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262B1 -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262B1
KR101175262B1 KR1020100101421A KR20100101421A KR101175262B1 KR 101175262 B1 KR101175262 B1 KR 101175262B1 KR 1020100101421 A KR1020100101421 A KR 1020100101421A KR 20100101421 A KR20100101421 A KR 20100101421A KR 101175262 B1 KR101175262 B1 KR 101175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air
jaw
connector
roll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951A (ko
Inventor
안현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10010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2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26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요작동부는 기밀상태가 유지되며 본체는 개방형 구조로 하여 주요작동부로의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이들 오염물질이 조업시 원심력에 의하여 자동 배출되도록 하여 내부에 쌓이지 않게 하며, 조립 및 분해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을 유발하는 링크 방식을 배제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20)을 갖는 클램프본체(2)와, 상기 클램프본체(2)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키트(4)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키트(4)은, 상,하부가 개구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42); 상기 바디(42)의 수용공간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에어의 주입 및 배출시 개방되고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이 끝나면 에어실린더의 작동을 구속하는 안전핀(43);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승강되는 복수개의 죠(44);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은 상기 바디(42)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죠(44)의 상단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복귀스프링(45);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462) 및 로드(463)가 장착된 에어실린더(46); 상기 에어실린더(46)의 로드(463)와 상기 죠(44)를 연결하는 커넥터(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Description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CLAMPING APPARATUS FOR ROLLING ROLLER CL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요 작동부는 기밀상태가 유지되며 본체는 개방형 구조로 하여 주요작동부로의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이들 오염물질이 조업시 원심력에 의하여 자동 배출되도록 하여 내부에 쌓이지 않게 하며, 조립 및 분해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을 유발하는 링크 방식을 배제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강판의 제조설비에서 압연롤과 초크를 착탈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클램프는 수동 클램프와 오토클램프로 분류되며, 압연시의 안정성 확보와 정비의 측면에서 오토클램프의 점유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압연롤이 고속 회전하면 클램프의 클램프 바(clamp bar)가 원심력에 의해 후퇴하게 되어 클램핑 성능이 저하하게 되고, 압연과정에서 압연롤의 정렬시 클램프 바는 빈번한 추력(thrust)을 받게 되며, 압연롤의 고속회전에 따른 베어링부의 발열에 따른 열전도로 인해 클램프 바디(clamp body)의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강판의 압연시 고속으로 회전하는 압연롤과 초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장치는 오토클램프의 핵심장치로 고속회전시에도 클램핑 성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어야 하고, 아울러 클램핑이 용이하고 압연롤의 연마와 초크의 정비를 위한 압연롤과 초크의 분리가 용이하여야 한다.
이에 종래 다양한 클램핑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67350호의
「개폐가 편리한 원형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형압연롤러의 베어링 뭉치를 축에 결합시키는 원형클램프에 있어서, 납작한 도넛형상을 이루며 소정간격을 이루며 홈이 형성된 원형클램프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홈에 내삽되어 설치되며, 후측에 십자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된 클램프죠(20)와; 상기 클램프죠(20)와 본체(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죠(20)를 내측으로 밀게 되는 압축스프링(30)과; 일측 말단은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클램프죠(20)의 후측의 결합홈에 삽입되며 타측말단은 클램프죠(2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ㄱ'자형상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은 본체(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링크(40)와; 일측말단은 상기 제1링크(40)의 절곡된 말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말단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중앙의 전측은 돌출되고 후측은 전측으로 함몰되며 함몰부가 상기 제1링크(40)의 절곡된 부분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2링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립 및 분해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약한 링크부품의 파손이 발생하며 클램프죠와 마찰로 인하여 압연롤의 마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의 구조가 밀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작동부는 개방형 구조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면 빠져나가지 못하고 고착되어 잦은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는 개방형 구조로 조업시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배출되게 하며 주요작동부는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자동부의 오염물 유입을 방지하고, 종래 내구성이 약하여 파손되는 링크 방식을 배제시키고 고압 에어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실린더를 적용시켜 죠의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부품의 내구성 향상과 압연롤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공간을 