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473B1 -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473B1
KR101176473B1 KR20100035260A KR20100035260A KR101176473B1 KR 101176473 B1 KR101176473 B1 KR 101176473B1 KR 20100035260 A KR20100035260 A KR 20100035260A KR 20100035260 A KR20100035260 A KR 20100035260A KR 101176473 B1 KR101176473 B1 KR 101176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oller
composition
anti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755A (ko
Inventor
임흥순
Original Assignee
한보일렉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일렉트(주) filed Critical 한보일렉트(주)
Priority to KR2010003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47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4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에 대한 조성물에 있어서, 열가소성폴리우레탄 70~90 중량부와, 스타이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5~10 중량부, 폴리에틸렌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무기충진체로 탄산칼슘 2~20 중량부, 티타늄 옥사이드 2~10 중량부, 실리카 2~10 중량부, 마그네슘옥사이드 2~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에 대해 Li이온성 계면 활성제 1~5 중량부, 암모늄설페이트 1~5 중량부, 폴리올 1~5 중량부, 가공조제0.1 ~2 중량부, 활제 0.1~0.5 중량부, 자외선안정제0.1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Plastic conveyor roller component material for prevention electrification}
본 발명은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씨디 디스플레이 등의 제품 이송시에 대전 현상에 의한 정전기를 외부로 빼줄 수 있어서 정전기에 의해 제품의 주요 부품이 소손되는 등의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엘씨디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이송시키는 장치로 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이 이용된다. 이러한 롤러를 포함하는 구조의 컨베이어 유닛은 대용량화 추세에 있는 엘씨디 디스플레이를 안전하게 이송하는 장치로 적당하므로, 현장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에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복수개의 롤러가 회전되면서 평판형 엘씨디 디스플레이 등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엘씨디 디스플레이 이외에도 각종 전자제품 생산 공정에서 상기의 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을 이용하게 된다. 한편, 롤러 자체는 엘씨디 디스플레이 등의 제품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제품 자체의 이송시의 충격 등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소손되는 현상이 없도록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엘씨디 디스플레이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전자제품을 상기 롤러 위에 올려놓고 이송하는 경우도 많다.
이때, 엘씨디 디스플레이나 기타 전자제품을 롤러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송시킬 때에 대전 현상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처럼 정전기가 발생한 상태를 그래도 방치해버리면 순간적으로 수만 볼트에 달하는 정전기로 인하여 상기 엘씨디 디스플레이의 중요 전자 부품이 파손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다시 말해, 엘씨디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제품이 이송 도중에 대전 상태로 방치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잡았을 때 강력한 숏트가 일어나고, 이렇게 생긴 숏트는 순식간에 수만 볼트 이상의 엄청난 량의 전류이므로, 이러한 숏트의 충격에 의해 엘씨디 디스플레이의 주요 전자 회로나 집적회로 소자가 파손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엘씨디 디스플레이 등의 제품이 직접 접촉 이송되는 롤러 자체를 대전 현상에 대응 가능한 통전성이 재질로 만들어 줌으로써 대전 현상에 의해 생기는 정전기를 외부로 흘려보내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롤러 자체는 플라스틱이라서 통전이 되지 않는데,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의 롤러 자체를 통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 줌으로써, 이송되는 엘씨디 디스플레이 등의 제품 아래로 전기(구체적으로, 정전기)를 빼줄 수 있으면, 엘씨디 디스플레이 등의 주요 부품이 소손되는 현상을 발생하지 않을 것이므로, 이러한 정전기를 외부로 빼줄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판 디스플레이 등의 이송에 이용되는 롤러를 대전 현상으로 인한 정전기를 외부로 빼줄 수 있는 재질로 만들 수 있으므로, 엘씨디 디스플레이 등의 제품 이송시에 정전기에 의해 고압 전류 숏트 현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대전현상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롤러 위에서 이송되는 엘씨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주요 전자 부품이 소손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에 대한 조성물에 있어서, 열가소성폴리우레탄 70~90 중량부와, 스타이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5~10 중량부, 폴리에틸렌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무기충진체로 탄산칼슘 2~20 중량부, 티타늄 옥사이드 2~10 중량부, 실리카 2~10 중량부, 마그네슘옥사이드 2~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에 대해 Li이온성 계면 활성제 1~5 중량부, 암모늄설페이트 1~5 중량부, 폴리올 1~5 중량부, 가공조제0.1 ~2 중량부, 활제 0.1~0.5 중량부, 