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388B1 -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388B1
KR101175388B1 KR1020090013691A KR20090013691A KR101175388B1 KR 101175388 B1 KR101175388 B1 KR 101175388B1 KR 1020090013691 A KR1020090013691 A KR 1020090013691A KR 20090013691 A KR20090013691 A KR 20090013691A KR 101175388 B1 KR101175388 B1 KR 10117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input
input amount
raw material
electric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626A (ko
Inventor
임관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3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6Manufacture of steel by other methods
    • C21C5/562Manufacture of steel by other methods starting from sc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1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8Arrangement of controlling, monitoring, alarm or the lik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21C2005/5288Measuring or samp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27D2019/0075Regulation of the charge quant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의 투입양을 제어하는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는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 투입량을 입력받는 키입력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여부를 부원료 투입량에 대한 기준값을 근거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부원료 투입량을 설정하는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 및 전기로에 부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부원료 투입 설비를 제어하되,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로부터의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따라 전기로에 해당 부원료가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로, 부원료, 오입력

Description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INPUT QUANTITY OF SUB-MATERIAL UTILIZED IN ELECTRIC FURNACE AND METHOD THEREOF}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의 투입양을 제어하는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에는 고철 원료와 함께 여러 종류의 부원료를 투입하게 된다. 전기로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부원료(예를 들어, Fe-Si, Fe-Cr, Fe-Ni, Ti 등)는 하나 이상 투입되어 제품의 성분을 조절하게 된다.
현재, 부원료를 투입하기 하기 위한 부원료 투입 설비는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를 요구되는 중량만큼 계량한 후 이송하여 전기로에 투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원료 투입 설비는 PLC 등의 운전 제어 장치를 통해 운전되는데, 운전 제어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서 설정된 해당 부원료의 투입량에 따라 부원료 투입 설비를 컨트롤하여 해당 부원료의 투입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 제어 장치는 부원료가 적재된 호퍼에서 피더(feeder)를 통해 부원료를 배출시켜 부원료 이동용 대차에 투입시킨다. 이때, 부원료는 이동용 대차에 구비된 로드셀을 통해 설정된 투입량 만큼 계량된 후 이송되어 전기로 상부에 설치된 슈트(chute)를 통해 전기로에 투입되게 된다.
그런데, 운전 제어 장치를 조작하는 운전자의 오입력으로 인해 부원료의 투입량을 과다하게 설정할 경우 필요 이상의 부원료가 계량 투입되어 낭비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부원료 투입량 입력시 오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의 과다 투입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는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 투입량을 입력받는 키입력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여부를 부원료 투입량에 대한 기준값을 근거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부원료 투입량을 설정하는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 및 전기로에 부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부원료 투입 설비를 제어하되,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로부터의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따라 전기로에 해당 부원료가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부원료 투입량에 대한 기준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더 포함하고, 저장부의 기준값은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판단의 기준이 되는 상한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는 판단 결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정상 입력인 경우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는 판단 결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오입력인 경우 부원료의 투입량에 대한 기준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원료 투입량 그래픽 판넬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원료 투입설비는 부원료를 배출하는 부원료 피더 및 부원료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부원료를 계량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를 포함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부원료 피더를 구동하여 부원료를 배출시키는 부원료 피더 구동부;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 대차를 구동하는 부원료 이동 대차 구동부; 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어부는, 이동 대차에 구비된 계량수단에 의해서 계량되는 부원료에 대한 계량신호를 입력받고, 계량신호가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이르면 부원료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부원료의 배출을 차단시키는 제어신호를 부원료 피더 구동부로 제 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는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 투입량을 입력받는 키입력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여부를 부원료 투입량에 대한 기준값을 근거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부원료 투입량을 설정하는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 전기로에 부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부원료 투입 설비를 제어하되,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로부터의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따라 전기로에 해당 부원료가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부원료 투입설비는 부원료를 배출하는 부원료 피더 및 부원료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부원료를 계량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를 포함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부원료 피더를 구동하여 부원료를 배출시키는 부원료 피더 구동부;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 대차를 구동하는 부원료 이동 대차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방법은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가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 투입량을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제 1 단계;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여부를 부원료 투입량에 대한 기준값을 근거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부원료 투입량을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제어부가 전기로에 부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부원료 투입 설비를 제어하되,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로부터의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따라 전기로에 해당 부원료가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단계에서 기준값은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판단의 기준이 되는 상한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단계는,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에서 판단 결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정상 입력인 경우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단계는,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에서 판단 결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오입력인 경우 부원료의 투입량에 대한 기준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단계는, 제어부가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로부터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을 