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303B1 -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303B1
KR101051303B1 KR1020080118513A KR20080118513A KR101051303B1 KR 101051303 B1 KR101051303 B1 KR 101051303B1 KR 1020080118513 A KR1020080118513 A KR 1020080118513A KR 20080118513 A KR20080118513 A KR 20080118513A KR 101051303 B1 KR101051303 B1 KR 10105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crap
collection device
rolling
rolling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076A (ko
Inventor
김봉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3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2Piling, unpiling, unscra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14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transversely to the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78Extrud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로 제품을 절단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의 하측에 배치되어 스크랩이 수납되는 배스킷; 상기 배스킷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스킷에 수납된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배스킷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유동을 구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118513
제선, 제강, 스크랩, 압연, 배스킷

Description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SCRAP REMOVING APPARATUS FOR HOT ROLL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압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로 제품을 절단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철, 제선(製銑)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생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기로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압연이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빌릿 등을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크게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으로 나뉜다.
이러한 압연공정을 행하는 압연장치는 다수 개의 워크롤러가 연속되게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이 워크롤러를 통과하면서 연속적인 압연공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압연공정 중간이나 압연공정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설비는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수납하여 운반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기 때문에 절단공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스크랩을 작업자가 직접 수집하여 운반해야 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절단공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용이하게 수집하고 운반할 수 있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의 하측에 배치되어 스크랩이 수납되는 배스킷; 상기 배스킷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스킷에 수납된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배스킷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유동을 구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스킷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홀부가 구비되는 유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스킷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편에 구비 되는 안착홈부에 걸리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스킷의 저면을 이루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닥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스킷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닥패널의 체결홀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는 바스켓에 유동편이 고정 또는 유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스크랩을 안정되게 이동하고, 스크랩을 바스켓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시키므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고온의 스크랩을 수거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유동편 탈거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스크랩 배출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의 샘플검출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의 샘플검출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는 다수개의 워크롤러가 연속되게 설치되므로 워크롤러를 지나는 작업 대상물의 두께나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면서 강판이나 선재의 제품을 이루게 된다.
또한, 압연설비에는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12)가 구비되어 두께나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작업 대상물을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여기서, 크롭샤(12)는 스탠드(10)에 설치되는 가이드(14)의 일부분이 절개된 부위에 설치되므로 가이드(14)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이 크롭샤(12)를 통과 하게 되는데, 크롭샤(12)가 구동되면 작업 대상물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고온의 작업 대상물이 절단된다.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된 작업 대상물은 절단작업에 의해 단부가 소정량 변형되는데, 변형된 단부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완성된 제품의 품질을 높이게 된다.
이렇게 제품의 단부를 절단하여 발생되는 스크랩은 전기로로 옮겨져 다시 제선, 제강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스크랩의 용이한 수거를 위하여 스크랩 수거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70)는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스크랩이 수납되는 배스킷(71)과, 배스킷(71)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스킷(71)에 수납된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구동부(72)와, 배스킷(71)에 구비되어 구동부(72)의 유동을 구속하는 고정부(75)를 포함한다.
이로써, 작업 대상물이 절단되어 발생되는 스크랩은 크롭샤(12)의 하측으로 떨어져 배스킷(71) 내부에 수납되고, 배스킷(71)을 옮긴 후에 작업자가 고정부(75)로부터 구동부(72)를 분리시키면 배스킷(71)의 내부가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스크랩이 소정 공간으로 쏟아지게 된다.
여기서, 배스킷(71)은 상면이 개방된 수납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양측면에 각각 회전축(76)이 구비된다.
또한, 구동부(72)는 수직 방향으로 긴 슬라이딩 홀부(78)가 형성되어 배스 킷(71)의 회전축(76)에 회전 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유동편(72a)을 포함한다.
한 쌍의 유동편(72a)은 각각의 상단이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대의 중앙에는 배스킷(71)을 기중기에 의해 상승시킬 수 있도록 걸림고리(74)가 형성된다.
