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457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457B1
KR101176457B1 KR1020060122320A KR20060122320A KR101176457B1 KR 101176457 B1 KR101176457 B1 KR 101176457B1 KR 1020060122320 A KR1020060122320 A KR 1020060122320A KR 20060122320 A KR20060122320 A KR 20060122320A KR 101176457 B1 KR101176457 B1 KR 101176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drain pump
electromotive force
air conditioner
counter electromo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1376A (ko
Inventor
황인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2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457B1/ko
Priority to CN2007100963288A priority patent/CN101196331B/zh
Publication of KR2008005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펌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배수펌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배수펌프의 운전을 제어하여 응축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응축수의 역류시 배수펌프 구동부에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여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배수펌프가 자동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역류방지장치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작업시간 및 비용의 증가를 발생시키지 않고 응축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수펌프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제어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수펌프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제어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응축수받이 4: 배수모터
7: 임펠러 15: 수위센서부
100: 제어부 140: 전압검출부
본 발명은 배수펌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배수펌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배수펌프의 운전을 제어하여 응축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실내열교환기등의 주요 구성요소를 냉매가 순환되는 배관으로 연결하여 냉동사이클을 이루고, 상기 구성요소를 실외기와 실내기에 분리 장착하여 상기 실내기를 통해 실내에 냉난방을 제공하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벽면에 고정되는 벽걸이형과, 실내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형과, 실내 바닥에 세워지는 스탠드형 등으로 구분되며, 각 실내기는 실내공기와의 열교환과정에서 실내열교환기 표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내열교환기 하부에 응축수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응축수받이에 모인 응축수는 하부에 생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자연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내기가 천정에 매입되 어 설치되기 때문에 배수여건이 열악하므로 별도의 배수펌프를 구비하여 외부로 강제 배수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배수구조를 가지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지되고 그에 따라 배수펌프가 정지될 경우 배수관 내부에 잔류하는 응축수가 역류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때 응축수받이의 집수용량이 초과되면 실내기쪽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생긴다.
종래의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수관 중도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으나, 체크밸브의 설치로 인한 작업시간 및 설치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배수관과 체크밸브의 불완전한 연결로 인해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배수펌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별도의 역류방지장치를 구비함이 없이 상기 배수펌프의 운전을 제어하여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설치시간과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응축수를 모으기 위한 응축수받이와, 상기 응축수받이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부에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 출부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된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부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배수시 회전하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검출부는 구동모터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기전력의 위상이 구동모터가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역기전력의 위상과 다른 경우에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한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된 시간이 제1설정시간을 초과할 때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역기전력의 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2설정시간 동안 상기 구동모터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받이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부에서 검출한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수를 모으기 위한 응축수받이와, 상기 응축수받이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부에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검출된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역기전력의 검출은 상기 배수펌프부의 운전을 정지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검출된 역기전력의 위상이 상기 배수펌프부가 배수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역기전력의 위상과 다른 경우에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역기전력을 검출한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카운트한 시간이 제1설정시간을 초과할 때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역기전력의 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제2단계에서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2설정시간 동안 상기 구동모터를 배수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응축수받이의 수위를 검출하여 그 수위가 설정수 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해 천정 내에 실내기(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실내기(20)는 하면이 개방된 사각 함체형상의 본체(21)와, 본체(21)의 개방부를 덮어 본체(21)의 하면을 형성하는 천정패널(30)을 구비한다.
본체(21)의 내부에는 본체(21)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실내열교환기 팬모터(22)에 의해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실내공기가 본체(21)의 내부를 순환하게 하는 실내열교환기팬(23)과, 실내열교환기팬(23)의 반경방향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실내열교환기팬(23)에서 토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며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실내열교환기(2)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21)는 대략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내열교환기(2)는 본체(21)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형의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내열교환기팬(23)의 외측에 배치되며, 실내열교환기팬(23)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원심팬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정패널(30)에는 중앙측에 실내공간으로부터 공기가 관통하여 흡입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흡입그릴(31)이 마련되며, 천정패널(30)의 흡입그 릴(31) 외곽측에는 실내열교환기(2)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게 하는 토출그릴(32)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에는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과정에서 실내열교환기(2)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발생하는데 상기 응축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내열교환기(2)의 하측에는 실내열교환기(2)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받아 모으는 응축수받이(1)가 마련되며, 응축수받이(1)에는 내부에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강제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펌프부(3)가 설치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수펌프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배수펌프부(3)는 내부에 펌프실(6)이 형성되는 펌프본체(11), 펌프본체(11)의 펌프실(6)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임펠러(impeller, 7) 및 임펠러(7)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축(5)에 의해 임펠러(7)와 연결되며 펌프본체(11)에 결합되는 배수모터(4)를 포함한다.
