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019B1 -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 Google Patents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019B1
KR101181019B1 KR1020100028889A KR20100028889A KR101181019B1 KR 101181019 B1 KR101181019 B1 KR 101181019B1 KR 1020100028889 A KR1020100028889 A KR 1020100028889A KR 20100028889 A KR20100028889 A KR 20100028889A KR 101181019 B1 KR101181019 B1 KR 10118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eraser
eraser composition
buta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245A (ko
Inventor
송하경
강성초
강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모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모나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모나미
Priority to PCT/KR2010/00195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122719A1/ko
Priority to KR1020100028889A priority patent/KR10118101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25Eraser or rubber material, e.g. comprising har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왁스, 미네랄 오일, 탄산칼슘(CaCO3), 산화마그네슘(MgO) 및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하는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우개는 기존 지우개에 사용되던 PVC(폴리염화비닐)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여 어린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동시에 글자소거 성능이 우수하여 지우개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Non PVC eraser composition}
본 발명은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왁스, 미네랄 오일, 탄산칼슘(CaCO3), 산화마그네슘(MgO) 및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하는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우개는 PVC라는 폴리염화비닐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폴리염화비닐은 환경유해물질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생활에서 접하는 거의 모든 플라스틱 제품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극히 미미한 정도의 환경유해물질과 환경호르몬이 검출되므로 건강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이다.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의 단독 중합체 및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한 혼성 중합체로서, 현탁중합과 유화중합으로 제조되는 5대 범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염화비닐계 수지는 컴파운드 압출성형, 사출성형, 캘린더링, 졸 성형 등의 여러 가지 가공법에 의해 성형되어 파이프, 건축용 내?외장재, 전선, 전기기계 제품, 장난감, 필름, 시트, 인조가죽, 테이프, 식품 포장재, 의료용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의 소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PVC 수지는 내수성, 내약품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수지가 불완전 연소를 하게되면 공해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되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사용을 규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염화비닐계 수지에는 가소제, 2차 가소제, 안정제, 안료, 충전제, 발포제, 활제, 점도조절제 등 여러 가지 첨가제를 적절하게 첨가하여 다양한 가공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가소제는 고분자 수지간의 마찰계수를 줄여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첨가제로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가소제의 유형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용도도 각각 다르다. 염화비닐계 수지에 사용되는 가소제로는 주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특히 DEHP(Di-2-EthylHexyl Phthalate), DBP(Di-Butyl Phthalate), DIDP(Di-IsoDecyl Phthalate), BBP(Butyl Benzyl Phthalate), DINP(Di-IsoNonyl Phthalate), DNOP(Di-n-Octyl Phthalate) 등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가소화 효율, 내한성 등의 제물성의 밸런스가 좋아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들은 동물이나 사람의 몸 속에 들어가서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er), 즉 환경호르몬으로 의심받고 있으며, 이 중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및 디부틸프탈레이트(DBP)는 특히 위험물질로서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어 대체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DEHP는 분자량이 작고 내열성이 약해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는 점도 대체물질의 요구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지우개로는 염화비닐계 지우개, 엘라스토머계 지우개 및 천연고무계 지우개가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천연고무계 지우개는 내구성에 문제가 있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엘라스토머계 지우개도 지우는 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염화비닐계 지우개는 글자를 지우는 능력의 특성 면에 있어서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되는 프탈산계 가소제, 특히 DEHP와 DBP에 의한 환경적 악영향과 가소제 