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087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087B1
KR101176087B1 KR1020100039373A KR20100039373A KR101176087B1 KR 101176087 B1 KR101176087 B1 KR 101176087B1 KR 1020100039373 A KR1020100039373 A KR 1020100039373A KR 20100039373 A KR20100039373 A KR 20100039373A KR 101176087 B1 KR101176087 B1 KR 10117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pump
condenser
evaporat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940A (ko
Inventor
노현우
이용주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3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08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096,395 priority patent/US20110280736A1/en
Priority to RU2012150857/12A priority patent/RU2529108C2/ru
Priority to EP11775297.2A priority patent/EP2565322B1/en
Priority to EP11775300.4A priority patent/EP2565320B1/en
Priority to CN201180020976.XA priority patent/CN102869826B/zh
Priority to AU2011245858A priority patent/AU2011245858B2/en
Priority to PCT/KR2011/003171 priority patent/WO2011136593A2/ko
Priority to CN2011800209774A priority patent/CN102859063A/zh
Priority to AU2011245855A priority patent/AU2011245855B2/en
Priority to RU2012150848/12A priority patent/RU2507328C1/ru
Priority to US13/096,444 priority patent/US8695230B2/en
Priority to CN201180008457.1A priority patent/CN102762791B/zh
Priority to PCT/KR2011/003174 priority patent/WO2011136595A2/ko
Priority to AU2011245856A priority patent/AU2011245856B2/en
Priority to US13/096,402 priority patent/US20110277334A1/en
Priority to PCT/KR2011/003169 priority patent/WO2011136592A2/ko
Priority to EP11775298.0A priority patent/EP2565323B1/en
Publication of KR2011011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트펌프 및 상기 드럼 및 히트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가변형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냉매의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기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는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와,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와,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로 구분할 수 있다. 건조기는 가열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대상물을 건조하는 장치로서, 최근에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가열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기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기는 다양한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건조기의 소음 및 진동을 줄이고, 압축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트펌프 및 상기 드럼 및 히트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가변형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냉매의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증발기에 구비되는 제1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센서는 냉매의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므로 상기 증발기의 냉매라인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응축기에 구비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센서도 냉매의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므로 상기 응축기의 냉매라인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냉매의 상변화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가변형 압축기의 구동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압축기를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건조기에 구비되는 히트펌프의 사시도, 및
도 3은 히트펌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캐비넷(11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20)을 구비할 수 있다. 드럼(120)의 내부에 세탁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드럼(120) 내부의 세탁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가열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공기공급장치로서 히트펌프(130)를 구비할 수 있다. 히트펌프(13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132), 압축기(134), 응축기(136) 및 팽창밸브(138, 도 3 참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히트펌프(13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여 건조시키며 소정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히트펌프(1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히트펌프(130)는 냉매의 응축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로부터 잠열을 전달받아 공기 중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며, 잠열을 후술하는 응축기(136)로 전달하는 증발기(132)와, 증발기(132)에서 냉매를 통해 전달된 잠열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130)는 증발기(132)에서 공기를 제습하고 응축기(136)로 유입된 공기를 소정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드럼(120) 내부로 건조 가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캐비넷(110)의 일측에 전술한 히트펌프(130)의 구성요소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모듈 형식(module type)의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형식의 히트펌프(130)를 구비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조립 및 유지 보수 시에 분해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130)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전술한 각종 구성요소가 구비되는 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40)는 상부 케이스(142)와 하부 케이스(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44)에 전술한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2)는 하부 케이스(14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140) 내부의 각종 구성요소의 설치 및 보수가 더욱 용이해진다.