갖는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키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키트는, 상,하부가 개구되며, 에어의 주입 및 배출시 개방되고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이 끝나면 에어실린더의 작동을 구속하는 안전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승강되는 복수개의 죠;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은 상기 바디의 덮개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죠의 상단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복귀스프링;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로드가 장착된 에어실린더; 상기 에어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죠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죠는 일단부에 수직의 안내홈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결합되어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상기 클램프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핀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개폐를 제어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가 결합된 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본체는 제1판재와 제2판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판재에는 에어가 이송되는 송기통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송기통로와 통하는 통공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본체에는 외부의 고압 에어의 주입 및 누설을 방지하도록 클램프본체의 통공에 체크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밸브는 클램프본체의 통공에 삽입되며 선단에 디스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프링이 결합된 축핀; 상기 클램프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축핀이 삽입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의 선단 개구부에는 상기 디스크가 밀착되는 시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본체 내의 송기통로와 통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작동부의 기밀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작동 성능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에어실린더 작동방식으로 부품의 내구성 및 죠의 협지력이 증가되어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압연롤의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
도 11은 상기 도 10에서 'A-A'선 단면도,
도 12는 상기 도 10에서 'B-B'선 단면도,
도 13은 상기 도 10에서 'C-C'선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키트'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 도 11은 상기 도 10에서 'A-A'선 단면도, 도 12는 상기 도 10에서 'B-B'선 단면도, 도 13은 상기 도 10에서 'C-C'선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K)는, 내측에 공간(20)을 갖는 클램프본체(2)와, 상기 클램프본체(2)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키트(4)을 포함한다.
상기 키트(4)는, 상,하부가 개구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42); 상기 바디(42)의 수용공간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에어의 주입 및 배출시 개방되고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이 끝나면 에어실린더(46)의 작동을 구속하는 안전핀(43);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승강되는 복수개의 죠(44);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은 상기 바디(42)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죠(44)의 상단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복귀스프링(45);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462) 및 로드(463)가 장착된 에어실린더(46); 상기 에어실린더(46)의 로드(463)와 상기 죠(44)를 연결하는 커넥터(47)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42)는 장방형의 판재가 결합되어 직사각형으로 이루도록 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죠(44)가 삽입되는 죠홈(421)과, 에어실린더(46)가 삽입되는 실린더홈(422)과, 커넥터(47)가 삽입되는 커넥터홈과, 가이드레일(447)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2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홈(422)과 통하는 에어챔버(48)가 일측벽의 내부에 형성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챔버(48)와 통하며 외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유입구(481)가 형성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챔버(48)와 상기 실린더홈(422)에 통하며 유입된 에어가 실린더홈(422)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출구(482)가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481)는 송기통로(24)와 통하게 된다.
상기 안전핀(43)은 바디(42)의 수용공간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특히 수용공간 중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47)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47)가 무단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구속함으로써 에어실린더(46)의 작동을 구속하게 된다.
안전핀(43)은 도 5, 도 6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42)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47)에 형성된 고정브라켓(473)의 통공(474)에 결합되는 케이스(431);
상기 케이스(431)에 삽입되며 외주에 스프링(미도시)이 부설되며 일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433)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커넥터(47)에 형성된 고정브라켓(473)에 걸려 고정력을 발휘하는 디스크(437)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437)는 노브(43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노브(43)의 직경은 커넥터(47)에 형성된 고정브라켓(473)의 단턱(475) 사이의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핀(43)의 노브(433)가 가압되면 스프링이 수축되며 디스크(437)가 커넥터(47)에 형성된 고정브라켓(473)의 통공(474)과 이격되어 커넥터(47)의 구속력을 상실함으로써 에어실린더(46)에 종속된 커넥터(47)가 상승될 수 있다.
