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998B1 -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998B1
KR101173998B1 KR1020090054166A KR20090054166A KR101173998B1 KR 101173998 B1 KR101173998 B1 KR 101173998B1 KR 1020090054166 A KR1020090054166 A KR 1020090054166A KR 20090054166 A KR20090054166 A KR 20090054166A KR 101173998 B1 KR101173998 B1 KR 101173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hort fibers
spun yarn
fib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011A (ko
Inventor
동 은 이
준 규 이
Original Assignee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filed Critical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to KR102009005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99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247Discontinuous hollow structure or microporous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6Format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는 단면상에 3개 이상의 중공부(L)가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되게 형성된 다중 중공 단섬유(Staple)를 전체 중량대비 50중량% 내지 10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은 섬유단면상에 3개 이상의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인 용출성분(S)이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100㎚ 이상의 평균입경을 갖는 무기입자가 섬유형성성 성분 대비 10,000ppm 이상 함유되어 있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사용하여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로 원단을 제조한 다음 상기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구성하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다중 중공 단섬유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제조되어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은 중공 방적사의 중공부가(L)가 찌그러지지 않아 중공율이 높아 보온성과 경량감이 뛰어남과 동시에 형태안정성도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방적공정의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 중공 단섬유를 사용시 연조 공정에서 가해지는 꼬임에 의해 상기 중공 단섬유의 중공부가(L)가 찌그러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방적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섬유, 스테이플, 방적사, 다중, 중공사, 원단, 형태안정성, 방적성

Description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Hollow spuned ya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형태안정성, 방적성, 보온성 및 경량감 등이 동시에 우수한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면상에 3개 이상의 중공부(L)가 분산되게 형성된 다중 중공 단섬유(Staple)를 전체 중량대비 50중량% 이상하는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단면상에 3개 이상의 중공부(L)들이 형성된 단섬유(Staple)를 "다중 중공 단섬유"라고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섬유단면상에 3개 이상의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인 용출성분(S)이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100㎚ 이상의 평균입경을 갖는 무기입자가 섬유형성성 성분 대비 10,000ppm 이상 함유되어 있는 단섬유를 "용출형 복합 단섬유"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전체 중량대비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방적사를 "용출형 복합 방적사"라고 한다.
일반적인 방적사는 천연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세탁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천연소재들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천연소재는 무겁다는 인식을 많이하게 된다. 최근 레져생활의 확대 및 일반 생활에서도 기능성을 요구하는 의류를 선호하게 되는 이유도 이러한 경량성 및 열전도율이 낮은 합섬의 특징이 반영되었다 할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폴리에스터 혼방 제품의 경우도 세탁의 편이성 이외에는 큰 메리트를 주지 못하며, 혼방으로 인한 보온성의 개선은 크지 못하였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방적사에 대한 개선의 방법으로 방적사내에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방적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중공 방적사를 제조하는 종래기술로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슬라이버 폴리락티드산 등과 같은 용출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단섬유 슬라이버 심사로 사용하고, 면(Cotton) 등과 같은 천연 단섬유 슬라이버를 초사로 사용하여 이들은 연조 공정에서 함께 합사하면서 꼬임을 부여한 후, 용출성 폴리머인 상기 심사를 용출시켜 중공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로 제조된 중공 방적사는 중공 방적사의 중앙부에 중공부가 1개로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중공부가 불안정하여 원단 제조 공정 등에서 찌그러지는 문제 등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방적사 제조시 도 5와 같이 단면상에 1개의 중공부(L)가 형성된 중공 단섬유를 사용하여 중공 방적사를 제조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도 5는 종래 중공 단섬유의 단면 모식도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에서는 원하는 보온성과 경량감을 얻기 위해 중공 단섬유 중공율 30% 이상으로 해야하기 때문에 방적 공정성과 제조된 중공 방적사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중공율이 30% 이상인 중공 단섬유로 중공 방적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실제 방적하기 위한 단섬도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방적하기 어려운점을 가지고 있다. 방적하기 용이한 섬도에서 중공률이 30%를 넘는 것은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로 단섬유(Staple)에서 고중공률이라하면 대부분 섬도가 3 데니어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섬유를 방적하기 적합한 1.5 데니어급으로 생산하여도 중공률이 30%이상 넘어가게 되면, 겉보기 섬도가 2.2 데니어급이 되기 때문에 방적시에 트러블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또한 비중이 낮고 정전기에 대한 반발성이 크기 때문에 방적 공정중 카딩공정 단섬유를 빗질해서 길이방향으로 배열을시키는 공정)에서 단섬유가 심하게 공중으로 부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공정중 타공정으로의 오염을 유발할 정도로 매우 심각한 현상이다. 또한 중공 단섬유를 사용할 경우에서 연조 공정에서 타소재와의 혼방에서도 혼방의 균일성이 떨어지며, 최종 정방 공정에서도 방적사를 구성하는 구성 단섬유의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방적사의 균제도가 저하되고, 최종제품에서 빈번한 절사의 원인이 된다.