증발기(132)를 통하여 케이스(1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132)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건조된다. 즉, 증발기(132)의 내부에서 냉매가 증발되어 증발기(132)의 외부를 지나가는 공기에서 열이 냉매로 전달되어, 공기 중의 수분은 냉각 및 응축되어 응축수로 되고, 공기는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한 공기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증발기(132)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응축수 보관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132)의 하부에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통(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집수통은 배관 등을 통하여 증발기(132)에 인접하여 위치된 응축수 보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발기(132)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먼저 집수통에 모이게 되고, 이어서 배관을 통해 응축수 보관부에 집수될 수 있다. 응축수 보관부는 집수된 응축수를 배수관을 통해 캐비넷(120)의 외부로 버리거나, 또는 응축수 보관부가 캐비넷(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응축수 보관부를 분리하여 응축수를 버리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증발기(132)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공기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증발기(132)의 냉매에는 잠열이 저장될 수 있다. 즉,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됨에 따라 증발기(132) 내부의 냉매는 기화되어 잠열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냉매 중에 포함된 잠열은 후술하는 응축기(136)로 전달되어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36)는 냉매배관(139, 도 3 참조)에 의해 증발기(132) 및 압축기(134)와 연결된다. 따라서, 증발기(132)에서 잠열을 포함한 냉매는 냉매배관(139)을 통해 압축기(134)를 거쳐 응축기(136)로 공급되며, 응축기(136)에서 냉매는 응축되면서 잠열을 방출하여 응축기(136)를 관통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소정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132)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공기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수분의 응축에 의해 발생하는 잠열을 냉매를 통해 응축기(136)로 전달하게 되며, 응축기(136)는 냉매를 응축시켜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132)와 응축기(136)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는 하나의 공기유로(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히트펌프(130)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132)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건조되며, 이어서 압축기(134)를 거쳐 응축기(136)에서 가열되어 드럼(1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공기유로(A)가 형성되면, 드럼(120)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건조한 상태이기 때문에, 건조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것뿐만 아니라,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히프펌프(130)가 캐비넷(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트펌프(130)의 증발기(132), 압축기(134) 및 응축기(136)는 공기유로(A)를 따라 일렬로 직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히트펌프(130)의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조립 및 분해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32) 내에는 공기가 공기유로(A)를 통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팬(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히트펌프(130)에 케이스(140)가 구비된 경우의 공기유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케이스(140)가 구비되지 않고 캐비넷(110)의 일측에 상기 히트펌프(130)의 구성요소가 각각 설치되는 경우에는 증발기(132)와 응축기(136)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별도의 덕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히트펌프(130)에 의해 공기를 건조시키고 가열하여 드럼(120)으로 공급하는 경우에 응축기(136)에 의해서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공기의 온도가 히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건조기에 비해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40)의 말단부에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히터는 가스식 버너 또는 전기식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말단부에 히터를 구비하게 되면, 히트펌프(130)의 응축기(136)에 의해 건조되고 가열된 공기를 히터에 의해 다시 가열하여 원하는 온도로 드럼(120)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공기는 응축기(136)에 의해 예열되고 히터에 의해 가열되게 되므로, 히터에 걸리는 로드(load)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즉, 히터에서 종래에 비하여 더 적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기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나아가 소형 히터에 의해서도 가열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히트펌프(130)의 증발기(132)와 응축기(136)를 따라 하나의 공기유로(A)가 형성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증발기와 응축기를 따라 각각 별도의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증발기(132)로 유입된 공기 중에서 수분을 응축시켜 잠열을 저장하고 공기는 다시 히트펌프(130)의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잠열을 냉매를 통해 응축기(136)로 전달하여 별도의 공기유로를 통해 응축기(136)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120)으로 공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히트펌프(130)를 구비하게 되면, 하나의 장치에 의해 공기를 가열 및 제습할 수 있지만, 종래의 가스식 버너 또는 전기식 히터를 구비한 건조기에 비하여 소음 및 진동이 커질 수 있다. 즉, 히트펌프(130)의 압축기(134)가 구동하는 경우에 구동소음 및 진동에 의해 건조기의 소음 및 진동이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소음 및 진동의 증가는 사용자로 하여금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심야에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과다 소음 및 진동은 사용자로 하여금 건조기의 사용을 꺼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조기의 소음 및 진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압축기의 구동 진동 및 소음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히트펌프(130)는 압축기(134)를 구비하게 된다. 그런데, 히트펌프(130)의 구동 초기에 증발기(132)에서 냉매가 공기와 충분히 열교환을 하지 못하여 모두 기화되지 못하고 액체 상태의 냉매가 압축기(134)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 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경우에 압축기의 고장 및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를 구비한 건조기의 경우에 초기 기동 시에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서는 히트펌프를 구비하는 경우에 가변형 압축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형 압축기라 함은 압축기가 구동하는 경우에 구동속도(hz)가 고정되는 타입이 아니라, 구동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압축기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구동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압축기의 소음 및 진동을 줄이고 압축기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가변형 압축기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주요 인자로는 냉매에 대한 온도정보가 있다. 