즉 노브(433)가 가압에 의해 후진되면 디스크(437)가 커넥터(47)에 형성된 고정브라켓(473)의 통공(474)으로부터 분리되어 개방상태가 되고, 커넥터(47)가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에어실린더(46)의 로드(463)가 상승되면서 그에 결합된 커넥터(47) 및 죠(44)가 상승하여 해제상태가 된다(도 16의 원안의 도면 참조).
반면 노브(433)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내부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디스크(437)가 전진되어 커넥터(47)에 형성된 고정브라켓(473)의 하단에 걸리게 되므로 커넥터(47)가 하강되지 못하도록 하므로 커넥터(47)에 연결된 죠(44)도 움직이지 않게 되어 안전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죠(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의 죠홈(421)에 삽입되는 것으로, 전단에는 호형의 요부(442)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양측에 일정 깊이로 내입된 어깨부(445)가 형성된 판상으로써 일단부에 수직의 안내홈(446)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446)에 결합되어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47)가 상기 클램프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47)는 안내홈(446)에 장착된 엘엠블록(448)에 결합되는 것으로, 통상 엘엠가이드 조립체가 적용된다.
따라서 죠(44)는 에어실린더(46)의 로드(463)가 인출되어 커넥터(47)를 상승시키면 이에 종동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47)가 안내홈(446)을 타고 상승됨으로써 수직의 직선운동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부(445)에는 복귀스프링(45)이 장착됨으로써 이 복귀스프링(45)
의 탄발력에 의해 죠(44)가 하강하는 힘이 발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4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의 실린더홈(422)에 삽입되는 피스톤(462)과, 상기 피스톤(462)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노출된 일정 길이의 로드(463)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4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의 커넥터홈에 삽입되며 상기 죠(44)의 가이드레일(447)과 연결되고, 상기 에어실린더(46)의 로드(463)가 결합되는 끼움홈(472)이 형성된 판부재(471); 상기 판부재(471)의 일측에 일정 간격의 통공(474)을 갖도록 돌출되며 끝단의 안쪽으로 단턱(475)이 대향 형성된 고정브라켓(473)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47)의 고정브라켓(473)의 통공(474)에는 안전핀(43)의 노브(433)에 형성된 디스크(437)가 결합되며, 디스크(437)가 통공(474) 내에 위치되면 단턱(475)과 걸려짐으로써 커넥터(47)가 구속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며, 디스크(437)가 통공(474)으로부터 이격되면 디스크(437)의 직경이 단턱(475) 사이의 길이보다 크므로 디스크(437)가 통공(474)에 이격되면 노브(43)의 직경은 단턱(475) 사이의 길이보다 작으므로 커넥터(47)는 승강 작동이 가능한 자유상태가 된다.
또한 커넥터(47)가 상승된 후 디스크(437)가 고정브라켓(473)의 하단에 접촉되면 커넥터(47)가 하강되지 않도록 작동을 구속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본체(2)는 내측에 공간을 갖는 링형상의 제1판재(21)와 제2판재(22)가 키트(4)의 양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판재(2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 이송되는 송기통로(24)가 원주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기통로(24)와 통하는 통공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안전핀(43) 및 체크밸브(6)가 결합되어 에어가 키트(4)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6)는 클램프본체(2)의 외부의 고압 에어의 주입 후 누설을 방지하도록 클램프본체(2)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다.
상기 체크밸브(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본체(2)의 통공에 삽입되며 선단에 디스크(647)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프링이 결합된 축핀(62); 상기 클램프본체(2)에 결합되며 상기 축핀(62)이 삽입되는 통로(63)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63)의 선단 개구부에는 상기 디스크(64)가 밀착되는 시이트(66)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본체(2)의 제2판재(22) 내의 송기통로(24)와 통하는 케이싱(65)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트(4)의 죠(44)가 하강하여 협지된 상태에서 압연롤러가 회전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판상의 디초킹장치(100)가 접근하여 체크밸브(6) 및 안전핀(43)에 밀착되면, 체크밸브(6)의 축핀(62)이 인입됨으로써 디초킹장치(100)와 연결된 에어공급부로부터 고압의 에어가 체크밸브(6)를 통해 케이싱으로 유입된 후 클램프본체(2)의 제1판재(21) 내의 송기통로(24)에 공급된다.
