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397B1 -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397B1
KR101172397B1 KR1020070080645A KR20070080645A KR101172397B1 KR 101172397 B1 KR101172397 B1 KR 101172397B1 KR 1020070080645 A KR1020070080645 A KR 1020070080645A KR 20070080645 A KR20070080645 A KR 20070080645A KR 101172397 B1 KR101172397 B1 KR 10117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mage
light beam
point
sc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181A (ko
Inventor
한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397B1/ko
Priority to US12/164,365 priority patent/US20090040584A1/en
Priority to CNA2008101354258A priority patent/CN101363961A/zh
Publication of KR20090016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5Scanning systems with one or more pivoting mirrors or galvano-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5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main scanning direction, e.g. synchronisation of line start or picture elements in a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04N1/113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for the main-scan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66Selectively scanning in one or the other of two opposite directions, e.g. in the forward or the reverse direction
    • H04N2201/0468Scanning in both of the two directions, e.g. during the forward and return mov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dedicat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2Detecting at infrequent intervals, e.g. once or twice per line for main-sca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44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the scanned beam or a reference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8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 H04N2201/04767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by controlling the timing of the signals, e.g. by controlling the frequency o phase of the pixel clock
    • H04N2201/04781Controlling the phase of the signals
    • H04N2201/04786Controlling a start time, e.g. for output of a line of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광주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광주사장치는 광원과; 이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왕복 주사시켜 화상구간과 이 화상구간 양측 각각에 제1비화상구간 및 제2비화상구간을 형성하는 빔편향기와; 제1비화상구간을 향해 편향 주사되는 광빔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제1방향 및 그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순차 주사되는 광빔에 의해 형성된 화상구간의 수평 동기를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빔편향기, 수평동기, 광주사장치

Description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LIGHT SCANNING UNIT, AND CONTROL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광빔이 상담지체에 왕복 주사될 때에 화상구간의 수평 동기화를 이루는 구조의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주사장치는 레이저 빔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및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화상신호가 인가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편향시켜 상담지체의 주주사방향으로 주사한다. 광주사장치에 의한 주주사 및 상담지체의 이동에 의한 부주사에 의하여, 상담지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광주사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편향 주사시키기 위한 빔편향기를 가지며, 이러한 빔편향기에는 광빔을 일방향으로 주사시키는 폴리곤미러 방식과, 광빔을 정역방향으로 왕복 주사시키는 공진미러 방식이 있다.
공진미러 방식의 빔편향기는 광빔이 왕복으로 주사되므로, 화상구간에 광빔을 주사하기 이전에 주사방향을 인지한 후, 해당 주사방향에 해당하는 화상정보가 광원에 인가된다. 그리고 정전잠상을 형성하도록 광빔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화상구간은 부주사방향을 따라서 정렬되어야 한다. 즉 화상구간의 수평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광주사장치는 화상구간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비화상구간에 각각 감지부를 배치한다. 이러한 두 개의 감지부는 각각의 비화상구간으로 주사되는 광빔을 감지하여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며, 이로부터 주사방향을 인지하며 화상공간을 수평 동기화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광주사장치는 감지부가 두 개 이상 마련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며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감지부가 출력하는 신호의 전달을 위해 전기적 연결 구성이 이루어져야 하며, 각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상이한 신호를 판별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광빔이 왕복 주사됨으로써 형성되며 부주사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화상구간의 수평 동기화를, 하나의 감지부를 적용하여 달성하기 위한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왕복 주사되는 광빔의 주사방향을 하나의 감지부에 의해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의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왕복 주사시켜, 화상구간과 상기 화상구간 양측 각각에 제1비화상구간 및 제2비화상구간을 형성하는 빔편향기와; 상기 제1비화상구간을 향해 편향 주사되는 광빔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순차 주사되는 상기 광빔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화상구간의 수평 동기를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편향기의 구동주파수 및 상기 출력신호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광빔의 주사 시점 및 종점을 조정한다.
여기서 입사된 광빔이 상기 빔편향기에서 반사되는 지점인 기준점과 상기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선, 상기 화상구간에 접하지 않은 상기 제1비화상구간의 선단과 상기 기준점을 연결하는 제2선, 상기 화상구간에 접하지 않은 상기 제2비화상구간의 선단과 상기 기준점을 연결하는 제3선이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빔이 상기 제1선으로부터 상기 제2선까지 주사된 후 상기 제1선으로 복귀하는 시간 대역인 T1과, 상기 제1선으로부터 상기 제3선까지 이동한 후 상기 제1선으로 복귀하는 시간 대역인 T2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T1 및 T2는 T1 < T2 의 관계를 만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상기 계측된 시간차가 상기 T1 및 T2 시간 대역 중 어느 것과 동일한지 실시간으로 비교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편향기의 구동주파수 및 상기 출력신호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T2 시간 대역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순차 주사되어 화상구간을 형성하는 시간대를 구분한다.