한편, 종래의 중공 방적사로 원단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편 등의 공정에서 중공 방적사내 중공부가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제조된 원단의 보온성, 경량 성 및 형태안정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다중 중공 단섬유를 50중량% 이상 포함하여 중공율이 높으면서도 중공부가 안정되어 보온성, 경량감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중공 방적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섬유단면상에 3개 이상의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인 용출성분(S)이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100㎚ 이상의 평균입경을 갖는 무기입자가 섬유형성성 성분 대비 10,000ppm 이상 함유되어 있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사용하여, 상기 중공 방적사를 양호한 방적성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로 구성된 용출형 방적사를 사용하여 상기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을 양호한 공정성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과제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는 단면 상에 3개 이상의 중공부를 갖는 다중 중공 섬유를 전체중량대비 50중량% 이상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공 방적사 제조시 방적성 향상을 위해 섬유단면상에 3 개 이상의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인 용출성분(S)이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100㎚ 이상의 평균입경을 갖는 무기입자가 섬유형성성 성분 대비 10,000ppm 이상 함유되어 있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사용하여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조한 후, 제조된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내 용출성분(S)을 용출시켜 중공부(L)을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을 제조시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로 원단을 제조한 다음, 상기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내에서 처리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에 포함된 용출형 복합 단섬유의 용출성분(S)들을 용출시켜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다중 중공 단섬유 변형시키는 방법을 채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는 중공율이 높고, 중공부(L)가 손상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어 보온성, 경량감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다.
그로인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 역시도 보온성, 경량감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사용하여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조한 후, 이를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중공 방적사를 제조하기 때문에, 다시말해 방적공정에서는 중공 단섬유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방적공정성(방적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포함하는 용출형 복합 방적사로 원단을 제조한 후, 이를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중공 방적사로 변형시키기 때문에, 다시말해 원단 제조공정에서 중공 방적사를 원단 제조용 원사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단 제조 공정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에 3개 이상의 중공부(L)가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되게 형성된 다중 중공 단섬유(Staple)를 전체 중량대비 50중량% 내지 100중량% 포함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상기 중공 방적사는 (ⅰ) 상기 다중 중공 단섬유(Staple) 단독으로만, 다시말해 상기 다중 중공 단섬유 100중량%로 구성될 수도 있고, (ⅱ) 상기 다중 중공 단섬유 50~99중량%와 통상의 천연단섬유, 반합성 단섬유 또는 합성단섬유 1~50중량%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천연단섬유, 반합성 단섬유 합성단섬유는 단면상에 중공부(L)가 형성되지 않은 비중공 단섬유인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 중공 단섬유의 섬유형성성 성분(F) 내에 분산되게 형성된 중공부(L)의 개수는 3~100개인 것이 중공율 향상과 중공부의 형태안정성에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 중공 단섬유의 섬유형성성 성분(F)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단면상에 3개 이상의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인 용출성분(S)이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100㎚ 이상의 평균입경을 갖는 무기입자가 섬유형성성 성분 대비 10,000ppm 이상 함유되어 있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 50~99중량%와 통상적인 단섬유 1~50중량%를 혼합 사용하여 일반적인 방적공정을 거쳐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에 포함된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 중 용출성분(S)들을 용출시켜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상기 다중 중공 단섬유(Staple)로 변형 시키는 방법이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은 섬유단면상에 3개 이상의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인 용출성분(S)이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100㎚ 이상의 평균입경을 갖는 무기입자가 섬유형성성 성분 대비 10,000ppm 이상 함유되어 