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532B1 -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 - Google Patents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532B1
KR101177532B1 KR1020110077860A KR20110077860A KR101177532B1 KR 101177532 B1 KR101177532 B1 KR 101177532B1 KR 1020110077860 A KR1020110077860 A KR 1020110077860A KR 20110077860 A KR20110077860 A KR 20110077860A KR 101177532 B1 KR101177532 B1 KR 10117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terminal
welding
electrode terminal
wel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요한
노현우
이동수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3Surface mounted components, e.g. affixing before soldering, aligning means, spa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서, 대칭된 형태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 각각은, 장방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 모서리 영역은 챔퍼(chamfer)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 측 모서리 영역은 직각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부;상기 베이스부의 챔퍼 형태로 형성된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고, 권선 코일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용접 단자부; 및 상기 용접 단자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의 장변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전극 단자에 안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 {ELECTRODE TERMINAL FOR SURFACE MOUNTING TYPE INDUCTOR AND SURFACE MOUNTING TYPE INDU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전극 단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동화 용접 공정에 용이하도록 권선 코일이 밀착 고정되기 용이한 구조의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터(Inductor)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를 기본으로 하며, 그 본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코일을 권선하여 인덕턴스(Inductance)를 형성하는 소자로서, 코어에 감긴 도선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기를 발생하는 소자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인덕터는 주파수에 비례하여 임피던스(Impedance)가 높아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에 있는 잡음(Noise)을 제거하거나, 캐패시터(Capacitor)와 함께 공진회로를 구성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는 소자로 저항 및 캐패시터와 함께 전기/전자 회로의 중요한 구성 요소를 이루는 수동 소자이다.
최근에는 개인용 휴대 통신의 발전으로 인해 RF 아날로그 IC(Radio Frequency Analog Integrated Circuit)의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수동 소자인 인덕터(Inductor)의 집적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아울러, 휴대용 정보통신기기가 지속적으로 소형화되고 있어, 인덕터와 같은 각종 부품 또한 초박형화된 부품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덕터를 제조하는데에는 더욱 고난이도의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종래기술은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를 제조하는 과정, 그 드럼형 페라이트코어의 권심에 코일을 권선하는 과정, 링형 페라이트코어를 결합 및 접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제조원가의 절감을 위하여 링형 페라이트코어를 사용하지않고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만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수지를 디스펜싱작업을 통해 드럼형 페라이트코어의 상하플렌지 공간에 충진하여 인덕터를 제조하고 있다.
기존에는 링형코어와 드럼형코어가 전극 단자베이스와 접착되어 있어 전극 단자가 쉽게 분리되지 않았으나, 링형 페라이트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만 사용하는 구조에서는 전극 단자와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간의 접착력이 약해져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전극 단자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 코일이 권취되며, 권선 코일의 양단은 전극 단자의 접합부에 접합된다. 이때, 권선 코일은 납땜 공정 등을 통해 결선 단자부에 접합되는데, 납땜 공정시 유해가스발생 및 납조(solder pot)에 찌꺼기가 많이 생겨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용접 방식(레이져 용접 또는 아크 용접 등)으로 권선 코일과 용접 단자부를 접합한다.
그러나, 용접을 통하여 권선 코일을 전극 단자의 용접 단자부에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권선 코일이 용접 단자부에 고정되어야 한다. 권선 코일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접이 진행될 경우에는 용접이 원활히 진행되지 않게 된다. 또한, 권선 코일과 용접 단자부가 완벽히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접을 수행할 경우 권선 코일과 용접 단자부가 서로 완벽히 융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전극 단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동화 용접 공정에 용이하도록 권선 코일이 밀착 고정되기 용이한 구조의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선 코일을 전극 단자에 접합하기 위한 레이져 용접 또는 아크 용접 등과 같은 접합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열 전도에 의한 권선 코일의 피복 용융 및 이에 따른 전기적 단락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대칭된 형태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 각각은, 장방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 모서리 영역은 챔퍼(chamfer)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 측 모서리 영역은 직각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부;상기 베이스부의 챔퍼 형태로 형성된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고, 권선 코일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용접 단자부; 및 상기 용접 단자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의 장변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전극 단자에 안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가 제공된다.