동시에 안전핀(43)의 노브(433)가 인입되고 디스크(437)가 후진되어 상기 커넥터(47)의 고정브라켓(473)의 통공(474))과 이격되어 커넥터(47)의 구속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자유상태로 된다.
이후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챔버(48)에 공급된 에어는 유출구(482)를 통해 에어실린더(46) 내부의 피스톤(462)을 상승시키게 되고, 상기 피스톤(462)에 연결된 로드(463) 및 그에 종속된 커넥터(47)가 상승하게 된다.
즉 도 16의 좌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전핀(43)의 노브(433)가 인입되면 디스크(437)가 후진되어 상기 커넥터(47)의 고정브라켓(473)의 통공(474))과 이격되어 커넥터(47)가 자유상태로 되며, 에어실린더(462)의 로드(463)가 상승함에 의해 커넥터(47)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47)에 연결된 죠(44)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죠(44)의 협지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초킹장치(100)가 이격되면 체크밸브(6)는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에어공급은 차단상태가 되고 안전핀(43)의 디스크(437)가 커넥터(47)의 고정브라켓(473)의 통공(474)에 끼워짐으로써 커넥터(47)는 더이상 상승되지 못하고 구속 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부가 밀폐상태가 되고, 에어실린더(46)에도 에어 압력이 차있는 상태이며 안전핀(43)의 구속에 의해서 죠(44)는 상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초킹장치(100)가 다시 안전핀(43) 및 체크밸브(6)를 가압시키면 수용공간 및 클램프본체(2)에 차있던 에어가 디초킹장치(100)쪽으로 배출되어 압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복귀스프링(45)의 반발력에 의해 죠(44)가 하강하므로 다시 협지된 상태가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클램프본체 4 : 키트
21 : 제1판재 22 : 제2판재
42 : 바디 44 : 죠
45 : 복귀스프링 46 : 에어실린더
47 : 커넥터

Claims (7)

  1. 내측에 공간(20)을 갖는 클램프본체(2)와,
    상기 클램프본체(2)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키트(4)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키트(4)는,
    상,하부가 개구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42);
    상기 바디(42)의 수용공간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에어의 주입 및 배출시 개방되고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이 끝나면 에어실린더(46)의 작동을 구속하는 안전핀(43);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승강되는 복수개의 죠(44);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은 상기 바디(42)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죠(44)의 상단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복귀스프링(45);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462) 및 로드(463)가 장착된 에어실린더(46);
    상기 에어실린더(46)의 로드(463)와 상기 죠(44)를 연결하는 커넥터(4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죠(44)는 상기 수용공간의 죠홈(421)에 삽입되는 것으로,
    전단에는 호형의 요부(442)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양측에 일정 깊이로 내입된 어깨부(445)가 형성된 판상으로써
    일단부에 수직의 안내홈(446)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446)에 결합되어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47)가 상기 클램프본체(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43)은
    바디(42)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47)에 형성된 고정브라켓(473)의 통공(474)에 결합되는 케이스(431);
    상기 케이스(431)에 삽입되며 외주에 스프링이 부설되며 일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433)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커넥터(47)에 형성된 고정브라켓(473)에 걸려 고정력을 발휘하는 디스크(4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본체(2)는 내측에 공간(20)을 갖는 링형상의 제1판재(21)와 제2판재(22)가 키트(4)의 양측면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제1판재(21)는 에어가 이송되는 송기통로(24)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기통로(24)와 통하는 통공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체크밸브(6)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본체(2)에는 외부의 고압 에어의 주입 후 누설을 방지하도록 체크밸브(6)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6)는