자외선안정제0.1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등의 이송에 이용되는 롤러를 대전 현상으로 인한 정전기를 외부로 빼줄 수 있는 재질로 만들 수 있으므로, 엘씨디 디스플레이 등의 제품 이송시에 정전기에 의해 고압 전류 숏트 현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대전현상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롤러 위에서 이송되는 엘씨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주요 전자 부품이 소손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컨베이어 롤러 위에 엘씨디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부품을 올려서 이송할 때에는 이송시의 마찰 등에 의해 대전 현상(정전기 현상과 유사한 현상으로 볼 수 있음)이 발생되고, 이러한 대전 현상은 이송중인 전자제품의 주요 정밀 전자 부품 소자나 집적회로 등의 부품소자를 순간적인 고전류에 의해 소손시키는 문제가 초래되고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에 의해 자체 대전 방지가 되는 롤러를 만들 수 있도록 하므로, 기존에 문제되었던 대전 현상으로 인한 부품 소자의 소손 등의 경우를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대전 방지용 컨베이어 롤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대전 방지용 컨베이어 롤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대전 방지용 컨베이어 롤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대전 방지용 컨베이어 롤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대전 방지용 컨베이어 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대전방지 롤러(20)를 보여주고, 도 2에서는 도 1에서는 프레임(10)에 복수개의 대전방지 롤러(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롤러(20) 위에 물품(2)을 지지하여 롤러(20)의 회전에 따라 물품(2)이 이송된다.
본 발명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대전 방지 롤러(20)를 성형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70~90 중량부, 스타이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5~10 중량부, 폴리에틸렌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무기충진제인 탄산칼슘 2~20 중량부, 티타늄 옥사이드 2~10 중량부, 실리카 2~10 중량부, 마그네슘 옥사이드 2~10 중량부를 혼합하며, 상기 성분이 혼합된 조성물에 Li이온성 계면활성제 1~5 중량부, 암모늄설페이트 1~5 중량부, 폴리올 1~5 중량부, 가공조제 0.1 ~2 중량부, 활제 0.1~0.5 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쇼어 A 경도가 85 내지 95의 경도를 갖는 사출형 대전방지 플라스틱 롤러 조성물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70~90 중량부 범위에서 혼합하는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70 중량부 이하인 상태로 롤러(20)를 성형하면, 내마모성이나 슬립성이라는 특성이 나오지 않는다. 다시 말해, 금형 등을 이용하여 롤러(20) 사출시 흐름성이 좋아야 하는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70 중량부 이하로 넣게 되면 흐름성이 좋지 않아서 롤러(20) 모양이 제대로 나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마모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마모성 특성이 충분히 나오지 못하므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70 중량부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90 중량부보다 더 많이 넣는 경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들어가서 코스트가 너무 비싸지므로, 내마모성과 사출 성형시 흐름성 등을 살리기 위하여 70 중량부에서 90 중량부 범위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혼합량을 맞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코스트면에서 보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90 중량부 이상까지 넣을 필요는 없는 것이다. 이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Asker 경도가 85A~90A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서 에스테르형과 에테르형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한 것이다.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공중합체는 5 중량부에서 10 중량부 범위로 혼합하는데, 이러한 스타이렌 부타디엔 공중합체를 하한치 5 중량부 이하로 넣게 되면 열에 강한 특성과 내마모성 및 변질되지 않는 특성을 내기에 부족하며, 상한치 10 중량부 이상이면 역시 흐름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의 범위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폴리에틸렌도 5 중량부에서 10 중량부 범위로 혼합하는데, 이러한 폴리에틸렌을 하한치 5 중량부 이하로 넣게 되면 롤러(20) 사출 성형시 흐름성이 저하되어 생산성 측면에서 좋지 못하고 상한치 10 중량부 이상이면 롤러(20) 자체의 적절한 경도 특성(경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경도가 지나치게 물러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스타이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 포함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무기충진제인 탄산칼슘 2~20 중량부, 티타늄 옥사이드 2~10 중량부, 실리카 2~10 중량부, 마그네슘 옥사이드 2~10 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탄산칼슘을 2 중량부에 20 중량부 범위로 혼합하는데, 탄산칼슘이 20 중량부 이상이면 롤러(20) 성형을 위한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흐름성 저하되고, 이처럼 흐름성 저하로 인해 롤러(20)의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탄산칼슘을 2 중량부 이하로 투입하면 경도를 주는데 지장이 있다. 다시 말해, 롤러(20) 자체의 경도가 너무 물러지면 안되는데, 탄산칼슘을 2 중량부 이하로 투입하면 롤러(20)의 경도가 제대로 안나와서 성형되는 롤러(20) 자체가 너무 물러져버리는 문제가 생기므로, 상기 탄산칼슘의 투입량을 2 중량부에서 20 중량부 범위로 맞추는 것이 의미가 있다.