상기 용접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단변의 측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용접단자 본체; 상기 용접단자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내측면이 상기 용접단자 본체에 대향되도록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용접단자 절곡부; 및 상기 용접단자 절곡부의 일 측변을 따라 형성되며, 권선 코일이 삽입될 공간을 제공하는 권선코일 고정홈;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단자 절곡부의 끝단부의 일 측 모서리는 챔퍼(chamfer)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는 부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홈은 다수의 홈들로 이루어지며, 각 홈들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베이스부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되어,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하부 플랜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위치 고정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체결 후크와 상기 용접 단자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체결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 후크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권심으로 구성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권심에 권선되는 권선 코일; 및 상기 권선 코일의 양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 각각은 장방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 모서리 영역은 챔퍼(chamfer)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 측 모서리 영역은 직각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챔퍼 형태로 형성된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고, 권선 코일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용접 단자부; 및 상기 용접 단자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의 장변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전극 단자에 안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권선 코일이 전극 단자의 용접 단자부에 밀착 고정된 상태로 용접이 진행되므로, 용접 과정 중 용접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권선 코일과 전극 단자의 용접 단자부가 서로 완벽히 융착되어 접합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극히 낮아지는 효과를 얻게 된다.
전극 단자의 체결부를 통하여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와 전극 단자간의 체결력을 증진시켜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와 전극 단자간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용접 단자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도 4의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용접 단자부에 권선 코일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와 전극 단자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는 제1 전극 단자(300)와 제2 전극 단자(400)를 포함한다. 제1 전극 단자(300)와 제2 전극 단자(400)는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미도시)에 체결된다.
제1 전극 단자(300)는 제1 베이스부(310), 제1 위치 고정부(320), 제1 가이드부(330) 및 제1 용접 단자부(340)를 포함한다. 제 2 전극 단자(400)는 제2 베이스부(410), 제2 위치 고정부(420), 제2 가이드부(430) 및 제2 용접 단자부(440)를 포함한다. 제1 전극 단자(300)와 제2 전극 단자(400)는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는 바, 이하에서는 제1 전극 단자(300) 위주로 상술한다.
제1 베이스부(310)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장방형 플레이트 형태에 양측 모서리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영문자 T자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베이스부(310)의 일 측 모서리 영역은 챔퍼(chamfer)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 측 모서리 영역은 직각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위치 고정부(320)는 제1 베이스부(310)의 일 측 모서리 영역 즉, 챔퍼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즉,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안착되는 방향) 절곡되게 형성되며, 제1 베이스부(310)와 제1 위치 고정부(320)는 상호 직교되게 형성된다. 제1 위치 고정부(320)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용접 단자부(340)는 제1 베이스부(310)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단변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돌출 형성된다. 제1 용접 단자부(340)는 권선 코일(미도시)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즉, 제1 용접 단자부(340)의 측면은 전체적으로 n형태로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330)는 제1 용접 단자부(340)와 인접한 제1 베이스부의 장변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330)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제1 전극 단자에 안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는 제1 전극 단자(300)와 제2 전극 단자(400) 상에 안착 고정되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에 권취되는 권선 코일(미도시)의 첫선부와 끝선부는 제1 전극 단자(300)의 제1 용접 단자부(340)와 제2 전극 단자(400)의 제2 용접 단자부(440)에 각각 삽입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1 용접 단자부(340) 및 제2 용접 단자부(440)를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하면, 권선 코일의 양 단부를 제1 및 제2 용접 단자부에 삽입 고정하기 용이하게 되므로 용접 공정 진행시 용접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현저히 낮아진다. 또한, 제1 및 제2 용접 단자부와 권선 코일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단선의 위험성이 낮아지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용접 단자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도 4의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용접 단자부에 권선 코일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는 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용접 단자부 및 제2 용접 단자부의 구성이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을 위주로 상술한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는 제1 전극 단자(300) 및 제2 전극 단자(400)로 구성된다.
