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775B1 -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775B1
KR101180775B1 KR1020120032377A KR20120032377A KR101180775B1 KR 101180775 B1 KR101180775 B1 KR 101180775B1 KR 1020120032377 A KR1020120032377 A KR 1020120032377A KR 20120032377 A KR20120032377 A KR 20120032377A KR 101180775 B1 KR101180775 B1 KR 101180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sulation
glass
outer cove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Priority to KR102012003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8Composition or method of fixing a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7Bands, cords, strips or the like for helically winding around a cylindrical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및 장치물 단열용으로 이용되며 내부커버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커버의 외측으로 설치하는 외부커버는 유리섬유 매트를 여러 차례 감아 성형하여 외경에 그라스 크로스를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한 알루미늄 호일을 감아 원통형과 라운드형, 평판형, 곡면형 등으로 성형하는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유리 장섬유를 공급하여 펀칭선(15)으로 니들펀칭하여 성형한 유리섬유 매트(16)를 바인더 처리하여 경계선(17)을 따라 여러 겹 감아 성형하는 외부커버(11)의 외경으로 접착제(18)와 그라그 크로스(20)의 외경에 알루미늄 호일(19)을 설치하여 내경에 배관공간(21)을 갖도록 하고, 상기 외부커버(11)를 한쪽은 좁고 한쪽은 넓게 절단하여 라운드지게 분할선(32, 42)을 따라 결합하여 상기 분할선(32) 양쪽으로 고정 연결핀(31)과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고정하여 절곡형으로 성형한 후 이등분하여 내경에 배관공간(21)을 갖도록 하는 절곡형 단열 보온재에 있어서,
상기 배관공간(21)에서 세라크울, 그라스울, 미네랄울, 수퍼울, 복합규산 단열재 실리카장섬유, 탄소섬유, 카본섬유, 에어로젤 단열재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 혼합된 내부커버(12)가 외부커버(11)의 양쪽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Heat insulating materials cover}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및 장치물 단열용으로 이용되며 내부커버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커버의 외측으로 설치하는 외부커버는 유리섬유 매트를 여러 차례 감아 성형하여 외경에 그라스 크로스를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한 알루미늄 호일을 감아 원통형과 라운드형, 평판형, 곡면형 등으로 성형하는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석유화학 플랜트 등의 산업용 보일러 또는 터빈, 히터에 사용되는 파이프와 같이 고온의 열을 활용하는 배관에서 단열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발전소, 석유화학 플랜트 등에는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로 전력비의 절감으로 생산원가 감소와 직결되기 때문에, 고온의 배관용 파이프에서 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의 단열 보온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는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0420370호(2006. 06. 26. 등록)의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는 파이프 형성의 외부 커버와, 외주 측면이 외부 커버의 내주 측면과 면 접착되고, 내주 측면이 고온 파이프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온 파이프의 외주 측면을 감싸며, 외부 커버의 양단에 대하여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외부커버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 커버를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는 이중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 보온의 효과가 높으며, 외부커버와 내부커버의 각각의 길이를 고온에 의한 길이변화에 대응하도록 달리하여 보온 단열재의 수축과 팽창에 의한 변위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시공 후 이음부의 틈새를 줄일 수 있어 보온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길게 설치된 배관(파이프)을 감싸 설치하는 것이 어렵고, 외부커버가 대기중에 노출되므로 외부로 열을 쉽게 빼앗길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배관(파이프)이 굴곡되게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이를 적용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보온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0420370호(2006. 06. 26. 등록) 문헌 2. 공개특허번호 제2010-0016991호(2010. 02. 16. 공개) 문헌 3. 공개특허번호 제2009-0007549호(2009. 07. 27. 공개)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068084호(2011. 09. 21.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유리장섬유를 니들펀칭으로 성형한 장섬유 매트를 공급하여 바인더에 함침시켜 강도를 보강하고 건조단계와 표면 성형단계 및 이등분 절단단계를 통하여 성형한 단열보온재의 내경으로 단열재로 이루어진 내부커버를 형성하여 배관의 외경과 이음부에서 보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유리섬유를 공급하면서 5~12cm의 길이를 갖는 유리 장섬유를 절단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공급하면서 바늘에 공급한 펀칭선을 통하여 니들펀칭에 의해 유리섬유 매트를 형성하는 유리섬유 매트 성형단계(S1);
