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788B1 - 자동차용 egr 밸브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egr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788B1
KR101180788B1 KR1020060125345A KR20060125345A KR101180788B1 KR 101180788 B1 KR101180788 B1 KR 101180788B1 KR 1020060125345 A KR1020060125345 A KR 1020060125345A KR 20060125345 A KR20060125345 A KR 20060125345A KR 101180788 B1 KR101180788 B1 KR 10118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otary
egr valve
egr
val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607A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788B1/ko
Publication of KR2008005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02M26/53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using 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s
    • F02M26/54Rotary actuators, e.g. step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45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EGR systems
    • F02M26/48EGR valve position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EGR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타입 방식의 EGR 밸브를 회전식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개선하여, 밸브시트 부위에 슈트(soot)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동소음을 없앨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EGR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하 배치 구조를 갖는 전기구동부 및 밸브개폐부를 포함하는 EGR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폐부는 일측에 형성된 가스 유입구와, 반대측에 형성된 가스배출구와, 가스유입구 및 가스배출구간에 형성된 밸브설치구와, 상기 밸브설치구의 상단 및 하단에 단차진 형태로 형성된 밸브시트면과, 상기 밸브 설치구의 상하에 배치 고정되는 회전식 EGR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구동부에는 상기 EGR 밸브에 각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EGR 밸브를 제공한다.
자동차, EGR 밸브, 회전식, 슈트

Description

자동차용 EGR 밸브{EGR valve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의 회전식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의 회전식 밸브의 작동 궤적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의 회전식 밸브의 작동 궤적 및 슈트 제거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의 회전식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EGR 밸브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EGR 밸브에 슈트가 쌓이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스유입구 12 : 가스배출구
14 : 밸브설치구 16 : 밸브시트면
18 : 각도위치센서 장착형 모터 20 : 하우징
22 : 회전밸브판 24 : 회전축용 홀
26 : 밸브판 가이드홀 28 : 인출입홈
30 : 회전축 32 : 밸브판
34 : 스템 36 : 스프링
100 : 전기구동부 200 : 밸브개폐부
300 : 회전식 EGR 밸브
본 발명은 자동차용 EGR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타입 방식의 EGR 밸브를 회전식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개선하여, 밸브시트 부위에 슈트(soot)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동소음을 없앨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EGR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배출가스는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탄화수소(HC) 등의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바,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3원소 중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에 대하여 질소산화물은 항상 반대의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실용적인 출력범위에서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가 가장 감소하는 시점에 질소산화물은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질소산화물은 연료가 완전 연소할수록 즉, 엔진이 고온일수록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질소산화물 등의 배출가스 허용량은 관계 법률로서 규제됨에 따라 배출가스를 줄이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바, 그 중 하나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이다.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는 다른 유해물질의 급증없이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혼합비를 이론 공연비로 유지하면서 연소실로 흡입되는 혼합기 중에 기 연소가스(EGR 가스)의 일부를 공급함으로써, 신기의 양을 줄임과 동시에 연소가스의 열용량을 증가시켜 화염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는 상기 배출가스중 배기가스를 흡기계로 재순환시켜 실린더내의 연소온도를 낮추어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장치로서,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NOx)을 저감하는 수단으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계통에 되돌려서, 혼합기가 연소할 때 최고 온도를 낮게 하여 질소산화물(NOx)의 생성량을 적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종래의 EGR 밸브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EGR 밸브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방식으로서 상단에 전기구동부가 구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밸브개폐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개폐부는 첨부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 가스 유입구(10)와; 반대측에 형성된 가스배출구(12)와; 가스유입구 및 가스배출구간에 형성된 밸브설치구(14)와; 상기 밸브설치구(14)의 상단 및 하단에 단차진 형태로 형성된 밸브시트면(16)과; 상기 밸브시트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며 개 폐되는 한 쌍의 밸브판(32)과; 상기 밸브판(32)을 연결하면서 상기 전기구동부쪽으로 연결된 스템(34)과; 상기 스템(34)과 각 밸브판(32) 사이에 위치되는 복원스프링(3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구동부의 구동으로 상기 스템이 승하강 이동하는 동시에 각 밸브판이 승하강되면서 개폐되어, 가스의 유입의 차단 또는 허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EGR 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히스테리시트 측면
종래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방식은 단 방향 제어만이 가능하므로 복원 스프링이 존재하며, 스프링부의 복원력이 수축과 팽창시 차이가 있고, 그로 인해 기존 유압식 타입에서 존재하는 통과 유량 및 리프트(Lift)의 히스테리시스가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2) 슈트(Soot) 퇴적에 의한 EGR 누설(Leak) + 히스테리시스 증가 + 제어성 문제
NOx 규제가 강화되면서 고 ERG 율(High EGR Rate) 구현을 위한 EGR 쿨러를 사용중이며, 특히 배기 가스 규제 시험중 초기 워밍 업(Warming Up) 이전에는 연소 상태가 나쁘고, 저 냉각수온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습한 성분의 EGR 가스가 밸브를 통과하면서 퇴적이 발생되고, 워밍 업(Warming Up)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가스가 통과하면서 건조한 성분이 많이 퇴적된다.