제1 전극 단자(300)는 제1 베이스부(310), 제1 위치 고정부(320), 제1 가이드부(330) 및 제1 용접 단자부(350)를 포함한다. 제 2 전극 단자(400)는 제2 베이스부(410), 제2 위치 고정부(420), 제2 가이드부(430) 및 제2 용접 단자부(450)를 포함한다. 제1 전극 단자(300)와 제2 전극 단자(400)는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는 바, 이하에서는 제1 전극 단자(300) 위주로 상술한다.
제1 용접 단자부(350)는 제1 베이스부(310)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단변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돌출 형성된다. 제1 용접 단자부(350)는 권선 코일(미도시)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제1 용접 단자부(350)는 제1 용접단자 본체(351), 제1 용접단자 절곡부(352) 및 제1 권선코일 고정홈(353)으로 구성된다.
제1 용접단자 본체(351)는 제1 베이스부(310)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단변의 측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용접단자 절곡부(352)는 제1 용접단자 본체(351)로부터 연장되어 제1 용접단자 절곡부(352)의 내측면이 제1 용접단자 본체(351)에 대향되도록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제1 용접단자 절곡부(352) 끝단부의 일 측 모서리는 챔퍼(chamfer)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일 측 모서리를 챔퍼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하면, 권선 코일을 제1 용접단자 절곡부(352)의 내측부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1 용접단자 절곡부(352)의 모서리에 걸리더라도 권선 코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서리 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권선 코일이 모서리에 걸리지 않고 제1 용접단자 절곡부(352)의 내측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권선코일 고정홈(353)은 제1 용접단자 절곡부(352)의 일 측변을 따라 형성되며, 권선 코일이 삽입될 공간을 제공한다. 권선 코일은 제1 용접단자 절곡부(352)의 내측부에 삽입되어 1차적으로 고정되지만 권선 코일의 굵기에 따라 고정되는 정도가 상이하므로 이탈될 수도 있다. 그러나, 권선 코일이 제1 용접단자 절곡부(352)의 내측부에 삽입되어 1차적으로 고정되고, 제1 권선코일 고정홈(353)에 삽입되어 2차 고정되므로, 권선 코일과 제1 용접 단자부 간의 체결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용접 공정시 불량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5b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100), 권선 코일(200), 제1 전극 단자(300), 제2 전극 단자(400) 및 충진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100)는 권심(미도시), 상부 플랜지(120) 및 하부 플랜지(130)로 구성된다. 상부 플랜지(120)와 하부 플랜지(130)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부 플랜지(120) 및 하부 플랜지(13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플랜지(120)와 하부 플랜지(130)는 권심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즉, 원기둥 형태의 권심의 상부면에는 상부 플랜지(120)가 형성되며, 권심(110)의 하부면에는 하부 플랜지(130)가 형성된다.
권선 코일(200)은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100)의 권심에 권선된다. 권선 코일(200)의 첫선부(210)와 끝선부(220)가 각각 제1 전극 단자의 제1 용접 단자부(350)와 제2 전극 단자의 제2 용접 단자부(450)에 삽입 고정되고, 용접 공정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진재(미도시)는 권선 코일(200)의 외부에 도포된다. 즉, 권선 코일(200)이 권선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100)의 상부 플랜지(120)와 하부 플랜지(130)의 내부 공간에 충진된다. 이때, 충진재는 자성분을 함유하는 에폭시 수지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폴리실록산은 충진재의 혼합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소포제 역할을 한다.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 수지는 전자파 차폐가 가능해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상호간섭에 영향을 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a를 살펴보면, 제1 용접 단자부(350) 및 제2 용접 단자부(450)는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단변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돌출 형성된다. 그 결과,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와 제1 및 제2 용접 단자부(350, 450)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게 되어, 레이져 용접 또는 아크 용접 등과 같은 접합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열 전도에 의한 권선 코일의 피복 용융 및 이에 따른 전기적 단락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는 제1 전극 단자(300) 및 제2 전극 단자(400)로 구성된다.