이행성의 문제로 인하여 대체 지우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기존 지우개에 사용되던 PVC(폴리염화비닐)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여 어린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독성이며, 글자소거 성능이 우수하여 지우개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왁스, 미네랄 오일, 탄산칼슘(CaCO3), 산화마그네슘(MgO) 및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우개 조성물은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6~15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5~15중량% 및 폴리스타이렌 1~6중량%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40중량%, 왁스 1~5중량%, 미네랄 오일 5~20중량% 및 탄산칼슘(CaCO3) 50~7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1~5phr 및 이산화티탄(TiO2) 0.5~5ph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우개는 기존 지우개에 사용되던 PVC(폴리염화비닐)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여 어린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동시에 글자소거 성능이 우수하여 지우개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우개 조성물은 기존 지우개에 사용되던 PVC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포름알데하이드, 납 등의 인체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무독성으로 어린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은 기존 PVC 지우개와 비교하여도 글자소거 성능이 우수하여 지우개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은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왁스, 미네랄 오일, 탄산칼슘(CaCO3), 산화마그네슘(MgO) 및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 가황고무와 같은 고무 탄성을 가지고, 고온으로 가열하면 용융 가소화되어 통상의 플라스틱 성형기로 성형 가공이 가능한 고분자 재료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SBS, stylene-butadiene-stylene)과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NBR, nitrile butadiene rubber) 및 폴리스타이렌(PS, polystylene)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은 지우개에 탄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은 지우개 조성물에 6~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6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탄성을 부여하는 스타이렌 블록의 생성이 불가능하여 최종 생성된 지우개가 부서지기 쉽고, 상온에서의 냉흐럼 현상으로 형상을 유지할 수 없다. 또한, 1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우개의 탄성과 강도가 증가하여 dust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는 지우개에 점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는 지우개 조성물에 5~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지우개의 점성이 없어져 지우개의 dust가 뭉쳐지지 않으며, 1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우개의 점성에 비례하여 신율이 증가함으로써 지우개 사용 시 dust가 지우개 몸체에 붙어 늘어날 뿐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폴리스타이렌은 지우개 조성물에 1~6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지우개의 지움성(글자소거 성능)이 약해질 수 있으며, 6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우개 경도의 허용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지우개 조성물에 10~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제조되는 지우개에 적당한 경도를 부여할 수 있어 더욱 좋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및 폴리스타이렌 이외에 스타이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R), 스타이렌-이소프렌(styrene-isoprene)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부타디엔(styrene-ethylene-buthylene)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styrene-ethylene-propylene) 공중합체 등의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수지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왁스는 액상인 것이 좋으며, 지우개에 들어가는 다른 조성물이 용융온도를 저하시켜 제품의 가공온도를 낮추며 흐름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왁스는 지우개 조성물에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적절한 가공온도와 흐름성을 부여하고, 지우개의 경도를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연화제의 작용을 하며, 그 함량은 지우개 조성물에 5~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네랄 오일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적정량의 미네랄 오일이 사용되어 지우개 제조 시 블리드 아웃 없이 적당한 연화를 시킬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CaCO3), 산화마그네슘(MgO) 및 이산화티탄(TiO2)은 각각 충진제로 사용되며, 상기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및 이산화티탄 이외에 실리카, 알루미나, 규조토, 글라스(glass), 탈크, 세리사이트, 석영분말, 몬모릴로나이트, 가리비, 굴조개, 가막조개 등의 조개 껍질 분말, 알껍질 분말, 유기 중공 입자, 무기 중공 입자 등 통상의 충진제들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탄산칼슘(CaCO3), 산화마그네슘(MgO) 및 이산화티탄(TiO2)은 각각 지우개 조성물에 50~70중량%, 0.1~5phr, 0.5~5phr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 충분한 고무탄성이 발현되어 지우개 본연의 글자소거 성능을 최대 