상기 유리섬유 매트를 공급하여 바인더가 담겨진 탱크에 함침시키거나, 바인더를 스프레이하여 여러 겹이 되도록 감아서 15~200mm가 되도록 하며, 밀도는 130~260kg/㎥의 외부커버를 성형하는 외부커버 성형단계(S2);
상기 외부커버 성형단계(S2)에서 얻어진 유리섬유 매트는 바인더를 건조시켜 성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풍 건조기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함유율이 제로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 외부커버 건조단계(S3);
상기 건조한 외부커버는 외경으로 유리섬유를 격자무늬가 형성되도록 성형(직조 포함)한 그라스 크로스에 고무시트나 함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그라스 크로스의 어느 한 면에 알루미늄 호일을 코팅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여 알루미늄 호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그라스 크로스가 유리섬유 매트의 외경에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되도록 고정하는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표면 성형단계(S4);
상기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표면 성형단계(S4)에서 얻어진 단열 보온재는 사이드 컷팅에 의해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양쪽 단부를 절단해 제거하고, 단부가 절단된 단열 보온재를 센타컷팅에 의해 절단선을 따라 이등분되도록 하는 사이드 절단과 이등분 절단단계(S5); 및
상기 절단선을 따라 이등분된 단열 보온재를 펼친 상태에서 내경인 배관공간에 단열재인 내부커버를 공급하는 내부커버 성형단계(S6);를 통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는 유리섬유 매트가 여러 겹 감겨 지도록 형성한 외부커버의 내경으로 밀도가 낮은 보온재로 이루어진 내부커버로 이루어져 단열 보온재 커버로 배관을 결합할 때 배관의 외경과 연결부분에서 보온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커버의 보온재가 배관과 외부커버의 연결부분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른 열팽창계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보온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형태의 단열 보온재 커버뿐만 아니라, 절곡된 형태와 평판 및 곡면 형태와 같이 건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여 용도의 범위를 크게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완성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을 절곡형 단열보온재로 적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도 3에 대한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을 절곡형 단열 보온재로 적용한 상태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도 5에 대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완성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유리섬유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5~12c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유리 장섬유(14)를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공급하면서 펀칭선(15)이 니들펀칭되어 유리섬유 매트(16)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유리섬유 매트(16)는 난연성을 부여하고, 필요한 경우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바인더를 도포하거나 함침시켜 원형으로 감아 여러 겹이 경계선(17)을 통하여 겹쳐지게 원통 형태의 외부커버(11)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커버(11)를 이루는 유리섬유 매트(16)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바인더는 물에 무기물인 벤토나이트(Bentonite)와 유기물인 CMC(Carboxy Methy Cellulose) 및 난연제인 수산화마그네슘(Mg(OH)2)을 투입 교반하여 난연성을 지니도록 하거나 다양한 바인더를 공급하여 강도보강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인더를 도포하거나 함침된 외부커버(11)는 외경으로 유리섬유를 격자무늬가 형성되도록 성형한 그라스 크로스(20)에 고무시트나 함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접착제(18)를 도포하고, 상기 그라스 크로스(20)의 어느 한 면에 알루미늄 호일(19)을 코팅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한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19)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그라스 크로스(20)가 유리섬유 매트(16)의 외경에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커버(11)에 그라스 크로스(20)를 일체형으로 고정한 후에는 건조단계를 거쳐 바인더를 건조하고, 절단장치에서 양 선단의 절단과 외부커버(11)를 이등분하여 절단선(13)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커버(11)가 이등분되면 내경의 배관공간(21)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내부커버(12)가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성형한다.
상기 내부커버(12)는 배관공간(21)에서 외부커버(11) 보다 길게 양쪽에서 돌출되도록 단열 보온재(10)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을 절곡형 단열보온재로 적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배관이 굴곡되거나 절곡된 형태에 적용하는 절곡형 단열보온재(30)는 단열 보온재(10)와 내부커버(12)와 외부커버(11)로 이루어진 구조가 동일하며, 45°와 90°의 각도 또는 120°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를 유지하며, 라운드가 짧은 내부는 절단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라운드가 긴 외부는 절단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분할선(32)으로 분할되도록 한다.