여기서 상기 T2 시간 대역은,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에서 상기 화상구간 시점까지 주사되는 시간인 K;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는 시간인 L; 상기 제2비화상구간에 주사되는 시간인 M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상기 계측된 시간차가 T1과 동일하면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 시간 이후에 상기 제1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L 시간 동안 주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L+2M 시간 이후에 상기 제2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L 시간 동안 주사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T2 시간 대역은,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에서 상기 화상구간 시점까지 주사되는 시간인 K1;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상기 제1방향 주사 종점과 상기 제2방향 주사 시점 사이의 주사 시간인 Q;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상기 제2방향 주사 종점에서 상기 T2 시간 대역 종점까지의 주사 시간인 K2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상기 계측된 시간차가 T1과 동일하면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1 시간 이후에 상기 제1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빔의 상기 제1방향 주사 종점부터 Q+(K2-K1) 시간 이후에 상기 제2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또한 상기 빔편향기는 공진미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광빔을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상기한 구조의 광주사장치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와; 상기 상담지체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상기 인쇄매체 상의 가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빔편향기는 공진미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왕복 주사시켜 화상구간과 상기 화상구간 양측 각각에 제1비화상구간 및 제2비화상구간을 형성하는 빔편향기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비화상구간을 향해 편향 주사되는 광빔을 감지부로 감지하여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시간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순차 주사되는 상기 화상구간의 수평 동기를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동기 단계에서는, 상기 빔편향기의 구동주파수 및 상기 출 력신호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광빔의 주사 시점 및 종점을 조정한다.
여기서 입사된 광빔이 상기 빔편향기에서 반사되는 지점인 기준점과 상기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선, 상기 화상구간에 접하지 않은 상기 제1비화상구간의 선단과 상기 기준점을 연결하는 제2선, 상기 화상구간에 접하지 않은 상기 제2비화상구간의 선단과 상기 기준점을 연결하는 제3선이 있을 때, 상기 시간 주기 산출 단계는, 상기 광빔이 상기 제1선으로부터 상기 제2선까지 주사된 후 상기 제1선으로 복귀하는 시간 대역인 T1과, 상기 제1선으로부터 상기 제3선까지 이동한 후 상기 제1선으로 복귀하는 시간 대역인 T2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T1 및 T2는 T1 < T2 의 관계를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 주기 산출 단계는, 상기 빔편향기의 구동주파수 및 상기 출력신호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T2 시간 대역에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순차 주사되어 화상구간을 형성하는 시간대를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대 구분 단계에서는 상기 T2 시간 대역을,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에서 상기 화상구간 시점까지 주사되는 시간인 K;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는 시간인 L; 상기 제2비화상구간에 주사되는 시간인 M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동기 단계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상기 계측된 시간차가 T1과 동일하면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 시간 이후에 상기 제1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L 시간 동안 주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동기 단계는,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L+2M 시간 이후에 상기 제2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L 시간 동안 주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는 상기 시간대 구분 단계에서는 상기 T2 시간 대역을,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에서 상기 화상구간 시점까지 주사되는 시간인 K1;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상기 제1방향 주사 종점과 상기 제2방향 주사 시점 사이의 주사 시간인 Q;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상기 제2방향 주사 종점에서 상기 T2 시간 대역 종점까지의 주사 시간인 K2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동기 단계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상기 계측된 시간차가 T1과 동일하면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1 시간 이후에 상기 제1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동기 단계는, 상기 광빔의 상기 제1방향 주사 종점부터 Q+(K2-K1) 시간 이후에 상기 제2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빔편향기는 공진미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감지부를 적용하여 화상구간의 수평 동기화 및 주사방향을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인쇄매체 상의 화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장치 비용 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감지부의 감소를 통해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인터페이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빔편향기 별로 발생하는 구동주파수의 오차에 대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화상구간의 수평 동기화를 구현함으로써 부가적인 하드웨어가 불필요해진다. 이는 장치 비용의 절감은 물론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20)는 부주사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담지체(10)에 대해 주주사방향으로 광빔(B)을 주사한다. 또한 광주사장치(20)는 주주사방향을 따라서 광빔(B)을 왕복 주사함으로써 상담지체(10)에 주사선(Z)을 형성한다.