첨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시트면의 퇴적물은 밸브의 완전 닫힌 상태[전기적 힘이 없는 상태]에서 슈트(soot) 퇴적 부분으로 인해, 상기 밸브판과 밸브시트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원하지 않는 영역에서 EGR이 유입 운전시 스모크(Smoke)에 악 영향을 주며, 스템 부위의 퇴적물은 밸브의 움직이는 저항으로 작용하여, 실제 초기의 전기 구동 듀티(Duty) 대비 리프트(Lift) 특성이 변화되어 연소 상태가 상대적으로 나쁜 구간에서 EGR 유량의 변동이 커지고 이에 따라 관련된 CO 등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EGR 밸브중 DC 모터(Motor) 타입의 경우 자체 피드백(Feed Back) 센서가 있어 히스테리시스는 덜 할 것으로 보이나, 근본적으로 리니어 솔레노이드와 비슷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결국, 종래의 EGR 밸브는 슈트 퇴적 및 저온 연소에 의한 습한 성분 과다 퇴적에 의한 밸브 스티킹(Valve Sticking) 발생하고, 터보나 기타 에어 시스템의 문제 및 오일 유입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심한 경우는 밸브 스틱(Valve Stick)이 발생하며, 누설(Leak) 발생이 생겼을 경우는 ECU상의 공기 유량계가 읽는 값을 특정 조건에서 Ref대비 차이가 나는 정도로만 감지(Detecting)이 가능하고, 운전 조건이 대부분 오버런(Overrun)에서만 가능하므로 각종 엔진의 압력 상태 변화등 모든 부분의 조건을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히스테리시스가 상당히 문제가 있을 경우 정확이 EGR 밸브의 문제로 가늠할 만한 판단 근거가 어렵고, 통상 EGR 제어 문제 발생시 터보 과급압 제어나 엔진 부조등이 동시 수반되므로 정확한 원인 가늠이 힘들며, 열부하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져 장착 위치 등에 제약이 많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자가 세정 루틴 및 임펄스 플런져(Self Cleaning Routine & Impulse Plunger)가 제안되었는 바, 이그니션 온(Iginition On: 시동 직전) 및 애프터런(Afterrun: 시동 off후)시 스템에 퇴적물을 긁어서 떨어내기 위한 풀 리프트(Full Lift) 양정 3회 실시하는 로직이 들어가 있고, 이때에 적정 전원에 따른 이상 자장 변화, 즉 솔레노이드(Solenoid) 밸브측에 스틱(Stick)에 의해 자장에 의한 리프트 변화가 없어서 이상 전압이 확인될 경우 강제로 강한 반대 자장을 플런져의 상단에 걸어주어 강제로 플런져 전체를 내려 억지로 EGR 밸브의 스틱된 부분을 이탈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자가 세정 루틴(Self Cleaning Routine)의 경우 밸브 풀 오픈 및 ㅋ클로즈(Valve Full Open Close)를 반복할 때에, 속도에 한계(Open Close시 밸브 소음 발생 가능)가 있어 스템에 퇴적된 슈트에는 일부 효과가 있으나, 밸브시트면에 퇴적된 슈트를 털어내기에는 그 힘이 너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애프터런(after Run)시는 문제가 없으나, 시동 시에는 사용자가 시동을 상당히 빨리 시작하는 경우 크리닝 루틴(Cleaning Routine)이 생략 될 수 있으며, 임펄스 작동의 경우에는 스틱이 해결이 될지 모르나 실제로 밸브가 안고 있을 지도 모르는 히스테리시스 변화나 기타 문제가 남은 채 운전이 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EGR 쿨러가 도입되면서 종래의 EGR 밸브가 가진 밸브시트(Valve Seat)에 슈 트(soot)퇴적에 의한 EGR 가스 누설(Gas Leak) 및 스템(Stem)에 슈트(Soot)퇴적에 의한 히스테리시스 증가에 따른 밸브 제어성 악화로 인한 각종 에미션(Emission) 문제 유발을 최소화하고, 또한 모터 측 온도 때문에 위치 변경의 자유도가 적은 점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용 