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677A -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 - Google Patents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677A
KR20180114677A KR1020170046647A KR20170046647A KR20180114677A KR 20180114677 A KR20180114677 A KR 20180114677A KR 1020170046647 A KR1020170046647 A KR 1020170046647A KR 20170046647 A KR20170046647 A KR 20170046647A KR 20180114677 A KR20180114677 A KR 20180114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acrylate
sound insulating
chloride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석
신지희
남승백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4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4677A/ko
Publication of KR2018011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2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2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8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탄성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비발포 차음시트를 다층구조의 바닥재 하부에 합판함으로써 차음성능, 내눌림성, 복원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는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Non-foaming sound insulating sheet and sound insulating flooring using the sheet}
본 발명은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탄성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비발포 차음시트를 다층구조의 바닥재 하부에 합판함으로써 차음성능, 내눌림성, 복원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는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 및 실버산업의 발전되고 있다. 일례로, 주거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바닥재는 보행감 및 차음성능을 부여해줄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3709호에 선 출원된 바닥재는 이러한 보행감과 층간 차음에 대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발포물의 쿠션층을 바닥재의 최하부층에 적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발포물의 쿠션층을 적용한 바닥재는 약한 내구성으로 인하여 하중에 의한 눌림성이 취약하고 복원력 또한 한계가 있다.
KR 10-2004-0073709 A (공개일: 2004.08.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탄성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비발포 차음시트를 다층구조의 바닥재 하부에 합판함으로써 차음성능, 내눌림성, 복원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는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 및 탄성체 0.1-20중량부; 를 포함하는 비발포 차음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발포 차음시트인 비발포 차음층;
상기 비발포 차음층 상부에 적층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적층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부에 적층되는 필름층; 을 포함하는 차음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발포 차음시트는 단순한 비발포물에 비해 우수한 차음, 흡음 및 충격흡수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발포 차음시트는 발포층에 비해 내눌림성과 복원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발포층의 경우 공기층에 의한 연소로 인하여 연기 밀도가 높은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발포 차음시트는 비발포물인 바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음바닥재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탄성체를 포함하는 비발포 차음시트를 다층구조의 바닥재 하부에 합판함으로써 단순한 비발포물에 의해 형성된 바닥재에 비해 우수한 차음, 흡음 및 충격흡수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음바닥재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에 비해 내눌림성과 복원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음바닥재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비발포 차음시트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 및 탄성체 0.1-20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 제조 된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분자량(Mw)이 50,000-150,000, 바람직하게는 70,000-14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50,000미만인 경우 최종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150,000를 초과한 경우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는 염화비닐 수지와 니트릴 고무의 블랜드,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등 폴리염화비닐 소재와 상용성이 우수한 고무일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수지와 니트릴 고무의 블랜드는 염화비닐 수지 5-30중량%, 니트릴 고무 70-95중량%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화비닐 수지 5-15중량%, 니트릴 고무 85-95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수지와 니트릴 고무의 블랜드는 분말 형상의 극성기를 갖는 부분 가교된 탄성체로 다른 고분자와 혼합이 용이하고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내충격성 및 질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염화비닐 수지와 니트릴 고무의 블랜드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Acrylonitrile, AN)이 20-40%, 바람직하게는 25-35%일 수 있다. AN함량이 20%미만일 경우 충격 흡수 측면에서 미흡하고 40%를 초과할 경우 상용성의 저하로 기본 물성의 저하를 야기시키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화비닐 수지와 니트릴 고무의 블랜드는 무니점도(ML1+4,100℃)가 30-60, 바람직하게는 40-55일 수 있다. 