발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가공유(process oil), 폴리부티렌(polybutylene), 열소화 파라핀(chlorinated paraffin), 맥화 파라핀 등의 연화제, 착색제, 향료, 안정제, 윤활제, 상기 기재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및 폴리스타이렌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지우개 조성물을 사용한 본 발명의 논-피브이씨 지우개는 상기 지우개 조성물을 프레스 성형,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하고, 소정의 치수로 재단하여 제품으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지우개 조성물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성형하고, 소정의 치수로 재단하여 본 발명의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지는 본 발명의 논-피브이씨 지우개는 염화비닐수지(PVC)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글자소거 성능이 우수하여 지우개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포름알데하이드, 납 등 인체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무독성으로 어린이들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10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7중량% 및 폴리스티렌 2중량%와 왁스 3중량%, 미네랄 오일 15중량%, 탄산칼슘(CaCO3) 63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13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6중량% 및 폴리스티렌 3중량%와 왁스 2중량%, 미네랄 오일 15중량%, 탄산칼슘(CaCO3) 61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26중량%와 천연가소제 30중량%, 탄산칼슘(CaCO3) 44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8~30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PVC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18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6중량% 및 폴리스티렌 3중량%와 왁스 2중량%, 미네랄 오일 15중량%, 탄산칼슘(CaCO3) 56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10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4중량% 및 폴리스티렌 3중량%와 왁스 3중량%, 미네랄 오일 15중량%, 탄산칼슘(CaCO3) 6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8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16중량% 및 폴리스티렌 1중량%와 왁스 2중량%, 미네랄 오일 10중량%, 탄산칼슘(CaCO3) 63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10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7중량% 및 폴리스티렌 0중량%와 왁스 2중량%, 미네랄 오일 18중량%, 탄산칼슘(CaCO3) 63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10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6중량% 및 폴리스티렌 8중량%와 왁스 2중량%, 미네랄 오일 14중량%, 탄산칼슘(CaCO3) 6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10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6중량% 및 폴리스티렌 2중량%와 왁스 0중량%, 미네랄 오일 17중량%, 탄산칼슘(CaCO3) 6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5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5중량% 및 폴리스티렌 1중량%와 왁스 2중량%, 미네랄 오일 22중량%, 탄산칼슘(CaCO3) 6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8중량%,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5중량% 및 폴리스티렌 2중량%와 왁스 2중량%, 미네랄 오일 13중량%, 탄산칼슘(CaCO3) 7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phr 및 이산화티탄(TiO2) 2phr를 혼련시킨 후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 성형하여 논-피브이씨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SBS 10 13 18 10 8 10 10 10 5 8
NBR 7 6 6 4 16 7 6 6 5 5
PS 2 3 3 3 1 0 8 2 1 2
Wax 3 2 2 3 2 2 2 0 2 2
Oil 15 15 15 15 10 18 14 17 22 13
CaCO3 63 61 56 65 63 63 60 65 65 70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TiO2(phr) 2 2 2 2 2 2 2 2 2 2
MgO(phr) 2 2 2 2 2 2 2 2 2 2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9에서 제조한 지우개를 이용하여 외관상태, 색상, 지워짐율, 종이 구겨짐, 경도, 이행성, 찌꺼기 생성정도 및 성형성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외관상태 양호 양호 양호
색상 백색 백색 백색
지워짐율 90 90 97
종이 구겨짐 양호 양호 양호
경도 65 70 73
이행성 양호 양호 양호
찌꺼기 4~6 5 1
성형성능 양호 양호 양호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외관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색상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지워짐율 90 90 85 85 75 60 90 80 80 70
종이 구겨짐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경도 65 70 70 60 75 40 90 50 35 70
이행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불량 불량 양호
찌꺼기 4~6 5 4 2 3 1 다수 5 1 6
성형성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상기 표 1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지우개는 비교예 1 내지 9와 비교하여 외관상태, 색상, 지워짐율, 종이 구겨짐 정도, 경도, 이행성, 찌꺼기 생성정도 및 성형성능에 있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4)

  1.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니트릴 부타디엔 러버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왁스;
