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791B1 -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791B1
KR101175791B1 KR1020100028782A KR20100028782A KR101175791B1 KR 101175791 B1 KR101175791 B1 KR 101175791B1 KR 1020100028782 A KR1020100028782 A KR 1020100028782A KR 20100028782 A KR20100028782 A KR 20100028782A KR 101175791 B1 KR101175791 B1 KR 101175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crap
rolling equipment
rolling
coll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175A (ko
Inventor
이현범
이주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79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로 제품을 절단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크랩이 수납되는 배스킷; 상기 배스킷을 회전시켜 상기 배스킷에 수납된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구속하여 상기 배스킷을 이동할 때에 상기 배스킷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배스킷의 회전 정도를 제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SCRAP REMOVING APPARATUS FOR HOT ROLL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압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로 제품을 절단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선(製銑)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생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기로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압연이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빌릿 등을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크게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으로 나뉜다.
이러한 압연공정을 행하는 압연장치는 다수 개의 워크롤러가 연속되게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이 워크롤러를 통과하면서 연속적인 압연공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압연공정 중간이나 압연공정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절단공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용이하게 수집하고 운반할 수 있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크랩이 수납되는 배스킷; 상기 배스킷을 회전시켜 상기 배스킷에 수납된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구속하여 상기 배스킷을 이동할 때에 상기 배스킷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배스킷의 회전 정도를 제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스킷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편; 및 상기 유동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동편에 형성되는 안착홈부; 및 상기 안착홈부에 대향되게 상기 배스킷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배스킷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배스킷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회전축을 덮고 상기 유동편이 출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크롭샤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을 상기 커버 외측으로 안내하는 경사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유동편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상기 구속부재의 꼭짓점이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는 작업자가 크롭샤 근처에 접근하지 않고 스크랩을 수거할 수 있으므로 스크랩 수거작업 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는 고온의 작업 대상물이 통과된 후에 작업 대상물의 샘플이 배스킷에 떨어지기 전에 작업 대상물의 샘플을 수집할 수 있으므로 파손되지 않은 샘플을 안전하게 수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구동부 및 고정부 장착구조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구동부 및 고정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배스킷 안착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유동편 탈거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스크랩 배출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샘플검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샘프검출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구동부 및 고정부 장착구조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구동부 및 고정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는 다수개의 워크롤러가 연속되게 설치되므로 워크롤러를 지나는 작업 대상물의 두께나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면서 강판이나 선재의 제품을 이루게 된다.
또한, 압연설비에는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12)가 구비되어 두께나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작업 대상물을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여기서, 크롭샤(12)는 스탠드(10)에 설치되는 가이드(14)의 일부분이 절개된 부위에 설치되므로 가이드(14)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이 크롭샤(12)를 통과하게 되는데, 크롭샤(12)가 구동되면 작업 대상물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고온의 작업 대상물이 절단된다.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된 작업 대상물은 절단작업에 의해 단부가 소정량 변형되는데, 변형된 단부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완성된 제품의 품질을 높이게 된다.
이렇게 제품의 단부를 절단하여 발생되는 스크랩은 전기로로 옮겨져 다시 제선, 제강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스크랩의 용이한 수거를 위하여 스크랩 수거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는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12)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크랩이 수납되는 배스킷(71)과, 배스킷(71)을 회전시켜 배스킷(71)에 수납된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구동부(72)와, 구동부(72)를 구속하여 배스킷(71)을 이동할 때에 배스킷(71)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75)와, 배스킷(71)의 회전 정도를 제한하는 구속부(80)를 포함한다.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여 발생되는 스크랩은 크롭샤(12)의 하측으로 떨어져 배스킷(71) 내부에 수납되고, 배스킷(71)을 옮긴 후에 작업자가 고정부(75)로부터 구동부(72)를 분리시키면 배스킷(71)이 회전되면서 배스킷의 개구부가 하측 방향을 향하면서 배스킷에 수납된 스크랩이 쏟아지게 된다.
배스킷(71)은 상면이 개방된 수납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각각 회전축(76)이 구비된다.
구동부(72)는 수직 방향으로 긴 슬라이딩 홀부(78)가 형성되어 배스킷(71)의 회전축(76)에 회전 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유동편(72a)과, 유동편(7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걸림고리(74)가 형성되는 지지대(7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유동편(72a)은 각각의 상단이 지지대(73)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대(73)의 중앙에는 배스킷(71)을 기중기에 의해 상승시킬 수 있도록 걸림고리(74)가 형성된다.
고정부(75)는 유동편(72a)에 형성되는 안착홈부(75b)와, 안착홈부(75b)에 대향되게 배스킷(71)에 형성되는 고정돌기(75a)를 포함한다.