상기 분할선(32)에 의해 절곡된 형태의 외경으로 분할선(32)이 접촉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통상적으로 타카로 불리우는 고정 연결핀(31)을 박아 고정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절곡형 단열 보온재로 적용한 상태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배관이 굴곡되거나 절곡된 형태에 적용하는 절곡형 단열보온재(40)는 단열 보온재(10)와 내부커버(12)와 외부커버(11)로 이루어진 구조가 동일하며, 45° 와 90°의 각도 또는 120°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를 유지하며, 라운드가 짧은 내부는 절단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라운드가 긴 외부는 절단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분할선(32)으로 분할되도록 한다.
상기 분할선(32)에 의해 절곡된 형태의 외경으로 분할선(32)이 접촉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분할선(3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력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 유리섬유를 공급하면서 5~12cm의 길이를 갖는 유리 장섬유(14)를 절단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공급하면서 바늘에 공급한 펀칭선(15)을 토하여 니들펀칭에 의해 유리섬유 매트(16)를 형성하는 유리섬유 매트 성형단계(S1)를 수행한다.
상기 유리섬유 매트(16)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도록 하며, 원형으로 말아서 공급하거나, 보관한 후 필요할 때 생산라인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 매트(16)를 공급하여 바인더가 담겨진 탱크에 함침시키거나, 바인더를 스프레이하여 여러 겹이 되도록 감아서 외부커버(11)를 성형하는 외부커버 성형단계(S2)를 수행한다.
상기 바인더는 유리섬유 매트(16)가 경계선(17)에서 감기면서 층간 접착을 위한 것으로 물에 무기물인 벤토나이트(Bentonite)와 유기물인 CMC(Carboxy Methy Cellulose) 및 난연제인 수산화마그네슘(Mg(OH)2)을 투입 교반하여 난연성을 지니도록 하거나 다양한 바인더를 공급하여 강도보강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불소계 발수제를 적당량 첨가하여 발수성을 부여하는데, 무기물인 벤토나이트는 바인더의 강도보강을 위한 것이고, 유기물인 CMC는 접착력을 얻기 위한 것이고, 수산화마그네슘은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며, 발수제는 통기성에 의한 투수성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각기 유사기능의 다른 재료로 대체하더라도 무방하며,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더욱 다양한 바인더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바인더에 함침과 도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 후에는 바인더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탈수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여기에서 바인더가 유리섬유 매트(16)에 깊숙히 그리고 균일하게 침투된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유리섬유 매트(16)로 이루어진 외부커버(11)는 배관의 크기를 고려하여 15~200mm가 되도록 하며, 밀도는 130~260kg/㎥이 바람직하다.
외부커버 성형단계(S2)에서 얻어진 유리섬유 매트(16)는 바인더를 건조시켜 성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풍 건조기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함유율이 제로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 외부커버 건조단계(S3)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커버 건조단계(S3)에서는 유리섬유 및 난연성과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는 바인더의 연소 가능온도 이하의 온도조건하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연건조 또한 무방하다.
건조한 외부커버(11)는 외경으로 유리섬유를 격자무늬가 형성되도록 성형(직조 포함)한 그라스 크로스(20)에 고무시트나 함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접착제(18)를 도포하고, 상기 그라스 크로스(20)의 어느 한 면에 알루미늄 호일(19)을 코팅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면 그라스 크로스(20)에 의해 알루미늄 호일(19)이 외경에서 볼 때 격자무늬로 성형된 것과 같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19)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그라스 크로스(20)가 유리섬유 매트(16)의 외경에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되도록 고정하는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표면 성형단계(S4)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그라스 크로스(20)는 알루미늄 호일이 외경에 부착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현상을 해소하고,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유리섬유 매트(16)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열을 차단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표면 성형단계(S4)에서 얻어진 단열 보온재(10)는 사이드 컷팅에 의해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양쪽 단부를 절단해 제거하고, 단부가 절단된 단열 보온재(10)를 센타컷팅에 의해 절단선(13)을 따라 이등분되도록 하는 사이드 절단과 이등분 절단단계(S5)를 수행하는 것이다.
절단선(13)을 따라 이등분된 단열 보온재(10)를 펼친 상태에서 내경인 배관공간(21)에 단열재인 내부커버(12)를 공급하는 내부커버 성형단계(S6)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커버(12)는 세라크울, 그라스울, 미네랄울, 수퍼울, 복합규산 단열재 실리카장섬유, 탄소섬유, 카본섬유, 에어로젤 단열재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 혼합된 것으로 두께는 10~200mm 이고, 밀도는 25~120kg/㎥ 이다.
