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629B1 - 다층도전재 - Google Patents

다층도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629B1
KR101180629B1 KR1020060018619A KR20060018619A KR101180629B1 KR 101180629 B1 KR101180629 B1 KR 101180629B1 KR 1020060018619 A KR1020060018619 A KR 1020060018619A KR 20060018619 A KR20060018619 A KR 20060018619A KR 101180629 B1 KR101180629 B1 KR 10118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ductive layer
substrate
layer
condu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857A (ko
Inventor
이형곤
Original Assignee
이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곤 filed Critical 이형곤
Priority to KR1020060018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629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4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 H05K9/0096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for television displays, e.g. plasma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도전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쉬트의 좌우방향은 물론 상하방향까지도 전기전도성을 갖는 도전재, 특별히 충격흡수성과 유연성 및 상하방향으로 향상된 고전도율을 갖도록 개선된 다층 도전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연성 폴리머 쉬트(polymer sheet) 기재에 천공되는 홀(hole) 또는 커팅슬릿(cutting slit; 이하 홀로 통일하여 칭함)과 상기 홀의 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폴리머 쉬트 기재 양면에 형성되는 도전층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측면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양표면에 형성된 각각의 표면도전층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해 주는 연결도전층이 전도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표면도전층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도전층은 물리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형성된 증착박막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별히 상기 기재의 상/하표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제2기재를 추가로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기재는 적어도 한 표면에 물리적 증착방법에 의하여 (상기 표면도전층의 요소로서) 증착박막이 형성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도전재의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다층도전재에 관한 것이다.
상하방향 도전재, 전자파차폐, 물리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Description

다층도전재 {conductive multi-layer}
도1;지정된 위치에 천공된 홀(또는 커팅슬릿-cutting slit)을 갖는 쉬트형 기재의 단면도
도2;쉬트형 기재와 제2기재와 제2기재 위에 형성된 증착박막층에 형성된 천공홀의 단면도
도3;쉬트형 기재의 양표면에 접합된 제2기재와 그 표면에 형성된 증착박막층과 천공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도전층과 증착박막의 외측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전도성수지층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화된 다층도전재의 단면도
도4;쉬트형 기재의 양표면에 접합된 제2기재와 그 표면에 형성된 증착박막층과 천공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도전층과 증착박막의 외측표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전도성수지층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화된 다층도전재의 단면도
도5;쉬트형 기재의 양표면에 형성된 증착박막과 천공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도전층과 증착박막의 외측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전도성수지층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화된 다층도전재의 단면도
도6;쉬트형 기재의 양표면에 형성된 층착박막과 천공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도전층과 증착박막의 외측표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전도성수지층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화된 다층도전재의 단면도
도7; 쉬트형 기재의 양표면에 접합된 제2기재와 그 표면에 형성된 증착박막층과 천공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도전층과 증착박막의 절단측면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다층도전재의 단면도
도8;쉬트형 기재의 양표면에 형성된 증착박막과 천공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도전층과 증착박막의 절단측면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다층도전재의 단면도