고정부(75)는 배스킷(71)에 구비되어 유동편(72a)에 구비되는 안착홈부(72b)에 걸리는 고정돌기(75a)를 포함하므로 걸림고리(74)에 기중기를 연결하여 배스킷(71)을 상승시키면 유동편(72a)이 상승하면서 회전축(76)이 슬라이딩 홀부(78)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고정돌기(75a)가 안착홈부(72b)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유동편(72a)이 고정돌기(75a)에 의해 구속되므로 배스킷(71)을 이동시키는 동안 배스킷(71) 내부에 스크랩이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고, 스크랩 적재 장소에서 배스킷(71)을 하강시켜 배스킷(71)이 바닥면과 닿게 되면 유동편(72a)이 회전축(76)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후에 기중기를 구동시켜 고정돌기(75a)와 안착홈부(72b)를 이격시킨 후에 배스킷(71)을 상승시키면 유동편(72a)이 상승할 때에 배스킷(71)은 회전축(76)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배스킷(71) 내부에 수납된 스크랩이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으로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되는 스크랩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성된 제품의 두께나 지름이 구매자가 원하는 두께나 지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되는 단부를 채취하여 샘플검사를 행하기 위해 샘플검출장치(50)가 구비된다.
압연장치용 샘플검출장치(50)는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되는 이물질을 안내하는 배출가이드(16)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패널(52)과, 차단패널(52)을 유동시키는 작동부(54)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압연장치가 구동되면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작업 대상물이 다수 개의 워크롤러를 지나면서 단계적으로 두께 및 지름이 작아지도록 압연공정이 진행되어 강판이나 선재의 제품이 완성된다.
이렇게 제작되는 제품의 두께나 지름이 원하는 수치를 이룰 수 있도록 압연공정 중간이나 압연공정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의 일부분을 채취하여 두께 또는 지름을 검사하는 샘플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샘플검사가 개시되면 작동부(54)에 의해 차단패널(52)이 유동되어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된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배출가이드(16)를 따라 배출되지 않고 차단패널(52)에 의해 수납된다.
이렇게 차단패널(52)에 의해 수납된 샘플을 고온으로 가열된 작업 대상물이 이송된 후에 작업자가 채취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대상물의 샘플 채취를 행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작동부(54)는 배출가이드(16)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차단패널(52)이 연결되는 회전축(54a)과, 회전축(54a)에 구비되는 드럼(54c)과, 드럼(54c)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실린더(54b)를 포함한다.
이로써, 작업자가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실린더(54b)로부터 암이 돌출되어 드럼(54c)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회전축(54a)에 연결 된 차단패널(52)이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출가이드(16)로부터 절곡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배출가이드(16)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샘플은 배출가이드(16)와 차단패널(52) 사이에 구비되는 절곡부위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샘플검출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연장치가 구동되면 가열장치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작업 대상물이 가이드를 따라 워크롤러에 공급되고, 작업 대상물이 다수 개의 워크롤러를 지나면서 두께나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면서 압연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수 개의 워크롤러를 지나면서 단계적으로 두께나 지름이 작아진 작업 대상물은 크롭샤(12)의 구동에 의해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되는데, 소정량 변형되는 절단부위는 다시 일정 길이만큼 절단되어 배출가이드(16)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가이드(16)에 의해 떨어지는 스크랩은 배스킷(71)에 수납되고, 배스킷(71)에 소정치 이상의 스크랩이 수납되면 걸림고리(74)에 기중기를 연결하여 배스킷(71)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기중기에 의해 상승되는 유동편(72a)을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켜 걸림돌기(75a)가 안착홈부(72b) 내측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배스킷(71) 및 유동편(72a)이 구속되어 배스킷(71) 내부에 스크랩이 수납된 상태가 유지된다.
스크랩을 모으는 장소 또는 차량까지 배스킷(71)이 이동된 후에 배스킷(71) 을 하강시켜 지면이나 차량의 바닥면에 안착시키면 유동편(72a)이 하강하면서 고정돌기(75a)로부터 안착홈부(72b)가 분리된다.
이후에 기중기를 소정량 이동시켜 고정돌기(75a)와 안착홈부(72b)가 이격되게 하고, 배스킷(71)을 상승시키면 유동편(72a)이 상승하면서 배스킷(71)이 회전축(7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배스킷(71) 내부의 스크랩이 하측 방향으로 쏟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압연공정 중에 발생되는 스크랩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연공정이 장기간 동안 진행되면 워크롤러의 마모나 워크롤러 사이의 발생되는 유격에 의해 완성된 제품의 두께나 지름이 구매자가 원하는 수치로 정밀하게 가공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롭샤(12)에 의해 절단된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채취하여 샘플검사를 행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작동부(54)에 의해 차단패널(52)이 회전되면서 배출가이드(16)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배치되므로 배출가이드(16)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는 샘플이 배출가이드(16)와 차단패널(52)의 절곡부위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배출가이드(16)와 차단패널(52)의 절곡부위에 샘플이 걸리게 되면 작업자는 고온의 작업 대상물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삽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배출가이드(16)와 차단패널(52)의 절곡부위로부터 샘플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구동부(172)는 배스킷(171)의 저면을 이루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닥패널(172a)을 포함하므로 스크랩이 수납된 배스킷(171)이 이동된 후에 고정부(175)를 해체하면 바닥패널(172a)이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스킷(171)에 수납된 스크랩이 하측 방향으로 쏟아지게 된다.
여기서, 고정부(175)는 배스킷(17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패널(172a)의 체결홀부(172b)에 삽입되는 고정핀(175a)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크랩이 수납된 배스킷(171)이 이동된 후에 작업자가 고정핀(175a)을 배스킷(171)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바닥패널(172a)이 회전되면서 배스킷(171) 내부가 개방된다.
이때, 작업자는 배스킷(171)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고정핀(175a)에 연결된 줄이나 막대를 당겨 고정핀(175a)의 분리를 행하므로 스크랩이 쏟아지면서 작업자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압연설비의 절단공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용이하게 수집하고 운반할 수 있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압연설비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수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유동편 탈거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의 스크랩 배출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의 샘플검출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의 샘플검출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탠드 50 : 샘플검출장치
52 : 차단패널 54 : 구동부
70 : 수거장치 71 : 배스킷
72 : 구동부 75 : 고정부