여기서 주사선(Z)은 화상구간(Zs)과, 화상구간(Zs) 양측에 형성된 제1비화상구간(Zn1) 및 제2비화상구간(Zn2)으로 구분된다. 화상구간(Zs)은 주사선(Z)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소정의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빔(B)이 주사되는 구간이며, 제1비화상구간(Zn1) 및 제2비화상구간(Zn2)은 화상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광빔(B)이 주사되는 구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비화상구간(Zn1) 및 제2비화상구간(Zn2)이 각각 화상구간(Zs)의 좌측 및 우측에 있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화상구간(Zs) 양측에 있는 두 비화상구간(Zn1, Zn2)을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지칭한 것이다.
광주사장치(20)는 이를 위한 구성으로, 광빔(B)을 생성하는 광원(100)과, 광 원(100)으로부터 조사된 광빔(B)을 상담지체(10)로 편향 주사시켜 주사선(Z)을 형성하는 빔편향기(400)를 가진다.
광주사장치(20)는 빔편향기(400)로부터 제1비화상구간(Zn1)을 향해 편향 주사되는 광빔(B)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700)와, 감지부(70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광빔(B)의 주사방향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서 화상정보를 광원(100)에 인가하며 화상구간(Zs)의 수평 동기를 맞추는 제어부(800)를 더 가진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참조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 참조 기호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지칭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기준점(Ps)은 광원(100)으로부터 조사된 광빔(B)이 빔편향기(400)에서 반사되는 지점이다. 기준선(Ls)은 이 기준점(Ps)과 화상구간(Zs)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을 의미한다.
제1방향(D1)은 제1비화상구간(Zn1)으로부터 제2비화상구간(Zn2)을 향하는 방향, 즉 도 2에서 우측을 향하는 주사방향이다. 제2방향(D2)은 제1방향(D1)의 반대방향으로, 도 2에서 좌측을 향하는 주사방향이다.
제1선(L1)은 기준점(Ps)과 감지부(700)를 연결한 직선이다. 여기서 제1선(L1) 및 기준선(Ls)을 기준사이각(θ)으로 한다.
제2선(L2)은 화상구간(Zs)에 접하지 않은 제1비화상구간(Zn1)의 선단과 기준점(Ps)을 연결한 직선, 제3선(L3)은 화상구간(Zs)에 접하지 않은 제2비화상구간(Zn2)의 선단과 기준점(Ps)을 연결한 직선이다. 즉 제2선(L2) 및 제3선(L3)은 주 사선(Z)의 양측 선단과 기준점(Ps)을 각각 연결한 직선을 의미한다.
제4선(L4)은 제1비화상구간(Zn1)에 접하는 화상구간(Zs)의 선단, 즉 제2방향(D2)으로의 화상구간(Zs) 선단과 기준점(Ps)을 연결하는 직선이다. 제5선(L5)은 제2비화상구간(Zn2)에 접하는 화상구간(Zs)의 선단, 즉 제1방향(D1)으로의 화상구간(Zs) 선단과 기준점(Ps)을 연결하는 직선이다.
광원(100)은 제어부(80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면서 화상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빔(B)을 생성 조사한다. 광원(100)은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100)은 구성 방식에 따라서 단일 빔 또는 멀티 빔을 조사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발광점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로 광원(100)을 구성하는 경우는 멀티 빔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다.
광원(100)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에 각각 대응하는 화상정보가 제어부(800)에 의해 인가됨으로써 이러한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B)을 생성한다. 즉 광빔(B)이 제1방향(D1)을 따라서 화상구간(Zs)에 주사될 때 광원(100)에는 제1방향(D1)에 대응하는 화상정보가 인가된다. 반면 광빔(B)이 제2방향(D2)을 따라서 화상구간(Zs)에 주사될 때 광원(100)에는 제2방향(D2)에 대응하는 화상정보가 인가된다. 한편 광빔(B)이 제1비화상구간(Zn1) 및 제2비화상구간(Zn2)에 주사될 때 광원(100)에는 화상정보가 인가되지 않는다.