도9;쉬트형 기재의 한면에는 양면모두에 증착박막이 형성된 제2기재가 접합되고, 다른 한면에는 한면에만 증착박막이 형성된 제2기재가 접합된 후, 천공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도전층과 증착박막의 외측표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전도성수지층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화된 다층도전재의 단면도
도10;쉬트형 기재의 한면에는 양면과 천공홀 모두에 증착박막이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상하좌우 전도성을 갖는 제2기재가 접합되고, 다른 한면에는 한면에만 증착박막이 형성된 제2기재가 접합된 후, 천공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도전층과 상기 제2기재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전도성수지층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화된 다층도전재의 단면도
1;쉬트형기재 2;제2기재 3;기재의 지정된 장소에 형성된 천공홀(또는 커팅슬릿-cutting slit 이하 천공홀로 통일하여 칭함)
5;제2기재에 형성된 천공홀 7;증착박막에 형성된 천공홀 9;증착박막 천공홀의 측면 11;증착박막의 외측표면 13;제2기재의 천공홀의 내측면
15,16;증착박막의 외측표면에 (표면도전층의 한 요소로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전도성수지층 17,19;연결도전층 21,121,125이 형성된 후 남는 홀 21;제2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증착박막의 절단측면에만 접합된 연결도전층 23,24;증착박막의 외측표면에 (표면도전층의 한 요소로서) 전체적으로 형성된 전도성수지층 100;증착박막 121,125;내측에 홀을 남긴 상태로 천공홀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도전층 123,127;내측에 홀을 남기지 않고 천공홀 전체를 채우며 형성된 연결도전층 201;직물 또는 부직포가 상기 쉬트형기재로서 사용된 것 219,233;연결도전층 225,231이 형성된 후 남는 홀 225,231;내측에 홀을 남긴 상태로 천공홀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도전층 227,229;내측에 홀을 남기지 않고 천공홀 전체를 채우며 형성된 연결도전층
본 발명은 전자부품 또는 재료로 사용되는 다층도전재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전자 제품들은 경박단소화라는 추세에 따라 작은 공간 안에 여러가지 부품들이 집적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고주파 발진 회로가 있는 경우와 고주파 신호처리 도선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전자기파의 흡수 차폐가 필수적인 관건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이나 평판표시장치의 경우 전자부품 간의 고주파 간섭을 예방하여야 하며 외부로의 방출 또한 철저히 방지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흔히 공지 기술에 의한 전자기파 흡수제, 또는 전자기파 차폐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품의 가장 흔한 형태로서 전도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전자파 가스켓들이 다수 시판 사용되고 있는 실태이다.
그러나 상기 전도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전자파 가스켓들은 그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제품의 형상에 있어서 극히 제한적이라는 한계와 그 생산단가가 고가라는 문제를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얇은 형상의 가스켓이나 미세한 형상의 제품으로 만들기가 매우 곤란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 중의 일부, 즉 단가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텐리 알(Stanley R)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6,541,698 에서는 매우 미세한 돌출기를 무수히 갖고 있는 얇은 필름의 어느 한 면 위에 건식증착법에 의한 박막을 형성하고, 이 필름을 이용하여 공지 기술에 의한 전자파 가스켓을 제조함으로써 도전성직물에 의한 제품보다 생산비를 낮추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필름의 단면에 물리적 증착(pvd) 방법으로 단순한 코팅을 실시한 것으로서 필름 단면의 상하방향으로는 전혀 통전되지 않는 것이므로 2차원적인 도전성만 부여하는 것이라서 생산단가는 저렴하지만 제조의 용이성 또는 제품의 다양성에서는 여전히 한계를 갖고 있다.
특별히 공지 기술에 의한 도전성직물(부직포)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가스켓의 경우 특정한 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많은 공정과 생산기계들을 필요로 한다. 이 를 해결하기 위해 상하좌우 모든 방향으로 통전이 가능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도전재료들과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간단히 절단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실현한 발명으로 들 수 있는 대한민국특허 10-0471194 에서는 스펀지 재료를 무전해 도금방법으로 금속층을 부여하고 이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통전이 가능한 도전성 쉬트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제품의 경우 무엇보다 심각한 공해를 일으키는 도금공정이 개입되고 있으며 더욱이 제품의 탄성저하 및 매우 복잡하고 낮은 생산성이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다.
