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442B1 - 연원료 불출장치 - Google Patents

연원료 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442B1
KR101424442B1 KR1020120135734A KR20120135734A KR101424442B1 KR 101424442 B1 KR101424442 B1 KR 101424442B1 KR 1020120135734 A KR1020120135734 A KR 1020120135734A KR 20120135734 A KR20120135734 A KR 20120135734A KR 101424442 B1 KR101424442 B1 KR 10142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leaning member
hopper
cylin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8369A (ko
Inventor
이태연
신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44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고로부터 떨어지는 연원료를 벨트컨베이어로 안내하는 호퍼와, 호퍼로부터 저장고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소부재와, 청소부재가 저장고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청소부재를 출몰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원료 불출장치 {RECLAIMER FOR FUEL AND RAW MATERIAL}
본 발명은 연원료 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원료 불출작업이 종료된 후에 저장고에 연원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원료 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제선공정은 고로에서 이루어지는데, 고로에 장입되는 연료 또는 원료는 야적장에 설치되는 선형 저장고 또는 원형 저장고에 보관된다.
연원료의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저장고에 설치된 연원료 불출장치의 작동에 의해 저장고 외부로 연원료가 배출되어 차량 또는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56054호(2009년 6월 3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제철 원료의 적치 및 불출시스템과 적치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연원료 불출작업이 종료된 후에 저장고에 연원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원료 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고로부터 떨어지는 연원료를 벨트컨베이어로 안내하는 호퍼;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저장고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소부재; 및 상기 청소부재가 상기 저장고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청소부재를 출몰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호퍼는 상기 저장고에 대향되도록 구동휠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고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원료를 상기 호퍼 측으로 이동시키는 리클레이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저장고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루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청소부재를 상기 저장고 측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및 상기 호퍼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청소부재를 상기 저장고 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실린더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제2실린더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며, 상기 본체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실린더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는, 연원료 불출작동이 완료된 후에 청소부재에 저장고에 잔존하는 연원료를 벨트컨베이어 측으로 떨어뜨리므로 다음의 불출작업에 의해 공급되는 연원료에 잔존하는 다른 종류의 연원료가 혼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고에 잔존하는 연원료가 떨어지면서 발생되는 불출장치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의 청소부재 및 구동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의 청소부재 일측 이동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의 청소부재 타측 이동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의 청소부재 및 구동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의 청소부재 일측 이동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의 청소부재 타측 이동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는, 저장고(10)로부터 떨어지는 연원료를 벨트컨베이어(12)로 안내하는 호퍼(14)와, 호퍼(14)로부터 저장고(10)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소부재(50)와, 청소부재(50)가 저장고(10)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청소부재(50)를 출몰시키는 구동부(70)를 포함한다.
연원료 불출작동이 개시되면 저장고(10)에서 떨어지는 연원료가 호퍼(14)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벨트컨베이어(12)에 안착되고, 벨트컨베이어(12)의 작동에 의해 연원료가 이송된다.
이러한 연원료 불출작동이 완료되면 본 실시예는 구동부(70)의 작동에 의해 청소부재(50)가 저장고(10) 측으로 돌출되고, 청소부재(50)가 저장고(10)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저장고(10)의 출구 측에 잔존하는 연원료가 벨트컨베이어(12) 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호퍼(14)는 저장고(10)에 대향되도록 구동휠(36)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30)에 설치되고, 본체(30)에는 저장고(10)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원료를 호퍼(14) 측으로 이동시키는 리클레이머(32)가 설치된다.
구동휠(36)의 회전에 의해 본체(30)가 저장고(10)에 대향되게 이동된 후에 리클레이머(32)의 구동에 의해 저장고(10)에 누적된 연원료가 벨트컨베이어(12) 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청소부재(50)의 하단에는 저장고(10)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루버(52)가 설치된다.
따라서 청소부재(50)가 저장고(1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이동될 때에 루버(52)가 변형되면서 저장고(10)와 청소부재(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동부(70)는, 호퍼(14)의 일측에 설치되고, 청소부재(50)를 저장고(10) 측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72)와, 호퍼(14)의 타측에 설치되고, 청소부재(50)를 저장고(10) 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74)를 포함한다.
본체(30)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실린더(72)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고, 제2실린더(7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며, 본체(30)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실린더(74)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고, 제1실린더(72)로부터 로드가 돌출된다.
따라서 본체(30)가 이동되는 방향에 배치된 청소부재(50)는 호퍼(14) 외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어 저장고(10)의 내벽과 청소부재(5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동휠(36)에는 구동휠(36)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82)가 설치되고, 구동휠(36)이 회전하면 회전신호를 제어부(80)로 송신하므로 제어부(80)로부터 작동신호가 송신되면 본체(30)가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설치된 실린더로부터 로드가 돌출된다.
이때, 본체(30)가 이동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에 설치되는 실린더는 로드가 삽입되면서 청소부재(50)가 호퍼(14) 외벽에 밀착되게 배치시킨다.
미설명 부호 34는 본체(30)로부터 연장되고, 구동휠(36)이 설치되는 지지대(34)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불출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원료 불출작동이 개시되면 구동휠(36)의 작동에 의해 본체(30), 호퍼(14) 및 리클레이머(32)가 저장고(10)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리클레이머(32)의 작동에 의해 연원료가 하측 방향으로 떨어져 벨트컨베이어(12)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후에, 벨트컨베이어(12)의 작동에 의해 연원료가 다음의 공정으로 이송된다.
연원료 불출작동이 완료되면 본체(3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왕복운동을 행하면서 저장고(10) 바닥면에 잔존하는 연원료를 벨트컨베이어(12) 측으로 떨어뜨린다.
이때, 본체(30)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실린더(72)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고, 제2실린더(74)로부터 로드가 돌출된다.
또한, 본체(30)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실린더(7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고, 제2실린더(74) 내부로 로드가 삽입된다.
따라서 본체(30)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청소부재(50)에 의해 저장고(10) 바닥면에 잔존하는 연원료를 벨트컨베이어(12) 측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연원료 불출작동이 완료된 후에 청소부재(50)에 저장고(10)에 잔존하는 연원료를 벨트컨베이어(12) 측으로 떨어뜨리므로 다음의 불출작업에 의해 공급되는 연원료에 잔존하는 다른 종류의 연원료가 혼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고(10)에 잔존하는 연원료가 떨어지면서 발생되는 불출장치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연원료 불출작업이 종료된 후에 저장고(10)에 연원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원료 불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연원료 불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연원료 불출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불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저장고 12 : 벨트컨베이어
14 : 호퍼 30 : 본체
32 : 리클레이머 34 : 지지대
36 : 구동휠 50 : 청소부재
52 : 루버 70 : 구동부
72 : 제1실린더 74 : 제2실린더
80 : 제어부 82 : 회전감지센서