또한, 펌프본체(11)는 내부의 펌프실(6)과 연통되도록 하부에 흡입구(8)가 형성되고 측방에는 토출구(9)가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구(9)에는 펌프실(6)에서 토출되는 응축수를 응축수받이(1)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관(10)이 연결되어 있다.
펌프본체(11)의 흡입구(8)는 응축수받이(1)에 고인 응축수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펌프실(6) 내부로 유입되는 응축수는 임펠러(7)가 회전함에 따라 토출구(9)와 배수관(10)을 거쳐 응축수받이(1)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 임펠러(7)는 다수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통상의 원심팬으로 이루어지고, 배수모터(4)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펌프본체(11)의 흡입구(8)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를 토출구(9)가 형성된 펌프본체(11)의 둘레방향으로 토출시킨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제어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실내기(20)의 운전정지 신호가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배수모터(4), 압축기(170) 및 실내열교환기팬(23)의 운전을 정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50), 압축기구동부(160) 및 팬구동부(180)에 각각 전달한다.
이에 따라 배수모터(4)와 배수모터(4)에 구동축(5)으로 연결된 임펠러(7)의 운전이 정지되면, 제어부(100)는 배수모터(4)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압검출부(140)에 전달한다.
전압검출부(140)는 이에 따라 배수모터(4)에 의해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이때, 역기전력이라 함은 배수 운전시 모터구동부(150)에 의해 배수모터(4)에 인가되는 기전력과 반대방향의 기전력을 의미하며, 이는 배수모터(4)가 정지되어 상기 기전력이 0일 때 정지상태에 있는 미도시된 배수모터(4)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구동축(5)으로 연결된 임펠러(7)가 외부 강제력에 의해서 회전함에 따라 미도시된 배수모터(4)의 고정자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때, 임펠러(7)를 회전시키는 외부 강제력은 배수관(10)에서 펌프실(6)로 역류되는 응축수의 유동에 의한 것이며, 이 경우 임펠러(7)는 배수를 할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전압검출부(140)로부터 역기전력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면, 제어부(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타이머(130)를 이용하여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 경우이면 배수모터(4)를 운전하기 위한 신호를 모터구동부(150)에 전달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00)는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운전명령 또는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운전 프로그램에 따라 실내기(20)의 온오프 운전을 반복하게 된다(S200).
S20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실내기(20)가 운전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210), 운전상태이면 S210 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S210 단계에서 실내기(20)가 정지상태인 경우 제어부(100)는 배수모터(4)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압검출부(140)에 전달하여 역기전력에 대한 정보를 다시 전달받는다(S220).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20)가 정지상태이면 배수모터(4)의 회전자 및 임펠러(7)도 정지상태에 있고, 따라서 외부 강제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역기전력은 0이 된다.
S220 상태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S220 단계에서 전달받은 역기전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모터(4)의 회전자 및 임펠러(7)가 역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이때, 역회전이라 함은 배수모터(4)의 회전자 및 임펠러(7)가 정상적인 배수과정에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역회전은 배수과정과 역방향으로 응축수가 유동될 때, 즉 응축수가 배수관(10)에서 펌프실(6)로 역류될 때 발생한다.
S230 단계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거나 역기전력이 발생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배수방향으로 임펠러(7)가 회전하여 발생되는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S220 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S230 단계에서 역회전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00)는 타이머(130)를 작동시키고 역회전이 발생하는 시간이 제1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S250).
이때, 제1설정시간은 실험적으로 구하여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되는 값이며, 응축수가 실제로 역류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적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역기전력의 크기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역회전이 발생한다고 판단하며, 상기 설정값은 실험적으로 구하여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되는 값이다.
S250 단계에서 역회전이 발생한 시간이 제1설정시간 이하인 경우, 제어 부(100)는 배수모터(4)의 역기전력을 재감지하여 역회전이 계속 발생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251,S252), 계속 발생 중이면 S250 단계로 리턴하여 역회전 시간을 적산하고 발생이 중지한 경우이면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판단하여 S220 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S250 단계에서 역회전이 발생한 시간이 제1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응축수의 역류가 실제로 발생한다고 판단하여 배수모터(4)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50)에 전달하고(S260), 그 결과 배수모터(4)가 작동된다.