상기 두께는 배관의 지름에 따른 단열 보온재(10)의 규격에 따라 달리하며, 밀도가 25kg/㎥ 이하인 경우에는 배관의 외경을 감싸 보온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20kg/㎥ 이상인 경우에는 배관의 외경에 균일한 두께의 제공이 어려운 결점이 있다.
그리고 내부커버(12)는 외부커버(11)의 양쪽을 3~5mm가 돌출되어 단열 보온재(10)의 사이 틈새가 메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배관이 굴곡되거나 절곡된 형태에 적용하는 절곡형 단열보온재(30)는 단열 보온재(10)와 내부커버(12)와 외부커버(11)로 이루어진 구조가 동일하며, 45°와 90°의 각도 또는 120°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를 유지하며, 라운드가 짧은 내부는 절단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라운드가 긴 외부는 절단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분할선(32)으로 분할되도록 한다.
상기 분할선(32)에 의해 절곡된 형태의 외경으로 분할선(32)이 접촉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통상적으로 타카로 불리우는 고정 연결핀(31)을 박아 고정하는 것며, 상기 분할선(32)은 3~12개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연결핀(31)은 절곡형 단열 보온재(30)는 단열 보온재(10)를 경사지게 지그재그 형태로 절단하여 절곡형이 형성되도록 결합하여 고정 연결핀(31)으로 고정하는 것이며, 전체적으로 중앙에서 이등분되어 지고, 내경의 배관공간(21)에서 내부커버(12)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커버(12)를 이루는 단열재는 세라크울, 그라스울, 미네랄울, 수퍼울, 복합규산 단열재 실리카장섬유, 탄소섬유, 카본섬유, 에어로젤 단열재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 혼합된 것으로 두께는 10~200mm 이고, 밀도는 25~120kg/㎥ 이다.
배관이 굴곡되거나 절곡된 형태에 적용하는 절곡형 단열보온재(40)는 단열 보온재(10)와 내부커버(12)와 외부커버(11)로 이루어진 구조가 동일하며, 45°와 90°의 각도 또는 120°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를 유지하며, 라운드가 짧은 내부는 절단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라운드가 긴 외부는 절단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분할선(32)으로 분할되도록 한다.
상기 분할선(32)에 의해 절곡된 형태의 외경으로 분할선(32)이 접촉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분할선(3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력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분할선(32)에 의해 절곡된 형태의 외경으로 분할선(32)이 접촉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상기 분할선(32)은 3~12개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형 단열 보온재(30)는 단열 보온재(10)를 경사지게 지그재그 형태로 절단하여 절곡형이 형성되도록 결합하여 분할선(32)에서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이며, 전체적으로 중앙에서 이등분되어 지고, 내경의 배관공간(21)에서 내부커버(12)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커버(12)를 이루는 단열재는 세라크울, 그라스울, 미네랄울, 수퍼울, 복합규산 단열재 실리카장섬유, 탄소섬유, 카본섬유, 에어로젤 단열재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 혼합된 것으로 두께는 10~200mm 이고, 밀도는 25~120kg/㎥ 이다.