무니점도(ML1+4,100℃)가 30미만일 경우 높은 점도에 의한 혼련이 어렵고, 60을 초과할 경우 흐름의 성질이 과하여 롤 이형에 불리하고 끈적임이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는 하드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와 소프트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소프트 세그멘트와 하드 세그멘트로 구성되되, 소프트 세그멘트-하드 세그멘트로 표시되는 디공중합체, 하드 세그멘트-소프트 세그멘트-하드 세그멘트로 표시되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소프트 세그멘트-하드 세그멘트-하드세그멘트로 표시되는 트리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드 세그멘트-소프트 세그멘트-하드 세그멘트로 표시되는 트리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저온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펜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알릴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열성 등을 고려할 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프트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및 알릴아크릴레이트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측면을 고려할 때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실아크릴레이트 중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n-부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는 하드 세그멘트 20-80중량%, 바람직하게는 20-60 중량%, 소프트 세그멘트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40-80%를 포함하는 것이 시트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드 세그멘트의 유리전이온도는 80~130℃, 바람직하게는 90~120℃일 수 있고 상기 소프트 세그멘트의 유리전이온도는 -60~20℃, 바람직하게는 -40~20℃의 범위 이내 일 수 있다. 각 세그멘트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보다 낮을 경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시트의 권취 시 시트간에 서로 달라붙어 언와인딩(unwinding)이 용이하지 않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시트가 딱딱해져 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 각 세그멘트의 분자량 및 아크릴계 탄성수지 전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성형성과 기계적 물성을 고려하여, 하드 세그멘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400,000, 바람직하게는 3,000-100,000이고, 소프트 세그멘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4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300,000이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전체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500,000, 바람직하게는 20,000-3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도(PDI)는 1-4, 바람직하게는 1-3일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함량이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탄성체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바닥재에 쿠션감을 부여하지 못해 질감이 좋지 못하고 또한 차음, 흡음 및 충격흡수효과가 좋지 못하며,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원재료의 가격 상승 및 내구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벤조에이트계 가소제,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헵틸프탈레이트, 디노닐프탈레이트 또는 디트리데실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벤조에이트계 가소제로는 2-(2-(2-페닐카르보닐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 벤조에이트, 글리세릴 트리벤조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벤조에이트, 이소노닐 벤조에이트, 1-메틸-2-(2-페닐카보닐옥시프로폭시)에틸 벤조에이트, 2, 2, 4-트리메틸-1, 3-펜탄디올 디벤조에이트, n-헥실 벤조에이트 또는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시트레이트계 가소제로는 아세틸트리부틸 시트레이트 또는 트리부틸시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포스페이트계 가소제로는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부틸포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디페이트계 가소제로는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메틸 아디페이트, 모노메틸 아디페이트 또는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 아디페치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가소제로 바람직하게 고효율이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소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8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일 경우 가공성 및 물성이 저하되고,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최종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무기충전제 및 열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제는 탄산칼슘, 비정질 실리카, 활석,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카올린, ATH(Alumina trihydrate),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격이 저렴한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무기충전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초과 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1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물성 저하 및 가격상승이 우려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저하되고 역학적 물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안정제는 에폭시화 대두유, 금속염, 칼슘-아연계, 바륨-아연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조성물이 사용될 물건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한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용융강도 보강제, 활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노화방지제 등 중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캘린더링 또는 압출 가공하여 비발포 차음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발포 차음시트는 두께가 0.1-3mm, 바람직하게는 0.3-2mm일 수 있다. 두께가 0.1mm미만일 경우 차음성능 및 쿠션감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3mm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두껍게 형성되어 재료비가 많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발포 차음시트는 단순한 비발포 차음시트에 비해 우수한 차음, 흡음 및 충격흡수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발포 차음시트는 발포층에 비해 내눌림성과 복원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발포층의 경우 공기층에 의한 연소로 인하여 연기 밀도가 높은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발포 차음시트는 비발포물인 바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바닥재(1)는 상기 비발포 시트인 비발포 차음층(10); 상기 비발포 차음층(10) 상부에 적층되는 베이스층(20); 상기 베이스층 상부(20)에 적층되는 인쇄층(30); 및 상기 인쇄층(30) 상부에 적층되는 필름층(40); 을 포함한다.