S26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배수모터(4)의 작동시간이 제2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70), 초과하지 않는 경우이면 S270 단계로 리턴하고 초과하는 경우이면 배수모터(4)의 작동을 중지한다(S280).
S28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실내기(20)의 운전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290), 운전조건이 아닌 경우이면 S220 단계로 리턴하여 응축수의 역류 여부를 계속 판단하고 운전조건이면 실내기(20)를 운전시킨 후 제어를 종료한다(S300).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수펌프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고, 응축수받이(1)의 다른 일측 내부에 응축수받이(1)에 모인 응축수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센서 부(15)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차이가 있다.
수위센서부(15)는 공지된 수위검출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부표의 높이차에 의하여 수위를 검출하는 방식인 플로팅(floating) 센서를 적용하였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제어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00)는 수위센서부(15)에서 전달되는 응축수받이(1)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 배수모터(4)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00)는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운전명령 또는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운전 프로그램에 따라 실내기(20)의 온오프 운전을 반복하게 된다(S400).
S40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실내기(20)가 운전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10), 운전상태이면 S410 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S410 단계에서 실내기(20)가 정지상태인 경우 제어부(100)는 배수모터(4)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압검출부(140)에 전달하여 역기전력에 대한 정보를 다시 전달받는다(S420).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20)가 정지상태이면 배수모터(4)의 회전자 및 임펠러(7)도 정지상태에 있고, 따라서 외부 강제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역기전력은 0이 된다.
S420 상태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S420 단계에서 전달받은 역기전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모터(4)의 회전자 및 임펠러(7)가 역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이때, 역회전이라 함은 배수모터(4)의 회전자 및 임펠러(7)가 정상적인 배수과정에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역회전은 배수과정과 역방향으로 응축수가 유동될 때, 즉 응축수가 배수관(10)에서 펌프실(6)로 역류될 때 발생한다.
S430 단계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거나 역기전력이 발생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배수방향으로 임펠러(7)가 회전하여 발생되는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S420 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S430 단계에서 역회전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00)는 타이머(130)를 작동시키고 역회전이 발생하는 시간이 제1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S450).
이때, 제1설정시간은 실험적으로 구하여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되는 값이며, 응축수가 실제로 역류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적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역기전력의 크기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역회전이 발생한다고 판단하며, 상기 설정값은 실험적으로 구하여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되는 값이다.
S450 단계에서 역회전이 발생한 시간이 제1설정시간 이하인 경우, 제어부(100)는 배수모터(4)의 역기전력을 재감지하여 역회전이 계속 발생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51,S452), 계속 발생 중이면 S450 단계로 리턴하여 역회전 시간을 적산하고 발생이 중지한 경우이면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판단하여 S420 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S450 단계에서 역회전이 발생한 시간이 제1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수위감지센서부(15)에서 전달되는 응축수받이(1)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60,S470), 설정수위 미만이면 S460 단계로 리턴한다.
이때, 설정수위는 실험적으로 구하여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되는 값이며, 이는 응축수의 역류가 실제로 발생하는 경우 응축수받이(1)가 넘치게 되는 최소 수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470 단계에서 응축수받이(1)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이면 제어부(100)는 응축수의 역류로 인하여 응축수받이(1)가 넘치게 된다고 판단하여 배수모터(4)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50)에 전달하고(S480), 그 결과 배수모터(4)가 작동된다.
S460 내지 S480 단계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하더라도 응축수받이(1)의 집수용량을 초과하여 실내기(20)의 천정패널(30)측으로 누수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경우에만 배수모터(4)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 저감 및 배수모터(4)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S48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배수모터(4)의 작동시간이 제2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90), 초과하지 않는 경우이면 S490 단계로 리턴하고 초과하는 경우이면 배수모터(4)의 작동을 중지한다(S500).
S50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실내기(20)의 운전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510), 운전조건이 아닌 경우이면 S420 단계로 리턴하여 응축수의 역류 여부를 계속 판단하고 운전조건이면 실내기(20)를 운전시킨 후 제어를 종료한다(S52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응축수의 역류시 배수펌프 구동부에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여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배수펌프가 자동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역류방지장치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작업시간 및 비용의 증가를 발생시키지 않고 응축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응축수를 모으기 위한 응축수받이와, 상기 응축수받이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부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배수펌프부에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된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역기전력의 위상이 상기 배수펌프부가 배수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역기전력의 위상과 다른 경우에 상기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부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배수시 회전하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한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된 시간이 제1설정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기전력의 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7. 제2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2설정시간 동안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받이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부에서 검출한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는 공기조화기.