제1 전극 단자(300)는 제1 베이스부(310), 제1 위치 고정부(320), 제1 가이드부(330), 제1 용접 단자부(350) 및 제1 부착홈(360)을 포함한다. 제 2 전극 단자(400)는 제2 베이스부(410), 제2 위치 고정부(420), 제2 가이드부(430), 제2 용접 단자부(450) 및 제2 부착홈(460)을 포함한다.
제1 부착홈(360)은 제1 베이스부(310) 상에 형성되며, 제1 부착홈(360)은 다수의 홈들로 이루어지며, 각 홈들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는 접착 수지를 이용하여 제1 전극 단자에 부착되는데, 제1 부착홈(360)은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와 제1 전극 단자의 제1 베이스부 간의 접착면적을 넓혀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와 전극 단자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는 제1 전극 단자(300) 및 제2 전극 단자(400)로 구성된다.
제1 전극 단자(300)는 제1 베이스부(310), 제1 위치 고정부(320), 제1 가이드부(330), 제1 용접 단자부(350) 및 제1 체결부(370)를 포함한다. 제 2 전극 단자(400)는 제2 베이스부(410), 제2 위치 고정부(420), 제2 가이드부(430), 제2 용접 단자부(450) 및 제2 체결부(470)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370)는 제1 체결 후크(371)와 제2 체결 후크(372)를 포함하며, 제2 체결부(470)는 제3 체결 후크(471)와 제4 체결 후크(472)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370)는 제1 베이스부(310)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다. 제1 체결 후크(371) 및 제2 체결 후크(372)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제1 체결 후크(371)는 제1 위치 고정부(32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제2 체결 후크(372)는 제1 용접 단자부(35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1 및 제2 체결 후크(371, 372)는 측면이 'ㄷ' 형태로 형성되어,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하부 플랜지에 체결된다.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는 접착 수지를 통하여 제1 및 제2 전극 단자에 부착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체결부를 통하여 물리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양 구성간의 체결력이 증진되어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제1 및 제2 전극 단자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c에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와 제1 및 제2 전극 단자가 체결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
200 : 권선 코일
300 : 제1 전극 단자
310 : 제1 베이스부
320 : 제1 위치 고정부
330 : 제1 가이드부
340 : 제1 용접 단자부
360 : 제1 부착홈
370 : 제1 체결부
400 : 제2 전극 단자

Claims (11)

  1.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에 있어서,
    대칭된 형태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 각각은,
    장방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 모서리 영역은 챔퍼(chamfer)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 측 모서리 영역은 직각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챔퍼 형태로 형성된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고, 권선 코일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용접 단자부; 및
    상기 용접 단자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의 장변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전극 단자에 안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단변의 측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용접단자 본체;
    상기 용접단자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내측면이 상기 용접단자 본체에 대향되도록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용접단자 절곡부; 및
    상기 용접단자 절곡부의 일 측변을 따라 형성되며, 권선 코일이 삽입될 공간을 제공하는 권선코일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자 절곡부의 끝단부의 일 측 모서리는 챔퍼(chamfer)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는 부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홈은 다수의 홈들로 이루어지며, 각 홈들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되어,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하부 플랜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위치 고정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체결 후크와 상기 용접 단자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체결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 후크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7. 표면실장형 인덕터에 있어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권심으로 구성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권심에 권선되는 권선 코일; 및
    상기 권선 코일의 양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 각각은,
    장방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 모서리 영역은 챔퍼(chamfer)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 측 모서리 영역은 직각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챔퍼 형태로 형성된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고, 권선 코일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용접 단자부; 및
    상기 용접 단자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의 장변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가 전극 단자에 안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 측 모서리 영역의 단변의 측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용접단자 본체;
    상기 용접단자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내측면이 상기 용접단자 본체에 대향되도록 만곡진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용접단자 절곡부; 및
    상기 용접단자 절곡부의 일 측변을 따라 형성되며, 권선 코일이 삽입될 공간을 제공하는 권선코일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자 절곡부의 끝단부의 일 측 모서리는 챔퍼(chamfer)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는 부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홈은 다수의 홈들로 이루어지며, 각 홈들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되어,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하부 플랜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인덕터.