빔편향기(400)는 광원(100)으로부터 조사된 광빔(B)을 왕복 주사, 자세하게는 제1방향(D1) 및 이에 반대방향인 제2방향(D2)으로 주사하여 상담지체(10)에 주사선(Z) 형성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빔편향기(400)는 공진미러 방식 이 적용된다. 공진미러 방식의 빔편향기(400)는 소정의 공진주파수, 즉 구동주파수로 진동함으로써 광빔(B)을 주사한다. 여기서 빔편향기(400) 자체의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빔편향기(400)에 편향되어 주사되는 광빔(B)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기준선(Ls)에 대하여 형성하는 사이각의 변화를 살펴보면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사인파를 이룬다(도 3 참조). 빔편향기(400)가 최초 구동하는 시점에서는 구동주파수가 일정하지 않으며, 최초 구동 이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빔편향기(400)의 구동이 안정화되면 빔편향기(400)의 구동주파수가 일정해진다. 빔편향기(400)로부터 일정한 구동주파수가 산출되면 도 3과 같은 그래프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광빔(B)의 주사각의 변위, 즉 주사선(Z) 상에서의 광빔(B) 선단의 변위에 따른 이동시간이 산출된다. 도 3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광원(100)과 빔편향기(400) 사이의 광빔(B) 경로 상에는 콜리메이팅 렌즈(200)와 실린드리컬 렌즈(300)가 더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빔편향기(400) 및 상담지체(10) 사이의 광빔(B) 경로 상에는 f-θ 렌즈(500) 및 주사선반사미러(600)가 설치된다.
콜리메이팅 렌즈(200)는 광원(100)에서 조사된 광빔(B)을 집속시켜 수렴광이 되도록 한다. 즉, 콜리메이팅 렌즈(200)를 배치함에 있어서, 콜리메이팅 렌즈(200)로부터 f-θ 렌즈(500)까지의 주주사 방향의 광빔(B)의 각도가 평행하지 않고 수렴하도록 배치된 구조 즉, 유한 광학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드리컬 렌즈(300)는 부주사방향으로만 소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로서, 콜리메이팅 렌즈(200)를 투과한 광빔(B)을 정형하여 빔편향기(400)에 선형으로 결상시킨다.
f-θ 렌즈(500)는 입사면과 출사면을 가지는 1매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으로, 빔편향기(400)에서 편향 주사된 빔을 주주사방향과 부주사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배율로 보정하여 주사선(Z)이 상담지체(10)에 결상되도록 한다.
주사선반사미러(600)는 빔편향기(400)와 상담지체(10) 사이에 광빔(B)의 경로 변환을 위하여 구비된다.
감지부(700)는 제2선(L2) 및 제4선(L4) 사이에 배치되며, 제1선(L1)을 따라서 주사되는 광빔(B)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광빔(B)의 주사가 계속되는 동안 감지부(700)는 연속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며, 이를 위한 감지부(700)의 구성은 포토센서 등으로 마련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감지부(700)는 출력한 신호를 제어부(800)로 전달하며, 이에 제어부(800)는 감지부(700)로부터의 출력신호 시간 주기를 측정한다.
감지부(700)는 제1비화상구간(Zn1)으로 주사되는 광빔(B), 자세하게는 제1선(L1)을 따라서 주사되는 광빔(B)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며, 제2비화상구간(Zn2)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제어부(800)는 빔편향기(400)의 구동이 안정화된 후 빔편향기(400)의 구동주파수에 기초하여 도 3의 그래프를 산출하며, 감지부(700)의 출력신호 시간 주기를 측정한다. 제어부(800)는 이 구동주파수 및 감지부(700)의 출력신호 주기에 기초하 여 제1선(L1) 내지 제5선(L5) 사이 각각의 이동시간을 도출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감지부(700)로부터 신호가 출력될 때 광빔(B)의 주사방향을 판단하며, 이 주사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가지는 광빔(B)이 주사되도록 해당 화상정보를 광원(100)에 인가한다.
도 3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빔편향기(400)에 의해 편향 주사되는 광빔(B)의 광경로가 기준선(Ls)에 대해 형성하는 사이각의 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감지부(700) 출력신호 주기 및 광원(100)에 대한 화상신호의 인가 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빔편향기(400)의 구동주파수가 안정화되어 광빔(B)의 주사각 및 각속도가 일정해지면, 광빔(B)은 제1선(L1) 내지 제5선(L5) 사이를 이동하며 도 3의 사인 커브(sine curve)를 형성한다.
광빔(B)이 제1선(L1)으로부터 제2선(L2)까지 주사된 후 제1선(L1)으로 복귀하는 시간 대역을 T1이라 한다. T1은 도 3의 사인 커브가 기준사이각(θ)의 상측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 대역이다.
그리고 광빔(B)이 제1선(L1)으로부터 제3선(L3)까지 이동한 후 제1선(L1)으로 복귀하는 시간 대역을 T2라 한다. T2는 도 3의 사인 커브가 기준사이각(θ)의 하측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 대역이다.