입력받는 제 3-1 단계; 제어부가 부원료를 계량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에 구비된 계량수단에 의해서 계량되는 부원료에 대한 계량신호를 입력받는 제 3-2 단계; 및 제어부가 입력된 계량신호가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이르면 부원료를 배출하는 부원료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부원료의 배출을 차단시키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3 단계는, 3-3 단계 이후, 제어부가 이동 대차를 다음 부원료 투입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3-4 단계; 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부원료 투입량 입력시 오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의 과다 투입을 방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부원료의 과다 투 입 및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입력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는 키 입력부(50),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 저장부(70), 제어부(40), 부원료 대차 구동부(30), 부원료 피더 구동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입력부(50)는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의 투입량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받아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로 보낸다. 즉, 키 입력부(50)는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키신호에 따라 부원료 투입량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값은 전기로에 투 입될 부원료의 투입량(예컨대, 부원료 중량(Kg) 등)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서 키 입력부(50)는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키패드 또는 운전 패널이 채용될 수 있다.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키 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하술된 저장부(70)에 저장된 부원료 투입량에 대한 기준값을 근거로 키 입력부(50)로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저장부(70)에는 상술한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에 제공되는 기준값 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기준값은 키 입력부(50)로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판단의 기준이 된다. 여기서, 기준값은 부원료 투입량에 대한 상한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기로에 투입될 실제 부원료 투입량이 200Kg일 경우, 키 입력부(50) 조작시 운전자의 오입력으로 '0'을 더 누르게 되면 '2000'이 입력되게 된다. 그러면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의 투입량이 2000Kg을 설정되게 된다. 종래에는 요구되는 부원료의 투입량인 200Kg과 오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인 2000Kg 사이의 편차가 매우 커지게 되고 운전자의 오입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원료의 손실은 상당히 크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의 투입량에 대한 상한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때,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판단 결과 키 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정상 입력인 경우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을 부 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이 설정된 부원료 투입량 상한값 이하일 경우에는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또,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판단 결과 키 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오입력 인 경우 부원료의 투입량에 대한 상한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이 설정된 부원료 투입량 상한값 초과일 경우에는 오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부원료 투입량 상한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그래서 운전자의 오입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원료의 손실을 최소화 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원료 투입량 입력을 위한 그래픽 판넬(100)을 제공하는 표시부(80)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여기서 그래픽 판넬(100)에는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에 대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101)이 표시되는 부원료 투입량 설정 화면(102)을 포함하게 된다. 그래서, 운전자에게 부원료 투입량의 입력 및 부원료 투입 설비의 콘트롤을 용이하게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부원료(1)에 대한 기준값이 200Kg일 경우 운전자의 오입력으로 '2000'을 입력하게 되면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오입력으로 판단하여 '200'으로 표시하도록 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키 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90)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알람부(90)는 부원료 투입량의 오입력 발생시 알람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부원 료 투입량이 오입력 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부원료 투입 설비는 요구되는 부원료의 종류별로 적재된 부원료 적재 호퍼(1a, 1b, 1c), 각각의 부원료 적재 호퍼(1a, 1b, 1c)로부터 부원료를 배출하는 부원료 피더(2a, 2b, 2c), 각각의 부원료 피더(2a, 2b, 2c)로부터 배출되는 부원료를 계량하여 이송하기 위한 부원료 이동 대차(5)를 포함한다. 부원료 이동 대차(5)에는 부원료 피더(2a, 2b, 2c)로부터 배출되는 부원료를 계량하는 계량수단(미도시, 예컨대, 로드셀 등)이 구비되게 된다. 부원료 이동 대차(5)에 배출된 부원료들은 이송된 후 컨베이어(8) 및 장입 호퍼(9)를 거쳐 전기로(10)에 투입되게 된다. 그래서 하나 이상의 부원료는 요구되는 중량만큼 각각 계량된 후 이송되어 전기로(10)에 투입되게 된다. 물론, 부원료 투입 설비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여 구성되는 것은 당연하며, 이러한 부원료 투입 설비에 대한 구성은 당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40)는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로부터의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따라 전기로(10)에 해당 부원료가 투입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부원료 투입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제어부(40)는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로부터의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따라 전기로(10)에 투입될 부원료를 부원 료 투입량 설정값 만큼 계량한 후 이송시켜 전기로(10)에 투입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부원료 피더(2a, 2b, 2c)를 구동하여 부원료를 배출시키는 부원료 피더 구동부(20) 및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부원료 이동 대차(5)를 구동하는 부원료 이동 대차 구동부(30)를 추가로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원료 피더 구동부(20) 및 부원료 이동 대차 구동부(30)는 당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이해 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어부(40)는 부원료 이동 대차(5)에 구비된 계량수단에 의해서 계량되는 부원료에 대한 계량신호를 입력 받는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입력된 계량신호를 근거로 해당 부원료 피더(2a, 2b, 2c)로부터 배출되는 부원료의 투입량(중량)이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이르면 부원료 피더로(2a, 2b, 2c)부터 공급되는 부원료의 배출을 차단시키는 제어신호를 해당 부원료 피더 구동부(20)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40)는 해당 부원료의 투입량 만큼 부원료 피더(2a)로부터 배출되어 부원료 이동 대차(5)에 투입되면 부원료 이동 대차 구동부(3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래서 제어부(40)는 부원료 이동 대차(5)를 다음 부원료 피더(2b 또는 2c) 위치로 이동시켜 상술한 방식으로 부원료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키 입력부(50)를 통해 전기로에 투입될 해당 부원료의 투입량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 받는다(S10). 예를 들어, 작업자는 표시부(80)에 표시된 그래픽 판넬을 통해 투입할 해당 부원료을 확인한 후, 키 입력부(50)를 조작하여 해당 부원료의 투입량을 입력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키신호에 따라 부원료 투입량이 입력되어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로 입력되게 된다.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로(10)에 투입될 부원료의 투입량(예컨대, 부원료 중량(Kg) 등)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다음,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키 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된 해당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과 저장부(70)에 저장된 기준값, 즉, 부원료 투입량 상한값을 비교하고(S20), 이를 통해 부원료 투입량에 대한 오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30).