또 다른 발명으로는 대한민국특허 10-0478830 에서는 발포수지 쉬트에 다수의 홀을 만든 후 이것을 전도성 수지로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상하로 통전이 가능한 도전성 쉬트를 만드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전도성 수지의 높은 가격을 비롯하여 에너지 효율성 등 제품 단가의 문제가 남아 있어서 이 제품의 대중화를 가로 막는 문제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발명과 제안이 있으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문제를 해결한 구성은 아직 없는 실태이다. 따라서 여전히 공해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생산 단가가 저렴하고, 유연성과 탄성이 보장되고, 신뢰성이 향상된 상하좌우 통전기능을 갖는 도전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연성 쉬트에 다수의 천공 홀(hole) 또는 커팅슬릿( cutting slit; 이하 홀로 통일하여 칭함)을 형성한 합성수지 쉬트를 준비하고, 상 기 쉬트의 상/하(아래/위) 표면과 상기 천공 홀의 측면에 각 각 상/하 표면도전층과 연결도전층을 물리적 증착방법으로 균일하게 코팅하여 상기 홀의 측면에 고르게 코팅된 연결도전층으로 하여금 상기 상/하 표면에 코팅된 표면도전층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하 표면도전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하좌우 모든 방향으로 통전 기능을 갖는 도전재와 그 코팅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 역시 기본적으로 심대한 문제를 갖고 있다. 즉 물리적 증착방법의 한계로 인하여 발생되는 몇가지 현상들이 그것인데, 그 중에서 가장 중대한 문제는 물리적 증착방법의 가장 큰 문제라 할 수 있는 불량한 스텝커버리지(step coverage) 현상이다. 물리적 증착은, 무전해 도금이나 디핑(deeping)방법에 의한 수지코팅과는 달리, 코팅 소스(coating source)와 마주 보고 있는 면 쪽에는 두껍게 코팅이 잘 되지만 마주 보고 있지 않은 측면이나 뒷면 쪽에는 코팅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 중에서 뒷면 쪽의 코팅은 그 상당하는 뒷면 쪽에 코팅 소스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폭(또는 직경)이 좁고 깊은 천공 홀의 내측면에 코팅하는 방법은 여전히 커다란 문제의 장벽으로 남아 있다. 이렇듯 코팅 소스와 마주보는 면과 측면에 각 각 물리적으로 증착(코팅)되는 박막의 두께 비율을 스텝커버리지라 한다. 상기 두께 비율이 100%에 가까울수록 '스텝커버리지가 좋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스텝커버리지를 향상시켜 주기 위해서는 (물리적 증착 방법의 형태를 막론하고) 물리적 증착을 수행하는 진공 챔버(chamber) 내의 진공도를 (대기압에 가깝게) 낮추어 그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와 증기(vapor)들의 평균자유행정(mean free path)을 짧게 만들어 주거나 또는 피코팅기재 (substrate) 자체에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을 인가해 주는 것이 그 필수 조건이다. 그러나 상기 피코팅기재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부도체일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바이어스 전압 인가방법은 실현이 불가능함으로 제외하고, 평균자유행정을 짧게 만들어 주는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실시한 반복된 실험 결과의 면밀한 분석과 공지의 연구 보고서들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함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즉 이 방법 역시 좁고 깊은 천공 홀의 내측 면을 균일하게 코팅할 수는 있으나, 다음에 기술되는 여러가지 질적인 문제들로 인해 커다란 장벽에 부딪히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평균자유행정을 줄여주는 방법으로 코팅할 경우 코팅소스로부터 출발한 증착물질은 일정한 거리(path)를 비행하는 동안 다른 기체(혹은 증기)들과 부딪히는 횟수가 많아지게 된다. 즉 다른 물질들과 혼합되거나 활성분자들과 화합될 가능성이 늘어남으로 그 순도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한 화합의 형태는 주로 산화 혹은 질화의 형태가 된다. 이는 금속 박막층 중에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불순물로 포함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즉 금속도전층의 전기전도도(conductivity)의 저하를 일으킨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불순물(주로 유전체)의 혼입 결과로 박막은 좀더 유전체의 특성을 따라가며 강도가 저하되고 깨지기 쉬운(brittle)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증착물질이 다른 기체들과 부딪히는 동안 운동에너지를 상당량 손실하게 되어 물리적 증착 박막이 피코팅기재 위에 코팅되는 접착력과 박막 밀도는 당연히 저하될 수밖에 없다. 즉 깨지기 쉬울 뿐 아니라 피코팅 기재로부터 탈착이 일어나거나 박막 자체가 그 연속성을 잃어 단락현상을 보이는 등 전도재로서의 치명적인 결함을 갖게 된다. 게다가 증착물질이 다른 분자들과 부딪히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산란(scattering)되는 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피코팅기재 위에 코팅되지 않고 진공챔버의 내벽에 부착되는 물질들이 많아져 고가의 증착물질을 허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당연히 코팅속도는 저하되고 생산비용은 증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 즉 평균자유행정을 줄여주는 방법에 의해 스텝커버리지를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당면한 문제해결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모든 문제점들을 완벽하게 해결하고 신뢰성이 높은 도전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생산성을 높여서 