KR1020110077860A 2011-08-04 2011-08-04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 KR10117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60A KR101177532B1 (ko) 2011-08-04 2011-08-04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60A KR101177532B1 (ko) 2011-08-04 2011-08-04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532B1 true KR101177532B1 (ko) 2012-08-27

Family

ID=4688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860A KR101177532B1 (ko) 2011-08-04 2011-08-04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5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501A (ko) * 2013-09-18 2015-03-2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코일 장치
KR102162456B1 (ko) * 2019-03-30 2020-10-06 (주)동안전자 차폐형 인덕터 및 그 제조용 단자 프레임
WO2021027978A3 (zh) * 2020-11-17 2021-07-15 深圳顺络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电感的绕组结构及制作方法、绕组电感及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137A (ja) 1996-06-28 1998-01-23 Taiyo Yuden Co Ltd 面実装インダクタ
JPH1055918A (ja) 1996-08-09 1998-02-24 Taiyo Yuden Co Ltd 面実装インダクタ
KR200331060Y1 (ko) 2003-08-11 2003-10-22 주식회사 경인전자 인덕터의 구조
JP2007258194A (ja) 2006-03-20 2007-10-04 Sumida Corporation インダ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137A (ja) 1996-06-28 1998-01-23 Taiyo Yuden Co Ltd 面実装インダクタ
JPH1055918A (ja) 1996-08-09 1998-02-24 Taiyo Yuden Co Ltd 面実装インダクタ
KR200331060Y1 (ko) 2003-08-11 2003-10-22 주식회사 경인전자 인덕터의 구조
JP2007258194A (ja) 2006-03-20 2007-10-04 Sumida Corporation インダク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501A (ko) * 2013-09-18 2015-03-2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코일 장치
KR101593323B1 (ko) * 2013-09-18 2016-02-11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코일 장치
KR102162456B1 (ko) * 2019-03-30 2020-10-06 (주)동안전자 차폐형 인덕터 및 그 제조용 단자 프레임
WO2021027978A3 (zh) * 2020-11-17 2021-07-15 深圳顺络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电感的绕组结构及制作方法、绕组电感及制作方法
US11854735B2 (en) 2020-11-17 2023-12-26 Shenzhen Sunlord Electronics Co., Ltd. Winding structure for 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inding 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2167B2 (ja) チップコイルおよびチップコイルを実装した基板
WO2014038209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装置
US10170234B2 (en) Coi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wire connection
US9299491B2 (en) Transformer coil
KR20070011166A (ko) 코어 및 코어를 구비한 인덕터
KR20070030120A (ko) 인덕터
EP2665070B1 (en) Surface mount inductor
KR101177532B1 (ko) 표면실장형 인덕터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한 표면실장형 인덕터
KR100785445B1 (ko) 저 프로파일 유도성 부품
JP2012015487A (ja)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490698B2 (ja) チップコイル
US7009484B2 (en) Magnetic assembly
US20220148792A1 (en) Coil component
KR101168323B1 (ko) 어댑터용 트랜스포머
US11398339B2 (en) Surface mounting coi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4512420B2 (ja) インダクタ
KR101654991B1 (ko) 유도 구성품
JP4569533B2 (ja) コイル部品
KR101246526B1 (ko)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US11869704B2 (en) Coil device
KR200403985Y1 (ko) 표면실장형 파워 인덕터
JP2013187319A (ja) コイル部品
JP5154960B2 (ja) 磁性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76185B2 (ja) コイル部品
JP4838621B2 (ja) トラン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