있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사용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50중량~100중량% 포함하는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원단 제조용 원사의 전부나 일부로 사용하여 원단을 제조한 다음, 상기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 내 에서 처리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내 용출형 복합 단섬유 중 용출성분(S)들을 용출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들을 원사 단면내에 3개 이상의 중공부를 갖는 다중 중공 단섬유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구성하는 알칼리 이용해성 성분인 용출성분(S)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레이트,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4-부탄디올, 2,2,4-트리메틸1,3-프로판디올, 아디프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25중량% 이하 공중합시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이다.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 배열된 용출성분(S)의 갯수는 3개 이상, 좋기로는 3~100개인 것이 용출성분(S)의 용출성 개선에 바람직하다.
용출형 복합 단섬유의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함유된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은 100㎚이상, 좋기로는 100~1,200㎚이고, 섬유형성성 성분 대비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은 10,000ppm, 좋기로는 10,000~100,0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입자의 평균입경 및 함량이 상기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용출성분(S)의 용출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이산화티탄(TiO2), 이산화실리카(SiO2), 탄산칼슘(CaCO3) 등이다.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는 섬유형성성 성분(F)들에 의해 둘러쌓여져 있는 용출성분(S)들이 알칼리 수액으로 처리에 의해 용이하게 용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섬 유형성성 성분(F)내에 상기와 같이 무기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알칼리 수용액으로 용출형 복합 단섬유 또는 이를 포함하는 원단을 처리하면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함유된 무기입자는 섬유형성성 성분(F)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빠져나온 경로를 따라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미세한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무기입자 배출로 인한 미세통로가 형성되면 상기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둘러쌓여져 있는 용출성분(S)은 보다 용이하게 용출된다.
다음으로는, 상기의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은 섬유단면상에 3개 이상의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인 용출성분(S)이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100㎚ 이상의 평균입경을 갖는 무기입자가 섬유형성성 성분 대비 10,000ppm 이상 함유되어 있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와 통상적인 단섬유를 50~99 : 1~50이 중량비율로 혼합 사용하여 방적공정을 거쳐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공한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직 또는 제편용 원사의 전부나 일부로 사용하여 직물 또는 편물을 제직한다.
본 발명에서는 직물과 편물을 통칭하여 원단이라고 한다.
직물 제직시에는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직시 경사 및 위사로 모두 사용하거나, 위사 또는 경사로만 모두 사용하거나, 경사 중 일부로만 사용하거나, 위사 중 일부로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직시 원단조직 및 경위사 밀도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는,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 내에서 처리하여 원단을 구성하는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구성하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내의 용출성분(S)들을 용출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원사 단면내에 3개 이상의 중공부를 갖는 다중 중공 단섬유로 변형시켜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을 제조한다.
제조된 원단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염색 및 후가공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섬유단면내에 용출성분이 존재하여 중공부가 없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 형태로 방적공정을 거치고, 섬유단면내에 용출성분이 존재하여 중공부가 없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 형태로 제직 또는 제편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종래 통상의 중공사를 방적 또는 제직시 중공부가 서로 협착되어 중공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여지가 없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서는 섬유단면내에 중공부가 없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방적하여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원단을 제직한 다음, 상기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용출형 복합 단섬유내 용출성분(S)을 용출시켜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다중 중공 단섬유 형태로 변형시키기 때문에 다중 중공 단섬유내 중공부가 서로 협착되지 않고 높은 중공율을 유지하게 된다.
