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619B1 -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619B1
KR101178619B1 KR1020080079857A KR20080079857A KR101178619B1 KR 101178619 B1 KR101178619 B1 KR 101178619B1 KR 1020080079857 A KR1020080079857 A KR 1020080079857A KR 20080079857 A KR20080079857 A KR 20080079857A KR 101178619 B1 KR101178619 B1 KR 10117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ontrol
control state
driver
preced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116A (ko
Inventor
홍대건
김병주
강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07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6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Switching between manual and automatic parameter input, and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행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단거리 감지용 거리센서에 근거하여 선행차량를 감지하는 선행차량 감지부;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운전자 제어 감지부; 및 시스템 가동 스위치를 통해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되면, 선행차량의 감지 결과 및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상태를 달리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리한 운전자 조작, 간단한 상태 표시 장치 및 저가의 거리센서를 구비하여 교통 정체 상황에 적합한 저속 전용의 주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선행차량, 교통 정체, 주행 제어

Description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rive}
본 발명은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편리한 운전자 조작, 간단한 상태 표시 장치 및 저가의 거리센서를 구비하여 교통 정체 상황에 적합한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행 제어 시스템, 즉 적응형 항속 제어 시스템은 거리센서를 통한 선행차량의 감지와 그에 따른 차량의 가속과 제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차량이 고속구간 또는 전 속도구간에서 작동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주행 제어 시스템은 장거리 감지를 위해 고가의 거리센서가 필요하다는 문제점과, 복잡한 운전자 조작 및 복잡한 상태 표시 장치를 구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리한 운전자 조작, 간단한 상태 표시 장치 및 저가의 거리센서를 구비하는 주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리한 운전자 조작, 간단한 상태 표시 장치 및 저가의 거리센서를 구비하여, 교통 정체 상황에 적합한 저속 전용의 주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주행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단거리 감지용 거리센서에 근거하여 선행차량를 감지하는 선행차량 감지부;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운전자 제어 감지부; 및 시스템 가동 스위치를 통해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행차량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상태를 달리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주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시스템 가동 스위치를 통해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 거리센서에 근거하여 선행차량를 감지하는 단계; (c)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행차량 및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에 대한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상태를 달리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편리한 운전자 조작, 간단한 상태 표시 장치 및 저가의 거리센서를 구비하는 주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리한 운전자 조작, 간단한 상태 표시 장치 및 저가의 거리센서를 구비하여 교통 정체 상황에 적합한 저속 전용의 주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1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100)은 선행차량 감지부(110), 운전자 제어 감지부(120), 주행 제어부(130) 등을 포함한다.
선행차량 감지부(110)는 단거리 감지용 거리센서(111)에 근거하여 선행차량을 감지한다.
운전자 제어 감지부(120)는 운전자의 가속 또는 제어 등에 따른 운전자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운전자 제어 감지부;(120) 및
주행 제어부(130)는 운전자가 간편히 누를 수 있는 시스템 가동 스위치(101)를 통해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되면, 선행차량 감지부(110)에서의 선행차량의 감지 결과 및 운전자 제어 감지부(120)에서의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상태를 달리하여 주행을 제어한다.