만약,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이 설정된 부원료 투입량 상한값 이하일 경우에는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한다(S40). 즉,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판단결과 키 입 력부(50)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정상 입력인 경우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또,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이 설정된 부원료 투입량 상한값 초과일 경우에는 오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부원료 투입량 상한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한다(S50). 즉,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판단 결과 키 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오입력 인 경우 부원료의 투입량에 대한 상한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70)에 저장된 해당 부원료의 투입량 기준값이 200Kg 이고, 키 입력부(50) 조작시 운전자의 오입력으로 '0'을 더 누르게 되어 '2000'이 입력되게 되면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60)는 운전자의 오입력을 판단하여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을 200Kg으로 설정함으로써 부원료의 오입력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부원료 투입량 입력시 운전자의 오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부원료 투입량을 설정함으로써 부원료의 손실을 최소화 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40)는 상술한 방식으로 설정된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의 투입량 설정값을 입력받아서 그에 따라 전기로(10)에 해당 부원료가 투입되도록 상술한 방식으로 도 2에 도시된 부원료 투입 설비를 제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 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입력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 부원료 적재 호퍼 2a, 2b, 2c : 부원료 피더
5 : 부원료 이동 대아 8 : 컨베이어
9 : 장입 호퍼 10 : 전기로
20 : 부원료 피더 구동부 30 : 부원료 이동 대차 구동부
40 : 제어부 50 : 키입력부
60 :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 70 : 저장부
80 : 표시부 90 : 알람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가 전기로에 투입될 부원료 투입량을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제 1 단계;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여부를 상기 부원료 투입량에 대한 기준값을 근거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부원료 투입량을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전기로에 부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부원료 투입 설비를 제어하되, 상기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로부터의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따라 상기 전기로에 해당 부원료가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정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상기 기준값 초과인 경우, 상기 부원료의 투입량 입력값이 오입력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기준값을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원료 투입량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부원료 투입량 입력값에 대한 오입력 판단의 기준이 되는 상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원료 투입량 제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부원료 투입량 설정부로부터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을 입력받는 제 3-1 단계;
    상기 제어부가 부원료를 계량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에 구비된 계량수단에 의해서 계량되는 부원료에 대한 계량신호를 입력받는 제 3-2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계량신호가 상기 부원료 투입량 설정값에 이르면 부원료를 배출하는 부원료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부원료의 배출을 차단시키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원료 투입량 제어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3-3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동 대차를 다음 부원료 투입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3-4 단계;
    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원료 투입량 제어 방법.
KR1020090013691A 2009-02-19 2009-02-19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7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691A KR101175388B1 (ko) 2009-02-19 2009-02-19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691A KR101175388B1 (ko) 2009-02-19 2009-02-19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626A KR20100094626A (ko) 2010-08-27
KR101175388B1 true KR101175388B1 (ko) 2012-08-20

Family

ID=4275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691A KR101175388B1 (ko) 2009-02-19 2009-02-19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10B1 (ko) * 2013-11-05 2015-05-07 주식회사 포스코 합금철 투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626A (ko) 201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3021B2 (en) Cycle counter for a loader
US3595328A (en) Automatic batch weighing system
CN102301012B (zh) 通过用户界面控制鼓风炉的装料的计算机系统和方法
KR101175388B1 (ko) 전기로용 부원료 투입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726533B2 (en) Weighing apparatus having a loss-in weight hopper
CN102963701B (zh) 一种烧结分料器的动态控制方法及装置
CN211077734U (zh) 硅铁合金原料定量上料装置
CN110546467B (zh) 组合秤
JPH03197826A (ja) 組合せ秤
CN203432666U (zh) 一种料仓智能定量装车系统
KR20010064940A (ko) 원료하역기 호퍼 중량검출장치 및 방법
JP4689282B2 (ja) 計量機器
EP3859465A1 (en) Bag-making and packaging apparatus
CN213481046U (zh) 一种硅铁炉自动控制装置
WO2020261679A1 (ja) 組合せ計量装置
JP4877624B2 (ja) 骨材受入・供給方法及び装置
US20200225077A1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and combination weighing method
KR101207756B1 (ko) 합금철 투입장치 및 그 투입방법
JP5547536B2 (ja) 組み合わせ秤及び組み合わせ秤における計量方法
KR101821251B1 (ko) 원료 수송장치 및 방법
JP5545611B2 (ja) 組合せ秤
CN216081732U (zh) 一种玻璃原料称量系统
CN101564816B (zh) 一种紧固件自动上料机
KR100405519B1 (ko) 대립광의 비상 평량조업방법
CN113847979A (zh) 一种玻璃原料称量系统及称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