제품단가를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높은 전기전도도를 부여하고,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다층도전재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향상된 도전재와 전자기파를 흡수하고 차단하며 원적외선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기능을 함께 보유하는 다층도전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상발열체로 사용할 수 있는 다층도전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다층도전재의 기재와 도전층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특별히 제안된 고유 구성을 통하여 상기한 제안 기술들의 모든 문제와 불합리한 점들을 모두 해결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로서 유연성 폴리머(polymer) 재료로 만들어진 쉬트(sheet)형 기재(substrate)와, 상기 쉬트형 기재의 지정된 위치에 형성된 천공 홀(hole) 또는 커팅슬릿(cutting slit)과, 상기 기재의 상하면에 전체적으로 각각 형성된 상표면도전층과 하표면도전층, 그리고 상기 천공 홀 또는 커팅슬릿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상표면도전층과 하표면도전층을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해주는 연결도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하좌우 모든 방향으로 통전기능을 갖는 다층도전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전층은 적어도 전도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상표면도전층이 구비되어 있는 상표면도전면과 하표면도전층이 구비되어 있는 하표면도전면 중 적어도 한면은 물리적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형성된 증착박막(thin film)과 전도성수지층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상표면도전층과 하표면도전층에 포함되는 전도성수지층은 적어도 10나노메타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며, 상기 표면도전층에 포함된 증착박막의 평균 면저항과 상기 표면도전층에 포함된 전도성수지층의 평균 면저항의 비(증착박막의 면저항/전도성수지층의 면저항)는 100 보다 작고 0 보다 큰 것이고, 상기 표면도전층의 요소로서 포함된 전도성수지층은 상기 연결도전층의 전도성수지와 전기적으로는 물론 물리적으로도 직접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연결도전층이 전도성수지를 포함하게 하는 이유는 기재의 양표면에 전기적으로 각각 단절되어 있는 상표면도전층과 하표면도전층을 용이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연결접속해 주기 위함이며, 상기 상/하표면도전층 중 적어도 한면은 물리적증착에 의해 형성된 증착박막과 전도성수지층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는 이유는 먼저 상기 표면도전층을 상기 전도성수지만으로 형성할 때에 소모되는 전도성수지 량을 상기 증착박막을 형성함으로써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상기 증착박막과 함께 추가로 형성되는 전도성수지층에 의해 상기 연결도전층과 상기 증착박막층과의 전기적 접촉을 보다 확고히 하며 (산화방지, 내마모성부여, 박막의 박리 방지, 박막과 연결도전층의 단락 방지 등을 실현하여)내구성을 높이고 불량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상/하표면도전층에 포함된 전도성수지층(15,16,23,24)은 적어도 10나노메타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하는 이유는 그 보다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도전층으로서의 역할이 미약해질 뿐만 아니라 증착박막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미약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증착박막의 면저항/전도성수지층의 면저항'비가 100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증착박막 형성에 의하여 절약되는 전도성수지의 량이 미미하여질 것이며, 0 일 경우에는 상기 전도성수지층의 저항이 지나치게 커서 이미 전도성수지층이라고 정의될 수 없는 부도체수지층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게 된다. 상기 표면도전층의 요소로서 포함된 전도성수지층이 상기 연결도전층의 전도성수지와 전기적으로는 물론 물리적으로도 직접 연결되어 일체화되어야 하는 이유 역시 상기 증착박막과 연결도전층과의 전기적 접속을 보다 확고히 해주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만일 연결도전층의 재료인 전도성수지를 도7과 도8에서와 같이 도포한다면, 상/하표면도전층 상호 간에는 만족할만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힘에 대항하는 증착박막의 강도 및 접착강도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불량발생 확율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와 같은 구성, 즉 적어도 연결도전층이 전도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태에서는 일차적으로 상기 상/하표면도전층이 서로 분리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연결도전층 구성재질인 전도성수지의 도움을 받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가 비중이 크게 작용하게 되는 상기 물리적 증착 단계에서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구성이 다음과 같은 양태로 제안된다. 즉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를 갖는 다층도전재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상/하표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유연성 수지필름을 추가로 더 포함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가 그것이다.