T2는 화상구간(Zs)에 대한 주사 구간을 포함하므로, T1 및 T2는 T1 < T2의 관계를 만족한다. 또한 T1 및 T2는 광빔(B)이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을 왕복 주사하는 동안 감지부(700)에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부(800)는 감지부(700)의 출력신호를 기준으로 T1 및 T2 시간 대역을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T1 시간 대역은 광빔(B)이 제1비화상구간(Zn1)을 주사하는 시간 대역이므로, T1에서는 화상정보가 광원(100)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T1 시간 대역을 화상구간(Zs)의 수평동기 기준으로 하며, T2 시간 대역에서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광원(100)에 인가하는 시간대를 구분한다. 이러한 시간대 구분은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800)는 감지부(700)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이 계측된 시간차가 T1 및 T2 시간 대역 중 어느 것과 동일한지 실시간으로 비교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800)는 감지부(700)로부터 출력신호가 감지되었을 때에 이 시점에서 계측된 시간차가 T1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출력신호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사전 지정된 시간대의 구분을 적용하여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광원(100)에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이 때 T1 및 T2 시간 대역은 순차적으로 번갈아서 나타나므로, T1 시간 대역 종점 및 T2 시간 대역 시점, 그리고 T1 시간 대역 시점 및 T2 시간 대역 종점은 각각 동일한 시점인 것으로 한다. 제어부(800)는 감지부(700)에서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이 출력신호가 T1 시간 대역 종점이라고 판단되면, 그 시점부터 T2 시간 대역의 시간대 구분을 적용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감지부(700)가 적용된 광주사장치(20)에서 화상구간(Zs)의 수평동기를 맞추는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초기 상태는 광주사장치(20)가 구동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이다.
광주사장치(20)가 작동을 개시하면, 빔편향기(400)가 구동을 개시하며 광원(100)으로부터 광빔(B)이 조사되어 주사가 이루어진다(S100). 이 시점에서 제어부(800)는 광원(100)에 화상정보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이다.
제어부(800)는 빔편향기(400)의 구동이 안정화되어 일정한 구동주파수가 산출되는지 판단한다(S110). 빔편향기(400)의 구동이 안정화되면, 빔편향기(400)의 구동주파수 및 감지부(7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시간 주기를 측정하여, T1 및 T2를 산출한다(S120). 이 과정이 종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준선(Ls)에 대한 광빔(B) 경로와의 사이각 변위 그래프 및 감지부(700) 출력신호 주기 그래프가 산출된다.
제어부(800)는 도 3의 그래프로부터, T2 시간 대역의 시간대를 구분한다. 즉 제어부(800)는 빔편향기(400)의 구동주파수 및 감지부(700)의 출력신호 주기에 기초하여, T2 시간 대역 시점에서 화상구간(Zs) 시점까지 주사되는 시간인 K, 화상구간(Zs)에 주사되는 시간인 L, 제2비화상구간(Zn2)에 주사되는 시간인 M을 도출한다(S130).
보다 자세하게는 K는 광빔(B)이 제1선(L1)으로부터 제4선(L4)까지 이동하는 시간, L은 제4선(L4)부터 제5선(L5)까지 이동하는 시간, M은 제5선(L5)부터 제3선(L3)까지 이동하는 시간이다. 이후 광빔(B)은 제5선(L5)부터 제1선(L1)까지 복귀 한다. 여기서 제5선(L5)부터 제3선(L3)까지 이동했다가 다시 제5선(L5)까지 복귀하는 시간은 2M이 된다.
이러한 구조로부터 광빔(B)이 제1방향(D1)을 따라서 제1선(L1)부터 제5선(L5)까지 이동하는 시간인 K+L+M은 [T2]/2와 동일하므로, 이를 기초로 T2 시간 대역을 구분할 수 있다. 즉 T2 시간 대역으로부터 K 시간 경과한 후 제1방향(D1)의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빔(B)이 L 시간 동안 주사된다.
그리고 L 시간의 주사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2M 시간 이후, 다르게 표현하면 T2 시간 대역으로부터 K+L+2M 시간 후에, 제2방향(D2)의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빔(B)이 L 시간 동안 주사된다.
K, L 및 M이 도출되면 프린팅 작업을 개시한다(S140). 제어부(800)는 감지부(700)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계측된 시간차가 T1 시간 대역과 동일한지 실시간으로 비교한다.
제어부(800)는 감지부(700) 출력신호 시점에서 T1 시간 대역이 끝나고 T2 시간 대역이 시작된다고 판단하면, T1 검출 시점, 즉 T2 시간 대역 시점으로부터 K 시간 이후에 제1방향(D1) 화상정보의 광빔(B)을 L 시간 주사한다(S150). 이것이 끝나면 그 시점부터 2M 시간 이후에 제2방향(D2) 화상정보의 광빔(B)을 L 시간 주사한다(S160).