본 발명의 단열 보온재(10)는 배관의 외경에 이등분하여 결합한 후 외경으로 함석이나 써스(SUS)로 감은 후 소정의 넓이를 갖는 띠 형태의 금속 재질을 나선형으로 감아 마감하는 것이며, 배관의 외경에서 내부커버(12)가 형성되어 외부커버(11)와의 사이와 단열 보온재(10)를 연결하는 간격에서 낮은 밀도로 형성되어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온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관의 온도는 고온이고 단열 보온재(10)의 외경은 대기중의 상온을 유지하게 되므로 온도차이에 따라 외부커버(11)와 내부커버(12)가 수축과 팽창의 정도에 차이가 나는 열팽창계수를 낮은 밀도의 내부커버(12)가 제공하여 보온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평면형 단열 보온재(10)는 외부커버(11)의 내부에 내부커버(12)를 형성하는 평판 형태와 곡면(R) 형태로 제공되어 배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반원형으로 성형하거나, 건축 단열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유리 장섬유를 공급하여 니들펀칭으로 성형한 유리섬유 매트에 바인더를 함침시켜 기능성을 부여하여 성형하고 건조시킨 후 그라스 크로스와 알루미늄 호일 및 접착제를 외경에 코팅하여 단열 보온재를 성형하고, 절단작업에 의해 분할한 배관공간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내부커버를 공급하여 배관의 외경과 단열 보온재의 연결부분에서 열팽창계수에 따른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10 : 단열 보온재 11 : 외부커버
12 : 내부커버 13 : 절단선
14 : 유리 장섬유 15 : 펀칭선
16 : 유리섬유 매트 17 : 경계선
18 : 접착제 19 : 알루미늄 호일
20 : 그라스 크로스 21 : 배관공간
30, 40 : 절곡형 단열 보온재 31 : 고정 연결핀
32, 42 : 분할선

Claims (7)

  1. 삭제
  2.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유리 장섬유를 공급하여 펀칭선(15)으로 니들펀칭하여 성형한 유리섬유 매트(16)를 바인더 처리하여 경계선(17)을 따라 여러 겹 감아 성형하는 외부커버(11)의 외경으로 접착제(18)와 그라그 크로스(20)의 외경에 알루미늄 호일(19)을 설치하여 내경에 배관공간(21)을 갖도록 하고, 상기 외부커버(11)를 한쪽은 좁고 한쪽은 넓게 절단하여 라운드지게 분할선(32, 42)을 따라 결합하여 상기 분할선(32) 양쪽으로 고정 연결핀(31)과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고정하여 절곡형으로 성형한 후 이등분하여 내경에 배관공간(21)을 갖도록 하는 절곡형 단열 보온재에 있어서,
    상기 배관공간(21)에서 세라크울, 그라스울, 미네랄울, 수퍼울, 복합규산 단열재 실리카장섬유, 탄소섬유, 카본섬유, 에어로젤 단열재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 혼합된 내부커버(12)가 외부커버(11)의 양쪽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11)는 배관의 크기를 고려하여 15~200mm가 되도록 하며, 밀도는 130~260kg/㎥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누드 커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버(12)의 두께는 10~200mm 이고, 밀도는 25~120kg/㎥ 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누드 커버.
  5. 삭제
  6. 유리섬유를 공급하면서 5~12cm의 길이를 갖는 유리 장섬유(14)를 절단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공급하면서 바늘에 공급한 펀칭선(15)을 통하여 니들펀칭에 의해 유리섬유 매트(16)를 형성하는 유리섬유 매트 성형단계(S1);
    상기 유리섬유 매트(16)를 공급하여 바인더가 담겨진 탱크에 함침시키거나, 바인더를 스프레이하여 여러 겹이 되도록 감아서 15~200mm가 되도록 하며, 밀도는 130~260kg/㎥의 외부커버(11)를 성형하는 외부커버 성형단계(S2);
    상기 외부커버 성형단계(S2)에서 얻어진 유리섬유 매트(16)는 바인더를 건조시켜 성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풍 건조기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함유율이 제로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 외부커버 건조단계(S3);
    상기 건조한 외부커버(11)는 외경으로 유리섬유를 격자무늬가 형성되도록 성형한 그라스 크로스(20)에 고무시트나 함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접착제(18)를 도포하고, 상기 그라스 크로스(20)의 어느 한 면에 알루미늄 호일(19)을 코팅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여 알루미늄 호일(19)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그라스 크로스(20)가 유리섬유 매트(16)의 외경에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되도록 고정하는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표면 성형단계(S4);
    상기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표면 성형단계(S4)에서 얻어진 단열 보온재(10)는 사이드 컷팅에 의해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양쪽 단부를 절단해 제거하고, 단부가 절단된 단열 보온재(10)를 센타컷팅에 의해 절단선(13)을 따라 이등분되도록 하는 사이드 절단과 이등분 절단단계(S5); 및
    상기 절단선(13)을 따라 이등분된 단열 보온재(10)를 펼친 상태에서 내경인 배관공간(21)에 단열재인 내부커버(12)를 공급하는 내부커버 성형단계(S6);를 통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버(12)는 세라크울, 그라스울, 미네랄울, 수퍼울, 복합규산 단열재 실리카장섬유, 탄소섬유, 카본섬유, 에어로젤 단열재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 혼합된 것이며, 두께는 10~200mm 이고, 밀도는 25~120kg/㎥ 이고, 내부커버(12)는 외부커버(11)의 양쪽으로 3~5mm가 돌출되어 단열 보온재(10)의 사이 틈새가 메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의 제조방법.