걸림고리(74)에 기중기를 연결하여 배스킷(71)을 상승시키면 유동편(72a)이 상승하면서 회전축(76)이 슬라이딩 홀부(78)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고정돌기(75a)가 안착홈부(75b)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유동편(72a)이 고정돌기(75a)에 의해 구속되므로 배스킷(71)을 이동시키는 동안 배스킷(71) 내부에 스크랩이 수납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배스킷 안착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유동편 탈거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스크랩 배출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배스킷(71)에 스크랩이 수납된 상태로 이동된 후에 스크랩 적재 장소에서 배스킷(71)을 하강시켜 배스킷(71)이 바닥면과 닿게 되면 유동편(72a)이 회전축(76)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후에 기중기를 구동시켜 고정돌기(75a)와 안착홈부(75b)를 이격시킨 후에 배스킷(71)을 상승시키면 유동편(72a)이 상승할 때에 배스킷(71)은 회전축(76)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배스킷(71) 내부에 수납된 스크랩이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고정돌기(75a)는 배스킷(71)의 상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회전축(76)은 배스킷(71)의 하측 후방으로 편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기중기를 걸림고리(74)에 걸어 배스킷(71)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승시키면 안착홈부(75b)가 고정돌기(75a)에 걸려 배스킷(71)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상승되고, 기중기를 배스킷(71)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승시키면 안착홈부(75b)가 고정돌기(75a)에 걸리지 않으므로 배스킷(71)이 회전축(76)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스킷(71)에는 고정돌기(75a)와 회전축(76)을 덮고 유동편(72a)이 출몰되는 커버(77)가 설치되므로 유동편(72a)을 배스킷(71)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승시킬 때에 유동편(72a)이 커버(77)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안착홈부(75b)가 고정돌기(75a)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유동편(72a)이 배스킷(71)의 측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안착홈부(75b)가 고정돌기(75a)에 걸리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77)의 상단에는 크롭샤(12)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을 커버(77) 외측으로 안내하는 경사플레이트(77a)가 설치되므로 작업 대상물을 절단할 때 발생되는 이물질이 커버(77)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속부(80)는 지지대(73)에 설치되는 수평플레이트(82)와, 수평플레이트(82)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유동편(72a)에 설치되어 수평플레이트(82)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재(84)를 포함한다.
지지대(73)는 한 쌍의 유동편(72a) 상단을 연결하는 봉 모양으로 형성되어 유동편(72a)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지지대(73) 하단에 수평플레이트(82)가 설치되고, 수평플레이트(82)와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속부재(84)가 유동편(72a)에 설치된다.
따라서 유동편(72a)이 지지대(73)를 중심으로 전방이나 후방으로 회전될 때에 수평플레이트(82)가 구속부재(84)와 간섭되므로 유동편(72a)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렇게 유동편(72a)이 지지대(73)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으면 배스킷(71)에 스크랩이 수납된 상태로 이동할 때에 배스킷(71)이 유동편(72a)의 회전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배스킷(71) 이동 중에 스크랩이 배스킷(71)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구속부재(84)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수평플레이트(82)의 중앙부에 구속부재(84)의 꼭짓점이 대향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배스킷(7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꼭짓점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사면이 수평플레이트(82)에 간섭되고, 배스킷(7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꼭짓점의 타측에 배치되는 경사면이 수평플레이트(82)에 간섭되므로 배스킷(71)의 양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샘플검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샘프검출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완성된 제품의 두께나 지름이 구매자가 원하는 두께나 지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되는 단부를 채취하여 샘플검사를 행하기 위해 샘플검출부(50)가 설치된다.
샘플검출부(50)는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되는 이물질을 안내하는 배출가이드(16)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패널(52)과, 차단패널(52)을 유동시키는 작동부(54)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압연장치가 구동되면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작업 대상물이 다수 개의 워크롤러를 지나면서 단계적으로 두께 및 지름이 작아지도록 압연공정이 진행되어 강판이나 선재의 제품이 완성된다.
이렇게 제작되는 제품의 두께나 지름이 원하는 수치를 이룰 수 있도록 압연공정 중간이나 압연공정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의 일부분을 채취하여 두께 또는 지름을 검사하는 샘플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샘플검사가 개시되면 작동부(54)에 의해 차단패널(52)이 유동되어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된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배출가이드(16)를 따라 배출되지 않고 차단패널(52)에 의해 수납된다.
이렇게 차단패널(52)에 의해 수납된 샘플을 고온으로 가열된 작업 대상물이 이송된 후에 작업자가 채취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대상물의 샘플 채취를 행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작동부(54)는 배출가이드(16)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차단패널(52)이 연결되는 회전축(54a)과, 회전축(54a)에 구비되는 드럼(54c)과, 드럼(54c)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실린더(54b)를 포함한다.