제어부(800)는 이러한 과정 이후 프린팅 작업이 종료하였는지 판단하여, 프린팅 잡의 종료 혹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상담지체(10)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S17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빔편향기(400)의 구동주파수 및 하나의 감지부(700)에서 출력되는 신호 주기에 기초하여, 상이한 시간 대역인 T1 및 T2를 산출한다. T1 시간 대역을 수평동기신호로 하고, T2 시간 대역의 시간대를 구분하여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 화상정보의 광빔(B)을 구분된 시간대 별로 순차 주사한다.
이로써 왕복 주사되는 광빔(B)의 주사방향을 하나의 감지부(700)에 의해 인지하며, 부주사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화상구간(Zs)의 수평 동기화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T2 시간 대역을 구분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 지정될 수 있다. 이에 제1실시예와 T2 시간 대역을 상이하게 구분하여 적용한 예를 제2실시예로 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자세한 구성은 제1실시예의 경우를 준용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빔편향기(400)의 구동 및 광빔(B) 주사를 개시하여, 빔편향기(400) 구동주파수 및 감지부(700) 출력신호 주기로부터 T1 및 T2 시간 대역을 산출하는 단계(S200 내지 S220)까지는 제1실시예에 준한다.
제어부(800)는 T2 시간 대역을, 광빔(B)이 T2 시간 대역 시점에서 화상구간(Zs) 시점까지 주사되는 시간인 K1, 화상구간(Zs)에 대한 제1방향(D1) 주사 종점과 제2방향(D2) 주사 시점 사이의 주사 시간인 Q, 화상구간(Zs)에 대한 제2방향(D2) 주사 종점에서 T2 시간 대역 종점까지의 주사 시간인 K2로 구분한다(S230). 여기서 광빔(B)이 화상구간(Zs)을 이동하는 시간은 시스템 상에서 지정된 소정 시간일 수 있으며, 이 시간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이 동일하다.
K1은 K2와 동일한 것이 이상적이나, 빔편향기(400)의 구동주파수 등 장치에 포함된 여러 요인에 의하여 K1 및 K2는 오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차 발생을 제1방향(D1) 화상정보의 광빔(B) 주사 종료 이후 제2방향(D2) 화상정보의 광빔(B) 주사 시작 이전에 보정함으로써 화상구간(Zs)을 수평 동기화한다. 즉 Q 시간에 (K2-K1) 시간을 부가함으로써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의 화상구간(Zs)을 수평 동기화할 수 있다.
Q+(K2-K1)의 의미는, K2가 K1보다 큰 경우 Q 시간에 K1 및 K2의 시간차를 추가하며, 반면 K2가 K1보다 작은 경우 Q 시간에 K1 및 K2의 시간차를 삭감하는 것을 뜻한다.
T2 시간 대역의 시간대 구분이 끝나면 프린팅 작업을 개시한다(S240). 감지부(700)의 출력신호로부터 T1 시간 대역의 종료를 인지하면, 제어부(800)는 T1 시간 대역을 검출한 시점, 즉 T2 시간 대역 시점으로부터 K1 시간 이후에 제1방향(D1) 화상정보의 광빔(B)을 주사한다(S250). 제1방향(D1) 화상정보의 광빔(B) 주사가 종료하면, 이 시점으로부터 Q+(K2-K1) 시간 이후에 제2방향(D2) 화상정보의 광빔(B)을 주사한다(S260).
제어부(800)는 이러한 과정 이후 프린팅 작업이 종료하였는지 판단하여, 프린팅 잡의 종료 혹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상담지체(10)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S27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T1 및 T2 시간 대역의 산출 후, T2 시간 대역을 시간대 별로 구분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매체가 적재 및 공급되는 매체공급장치(30)와, 정전잠상 및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상담지체(40)와, 상담지체(40)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50)와, 상담지체(40)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장치(60)와, 상담지체(40)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장치(70)와, 전사된 미정착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80)를 포함한다.
상담지체(40)는 인쇄매체 상에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 개, 예를 들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상에 해당하는 네 개의 개체가 인쇄매체의 이송경로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담지체(40)는 외주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후, 광주사장치(50)로부터의 광빔(B)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담지체(40)에 현상장치(60)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면, 상담지체(40)에는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된다. 상담지체(4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지체(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광주사장치(50)는 복수 상담지체(40) 각각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광빔(B)을 주사한다. 광주사장치(50)는 최종 형성하고자 하는 컬러 화상의 이미지 정보를 색상별로 분리하여, 이에 기초하여 각 상담지체(40)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장치(5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20)의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현상장치(60)는 각 현상제 색상별로 마련된 복수의 상담지체(40)에 대응하게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각 상담지체(40) 상에는 상이한 색상의 가시 화상이 형성된다.