EGR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배치 구조를 갖는 전기구동부 및 밸브개폐부를 포함하는 EGR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폐부는 일측에 형성된 가스 유입구와, 반대측에 형성된 가스배출구와, 가스유입구 및 가스배출구간에 형성된 밸브설치구와, 상기 밸브설치구의 상단 및 하단에 단차진 형태로 형성된 밸브시트면과, 상기 밸브 설치구의 상하에 배치 고정되는 회전식 EGR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구동부에는 상기 EGR 밸브에 각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EGR 밸브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구현예로서, 상기 회전식 EGR 밸브는: 상기 밸브설치구 상하 위치에 배치되며 일측쪽에는 회전축용 홀이 상하로 관통되고, 그 반경방향으로는 밸브판 가이드홀이 형성된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밸브판 가이드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밸브판과; 상기 회전축용 홀을 관통하는 동시에 회전밸브판에 체결되어, 상기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밸브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회전밸브판은 반원보다 직경이 보다 큰 형 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회전밸브판의 외끝단과 마주보는 위치로서, 상기 밸브설치구의 밸브시트면에는 회전밸브판의 외끝단이 회전시 삽입될 수 있는 인출입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전기구동부 및 밸브개폐부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밸브개폐부의 일측쪽에 형성된 가스 유입구의 입구에 회전식 EGR 밸브를 장착하고, 상기 전기구동부에는 상기 EGR 밸브에 각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를 장착하되, 상기 회전식 EGR 밸브는 상기 가스유입구의 입구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쪽에는 회전축용 홀이 상하로 관통되고, 그 반경방향으로는 밸브판 가이드홀이 형성된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밸브판 가이드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밸브판과; 상기 회전축용 홀을 관통하는 동시에 회전밸브판에 체결되어, 상기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밸브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밸브판의 상끝단과 마주보는 위치로서, 상기 가스유입구의 상단부에 회전밸브판의 상끝단이 회전시 삽입될 수 있는 인출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EGR 밸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EGR 밸브는 회전식 구조로 개선하여, 슈트의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슈트 성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의 회전식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의 회전식 밸브의 작동 궤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EGR 밸브(300)는 전기구동부(100) 및 밸브개폐부(200)가 상하 배치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밸브개폐부(200)는 일측에 가스 유입구(10)가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가스배출구(12)가 형성되며, 이 가스유입구(10) 및 가스배출구(12)간에는 밸브설치구(14)가 소정의 공간을 이루게 된다.