이로써, 작업자가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실린더(54b)로부터 암이 돌출되어 드럼(54c)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회전축(54a)에 연결된 차단패널(52)이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출가이드(16)로부터 절곡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배출가이드(16)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샘플은 배출가이드(16)와 차단패널(52) 사이에 구비되는 절곡부위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압연장치가 구동되어 가열장치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작업 대상물이 가이드를 따라 워크롤러에 공급되고, 작업 대상물이 다수 개의 워크롤러를 지나면서 두께나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면서 압연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수 개의 워크롤러를 지나면서 단계적으로 두께나 지름이 작아진 작업 대상물은 크롭샤(12)의 구동에 의해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되는데, 소정량 변형되는 절단부위는 다시 일정 길이만큼 절단되어 배출가이드(16)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가이드(16)에 의해 떨어지는 스크랩은 배스킷(71)에 수납되고, 스크랩과 함께 커버(77) 측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은 경사플레이트(77a)에 의해 배스킷(71) 외측으로 안내되므로 커버(77)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스킷(71)에 소정치 이상의 스크랩이 수납되면 걸림고리(74)에 기중기를 연결하여 배스킷(71)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기중기에 의해 상승되는 유동편(72a)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승시켜 고정돌기(75a)가 안착홈부(75b) 내측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배스킷(71) 및 유동편(72a)이 구속되어 배스킷(71) 내부에 스크랩이 수납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기중기에 의해 배스킷(71)이 이송될 때에는 안착홈부(75b)와 고정돌기(75a)에 의해 유동편(72a)이 회전축(76)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수평플레이트(82)와 구속부재(84)에 의해 지지대(73)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유동편(72a)의 회전 각도가 소정치 이하로 제한되므로 배스킷(71) 이송 중에 스크랩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크랩을 모으는 장소 또는 차량까지 배스킷(71)을 이동시킨 후에 배스킷(71)을 하강시켜 지면이나 차량의 바닥면에 안착시키면 유동편(72a)이 하강하면서 고정돌기(75a)로부터 안착홈부(75b)가 분리된다.
이후에 기중기를 배스킷(71)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돌기(75a)와 안착홈부(75b)가 이격되게 하고, 배스킷(71)을 상승시키면 유동편(72a)이 상승하면서 배스킷(71)을 회전축(76)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배스킷(71) 내부의 스크랩이 하측 방향으로 쏟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압연공정 중에 발생되는 스크랩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연공정이 장기간 동안 진행되면 워크롤러의 마모나 워크롤러 사이의 발생되는 유격에 의해 완성된 제품의 두께나 지름이 구매자가 원하는 수치로 정밀하게 가공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된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채취하여 샘플검사를 행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작동부(54)에 의해 차단패널(52)이 회전되면서 배출가이드(16)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배치되므로 배출가이드(16)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는 샘플이 배출가이드(16)와 차단패널(52)의 절곡부위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배출가이드(16)와 차단패널(52)의 절곡부위에 샘플이 걸리게 되면 작업자는 고온의 작업 대상물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삽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배출가이드(16)와 차단패널(52)의 절곡부위로부터 샘플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절단공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용이하게 수집하고 운반할 수 있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압연설비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스크랩 수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스탠드 50 : 샘플검출부
52 : 차단패널 54 : 작동부
70 : 수거장치 71 : 배스킷
72 : 구동부 72a : 유동편
73 : 지지대 74 : 걸림고리
75 : 고정부 75a : 고정돌기
75b : 안착홈부 80 : 구속부
82 : 수평플레이트 84 : 구속부재

Claims (8)

  1.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크랩이 수납되는 배스킷;
    상기 배스킷을 회전시켜 상기 배스킷에 수납된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구속하여 상기 배스킷을 이동할 때에 상기 배스킷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배스킷의 회전 정도를 제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스킷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편; 및
    상기 유동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동편에 형성되는 안착홈부; 및
    상기 안착홈부에 대향되게 상기 배스킷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배스킷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배스킷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회전축을 덮고 상기 유동편이 출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크롭샤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을 상기 커버 외측으로 안내하는 경사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유동편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상기 구속부재의 꼭짓점이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KR1020100028782A 2010-03-30 2010-03-30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KR101175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782A KR101175791B1 (ko) 2010-03-30 2010-03-30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782A KR101175791B1 (ko) 2010-03-30 2010-03-30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175A KR20110109175A (ko) 2011-10-06
KR101175791B1 true KR101175791B1 (ko) 2012-08-21

Family

ID=4502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782A KR101175791B1 (ko) 2010-03-30 2010-03-30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03B1 (ko) 2008-11-27 2011-07-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03B1 (ko) 2008-11-27 2011-07-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175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303B1 (ko)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KR101175791B1 (ko)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KR101344309B1 (ko)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JP3025432B2 (ja) 湯口系部位除去装置
KR101225730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320127B1 (ko) 압연기용 윤활유 정화장치
KR20130023677A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82461B1 (ko) 슬라브 버 제거장치
KR101148949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KR101225726B1 (ko) 코크스 불출장치
KR101267607B1 (ko) 압연제품용 불량품 처리장치
KR101099682B1 (ko) 고로 출선구용 지지장치
JP5748943B2 (ja) 鋳片の研削方法
KR20100046861A (ko) 압연장치용 샘플검출장치
KR200460060Y1 (ko) 철근 압연용 가이드 장치
KR101411855B1 (ko) 연원료 공급장치
KR101109477B1 (ko) 경주통용 진입장치
KR100815779B1 (ko) 자동 크롭제거 트로프를 갖는 선재 가이드장치
KR20110120453A (ko)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KR101193879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101225727B1 (ko) 코크스 불출장치
KR101490524B1 (ko) 주형 보호장치
KR101140848B1 (ko) 선재 측정장치용 커버
KR101424442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051294B1 (ko) 열간압연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