그로인해, 본 발명으로 제조된 원단은 형태안정성 보온성 및 경량감 등이 뛰 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방적성, 제직성 및 제편성이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평균입경이 200㎚인 이산화티탄이 12,000ppm 함유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이소프탈산이 6몰% 공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알칼리 이용해성 수지)인 용출성분(S) 3개가 단면내에 분산, 배열되어 있고 길이가 38㎜인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단독으로 링방적하여 굵기가 30's인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는 상기의 섬유형성성 성분(F)과 용출성분(S)을 해도형 복합방사 구금을 통해 복합방사 후 절단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내 섬유형성성 성분(F) : 용출성분(S)의 중량비율은 7:3이 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28게이지 싱글 환편기에서 제편하여 환편지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상기 환편지를 10% 농도의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구성하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내 용출성분(S)을 용출하여 원단내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다중 중공 단섬유 형태로 변형 시켰다.
다음으로, 용출성분이 용출된 환편지를 분산염료로 염색후 가공하여 가공 환 편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가공 환편지의 물성과 공정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실시예 2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조하는 링방적 공정에서 실시예 1의 용출형 복합 단섬유 80중량%와 면(Cotten) 단섬유 20중량%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용출형 복합 방적사 및 이로 제조된 가공 환편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가공 환편지의 물성과 공정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실시예 3
용출형 복합 단섬유 제조시 섬유형성성 성분(F)으로 폴리아미드 6 수지를 사용한 것과 염색시 산성염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용출형 복합 방적사 및 이로 제조된 가공 환편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가공 환편지의 물성과 공정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비교실시예 1
면(Cotton) 단섬유만을 사용하여 링방적 공정을 거쳐 굵기가 30's인 방적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방적사를 사용하여 28게이지 싱글 환편기에서 환편지를 제직한 후, 제직된 환편지를 염색하여 가공 환편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가공 환편지의 물성과 공정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비교실시예 2
중공율이 30%이고, 중공부가 1개이고, 길이가 38㎜인 폴리에스테르 중공 단섬유를 사용하여 링방적 공정을 거쳐 길이가 굵기가 30's인 방적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방적사를 사용하여 28게이지 싱글 환편기에서 환편지를 제직한 후, 제직된 환편지를 염색하여 가공 환편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가공 환편지의 물성과 공정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비교실시예 3
길이가 38㎜이고 단면내에 중공부가 없는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70중량%와 면(Cotton) 단섬유 30중량%를 혼합하여 링방적 공정을 거쳐 길이가 굵기가 30's인 방적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방적사를 사용하여 28게이지 싱글 환편기에서 환편지를 제직한 후, 제직된 환편지를 염색하여 가공 환편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가공 환편지의 물성과 공정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구분 공정성 가공 환편지 물성
방적성
(회)
제편성
(회)
중량(g/㎡) 보온성(%) 흡수높이(㎜) 건조시간(분)
실시예 1 0 0 92 25.4 86 115
실시예 2 0 0 107 22.7 75 130
실시예 3 0 0 82 22.6 78 112
비교실시예 1 0 0 155 18.5 65 250
비교실시예 2 5 11 132 26.1 70 183
비교실시예 3 0 0 148 19.1 62 166
상기 공정성 및 가공 환편지의 물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방적성(회)
방적사 180kg(1고리)를 생산하는 중 발생되는 공정상 트러블 횟수로 평가하였다.
제직성(회)
환편지 1절을 제편하는 중 발생되는 절사에 의한 환편기대의 정지 횟수로 평가하였다.
중량(g/㎡)
KS K 0514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보온성(%)
KS K 0560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흡수높이(㎜) 및 건조시간(분)
KS K 0815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방적사의 단면을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 1로 제조한 종래 중공 방적사의 단면을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의 단면 모식도.