상기 밸브설치구(14)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가스유입구(10)와 직각을 이루며 단차진 형태로 밸브시트면(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기구동부(100)에는 EGR 밸브에 각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18)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 설치구의 상하에 배치 고정되는 회전식 EGR 밸브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식 EGR 밸브의 일구성으로서, 상기 밸브설치구(14)의 상하 위치에 하우징(20)이 고정되며, 이 하우징(20)내에서 가스유입구(10)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회전밸브판(22)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하우징(20)은 반달형 형상으로서, 일측쪽에는 상하로 관통된 회전축용 홀(24)이 형성되고, 그 반경방향으로는 밸브판 가이드홀(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밸브판 가이드홀(26)에는 반원보다 큰 직경을 갖는 회전밸브판(2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회전밸브판(22)의 외끝단과 마주보는 위치 즉, 상기 밸브설치구(14)의 밸브시트면(16)에는 회전밸브판(22)의 외끝단이 회전시 삽입될 수 있는 인출입홈(28)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30)의 상단이 상기 전기구동부에 설치되는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18)쪽과 연결되고, 그 하단은 상기 하우징(20)의 회전축용 홀(24)에 관통 삽입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0)이 회전축용 홀(24)을 지나면서 회전밸브판(22)에 체결되어, 상기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18)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밸브판(22)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18)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30)과 함께 회전밸브판(22)이 상기 하우징(20)의 밸브판 가이드홀(26) 및 밸브시트면(16)의 인출입홈(28)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을 하게 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닫힘, 90°회전시 절반 열림, 180°회전시 완전열림 구간을 제어에 따라 반복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의 회전식 밸브의 작동 궤적 및 슈트 제거 동작을 설명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밸브판(22)이 각회전하는 동시에 하우징(20)의 밸브판 가이드홀(26)로 들어갈 때, 회전밸브판(22)상에 쌓인 슈트성분이 하우징(20)의 밸브판 가이드홀(26) 입구단쪽에 걸려서 탈락되며 용이하게 제거되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의 회전식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회전밸브판을 가스유입구에 한 쌍이 아닌 단일 밸브 타입으로 형성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전기구동부(100) 및 밸브개폐부(200)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밸브개폐부(200)의 일측쪽에 형성된 가스 유입구(10)의 입구에 회전식 EGR 밸브(300)를 장착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전기구동부(100)에는 상기 회전식 EGR 밸브(300)에 각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18)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EGR 밸브(300)도 마찬가지로 상기 가스유입구(10)의 입구 하단부에 단일 하우징(20)이 구비된다.
즉, 상기 하우징(20)은 가스유입구(10)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쪽에는 회전축용 홀(24)이 상하로 관통되고, 그 반경방향으로는 밸브판 가이드홀(26)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밸브판 가이드홀(26)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밸브판(22)이 삽입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용 홀(24)에는 회전축(30)이 관통되는 바, 이 회전축(30)의 일측단이 상기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18)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용 홀(24)을 관통하면서 상기 회전밸브판(22)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밸브판(22)의 상끝단과 마주보는 위치로서, 상기 가스유입구(10)의 상단부에 회전밸브판(22)의 상끝단이 회전시 삽입될 수 있는 인출입홈(2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18)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30)과 함께 단일 회전밸브판(22)이 상기 하우징(20)의 밸브판 가이드홀(26) 및 가스유입구(10) 상단의 인출입홈(28)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을 하게 되며, 완전 닫힘, 90°회전시 절반 열림, 180°회전시 완전열림 구간을 반복하며 회전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EGR 밸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밸브판 회전시, 하우징 부위와의 자동 접촉에 의해 슈트 성분이 밸브 작동 중에 자연스럽게 자동으로 탈락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2) 360도 회전형의 밸브판 적용으로, 부딪히는 부분이 없으므로 유저가 소음을 느끼지 못하게 하고, 훨씬 빠른 속도의 자가 세정 루틴(Selft Cleaning Routine)를 가능하며, 또한 노멀(normal) 운전시 기존의 자동 EGR 셧오프(Shut Off)시나 로우 밸브 리프트(Low Valve Lift)에서 진동에 의한 작동 떨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밸브는 기존과 같이 수직 이동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히스테리 시스 증가 문제를 최소화하고, 히스테리시스 문제의 발생을 확인할 수 없는 현재 EGR 밸브의 문제점을 각도 센서가 부착된 기존의 DC Motor를 이용하여 시동 직전시와 시동 오프시 배터리 전압이 정상인 경우에 회전 각속도를 학습하여 움직임에 문제가 있을 때에 정확히 찾을 수 있다.
4) 기존의 수직 리프트형 밸브의 경우, 작동 모터 내지 솔레노이드 밸브가 직접 접촉을 해야 하나, 본 발명의 회전형 밸브의 경우 기존 SCV 밸브와 같이 중간에 플라스틱 커플링등을 사용하거나 링케이지 사용이 가능해져 모터로 전달되는 방열량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모터 내구성 보완의 자유도 확보가 가능해진다.