  9. 응축수를 모으기 위한 응축수받이와, 상기 응축수받이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부의 운전을 정지한 후에 상기 배수펌프부에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검출된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검출된 역기전력의 위상이 상기 배수펌프부가 배수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역기전력의 위상과 다른 경우에 상기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역기전력을 검출한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카운트한 시간이 제1설정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역기전력의 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시간을 카운트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9항, 제12항,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응축수의 역류가 발생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2설정시간 동안 상기 배수펌프부를 배수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응축수받이의 수위를 검출하여 그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배수펌프부를 회전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60122320A 2006-12-05 2006-12-0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7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320A KR101176457B1 (ko) 2006-12-05 2006-12-0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2007100963288A CN101196331B (zh) 2006-12-05 2007-04-10 空调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320A KR101176457B1 (ko) 2006-12-05 2006-12-0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376A KR20080051376A (ko) 2008-06-11
KR101176457B1 true KR101176457B1 (ko) 2012-08-30

Family

ID=3954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320A KR101176457B1 (ko) 2006-12-05 2006-12-0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6457B1 (ko)
CN (1) CN1011963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7472B (zh) * 2014-09-19 2017-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除湿机内动力装置的控制方法及系统
CN105202703B (zh) * 2015-10-16 2017-11-2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室内换热器冷凝水的检测方法及系统和空调器
CN105971867B (zh) * 2016-05-04 2018-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故障的检测方法和装置
CN106196549B (zh) * 2016-07-12 2019-01-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水泵的方法、设备及空调
WO2021065419A1 (ja) * 2019-09-30 2021-04-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排水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空調システム
CN114923218B (zh) * 2022-03-29 2023-08-18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空调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838A (ja) * 1996-07-16 1998-02-03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ポンプ制御装置
JP2001263767A (ja) * 2000-03-17 2001-09-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200419474Y1 (ko) 2006-04-03 2006-06-21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의 스위치작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9214A (ja) * 2004-07-16 2006-02-02 Fuji Koki Corp 排水ポンプ
CN2727622Y (zh) * 2004-08-03 2005-09-21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天花式空调器排水装置
CN1766454A (zh) * 2004-10-29 2006-05-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利用压敏电阻的空调器排水泵开/关控制机构
CN100491854C (zh) * 2004-12-24 2009-05-2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冷凝水循环装置的分体空调室外机的接水盘结构
KR100690938B1 (ko) * 2005-03-17 2007-03-09 박국현 냉방기의 응결수 배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838A (ja) * 1996-07-16 1998-02-03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ポンプ制御装置
JP2001263767A (ja) * 2000-03-17 2001-09-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200419474Y1 (ko) 2006-04-03 2006-06-21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의 스위치작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376A (ko) 2008-06-11
CN101196331A (zh) 2008-06-11
CN101196331B (zh)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45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99352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CN101236000A (zh) 空调室外机的热交换器除尘装置及其方法
WO2007105571A1 (ja) 空気調和機
EP2426428B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18004131A (ja) 空気調和機
US5297395A (en) Air conditioner using rotary-type heat exchangers
WO2024016817A1 (zh) 移动式空调及其控制方法
WO2024016818A1 (zh) 移动式空调及其控制方法
JP2007278636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
CN115234989A (zh) 移动式空调及其控制方法
KR20080065191A (ko) 압축기의 오일 회수 장치 및 그 방법
JP2009204257A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処理装置
JP2009121789A (ja) 空気調和機
US10830481B2 (en) Detecting blockage of air conditioner unit based on fan speed
JP4710637B2 (ja) ファン駆動装置及び空調機
JP6721060B2 (ja) 空気調和機
KR100803444B1 (ko) 팬 제어 장치, 냉동 사이클 장치 및 팬 회전수 추정 방법
CN115234990A (zh) 移动式空调及其控制方法
JP3448357B2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処理装置
JP6698221B1 (ja) 空気調和機
JP3022188B2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処理装置
JP3985791B2 (ja) 空気調和機
JP3459467B2 (ja) ドレン水処理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7474922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