도 5는 종래 중공 단섬유의 단면 모식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F : 섬유형성성 성분
S : 용출성분
L : 중공부

Claims (11)

  1. 단면상에 3개 이상의 중공부(L)가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되게 형성된 다중 중공 단섬유(Staple)를 전체 중량대비 50중량% 내지 10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
  2. 제1항에 있어서, 중공 방적사는 상기 다중 중공 단섬유(Staple) 단독으로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
  3. 제1항에 있어서, 중공 방적사는 상기 다중 중공 단섬유(Staple) 50~99중량%와 천연단섬유, 반합성 단섬유 및 합성 단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단섬유 1~5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
  4. 제3항에 있어서, 천연 단섬유, 반합성 단섬유 및 합성 단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단섬유는 단면내에 중공부가 형성되지 않은 단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중공 단섬유의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되게 형성된 중공부(L)의 개수가 3~1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중공 단섬유의 섬유형성성 성분(F)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
  7. 섬유단면상에 3개 이상의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인 용출성분(S)이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분산,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섬유형성성 성분(F)내에 100㎚ 이상의 평균입경을 갖는 무기입자가 섬유형성성 성분 대비 10,000ppm 이상 함유되어 있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사용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를 50중량~100중량% 포함하는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원단 제조용 원사의 전부나 일부로 사용하여 원단을 제조한 다음, 상기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 내에서 처리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방적사를 구성하는 용출형 복합 단섬유 중 용출성분(S)들을 용출하여 상기 용출형 복합 단섬유들을 원사 단면내에 3개 이상의 중공부를 갖는 다중 중공 단섬유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이용해성 성분인 용출성분(S)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레이트,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4-부탄디올, 2,2,4-트리메틸1,3-프로판디올, 아디프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의 화합물을 25중량% 이하 공중합시킨 공중합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이 100~1,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성성 성분내 무기입자의 함량이 섬유형성성 성분(F) 대비 10,000 ~ 100,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이산화티탄(TiO2), 이산화실리카(SiO2) 및 탄산칼슘(CaCO3)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방적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090054166A 2009-06-18 2009-06-18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KR101173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166A KR101173998B1 (ko) 2009-06-18 2009-06-18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166A KR101173998B1 (ko) 2009-06-18 2009-06-18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011A KR20100136011A (ko) 2010-12-28
KR101173998B1 true KR101173998B1 (ko) 2012-08-16

Family

ID=4351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166A KR101173998B1 (ko) 2009-06-18 2009-06-18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9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011A (ko) 201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3732B1 (de) Verformbare, hitzestabilisierbare offene Netzstruktur
EP2873756B1 (en) Sheath-core bicomponent fibre
KR101790574B1 (ko) 2이상의 서로 다른 섬도를 갖는 원사로 제직한 통풍성이 우수한 경량직물의 제조방법
KR20060129380A (ko)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직물
JP4315009B2 (ja) 混繊糸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製品
JPH0931781A (ja) 中空状撚糸とその製造方法及び布帛
KR101173998B1 (ko) 중공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KR101049186B1 (ko) 폴리에스테르 방적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21901B1 (ko) 중공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10667A (ko) 용출형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중공사 원단의제조방법
JP2016113714A (ja) 仮撚中空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織編物
JP5373481B2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5642981B2 (ja) オーガンジー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KR20070046299A (ko) 라이오셀 복합방적사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방적사및 이를 이용한 담요
JPH108345A (ja) 軽量保温布帛
KR100318332B1 (ko) 다공형중공사의제조방법
JP4370629B2 (ja) ポリエステル系混繊糸および織編物
JP2007070768A (ja) 紡績糸および織編物
JP4479394B2 (ja) 織編物
KR100991729B1 (ko) 용출형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중공사 원단의제조방법
JP2009074188A (ja) 丸編地および繊維製品
JPH10102363A (ja) 空隙材料
KR101496377B1 (ko) 실크견용 용출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09144263A (ja) 吸水速乾性ポリエステル未延伸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960005957B1 (ko) 복합방사를 이용한 고중공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