    상기 클램프본체(2)의 통공에 삽입되며 선단에 디스크(64)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프링이 결합된 축핀(62);
    상기 클램프본체(2)에 결합되며 상기 축핀(62)이 삽입되는 통로(63)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63)의 선단 개구부에는 상기 디스크(64)가 밀착되는 시이트(66)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본체(2) 내의 송기통로(24)와 통하는 케이싱(6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7)는
    수용공간의 커넥터홈에 삽입되며 상기 죠(44)의 가이드레일(447)과 연결되고, 상기 에어실린더(46)의 로드(463)가 결합되는 끼움홈(472)이 형성된 판부재(471);
    상기 판부재(471)의 일측에 일정 간격의 통공(474)을 갖도록 돌출되며 끝단의 안쪽으로 단턱(475)이 대향 형성된 고정브라켓(47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KR1020100101421A 2010-10-18 2010-10-18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KR101175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421A KR101175262B1 (ko) 2010-10-18 2010-10-18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421A KR101175262B1 (ko) 2010-10-18 2010-10-18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951A KR20120039951A (ko) 2012-04-26
KR101175262B1 true KR101175262B1 (ko) 2012-08-21

Family

ID=4614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421A KR101175262B1 (ko) 2010-10-18 2010-10-18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105A (ko)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윙 타입 클램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505Y1 (ko) * 1999-11-09 2000-05-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냉간 압연기 워크 롤의 축 고정용 클램프
JP2002526722A (ja) * 1998-10-02 2002-08-20 ハンス・エーテイケ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マシイネン−ウント・アパラーテフアブリーク リング状の固定保持機構を装着、締付けまたは収縮する装置
KR200367350Y1 (ko) * 2004-08-16 2004-11-10 (주)삼우기계 개폐가 편리한 원형클램프
KR100897944B1 (ko) * 2008-08-28 2009-05-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취설비용 기계식 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6722A (ja) * 1998-10-02 2002-08-20 ハンス・エーテイケ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マシイネン−ウント・アパラーテフアブリーク リング状の固定保持機構を装着、締付けまたは収縮する装置
KR200180505Y1 (ko) * 1999-11-09 2000-05-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냉간 압연기 워크 롤의 축 고정용 클램프
KR200367350Y1 (ko) * 2004-08-16 2004-11-10 (주)삼우기계 개폐가 편리한 원형클램프
KR100897944B1 (ko) * 2008-08-28 2009-05-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취설비용 기계식 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105A (ko)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윙 타입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951A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03181B2 (en) Slide valve device in casting facility
JP4864164B2 (ja) 流体カプラ付きクランピングシステム
WO2013140571A1 (ja) チャック装置
US20080095879A1 (en) Mold locking device and molds using the same
ITRM20090152A1 (it) Dispenser.
JP2014008598A5 (ko)
KR101175262B1 (ko) 압연롤러용 클램핑 장치
BR0208910B1 (pt) conjunto de válvula de gaveta.
JP4933380B2 (ja) 穴を有する素材の位置決め固定装置
CN206349315U (zh) 塑壳断路器的辅助开关
JP2007308046A (ja) ボールベアリングキャスタ
JP5921414B2 (ja) 調心機能付き連結装置
EP1916690A4 (en) RELAY
KR200471865Y1 (ko) 배관차단용 플러깅머신의 피스톤로드 휨 방지장치
TWM517710U (zh) 自行車之氣油壓式座管總成
TWI540277B (zh) 連桿閘板閥
JP6082270B2 (ja) 真空リフト装置
KR100783739B1 (ko) 압연롤러 베어링용 클램프 장치
CN208507351U (zh) 一种直流电磁铁
CN203189382U (zh) 滚针保持架冲窗孔机用气缸
CN112412260A (zh) 设门吸的门
KR200367350Y1 (ko) 개폐가 편리한 원형클램프
CN209668371U (zh) 一种用于打印机导电性的橡胶滚轮
KR101647580B1 (ko) 연결 구조를 갖는 게이트 밸브
CN220660905U (zh) 一种小零件吸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