상기 도전재의 기재는 그 두께가 mm 단위인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 물리적 증착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기재는 웹(web)형태로 감겨져 진공용기 안에 장입하여 상기 진공용기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든 후 물리적 증착공정을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물리적 증착공정과 긴 기재를 웹형태로 감은 후 이것을 진공용기 안에서 증착하는 진공웹코팅 공정은 공지 기술에 의해 잘 알려져 있고, 흔히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준비과정의 시간이 매우 길어서 한 배치(batch) 당 장입할 수 있는 기재의 길이는 곧 생산성과 직결된다. 여기서 상기 기재의 두께가 얇은 것일 수록 한정된 공간에 좀 더 많이 감기어진 기재를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재는 충격흡수와 탄성 등을 고려하여 그 두께의 선택 영역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상기 다층도전재의 기재를 적어도 두개의 겹으로 구성하고 그 중 한 겹은 가능한 한 얇은(따라서 훨씬 더 긴 길이로 많이 감기어진- 결과적으로 한 배치에 더 긴 길이의 필름에 증착할 수 있는) 합성수지 필름을 투입하여 이것의 표면에 일단 물리적 증착 공정을 수행한 후에 상기의 결과로 얻어진 '증착박막이 형성된 합성수지필름'을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접합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기재에 직접 물리적 증착박막을 형성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단가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필름으로 형성된 제2기재(2)는 구지 쉬트형기재(1)보다 얇아야 한다는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단지 다층도전재의 기재가 둘 이상의 층으로 나누어진다는 것만으로도 물리적 증착 공정을 실행하는 단계에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상기 제1항에서 상기 다층도전재는 상기 기재의 상표면과 하표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제2기재를 추가로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2기재는 적어도 한 표면에 물리적 증착방법에 의하여 증착박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기재(1)와 제2기재(2) 사이에는 반델발스(van der waals)력 이상의 접합력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도전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증착박막을 두꺼운 기재 위에 형성하고자 할 때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불합리한 점들을 해소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즉 상기 제2기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물리적 증착방법에 의하여 증착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기재를 상기 쉬트형 기재(1)의 적어도 한면에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기재와 제2기재의 지정된 위치에 (각각 또는 동시에) 천공홀(또는 커팅슬릿)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홀과 상기 도전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전도성수지를 일체화되도록 도포한 후 이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다층도전재 제조방법이 그 것이다.
본 발명의 다층도전재를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제품으로 만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양태의 도전재들이 제공된다.
즉 상기에서 상기 기재는 전자기파 흡수재, 열전도체, 원적외선 복사체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에서 (도전성)점착층이 한 면 이상에 추가로 부가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도전재를 특정 필요 장소에 좀 더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이다.
또한 내마모성을 크게 향상시킨 구성으로서 상기 상/하표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도전재가 여타의 표면과 마찰을 일으킬 때 상/하표면도전층을 일차적으로 보호해 주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층도전재는 면상발열체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양태로서 상기 도전재는 면발열체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도전층에 포함되어 있는 전도성수지의 비저항이 상기 표면도전층의 비저항에 비하여 적어도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도전재가 면상발열체로 사용될 경우 전류의 흐름으로 인해 당연히 발생되는 자기장을 서로 상쇄시켜 방지한 구조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다층도전재는 (면발열체의 자기장 상쇄목적 또는 도전재의 전기전도도 향상 목적으 로) 상기 도전재를 2장 이상 적층하여 겹쳐진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가 제공된다. 자기장 상쇄목적일 경우에는 상기 적층된 도전재의 단면에 존재하는 짝수층의 상기 연결도전층에 흐르는 전류방향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배선하여 사용하여야 상기 자기장 방지목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나 도면에 포함된 양태들은 그 실시 예를 제시한 것으로서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하여 다양한 양태의 다층도전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도전재는 전자기파 차폐 필름, 막, 쉬트 또는 가스켓이나 쿠션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하좌우 전방향으로의 도전기능을 필요로하는 전자제품의 재료로 또는 (자기장 발생이 방지된) 면상발열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보다 저렴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갖으며 