전술한 주행 제어부(130)는, 운전자 선택에 의해 시스템 가동 스위치(101)가 눌려져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된 이후, 해당 차량의 전방에 있는 선행차량이 선행차량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되고 운전자 제어 감지부(120)에 의해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미감지되면, 제어 상태를 "자동 제어 상태"로 하여 주행을 제어하되, 이러한 자동 제어 상태에서의 주행 제어는 선행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가속 액추에이터(131) 및 제동 액추에이터(132)를 제어한다. 즉, 전방에 선행차량이 있는 경우 주행 제어부(130)는 해당 선행차량을 추종하여 가다 서기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전술한 주행 제어부(130)는, 운전자 선택에 의해 시스템 가동 스위치(101)가 눌려져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된 이후, 해당 차량의 전방에 있는 선행차량의 감지 여부에 관계없이, 운전자 제어 감지부(120)에 의해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 상태를 "수동 제어 상태"로 하여 주행을 제어하되, 이러한 수동 제어 상태에서의 주행 제어는 주행의 권한을 운전자에게 넘김으로써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에 따라 가속 액추에이터(131) 및 제동 액추에이터(132)를 제어한다. 즉, 운전자의 가속 또는 제어 등에 따른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입력된 경우 주행 제어부(130)는 해당 선행차량을 추종하여 가다 서기를 자동으로 수행하지 않고 입력된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주행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100)은, 주행 제어 시스템(100)의 가동 상태, 또는 가동 중이라도 가동되는 제어 상태를 운전자에게 차별화된 표시등으로 알려주기 위한 표시등 관리부(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표시등 관리부(140)는 운전자 선택에 의해 시스템 가동 스위치(101)가 눌려져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되면 표시등을 점등하되, 자동 제어 상태, 수동 제어 상태 등의 제어 상태에 따라 표시등을 구분하여 점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100)은 해당 차량에 대한 전 속도구간에서의 주행을 제어하는 데 적용될 수 있으나, 교통 정체가 발생하여 저속으로 주행하면서 서기와 가기를 반복하는 교통 상황에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100)은 저속 전용 교통 정체 주행 제어 시스템(Traffic Jam Assist System)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거리센서(111)는 단거리에 있는 선행차량를 감지하는 단거리 감지용 거리센서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한 개의 시스템 가동 스위치(101)를 조작하여 간편하게 시스템을 가동시키고, 저속 환경에 적합하고 비교적 저가인 거리센서(111)를 이용하여 선행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선행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주행을 제어함으로써, 빈번한 교통 정체가 발생하는 도로 환경에서 편리한 자동 주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자동 주행 중 돌발상황이나 운전자에 의한 주행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수동 주행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100)은 한 개의 시스템 가동 스위치(101)의 온/오프 조작을 통한 편리한 운전자 조작성을 제공하고, 제어 상태에 따라 달리 표시되는 표시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시스템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주행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주행 제어 방법은 시스템 가동 신호 입력 단계(S200), 선행차량 감지 단계(S202), 운전자 제어 감지 단계(S204) 및 주행 제어 단계(S206) 등을 포함한다.
시스템 가동 신호 입력 단계(S200)는 시스템 가동 스위치(101)를 통해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된다. 시스템 가동 스위치(101)가 온(ON)이 되면 주행 제어 시스템(100)이 동작하게 되고, 오프(OFF)가 되면 주행 제어 시스템(100)이 동작하지 않는다. 시스템 가동 스위치(101)가 온(ON)이 되면 표시등이 점등될 수 있다.
선행차량 감지 단계(S202)는 거리센서에 근거하여 선행차량을 감지한다.
운전자 제어 감지 단계(S204)는 운전자의 가속 또는 제어 등에 따른 운전자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를 감지한다.
주행 제어 단계(S206)는 선행차량 및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에 대한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상태를 달리하여 주행을 제어한다.
전술한 주행 제어 단계(S206)를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주행 제어 단계(S206)는, S204 단계에서의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 감지 여부를 판단(S2060)하고, 그 판단 결과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에 따라 가속 액추에이터 및 제동 액추에이 터를 제어하는 수동 제어(S2064)를 수행하고,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주행 제어 단계(S206)는, S2060 단계에서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미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이후, S202 단계에서의 선행차량 감지 여부를 판단(S2062)하고, 그 판단 결과 선행차량이 감지되면, 선행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가속 액추에이터 및 제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자동 제어(S2066)를 수행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S2060 단계에서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미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이후, S2062 단계에서 선행차량이 미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선행물체 및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S202 단계 및 S204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도 2에서의 수행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구하며, 경우에 따라 수행 단계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시스템 가동 스위치
110: 선행차량 감지부
111: 거리센서
120: 운전자 제어 감지부
130: 주행 제어부
131: 가속 액추에이터
132: 제동 액추에이터
140: 표시등 관리부