상기 티타늄 옥사이드는 티타늄을 산화시킨 입자상으로 된 것으로,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필러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티타늄 옥사이드를 하한치 2 중량부보다 더 적에 투입하면 전기 전도성이 낮아져 만족스럽지 못하므로, 대전 방지용으로 롤러(20)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한편, 티타늄 옥사이드가 20 중량부이면 충분히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는데, 티타늄 옥사이드를 상한치 20 중량부 이상으로 투입하면, 고가의 원재료를 불필요하게 많이 넣는 결과가 되어 코스트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티타늄 옥사이드가 필요량 이상으로 많이 들어감으로 인해 롤러(20) 성형용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성형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생기므로, 티타늄 옥사이드의 투입량을 2 중량부에서 20 중량부 범위로 맞추어 줘야 되는 것이다. 상기 티타늄 옥사이드는 대전방지 롤러 위로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이송할 때에 대전방지 롤러 아래로 전류를 빼줌으로써 대전 현상이 발생되는 방지하는 주요 대전방지 성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는 후술할 Li 이온 계면 활성제나 암모늄설페이트, 자외선 안정제 등의 흡수를 통해서 이것들이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는 것인데, 실리카가 상한치 10 중량부보다 많으면 역시 조성물의 점도만 쓸데없이 높아져서 성형성이 떨어지고, 실리카가 하한치 2 중량부보다 낮으면 상기한 Li 이온 계면 활성제나 암모늄설페이트, 자외선 안정제 등의 흡수력이 만족스럽지 못하여 이러한 성분들이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실리카를 2 중량부에서 10 중량부 범위 내에서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 마그네슘 옥사이드는 2 중량부에서 10 중량부 범위로 혼합한다. 이러한 마그네슘 옥사이드는 입자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대전방지 롤러(20)를 성형하기 위한 플라스틱의 점도를 조절하여 준다. 즉, 실리카와 함께 플라스틱의 점도를 조절하여 주는 것인데, 마그네슘 옥사이드가 상한치 10 중량부 이상이면 플라스틱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롤러(20) 성형시 지장을 받게 된다. 또한, 마그네슘 옥사이드가 하한치 2 중량부 이상이면 수축률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플라스틱 롤러(20)의 품질이 제대로 나오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마그네슘 옥사이드는 플라스틱의 점도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플라스틱의 수축률을 조절하여 주는 기능을 하는 충진제로서, 플라스틱 롤러(20)의 성형 후에 될 수 있는데로 수축을 적게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마그네슘 옥사이드가 하한치 2 중량부 이하이면 플라스틱 수축이 너무 많이 일어나서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롤러(20)의 기능에 있어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정리하면, 마그네슘 옥사이드를 상한치 10 중량부 이상을 넣으면 수축은 줄어들지만 점도가 너무 높아 성형성이 떨어지고 하한치 2 중량부 이하를 넣으면 수축률이 너무 높아서 플라스틱 롤러(20)의 제품성이 떨어지므로 상기의 범위로 마그네슘 옥사이드의 투입량을 맞추어 주는 것이 의미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분이 혼합된 조성물에 Li이온성 계면활성제, 암모늄설페이트, 폴리올, 가공조제, 활제, 자외선 안정제 및 산화방지제를 더 혼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Li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티타늄 옥사이드와 연계하여 플라스틱 롤러(20)의 전기 흐름성을 좋게 하는 성분이다. 즉, Li 이온성 계면 활성제도 대전방지 롤러(20)가 전기 통전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서, Li 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하한치 1 중량부 이하로 넣으면 대전방지 롤러(20)의 전기 통전성을 발휘하는데 충분하지 못할 것이며, Li 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상한치 5 중량부 이상으로 넣는 것은 성형시의 플라스틱의 점도와 코스트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Li 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5 중량부 이하로 투입한다. 이러한 Li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대전방지 롤러 위로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이송할 때에 대전방지 롤러 아래로 전류를 빼주는 대전방지 성분이다.