Claims (5)

  1. 저장고로부터 떨어지는 연원료를 벨트컨베이어로 안내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소부재; 및
    상기 호퍼와 상기 청소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청소부재가 상기 저장고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청소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저장고에 대향되도록 구동휠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고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원료를 상기 호퍼 측으로 이동시키는 리클레이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불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저장고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루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불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청소부재를 상기 저장고 측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및
    상기 호퍼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청소부재를 상기 저장고 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불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실린더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제2실린더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며, 상기 본체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실린더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불출장치.
KR1020120135734A 2012-11-28 2012-11-28 연원료 불출장치 KR10142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734A KR101424442B1 (ko) 2012-11-28 2012-11-28 연원료 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734A KR101424442B1 (ko) 2012-11-28 2012-11-28 연원료 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369A KR20140068369A (ko) 2014-06-09
KR101424442B1 true KR101424442B1 (ko) 2014-08-01

Family

ID=5112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734A KR101424442B1 (ko) 2012-11-28 2012-11-28 연원료 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4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783U (ko) * 1996-12-16 1998-09-15 김종진 슈트의 슬라이딩 라이너장치
KR20010111229A (ko) * 2000-06-09 2001-12-17 이구택 언로더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크리너 자동조정 장치
KR20060071719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포스코 트립퍼 슈트 오버 플로우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783U (ko) * 1996-12-16 1998-09-15 김종진 슈트의 슬라이딩 라이너장치
KR20010111229A (ko) * 2000-06-09 2001-12-17 이구택 언로더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크리너 자동조정 장치
KR20060071719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포스코 트립퍼 슈트 오버 플로우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369A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121B1 (ko) 연원료 불출장치
EP24527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inoculants into a flow of molten metal and automatic molten metal pouring machine
US20140209516A1 (en) Magnetic separator with dynamic baffle system
KR101424442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435069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20130047796A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225780B1 (ko) 연원료 이송장치
JP5450807B2 (ja) 素材速度測定装置
KR101424470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20130023677A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20951A (ko) 연원료 불출기용 분쇄장치
KR101267607B1 (ko) 압연제품용 불량품 처리장치
KR101424443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368866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237068B1 (ko) 연원료 불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91540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344322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267596B1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5062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225714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424428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355516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424465B1 (ko) 연원료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77509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368274B1 (ko) 연원료 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