전사장치(70)은 인쇄매체를 이송하여 복수의 상담지체(40)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며, 각 상담지체(40)의 가시 화상이 인쇄매체 상에 중첩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장치(80)는 전사장치(70)에서 가시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가시 화상을 정착시킨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주사장치에서 광빔의 편향 주사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도 2의 광주사장치에서 빔편향기의 구동주파수 및 감지부의 출력 주기에 따른 광빔의 주사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도 3의 그래프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작동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에서 빔편향기의 구동주파수 및 감지부의 출력 주기에 따른 광빔의 주사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도 5의 그래프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작동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10 : 상담지체
20 : 광주사장치 100 : 광원
200 : 콜리메이팅 렌즈 300 : 실린드리컬 렌즈
400 : 빔편향기 500 : f-θ 렌즈
600 : 주사선반사미러 700 : 감지부
800 : 제어부 B : 광빔

Claims (27)

  1.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왕복 주사시켜, 화상구간과 상기 화상구간 양측 각각에 제1비화상구간 및 제2비화상구간을 형성하는 빔편향기와;
    상기 제1비화상구간을 향해 편향 주사되는 광빔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순차 주사되는 상기 광빔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화상구간의 수평 동기를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편향기의 구동주파수 및 상기 출력신호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광빔의 주사 시점 및 종점을 조정하고,
    입사된 광빔이 상기 빔편향기에서 반사되는 지점인 기준점과 상기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선, 상기 화상구간에 접하지 않은 상기 제1비화상구간의 선단과 상기 기준점을 연결하는 제2선, 상기 화상구간에 접하지 않은 상기 제2비화상구간의 선단과 상기 기준점을 연결하는 제3선이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빔이 상기 제1선으로부터 상기 제2선까지 주사된 후 상기 제1선으로 복귀하는 시간 대역인 T1과, 상기 제1선으로부터 상기 제3선까지 이동한 후 상기 제1선으로 복귀하는 시간 대역인 T2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1 및 T2는 T1 < T2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상기 계측된 시간차가 상기 T1 및 T2 시간 대역 중 어느 것과 동일한지 실시간으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편향기의 구동주파수 및 상기 출력신호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T2 시간 대역에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순차 주사되어 화상구간을 형성하는 시간대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T2 시간 대역은,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에서 상기 화상구간 시점까지 주사되는 시간인 K;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는 시간인 L;
    상기 제2비화상구간에 주사되는 시간인 M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상기 계측된 시간차가 T1과 동일하면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 시간 이후에 상기 제1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L 시간 동안 주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L+2M 시간 이후에 상기 제2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L 시간 동안 주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T2 시간 대역은,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에서 상기 화상구간 시점까지 주사되는 시간인 K1;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상기 제1방향 주사 종점과 상기 제2방향 주사 시점 사이의 주사 시간인 Q;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상기 제2방향 주사 종점에서 상기 T2 시간 대역 종점까지의 주사 시간인 K2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상기 계측된 시간차가 T1과 동일하면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1 시간 이후에 상기 제1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빔의 상기 제1방향 주사 종점부터 Q+(K2-K1) 시간 이후에 상기 제2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13. 제1항과,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편향기는 공진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14.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광빔을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제1항과,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주사장치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와;
    상기 상담지체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상기 인쇄매체 상의 가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빔편향기는 공진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왕복 주사시켜 화상구간과 상기 화상구간 양측 각각에 제1비화상구간 및 제2비화상구간을 형성하는 빔편향기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비화상구간을 향해 편향 주사되는 광빔을 감지부로 감지하여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시간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순차 주사되는 상기 화상구간의 수평 동기를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동기 단계에서는, 상기 빔편향기의 구동주파수 및 상기 출력신호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광빔의 주사 시점 및 종점을 조정하고,
    입사된 광빔이 상기 빔편향기에서 반사되는 지점인 기준점과 상기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선, 상기 화상구간에 접하지 않은 상기 제1비화상구간의 선단과 상기 기준점을 연결하는 제2선, 상기 화상구간에 접하지 않은 상기 제2비화상구간의 선단과 상기 기준점을 연결하는 제3선이 있을 때,
    상기 시간 주기 산출 단계는, 상기 광빔이 상기 제1선으로부터 상기 제2선까지 주사된 후 상기 제1선으로 복귀하는 시간 대역인 T1과, 상기 제1선으로부터 상기 제3선까지 이동한 후 상기 제1선으로 복귀하는 시간 대역인 T2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T1 및 T2는 T1 < T2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주기 산출 단계는,
    상기 빔편향기의 구동주파수 및 상기 출력신호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T2 시간 대역에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순차 주사되어 화상구간을 형성하는 시간대를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대 구분 단계에서는 상기 T2 시간 대역을,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에서 상기 화상구간 시점까지 주사되는 시간인 K;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는 시간인 L;