Claims (6)

  1. 주행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단거리 감지용 거리센서에 근거하여 선행차량를 감지하는 선행차량 감지부;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운전자 제어 감지부;
    시스템 가동 스위치를 통해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행차량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상태를 달리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 및
    상기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상태에 따라 표시등을 점등하는 표시등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 제어부는,
    상기 선행차량이 감지되고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미감지되면 상기 제어 상태를 자동 제어 상태로 하여 주행을 제어하며,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 상태를 수동 제어 상태로 하여 주행을 제어하고,
    표시등 관리부는,
    상기 제어 상태가 상기 자동 제어 상태인지 상기 수동 제어 상태인지에 따라 표시등을 구분하여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부는,
    상기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된 이후, 상기 선행차량이 감지되고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미감지되면, 상기 제어 상태를 자동 제어 상태로 하여 주행을 제어하되, 상기 자동 제어 상태에서의 주행 제어는 상기 선행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가속 액추에이터 및 제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부는,
    상기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된 이후,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 상태를 수동 제어 상태로 하여 주행을 제어하되, 상기 수동 제어 상태에서의 주행 제어는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에 따라 가속 액추에이터 및 제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주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주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시스템 가동 스위치를 통해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 거리센서에 근거하여 선행차량를 감지하는 단계;
    (c)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선행차량 및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에 대한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상태를 달리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스템 가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상태에 따라 표시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주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선행차량 및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에 대한 감지결과, 상기 선행차량이 감지되고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미감지되면 상기 제어 상태를 자동 제어 상태로 하여 주행을 제어하며,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 상태를 수동 제어 상태로 하여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주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 상태가 상기 자동 제어 상태인지 상기 수동 제어 상태인지에 따라 표시등을 구분하여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선행차량이 감지되고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미감지되면, 상기 선행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가속 액추에이터 및 제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d2)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운전자 주행 입력 신호에 따라 가속 액추에이터 및 제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제어 방법.
KR1020080079857A 2008-08-14 2008-08-14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178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57A KR101178619B1 (ko) 2008-08-14 2008-08-14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57A KR101178619B1 (ko) 2008-08-14 2008-08-14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16A KR20100021116A (ko) 2010-02-24
KR101178619B1 true KR101178619B1 (ko) 2012-09-03

Family

ID=4209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857A KR101178619B1 (ko) 2008-08-14 2008-08-14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5241A (zh) * 2021-05-11 2021-09-03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优化的主动紧急制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16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664B1 (ko)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의 시험평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813610B2 (ja) 車間距離制御装置
US20130110343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US9327724B2 (en) Separation controller for motor vehicles
JP2016527140A (ja) 自動車を自律的に運転するための運転者補助装置を操作する方法及び自動車
JP2008540242A (ja) ストップアンドゴー機能を有する速度制御器のための表示装置
RU2664028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роганием с мест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роганием с места
CN104520159B (zh) 用于在车辆引导期间运行机动车的方法和驾驶员辅助系统
US201102606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lighting device of a vehicle
JP2005504677A (ja) 表示装置を有する速度制御器
KR20160047603A (ko) 턴 시그널 제어 장치
JP5906895B2 (ja) 追従制御装置
JP2018075987A (ja) 車両用自動運転制御装置
KR101178619B1 (ko)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409223B1 (ko)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작동 장치 및 방법
JP5565155B2 (ja) 車両制御装置
JP5331170B2 (ja) 車間距離制御装置
KR20150049116A (ko) 차량의 운행 제어 방법
WO2018199075A1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JP5282741B2 (ja) 車両
WO2018193536A1 (ja) 走行制御方法及び運転制御装置
KR20140012364A (ko) 차량의 주행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JP2017114258A (ja) ウインカの制御装置
KR2014014495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JP5939071B2 (ja) 自動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