상기 암모늄설페이트와 폴리올도 전기를 통하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암모늄설페이트의 혼합량을 1 중량부에서 5 중량부로 맞추고, 폴리올도 1 중량부에서 5 중량부 범위로 맞추는 것도 상기한 전기 통전성과 성형시의 작업성 등의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범위이다. 이러한 암모늄설페이트와 폴리올도 역시 통전성을 가짐으로써 대전방지 롤러 아래로 전류를 빼줌으로써 대전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대전방지 성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가공조제는 온도 상승을 해서 액상으로 되는 것으로, 대전방지 롤러(20) 성형시에 플라스틱 공급용 스크류 등의 성형장치에 플라스틱이 달라붙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즉, 플라스틱이 롤러(20) 성형시 스크류 등에 떡처럼 달라 붙으면 곤란한데, 가공조제는 이러한 스크류 등에 떡같이 달라 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가공조제를 하한치 0.1 중량부 이하로 넣으면 플라스틱이 스크류 등에 달라 붙는 현상을 제대로 방지하지 못하고, 가공조제를 상한치 2 중량부 이상으로 넣으면 플라스틱 공급 활성화가 과도하게 되어 롤러(20) 성형시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가공조제를 상한치 2 중량부 이상으로 넣는 것은 곤란하다. 즉, 가공조제를 2 중량부 이상으로 너무 많이 넣으면 분리가 되서 떠버리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성형되는 롤러(20) 자체에 기공이 생기는 문제가 생기므로, 가공조제를 상한치 2 중량부 이상으로 넣지 않도록 한다.
삭제
또한, 활재는 롤러(20) 성형틀 안에서 성형된 롤러(20)가 쉽게 박리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인데, 활재를 0.1 중량부 이하로 넣으면 성형된 롤러(20)가 성형틀 안에세 제대로 박리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며, 활재를 0.5 중량부 이상으로 너무 많이 넣으면 역시 성형된 롤러(20) 자체에 기공이 생기는 문제가 생기므로, 활재를 0.5 중량부 이상으로 넣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때, 활제는 저분자 폴리에틸렌 왁스와 스테아린산 (Stearic acid), poly-propylene 왁스 중 하나이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0.1 중량부에서 3 중량부 범위로 넣는다. 이러한 자외선 안정제는 대전방지 롤러(20)가 자외선에 노출되어 부스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주기능이다. 대전방지 롤러(20)를 구성하는 주성분인 플라스틱(폴리우레탄 등)은 햇빛에 방치되면 부스러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즉, 주성분이 플라스틱인 대전방지 롤러(20)를 햇빛 등의 자외선에 노출시키면 퍼석해져서 쉽게 부스러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안정제를 투입하는 것이다.