    상기 제2비화상구간에 주사되는 시간인 M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동기 단계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상기 계측된 시간차가 T1과 동일하면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 시간 이 후에 상기 제1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L 시간 동안 주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동기 단계는,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L+2M 시간 이후에 상기 제2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L 시간 동안 주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대 구분 단계에서는 상기 T2 시간 대역을,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에서 상기 화상구간 시점까지 주사되는 시간인 K1;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상기 제1방향 주사 종점과 상기 제2방향 주사 시점 사이의 주사 시간인 Q;
    상기 화상구간에 대한 상기 제2방향 주사 종점에서 상기 T2 시간 대역 종점까지의 주사 시간인 K2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동기 단계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신호 시간차를 실시간 계측하며,
    상기 계측된 시간차가 T1과 동일하면 상기 T2 시간 대역 시점부터 K1 시간 이후에 상기 제1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동기 단계는,
    상기 광빔의 상기 제1방향 주사 종점부터 Q+(K2-K1) 시간 이후에 상기 제2방향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광빔이 상기 화상구간에 주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
  27. 제16항과,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편향기는 공진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080645A 2007-08-10 2007-08-10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1172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645A KR101172397B1 (ko) 2007-08-10 2007-08-10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12/164,365 US20090040584A1 (en) 2007-08-10 2008-06-30 Light scanning unit,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A2008101354258A CN101363961A (zh) 2007-08-10 2008-08-07 光扫描单元及其控制方法、和具有光扫描单元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645A KR101172397B1 (ko) 2007-08-10 2007-08-10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181A KR20090016181A (ko) 2009-02-13
KR101172397B1 true KR101172397B1 (ko) 2012-08-08

Family

ID=4034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645A KR101172397B1 (ko) 2007-08-10 2007-08-10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40584A1 (ko)
KR (1) KR101172397B1 (ko)
CN (1) CN1013639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2935B2 (ja) * 2013-02-14 2017-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3703250B (zh) * 2020-12-31 2023-04-07 苏州立创致恒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扫描振镜的成像系统及成像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0023A1 (en) * 2002-12-23 2004-06-24 Bush Craig P. Dynamic torsion oscillator mirror operation
US20060119908A1 (en) * 2004-12-02 2006-06-08 Lexmark International, Inc. Torsion oscillator voltage control driv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0247A (en) * 1978-06-08 1979-12-18 Canon Inc Information output device
JP2003211730A (ja) * 2002-01-25 2003-07-29 Canon Inc レーザー制御装置
US6995357B2 (en) * 2002-12-23 2006-02-07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and movement of scanning laser beam
US20050231781A1 (en) * 2004-04-20 2005-10-20 Seiko Ep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orming image using oscillation mirror
JP2006305969A (ja) * 2005-05-02 2006-11-09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0023A1 (en) * 2002-12-23 2004-06-24 Bush Craig P. Dynamic torsion oscillator mirror operation
US20060119908A1 (en) * 2004-12-02 2006-06-08 Lexmark International, Inc. Torsion oscillator voltage control dr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181A (ko) 2009-02-13
CN101363961A (zh) 2009-02-11
US20090040584A1 (en)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5248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124741B2 (ja) 多色画像形成装置の光走査装置
JP4987115B2 (ja) 画像形成装置
US7679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detecting a reference signal for a lighting control
JP2000089148A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903134B2 (en) Laser scanning apparatus having a photodetector having first and second light receiving units
US200600018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effectively correcting alignment errors of elementary color outputs to be superposed into an image
KR102066772B1 (ko) 광 주사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US8237759B2 (en)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172397B1 (ko)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6815663B2 (en) Apparatus for optical scanning along with measurement of optical characteristics within scanning region
JP2007072069A (ja) 光走査装置
KR101154893B1 (ko) 광주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H10148775A (ja) マルチビーム走査光学装置
KR10123164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411279B (zh) 图像形成装置和图像形成方法
JP4492344B2 (ja) 画像形成装置
JP3638204B2 (ja) 多色画像形成装置
JP20020290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94333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63931A (ja)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US8994770B2 (en) Optical scanning system for use in an imaging apparatus
JP2006251673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光走査方法及び装置
JP2007187730A (ja) 光走査装置
JP2017026961A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