신뢰성이 향상된 다층도전재를 제공하여 고가의 도전성발포재나 도전성직물 및 도전성부직포 특별히 면상 발열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유연성 폴리머(polymer) 재료로 만들어진 쉬트(sheet)형 기재(substrate)와, 상기 쉬트형 기재의 지정된 위치에 형성된 천공 홀(hole) 또는 커팅슬릿(cutting slit)과, 상기 기재의 상하면에 전체적으로 각각 형성된 상표면도전층과 하표면도전층, 그리고 상기 천공 홀 또는 커팅슬릿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상표면도전층과 하표면도전층을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해주는 연결도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하좌우 모든 방향으로 통전기능을 갖는 다층도전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전층은 적어도 전도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상표면도전층이 구비되어 있는 상표면도전면과 하표면도전층이 구비되어 있는 하표면도전면 중 적어도 한면은 물리적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형성된 증착박막(thin film)과 전도성수지층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상표면도전층과 하표면도전층에 포함되는 전도성수지층은 적어도 10나노메타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며, 상기 표면도전층에 포함된 증착박막의 평균 면저항과 상기 표면도전층에 포함된 전도성수지층의 평균 면저항의 비(증착박막의 면저항/전도성수지층의 면저항)는 100 보다 작고 0 보다 큰 것이고, 상기 표면도전층의 요소로서 포함된 전도성수지층은 상기 연결도전층의 전도성수지와 전기적으로는 물론 물리적으로도 직접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
  2. 제1항에서 상기 다층도전재는 상기 기재의 상표면과 하표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제2기재를 추가로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2기재는 적어도 한 표면에 물리적 증착방법에 의하여 증착박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서 상기 도전재는 면발열체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도전층에 포함되어 있는 전도성수지의 비저항이 상기 표면도전층의 비저항에 비하여 적어도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전재
  8. 삭제
KR1020060018619A 2006-02-27 2006-02-27 다층도전재 KR10118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619A KR101180629B1 (ko) 2006-02-27 2006-02-27 다층도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619A KR101180629B1 (ko) 2006-02-27 2006-02-27 다층도전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857A KR20070088857A (ko) 2007-08-30
KR101180629B1 true KR101180629B1 (ko) 2012-09-10

Family

ID=3861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619A KR101180629B1 (ko) 2006-02-27 2006-02-27 다층도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99B1 (ko) * 2015-08-28 2016-09-08 (주)메인일렉콤 도전성이 부여된 발포 성형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019B1 (ko) 2002-08-30 2005-03-17 에스엔케이폴리텍(주) 고분자 탄성체로 된 도전성 가스켓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019B1 (ko) 2002-08-30 2005-03-17 에스엔케이폴리텍(주) 고분자 탄성체로 된 도전성 가스켓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99B1 (ko) * 2015-08-28 2016-09-08 (주)메인일렉콤 도전성이 부여된 발포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857A (ko)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6251B (zh) Noise absorbing fabric
US6697248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WI581698B (zh) Noise absorption sheet
JP2020524414A (ja) 電磁シールド膜、回路基板及び電磁シールド膜の製造方法
US20050173145A1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 gask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70106438A (ko) 시트형 전자기 차단 구조체를 포함한 물품
JP5263297B2 (ja) Rf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EP2763520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porous material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2461362A (zh) 电磁屏蔽制品
KR20080096540A (ko) 도전성 가스킷 재료
JP2020524415A (ja) 電磁シールド膜、回路基板及び電磁シールド膜の製造方法
RU2370866C1 (ru) Радиопоглощающее покрытие
JP4176723B2 (ja) 電磁波シールドガス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0629B1 (ko) 다층도전재
KR20080006069A (ko) 절약형 도전재
JP5332164B2 (ja) 電子機器からのノイズの抑制方法
US20030036326A1 (en) Flame retardant conductive material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101197905B1 (ko) 접촉형도전재
KR20070097946A (ko) 보급형 도전재
JP2004335770A (ja) 電磁波吸収体
KR100920766B1 (ko) 박막형 쿠션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27730A (ko) 도전성 쿠션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81395A (ko) 복합형도전재
KR101170850B1 (ko) 쉬트형 도전재
TW201628263A (zh) 磁─介電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