    미네랄 오일;
    탄산칼슘(CaCO3);
    산화마그네슘(MgO); 및
    이산화티탄(TiO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지우개 조성물에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6~15중량%, 니트릴 부티다엔 러버 5~15중량% 및 폴리스타이렌 1~6중량%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40중량%;
    왁스 1~5중량%;
    미네랄 오일 5~20중량%;
    탄산칼슘(CaCO3) 50~7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1~5phr; 및
    이산화티탄(TiO2) 0.5~5ph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우개 조성물은 충진제, 가공유(process oil), 폴리부티렌(polybutylene), 연화제, 착색제, 향료, 안정제, 윤활제 및 스타이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R), 스타이렌-이소프렌(styrene-isoprene)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부타디엔(styrene-ethylene-buthylene) 공중합체 및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styrene-ethylene-propylene)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우개 조성물은 실린더 온도 65~85℃, 다이스 온도 50~60℃, 헤드 온도 60~70℃의 온도에서 15~25rpm의 성형속도로 압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KR1020100028889A 2010-03-31 2010-03-31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KR101181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1956 WO2011122719A1 (ko) 2010-03-31 2010-03-31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KR1020100028889A KR101181019B1 (ko) 2010-03-31 2010-03-31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889A KR101181019B1 (ko) 2010-03-31 2010-03-31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245A KR20110109245A (ko) 2011-10-06
KR101181019B1 true KR101181019B1 (ko) 2012-09-07

Family

ID=4471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889A KR101181019B1 (ko) 2010-03-31 2010-03-31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1019B1 (ko)
WO (1) WO2011122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1938B (zh) * 2016-04-12 2018-01-09 盐城市合荣文体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菌功能的环保橡皮擦及其制备方法
CN110054814A (zh) * 2019-04-30 2019-07-26 邵淑华 一种弹性橡皮擦材料的制备方法
CN110452431A (zh) * 2019-07-08 2019-11-15 浙江工业大学 一种环保无毒芳香橡皮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288A (ja) 1998-05-26 1999-12-07 Kotobuki:Kk 消しゴム
JP2005169831A (ja) 2003-12-11 2005-06-30 Seed:Kk 字消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072B2 (ja) * 1979-12-31 1983-01-24 三菱鉛筆株式会社 字消ゴムの製造方法
JP3450053B2 (ja) * 1994-04-20 2003-09-22 株式会社シード 字消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288A (ja) 1998-05-26 1999-12-07 Kotobuki:Kk 消しゴム
JP2005169831A (ja) 2003-12-11 2005-06-30 Seed:Kk 字消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2719A1 (ko) 2011-10-06
KR20110109245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59464B (zh) 一种高韧性环保pvc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JP5702550B2 (ja) 防火性弾性発泡体材料
CN104140616A (zh) 一种高弹性环保pvc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892017B (zh) 氟橡胶组合物、其制造方法以及氟橡胶交联成型品
KR20180072839A (ko) 압출 성형용 염소화 염화비닐 수지조성물
KR101181019B1 (ko) 논-피브이씨 지우개 조성물
KR20180114677A (ko)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
KR20040028276A (ko) 난연성 합성고무 발포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2008075037A (ja) 樹脂組成物、樹脂組成物を用いた成形体、シール材、コンパウンド、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4961486B2 (ja) non−PVC消しゴム組成物
KR20230110159A (ko) Pvc 항균 마스터배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H049196B2 (ko)
JP2003292712A (ja) 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押出成形してなる成形品
JP2011212978A5 (ko)
JP6961920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窓枠用押出成形品
JP2000204212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4623648B2 (ja) プラスチック字消し
US4540719A (en) Process for making foamed, sulfur-cured polymer blend compositions
KR101696995B1 (ko) 폴리에스터에라스토머와 sbs를 혼합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 성형물
KR100768633B1 (ko) 냉장고 개스킷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JP7462413B2 (ja) ゴム発泡体、及びゴム発泡体の製造方法
JP4080592B2 (ja) 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7293810B2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内装材および輸送機器
JP7388196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成形体
US20170283577A1 (en) Electrostatic dissipating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