또한, 대전방지 롤러(20)의 주성분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햇빛 등의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되면 황변(누렇게 변하는 현상)이 생기고, 롤러(20) 내부의 각 성분 결합 체인들이 끊어져서 퍼석해지고, 이로 인해, 롤러(20)가 부스러지는 현상이 생기는데, 자외선 안정제와 산화방지제가 함께 작용하여 한마디로 대전방지 롤러(20)가 삭거나 황변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자외선 안정제가 너무 적으면 제대로 역할을 못하고, 너무 많이 넣으면 비싼 재료가 불필요하게 많이 들어가서 제품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생기므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0.1 중량부에서 3 중량부 범위로 넣고, 산화방지제도 0.1 중량부에서 3 중량부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각 성분을 혼합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 롤러(20)용 조성물을 믹서(예를 들어,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약 20분 내지 40분 정도 섞은 다음, 압출기에 넣어서 녹여서 뽑아내는 과정을 통해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20)를 성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프레임 20. 대전방지 롤러

Claims (4)

  1.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에 대한 조성물에 있어서, 열가소성폴리우레탄 70~90 중량부와, 스타이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5~10 중량부, 폴리에틸렌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무기충진체로 탄산칼슘 2~20 중량부, 티타늄 옥사이드 2~10 중량부, 실리카 2~10 중량부, 마그네슘옥사이드 2~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에 대해 Li이온성 계면 활성제 1~5 중량부, 암모늄설페이트 1~5 중량부, 폴리올 1~5 중량부, 가공조제0.1 ~2 중량부, 활제 0.1~0.5 중량부, 자외선안정제0.1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쇼어-A 경도가 85A~95A의 경도를 갖는 사출형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Asker 경도가 85A~90A인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으로서, 에스테르형과 에테르형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제는 저분자 폴리에틸렌 왁스와 스테아린산 (Stearic acid), 폴리 프로필렌 왁스 중에서 채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KR20100035260A 2010-04-16 2010-04-16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KR101176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5260A KR101176473B1 (ko) 2010-04-16 2010-04-16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5260A KR101176473B1 (ko) 2010-04-16 2010-04-16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755A KR20110115755A (ko) 2011-10-24
KR101176473B1 true KR101176473B1 (ko) 2012-08-23

Family

ID=4503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5260A KR101176473B1 (ko) 2010-04-16 2010-04-16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771B1 (ko) 2020-04-08 2020-07-27 (주)한뫼테크 난연성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923A (ja) 1998-10-08 2000-10-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8116639A (ja) 2006-11-02 2008-05-22 Fuji Xerox Co Ltd 帯電ローラ、電子写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923A (ja) 1998-10-08 2000-10-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8116639A (ja) 2006-11-02 2008-05-22 Fuji Xerox Co Ltd 帯電ローラ、電子写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771B1 (ko) 2020-04-08 2020-07-27 (주)한뫼테크 난연성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755A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7391A (zh) 抗静电聚合物共混组合物
KR100695503B1 (ko) 성형가공성이 향상된 캐리어테이프용 고분자 쉬트
CN104844885A (zh) 工程塑料用抗静电母粒及其制备方法
CN100439094C (zh) 一种无碳黑永久性抗静电塑料片材及其制备方法
KR101176473B1 (ko) 대전 방지용 플라스틱 컨베이어 롤러 조성물
Ramesh et al. Mechanical studies on poly (vinyl chloride)–poly (methyl methacrylate)-based polymer electrolytes
KR20080043424A (ko) 대전방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송용 롤러 제조방법
JP2005225969A (ja) 半導電性ゴム部材
JP6357791B2 (ja) 易剥離性フィルム
CN110054883B (zh) 一种长效耐水洗耐低温无色透明橡塑用液态抗静电剂及其制备方法
JP2020123720A (ja) 複合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容器
KR100943125B1 (ko) 대전방지용 수지 조성물
CN110483928A (zh) 一种石墨烯抗静电塑料制备方法
CN107835745B (zh) 含有空洞的聚酯系膜及其制造方法
TW201110082A (en) Driver circuit for bist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570172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US20140329949A1 (en) Carbon nanotube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composite,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molded article
CN113980298A (zh) 一种抗静电母粒及其制备方法
CN100442158C (zh) 一种用于打印机的橡胶磁辊及其制备方法
JP2005290328A (ja) 低汚染性の射出成形体
CN104341743A (zh) 一种抗静电pet/abs合金及其制备方法
CN102199324B (zh) 一种线型聚乙烯预混助剂配方及其制备方法
JP7267724B2 (ja) 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40735B1 (ko) 인라인 라미네이팅 대전방지 pmma 필름을 포함하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2408661A (zh) Hips树脂回料改性料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