상기 차음바닥재(1)는 상기 비발포 차음층(10), 베이스층(20) 및 필름층(40)을 압출 성형, 카렌더링 또는 블로우 성형 등을 사용하여 필름 또는 시트 형상으로 제조한 후, 상기 베이스층(20) 상에 그라비아 인쇄를 통해 인쇄층(30)을 형성하여, 이들을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합판 공정 등을 사용하여 열과 압력을 가해 적층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베이스층(20), 인쇄층(30), 필름층(40)을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바닥재 하부에 상기 비발포 차음시트를 합판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발포 차음층(10)은 차음바닥재(1) 전체 두께의 10-40%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20-30%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비발포 차음층(10)의 두께가 바닥재 전체 두께의 10%미만이면 쿠션감이 좋지 못하고 또한 차음, 흡음, 충격흡수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두께가 40%를 초과하면 너무 두꺼워져 재료비가 상승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발포 차음층(10)의 구성은 상기 비발포 차음시트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층(20)은 비발포 차음층(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쿠션감 및 방음을 더 부여하고, 상부의 인쇄층(30), 필름층(40)을 지지하는 역할로서, 중밀도 섬유판, 고밀도 섬유판, 합판 또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바닥재용 시트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20)은 1-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층(20)의 두께가 1mm미만일 경우 쿠션감 및 방음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5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시트 제조 비용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층(30)은 베이스층(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 표면에 전사 인쇄,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인쇄, 로터리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바닥재의 심미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름층(40)은 바닥재의 표면층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리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중 선택된 하나의 수지로 제조한 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이 우수한 투명 폴리염화비닐 또는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층(40)은 두께가 0.2-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2mm미만일 경우 바닥재의 표면을 보호할 수 없으며, 1mm를 초과할 경우 시트 제조 비용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음바닥재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탄성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비발포 차음시트를 다층구조의 바닥재 하부에 합판함으로써 단순한 비발포물에 의해 형성된 바닥재에 비해 우수한 차음, 흡음 및 충격흡수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음바닥재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에 비해 내눌림성과 복원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비발포 차음시트 제조( 실시예 )
폴리염화비닐수지(LG 화학, LS100) 100중량부에 대해 탄성체로 염화비닐 수지와 니트릴 고무의 블랜드(LG화학, NBR8300) 5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60중량부, 무기충전제로 탄산칼슘(렉셈, S1000) 100중량부, 열안정제로 에폭시화대두유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한 다음, 2본롤을 이용하여 1차 2차 믹싱하여 비발포 차음시트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1.5mm인 비발포 차음시트를 형성하였다.
2. 발포 차음시트 제조( 비교예 )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100) 100중량부에 가소제로 디옥틸프탈레이트 35중량부, 무기충전제로 탄산칼슘 5중량부, 발포제로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3중량부 및 발포 촉진제로 산화아연 2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한 다음, 2본롤을 이용하여 1차 2차 믹싱하여 발포 차음시트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용 조성물을 200℃에서 발포 시켜 두께 3mm인 발포 차음시트를 형성하였다.
3. 실시예 비교예의 차음시트의 차음성, 난연성, 눌림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차음시트의 차음성능, 난연성 및 눌림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차음성능은 ASTM E492의 규격에 따라 테이핑 기계를 이용한 충격음 전달을 측정하였다.
상기 난연성은 ASTM E662의 규격에 따라 밀봉된 챔버 안에 실시예 및 비교예 시트의 76*76mm의 평면시편을 수직으로 세워 25Kw/m2의 복사열로 가열 후 발생된 연기 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눌림성은 ASTM F970의 규격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시트가 눌림이 있을 때까지의 압력을 주어 그 때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기준
차음성능[class] 53 55 50이상
난연성[Non-Flaming/Flaming] 429/381 501/448 450이하
눌림성 [psi] 1200 1000미만 1000이상
상기 표 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차음시트 대비 실시예의 차음시트의 차음성능은 동등수준이며, 실시예의 차음시트의 Non-Flaming, Flaming 연기밀도가 모두 450이하로 현저히 우수하고 눌림성은 1000psi이상으로 비교예 차음시트 대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1 : 차음 바닥재 10 : 비발포 차음층
20 : 베이스층 30 : 인쇄층
40 : 필름층

Claims (30)

  1.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 및
    탄성체 0.1-20중량부; 를 포함하는 비발포 차음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분자량(Mw)이 50,000-150,000인 비발포 차음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염화비닐 수지와 니트릴 고무의 블랜드 또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인 비발포 차음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 수지와 니트릴 고무의 블랜드는 염화비닐 수지 5-30중량%, 니트릴 고무 70-95중량%로 혼합된 것인 비발포 차음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 수지와 니트릴 고무의 블랜드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Acrylonitrile, AN)이 20-40%인 비발포 차음시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 수지와 니트릴 고무의 블랜드는 무니점도(ML1+4,100℃)가 30-60인 비발포 차음시트.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는 하드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와 소프트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인 비발포 차음시트.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는 하드 세그멘트-소프트 세그멘트-하드 세그멘트로 표시되는 트리블록 공중합체인 비발포 차음시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펜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알릴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비발포 차음시트.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및 알릴아크릴레이트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비발포 차음시트.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는 하드 세그멘트 20-80중량% 및 소프트 세그멘트 80-20중량%인 비발포 차음시트.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세그멘트의 유리전이온도는 80~130℃이고, 소프트 세그멘트의 유리전이온도는 -60~20℃인 비발포 차음시트.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세그멘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400,000이고, 소프트 세그멘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400,000인 비발포 차음시트.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500,000인 비발포 차음시트.