Claims (5)

  1. 상하 배치 구조를 갖는 전기구동부 및 밸브개폐부를 포함하는 EGR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폐부는 일측에 형성된 가스 유입구와, 반대측에 형성된 가스배출구와, 가스유입구 및 가스배출구간에 형성된 밸브설치구와, 상기 밸브설치구의 상단 및 하단에 단차진 형태로 형성된 밸브시트면과, 상기 밸브 설치구의 상하에 배치 고정되는 회전식 EGR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구동부에는 상기 EGR 밸브에 각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EGR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EGR 밸브는:
    상기 밸브설치구 상하 위치에 배치되며 일측쪽에는 회전축용 홀이 상하로 관통되고, 그 반경방향으로는 밸브판 가이드홀이 형성된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밸브판 가이드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밸브판과;
    상기 회전축용 홀을 관통하는 동시에 회전밸브판에 체결되어, 상기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밸브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EGR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밸브판은 반원보다 직경이 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EGR 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밸브판의 외끝단과 마주보는 위치로서, 상기 밸브설치구의 밸브시트면에는 회전밸브판의 외끝단이 회전시 삽입될 수 있는 인출입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EGR 밸브.
  5. 전기구동부 및 밸브개폐부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밸브개폐부의 일측쪽에 형성된 가스 유입구의 입구에 회전식 EGR 밸브를 장착하고, 상기 전기구동부에는 상기 EGR 밸브에 각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 위치 센서 장착형 DC모터를 장착하되,
    상기 회전식 EGR 밸브는:
    상기 가스유입구의 입구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쪽에는 회전축용 홀이 상하로 관통되고, 그 반경방향으로는 밸브판 가이드홀이 형성된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밸브판 가이드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밸브판과;
    상기 회전축용 홀을 관통하는 동시에 회전밸브판에 체결되어, 상기 각도 위 치 센서 장착형 DC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밸브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밸브판의 상끝단과 마주보는 위치로서, 상기 가스유입구의 상단부에 회전밸브판의 상끝단이 회전시 삽입될 수 있는 인출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EGR 밸브.
KR1020060125345A 2006-12-11 2006-12-11 자동차용 egr 밸브 KR10118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345A KR101180788B1 (ko) 2006-12-11 2006-12-11 자동차용 egr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345A KR101180788B1 (ko) 2006-12-11 2006-12-11 자동차용 egr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607A KR20080053607A (ko) 2008-06-16
KR101180788B1 true KR101180788B1 (ko) 2012-09-10

Family

ID=3980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345A KR101180788B1 (ko) 2006-12-11 2006-12-11 자동차용 egr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2641A1 (de) 2022-02-04 2023-08-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tor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2641A1 (de) 2022-02-04 2023-08-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tor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607A (ko)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5866B2 (ja) 低圧egr装置
US7971578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for vehicle
US20130140477A1 (en) Electric actuator and control valve including the electric actuator
JP5565334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623206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4121861B2 (ja) 内燃機関停止後に排気ガス再循環弁が固着するのを避けるための装置
US802038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necessity of multiple vane cleaning procedures
US9212631B2 (en) Control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357350B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in vehicle
US20130047941A1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281771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in vehicle
KR101399417B1 (ko) Egr 쿨러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US7870730B2 (en)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extender idle vane cycle
KR101180788B1 (ko) 자동차용 egr 밸브
JP2008069645A (ja) 排気ガス再循環装置
EP2369164A1 (en) Control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735589B2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4618933B2 (ja) 内燃機関の白煙発生防止装置
JP2006291797A (ja) 吸気流バルブシステム
KR20180129471A (ko) 고장 검출 수단을 구비한 일체형 배압 및 egr 밸브 모듈
KR20110134538A (ko) Egr 밸브
KR950000333Y1 (ko) 자동차 엔진용 과급기
JP2007239565A (ja) 吸気装置及び吸気方法
KR101360033B1 (ko) 이지알 밸브 유닛
JP5370059B2 (ja) 過給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