이러한 냉매의 온도정보는 응축기의 냉매 응축 온도, 증발기의 냉매 증발 온도, 응축기의 토출 냉매 온도, 증발기의 유입 및 토출 냉매 온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건조기의 제어부는 상기와 같은 냉매에 대한 온도정보를 바탕으로 압축기의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온도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히트펌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히트펌프(130)는 냉매배관(139)에 의해 연결된 증발기(132), 압축기(134), 응축기(136) 및 팽창밸브(138)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전술한 온도 정보들을 감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온도 정보 중에서 응축기의 토출 냉매 온도, 증발기의 유입 및 토출 냉매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에 응축기의 냉매 토출구, 증발기의 냉매 유입구 및 토출구에 각각 온도센서(222, 212, 214)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응축기의 토출 냉매 온도, 증발기의 유입 및 토출 냉매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에 온도센서(222, 212, 214)의 위치가 온도의 감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지만, 응축기의 냉매 응축 온도와 증발기의 냉매 증발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의 위치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즉, 응축기와 증발기에서 냉매의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응축기와 증발기의 내부의 냉매 라인에서 상변화가 발생하는 라인을 따라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32)에서 냉매의 상변화 온도, 즉 냉매의 증발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1 온도센서(2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온도센서(210)는 증발기(132)에서 냉매의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132)의 내부를 따라 구비된 냉매배관에서 대략 중앙부, 즉 냉매배관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 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증발기(132)의 대략 냉매배관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 부근에서 상변화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냉매의 상변화가 증발기(132)의 냉매배관을 따라 냉매 유입구 또는 토출구에 치우쳐서 발생하게 되면 냉매가 충분히 공기와 열교환을 하지 못하게 되어 히트펌프(130)의 전체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결국, 냉매의 상변화는 증발기(132)의 냉매배관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제1 온도센서(210)는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증발기(132)의 냉매배관의 길이를 따라 가운데 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응축기(136)에서 냉매의 상변화 온도, 즉 냉매의 응축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 온도센서(2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온도센서(220)는 응축기(136)에서 냉매의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136)의 내부를 따라 구비된 냉매배관에서 대략 중앙부, 즉 냉매배관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 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응축기(136)의 대략 냉매배관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 부근에서 상변화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냉매의 상변화가 응축기(136)의 냉매배관을 따라 냉매 유입구 또는 토출구에 치우쳐서 발생하게 되면 냉매가 충분히 공기와 열교환을 하지 못하게 되어 히트펌프(130)의 전체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결국, 냉매의 상변화는 응축기(136)의 냉매배관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제2 온도센서(220)는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응축기(136)의 냉매배관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 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Claims (5)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트펌프; 및
    상기 드럼 및 히트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가변형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냉매의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되,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증발기의 냉매라인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트펌프; 및
    상기 드럼 및 히트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가변형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냉매의 상변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되,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응축기의 냉매라인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삭제
KR1020100039373A 2010-04-28 2010-04-28 건조기 KR10117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373A KR101176087B1 (ko) 2010-04-28 2010-04-28 건조기
RU2012150848/12A RU2507328C1 (ru) 2010-04-28 2011-04-28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11775297.2A EP2565322B1 (en) 2010-04-28 2011-04-28 Control method of dryer
EP11775300.4A EP2565320B1 (en) 2010-04-28 2011-04-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180020976.XA CN102869826B (zh) 2010-04-28 2011-04-28 衣物处理装置
AU2011245858A AU2011245858B2 (en) 2010-04-28 2011-04-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1/003171 WO2011136593A2 (ko) 2010-04-28 2011-04-28 건조기의 제어방법
CN2011800209774A CN102859063A (zh) 2010-04-28 2011-04-28 干燥机的控制方法
US13/096,395 US20110280736A1 (en) 2010-04-28 2011-04-28 Control method of dryer
RU2012150857/12A RU2529108C2 (ru) 2010-04-28 2011-04-28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ушилкой
US13/096,444 US8695230B2 (en) 2010-04-28 2011-04-28 Control method of dryer
CN201180008457.1A CN102762791B (zh) 2010-04-28 2011-04-28 烘干机的控制方法
PCT/KR2011/003174 WO2011136595A2 (ko) 2010-04-28 2011-04-28 의류 처리장치
AU2011245856A AU2011245856B2 (en) 2010-04-28 2011-04-28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ryer
US13/096,402 US20110277334A1 (en) 2010-04-28 2011-04-28 Cloth treating apparatus
PCT/KR2011/003169 WO2011136592A2 (ko) 2010-04-28 2011-04-28 건조기의 제어방법
EP11775298.0A EP2565323B1 (en) 2010-04-28 2011-04-28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ryer
AU2011245855A AU2011245855B2 (en) 2010-04-28 2011-04-28 Control method of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373A KR101176087B1 (ko) 2010-04-28 2010-04-28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40A KR20110119940A (ko) 2011-11-03
KR101176087B1 true KR101176087B1 (ko) 2012-08-24

Family

ID=4539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373A KR101176087B1 (ko) 2010-04-28 2010-04-28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170B1 (ko) * 2012-10-22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효율이 표시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에너지 효율 표시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066A (ja) * 2004-10-21 2006-05-11 Toshiba Corp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066A (ja) * 2004-10-21 2006-05-11 Toshiba Corp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40A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96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13962B1 (ko)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U201124585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ryer
US98348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 pump based clothes dryer
CN103774402B (zh) 洗衣机
KR101224053B1 (ko) 히트펌프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운전방법
US20110277334A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2009278B1 (ko)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JP4976965B2 (ja) 衣類乾燥機
JP2007175528A (ja) 洗濯乾燥機
EP2599912A1 (en) Heat pump laundry drying appliance
JP2008048810A (ja) 衣類乾燥装置
US8863405B2 (en) Clothes dryer
KR100896286B1 (ko) 건조기
JP4384203B2 (ja) 衣類乾燥機
EP2554740B1 (en) Dry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319028B2 (ja) 衣類乾燥機
JP2006087484A (ja) 洗濯乾燥機
KR10111912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110029579A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및 히트펌프식 건조기 제어방법
JP2011087623A (ja) 衣類乾燥機
JP4690936B2 (ja) 衣類乾燥機
KR101176087B1 (ko) 건조기
JP2008000195A (ja) 衣類乾燥機
JP6092004B2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