KR1020120032377A 2012-03-29 2012-03-29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 KR10118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377A KR101180775B1 (ko) 2012-03-29 2012-03-29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377A KR101180775B1 (ko) 2012-03-29 2012-03-29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775B1 true KR101180775B1 (ko) 2012-09-07

Family

ID=4707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377A KR101180775B1 (ko) 2012-03-29 2012-03-29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77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5328A (ko) * 2016-01-14 2017-07-24 삼우이피 주식회사 자동차 흡배기장치용 맞춤형 단열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3612A (ko) * 2016-02-05 2017-08-16 조상용 플랜지붙이 관
KR20180118974A (ko) * 2017-04-24 2018-11-01 유신단열 주식회사 함석작업이 필요없는 무기질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3008B1 (ko) * 2019-06-18 2020-01-06 양점호 난연방청성능이 우수한 배관용 단열복합재
KR20200022573A (ko)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파이프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200491246Y1 (ko) * 2019-08-09 2020-04-29 전현구 전기 히터
KR20200047265A (ko) * 2018-10-26 2020-05-07 유신단열 주식회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3732014A4 (en) * 2017-12-29 2021-07-14 Owens-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PIPE INSUL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US11266344B2 (en) 2016-09-21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370Y1 (ko) * 2006-04-06 2006-07-03 김연재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370Y1 (ko) * 2006-04-06 2006-07-03 김연재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215B1 (ko) * 2016-01-14 2019-02-25 삼우이피 주식회사 자동차 흡배기장치용 맞춤형 단열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5328A (ko) * 2016-01-14 2017-07-24 삼우이피 주식회사 자동차 흡배기장치용 맞춤형 단열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3612A (ko) * 2016-02-05 2017-08-16 조상용 플랜지붙이 관
US11266344B2 (en) 2016-09-21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80118974A (ko) * 2017-04-24 2018-11-01 유신단열 주식회사 함석작업이 필요없는 무기질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5414B1 (ko) * 2017-04-24 2019-04-03 유신단열 주식회사 함석작업이 필요없는 무기질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3732014A4 (en) * 2017-12-29 2021-07-14 Owens-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PIPE INSUL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US11428361B2 (en) 2017-12-29 2022-08-30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Pipe insulation and method of and system for making same
KR20200022573A (ko)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파이프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7230B1 (ko) * 2018-10-26 2020-06-02 유신단열(주)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7265A (ko) * 2018-10-26 2020-05-07 유신단열 주식회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3008B1 (ko) * 2019-06-18 2020-01-06 양점호 난연방청성능이 우수한 배관용 단열복합재
KR200491246Y1 (ko) * 2019-08-09 2020-04-29 전현구 전기 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775B1 (ko)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커버와 그 제조방법
US8753732B2 (en) Flexible insulating product
JP4897858B2 (ja) 保温構造の補修方法及び保温構造
WO2012012681A1 (en) Foil-backed wallboard and insulation system
US20120156405A1 (en) Fiberglass pipe-shaped insu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723937A (zh) 一种预制架空复合蒸汽保温管及其制造方法
KR101180776B1 (ko) 이중구조의 단열 보온재 누드 커버와 그 제조방법
CN103727359B (zh) 一种多凝泡沫玻璃材料的管道绝热施工方法及其装置
CN105402507A (zh) 一种耐高温新型供热管道
KR20100016991A (ko) 유리섬유 단열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210507870U (zh) 一种基于新材料的保温板
CA2669381C (en) Fiberglass pipe-shaped insu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2132058U (zh) 一种隧道的防火保温板
KR101949228B1 (ko) 덕트용 보온 단열재
CN211369094U (zh) 保温复合板和建材家具
CN114458870A (zh) 一种双层降噪型保温管套结构
CN111851582A (zh) 一种具有高耐火极限的竹缠绕复合管廊及其制备方法
CN201391716Y (zh) 改进的埋地保温防腐蒸汽管
CN205843017U (zh) 储水式电热水器
RU2372550C1 (ru) Стекловолоконный трубчатый изолято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03531164U (zh) 防火保温板
CN217379325U (zh) 一种保温板的防火构造
CN203594124U (zh) 一种加强型酚醛泡沫彩钢夹芯板
CN216507223U (zh) 一种石墨挤塑板复合竖丝岩棉板
CN208918044U (zh) 一种聚合聚苯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