Claims (5)

  1.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의 하측에 배치되어 스크랩이 수납되는 배스킷;
    상기 배스킷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스킷에 수납된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배스킷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유동을 구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스킷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홀부가 구비되는 유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스킷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편에 구비되는 안착홈부에 걸리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4.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크롭샤의 하측에 배치되어 스크랩이 수납되는 배스킷;
    상기 배스킷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스킷에 수납된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배스킷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유동을 구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스킷의 저면을 이루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닥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스킷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닥패널의 체결홀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KR1020080118513A 2008-11-27 2008-11-27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KR10105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13A KR101051303B1 (ko) 2008-11-27 2008-11-27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13A KR101051303B1 (ko) 2008-11-27 2008-11-27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076A KR20100060076A (ko) 2010-06-07
KR101051303B1 true KR101051303B1 (ko) 2011-07-22

Family

ID=4236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513A KR101051303B1 (ko) 2008-11-27 2008-11-27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791B1 (ko) 2010-03-30 2012-08-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KR102452561B1 (ko) 2022-07-20 2022-10-07 백종훈 크롭 평량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02126A1 (de) * 2014-01-31 2015-08-05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obennahme von Metallbändern
CN105500106B (zh) * 2016-02-26 2017-12-19 苏州帝瀚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排屑杆的驱动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111B1 (ko) 2006-04-06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크롭 채취 및 평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111B1 (ko) 2006-04-06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크롭 채취 및 평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791B1 (ko) 2010-03-30 2012-08-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KR102452561B1 (ko) 2022-07-20 2022-10-07 백종훈 크롭 평량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076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464B1 (ko) 금속 스트립 생산용 설비 및 방법
KR101051303B1 (ko)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US3344844A (en) Apparatus for handling a curved continuous casting starting bar
KR101417230B1 (ko) 배치 및 연연속 압연 겸용 시스템 및 압연 방법
RU2750305C2 (ru) Способ бесконеч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смотанной горячекатаной полосы в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установке для разливки и прокатки, способ пуск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установки для разливки и прокатки и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разливки и прокатки
RU2747341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литейно-прокат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бесконеч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екатаной чистовой полосы
EP2168929A1 (en) Method for treating slag flowing from a metallurgical vessel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KR101175791B1 (ko) 압연설비용 스크랩 수거장치
KR101746981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PL180635B1 (pl) Sposób i urzadzenie do wymiany rury ciaglego odlewania w kadzi posredniej w stalowni PL PL PL
JP3025432B2 (ja) 湯口系部位除去装置
KR100685019B1 (ko) 열연정정코일라인에서 강판불량부 처리 및 샘플채취장치
JP4710213B2 (ja) 熱延鋼材の製造方法
KR101225726B1 (ko) 코크스 불출장치
KR101388070B1 (ko) 용강 샘플링 장치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KR101099682B1 (ko) 고로 출선구용 지지장치
KR20100046861A (ko) 압연장치용 샘플검출장치
KR101330551B1 (ko)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KR100782723B1 (ko) 빌레트 제조용 더미바 헤드 크롭 자동분리장치
KR101140848B1 (ko) 선재 측정장치용 커버
KR101225727B1 (ko) 코크스 불출장치
KR101051294B1 (ko) 열간압연설비
EP1189714B1 (en) Device and process for fast changing of parts of the bar guide in continuous-casting plants
KR20100087454A (ko) 전기로용 작업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