코어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플라이스 된 상기 제1 및 제2 코어를 압박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코어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더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 장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코어와,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는 피복이 삽입되고, 상기 부트 유닛에 의해 삽입된 상기 피복을 압박하는 압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부트 유닛은,
    내경이 상기 압박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압박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압박부를 압박하며, 외부면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압박링;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 걸림턱과 대응되는 제1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압박링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피복을 보호하는 부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브이형 그루부가 형성된 상기 코어 장착부를 덮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하부에 상기 복수의 끼움구멍에 각각 대응되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끼움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브이형 그루부가 형성된 상기 코어 장착부에 상기 커버 몸체를 결합시켜 상기 브이형 그루부에 지지된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단부를 상기 커버 몸체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게 하는 복수의 끼움 다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죠들은,
    상기 안착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고, 중심부에 상기 피복의 하부를 안착하기 위한 제1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복의 하부를 안착하는 제1 죠;
    상기 제1 죠와 이격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고, 중심부에 상기 피복의 상부를 안착하기 위한 제2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복의 상부를 안착하는 제2 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죠들의 외측면의 일측에는 각각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압박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걸림턱과 대응되는 제2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로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끼움다리 중 하나를 압박하여 상기 커버몸체를 상부로 들뜨게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코어의 압박을 해제시키는 지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KR1020150147433A 2015-10-22 2015-10-22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76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433A KR101762403B1 (ko) 2015-10-22 2015-10-22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433A KR101762403B1 (ko) 2015-10-22 2015-10-22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462A KR20170047462A (ko) 2017-05-08
KR101762403B1 true KR101762403B1 (ko) 2017-07-28

Family

ID=5942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433A KR101762403B1 (ko) 2015-10-22 2015-10-22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5542B1 (en) 2019-08-19 2020-11-24 Afl Telecommunications Llc Cable node transition assembl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172B1 (ko) 2018-12-07 2020-03-04 솔텍인포넷 주식회사 광섬유 벤딩을 방지하는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KR102637359B1 (ko) * 2022-03-08 2024-02-19 명보 주식회사 접속력이 향상된 다심 광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48B1 (ko) * 2013-05-22 2013-11-18 주식회사 케이오티 다심 mt 페룰을 이용한 옥외용 광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48B1 (ko) * 2013-05-22 2013-11-18 주식회사 케이오티 다심 mt 페룰을 이용한 옥외용 광커넥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5542B1 (en) 2019-08-19 2020-11-24 Afl Telecommunications Llc Cable node transition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462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1232C2 (ru) Оптоволокон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RU2577388C2 (ru) Оптический коннектор с элементом сплайса для оконцовки кабеля с защитной оболочкой на месте эксплуатации
JP5481576B2 (ja) 光コネクタ、ピンクランプおよ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KR10110566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114289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184629B1 (ko) 에프씨타입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EP2426536B1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ferrule
KR20120030375A (ko) 현장 종단접속 가능한 광 커넥터를 위한 칼라 본체
KR200485300Y1 (ko) 광섬유 융착형 광커넥터
KR101762403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9164245B2 (en) Optical connector
US6715933B1 (en) Optical-fiber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on to the end of an optical-fiber-cable
KR10146980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330325B1 (ko) 광커넥터
KR101065079B1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KR10179255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WO2018179679A1 (ja) 光ファイバ接続用工具及び光ファイバ接続用工具付き光コネクタ
KR101513190B1 (ko) 현장조립형 광어댑터
KR101943818B1 (ko) 폴더형 현장 조립 광 커넥터
JP2020056911A (ja) 光コネクタユニット
KR101998375B1 (ko) 광 커넥터
KR20160011739A (ko) 이중 구조를 갖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20120020632A (ko) 광 커넥터
KR100970441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640792B1 (ko) 타입변환이 자유로운 광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