  15. 제 1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비발포 차음시트.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벤조에이트계 가소제,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비발포 차음시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인 비발포 차음시트.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1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비발포 차음시트.
  19. 제 1항에 있어서,
    무기충전제 및 열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비발포 차음시트.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전제는 탄산칼슘, 비정질 실리카, 활석,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카올린, ATH(Alumina trihydrate),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비발포 차음시트.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전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초과 1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비발포 차음시트.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열안정제는 에폭시화 대두유, 금속염, 칼슘-아연계, 바륨-아연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비발포 차음시트.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열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비발포 차음시트.
  24. 제 1항 내지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0.1-3mm인 비발포 차음시트.
  25. 1항 내지 23항의 어느 한 항의 비발포 차음시트인 비발포 차음층;
    상기 비발포 차음층 상부에 적층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적층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부에 적층되는 필름층; 을 포함하는 차음바닥재.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비발포 차음층의 두께는 바닥재의 두께의 10-40%인 차음바닥재.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두께가 1-5mm인 차음바닥재.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전사 인쇄,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인쇄, 로터리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잉크젯 인쇄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된 차음바닥재.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투명 폴리염화비닐 또는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차음바닥재.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두께가 0.2-1mm인 차음바닥재.

KR1020170046647A 2017-04-11 2017-04-11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 KR20180114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47A KR20180114677A (ko) 2017-04-11 2017-04-11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47A KR20180114677A (ko) 2017-04-11 2017-04-11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677A true KR20180114677A (ko) 2018-10-19

Family

ID=6410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647A KR20180114677A (ko) 2017-04-11 2017-04-11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46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4038A (zh) * 2019-04-30 2019-08-06 河源市耐宝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静音地板及其生产装置
KR102116007B1 (ko) 2019-09-03 2020-05-28 대신마루산업 주식회사 층간소음 발생을 저감한 차음 복합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2141832A1 (zh) * 2020-12-31 2022-07-07 泰州市华丽新材料有限公司 数码打印板、制造方法及应用
KR20230011515A (ko) 2021-07-13 2023-01-25 김재화 기능성 매트
CN116285036A (zh) * 2023-02-24 2023-06-23 上海巨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阻燃型pvc、nbr橡塑地板材料及其加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4038A (zh) * 2019-04-30 2019-08-06 河源市耐宝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静音地板及其生产装置
KR102116007B1 (ko) 2019-09-03 2020-05-28 대신마루산업 주식회사 층간소음 발생을 저감한 차음 복합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2141832A1 (zh) * 2020-12-31 2022-07-07 泰州市华丽新材料有限公司 数码打印板、制造方法及应用
KR20230011515A (ko) 2021-07-13 2023-01-25 김재화 기능성 매트
CN116285036A (zh) * 2023-02-24 2023-06-23 上海巨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阻燃型pvc、nbr橡塑地板材料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4677A (ko) 비발포 차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바닥재
KR100757180B1 (ko) 고무졸을 이용한 염화비닐-고무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JP5729552B2 (ja)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CN105324545A (zh) 缓冲地板材料及其制造方法
KR102014555B1 (ko)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5413363B2 (ja)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体、積層体、自動車内装材及び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20200198569A1 (en) Flexible molded skin
KR102015692B1 (ko)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아크릴계 수지의 혼합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
JP6904962B2 (ja) 外装パネル及び外装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073997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KR20160093193A (ko) 바닥재용 투명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20190036690A (ko)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
CN112031330A (zh) 一种轨道交通用隔音型弹性卷材地板及其制备方法
KR20190063818A (ko)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투명층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2233544B1 (ko) 표면 눌림성을 개선한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2013B1 (ko) 타일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EP3039067B1 (en) Recyclable synthetic flooring
KR102080985B1 (ko)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아크릴계 수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
JP2020097666A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および積層体
JP4515267B2 (ja) 発泡ポリ塩化ビニル壁紙の製造方法
KR102017912B1 (ko) 표면층으로 탄성층을 구비한 쿠션바닥재
KR20160131059A (ko) 복합 쉬트 및 피브이씨와 가소제가 없는 발포 장식 쉬트의 제조방법
KR101857850B1 (ko)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선박용 난연 타일
CN114656727B (zh) 发泡性氯乙烯树脂组合物
JPH10292101A (ja) 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