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923B1 -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923B1
KR101171923B1 KR1020100076316A KR20100076316A KR101171923B1 KR 101171923 B1 KR101171923 B1 KR 101171923B1 KR 1020100076316 A KR1020100076316 A KR 1020100076316A KR 20100076316 A KR20100076316 A KR 20100076316A KR 101171923 B1 KR101171923 B1 KR 101171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ed intake
feed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4336A (ko
Inventor
최형규
정은용
장희주
Original Assignee
(주)이엘티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티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이엘티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0007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9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과 베타인이 함유된 75% 무수에탄올을 추출 용매액으로 사용하여 추출한 산사추추물 5.0 ~ 40.0중량%와 건강추출물 5.0 ~ 40.0중량%, 엘-카르니틴 0.625 ~ 5.0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 0.1 ~ 1.0중량% 및 정제수 14.0 ~ 89.27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형성하여 사료를 잘 먹지 않는 가축의 음수에 희석하여 급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가축의 사료 섭취량을 증가시켜 성장을 촉진하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The composition of feed consumption impr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이 마시는 음수에 생약 추출물로 제조된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희석시켜 음용하도록 함으로써, 식욕 저하로 인해 사료를 잘 먹지 않는 가축에게 음수로 용이하게 급여하여 사료 섭취를 증가시켜 가축의 성장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축산업 목적은 닭, 돼지, 소 등 가축을 사육하여 계란, 고기, 우유 등 축산물을 생산하여 인류의 건강을 도모하는데 있다. 최근 들어 축산물의 수요가 증가되어 오면서 축산업의 규모 또한 대형화 및 전문화되었으며 국가간의 축산물 수출입이 자유화 되면서 생산성을 높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치열해지고 있다.
또한 국민 소득의 증가로 건강과 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오면서 안전 축산물에 대한 요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배합사료에 첨가해오고 있던 성장촉진용 항생제의 규제가 이를 반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성장촉진용 항생제 대체제로서 다양한 제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각광을 받고 있는 제제 중 하나가 사료 섭취 증진제이다. 사료섭취 증진제는 사료 섭취를 자극하는 기호성 물질을 가축에 급여하여 사료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증체량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이는 것으로써 감미제, 향미제, 소화촉진제, 산미제 등이 사용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제제들은 대부분이 사료첨가제로서 배합사료에 톤당 100g 내지 1kg 을 첨가하여 지속적으로 급여해오고 있으나 지속적인 급여에 따른 내성의 획득으로 인하여 첨가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미제, 산미제 및 향미제의 경우는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역치가 발생되게 되고 기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사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화촉진제의 경우는 장기간 소화효소 사용으로 인하여 생체 소화기관이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소화효소의 양이 활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료 섭취량이 감소되는 특정시기(여름철 고온시, 질병 발생시, 이유시, 이동시, 사료 교체시 등)에 한하여 사료 섭취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일정 기간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선호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특정시기의 사료 섭취 감소가 가축의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에 가장 커다란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정 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사료 섭취량을 회복 또는 개선시켜 줌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크게 도모할 수 있다.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는 여름철 고온시나 질병 발생시 또는 이유 및 이동 등 스트레스시에 사료 섭취 증진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는 것은 이미 식욕저하로 인하여 사료 섭취량이 감소된 가축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특히, 질병 감염이나 심한 고온 스트레스로 인하여 사료를 거의 먹지 않고 있는 환축에게는 사료 섭취 증진제를 사료에 첨가하였다 할지라도 만족스런 결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질병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사료 섭취량이 크게 감소된 가축의 사료 섭취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료보다는 음수에 희석하여 급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가축의 사료 섭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할지라도 음수 섭취량의 감소는 사료 섭취량 감소에 비해 극히 미미하다는 여러 연구결과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료 섭취 증진제는 음수에 녹지 않아 첨가 자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일부 음수 투여가 가능한 제제의 경우는 사료 섭취 증진 효과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료 섭취 증진제의 음수 첨가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질병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사료 섭취량이 현저히 감소된 가축의 사료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음수에 잘 희석되고 사료 섭취 증진효과가 우수한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제수에 염화나트륨과 베타인을 녹인 다음 무수에탄올을 가하여 추출 용매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한 추출 용매액 1,000ml에 건조된 산사 250g을 세절하여 넣고 20g의 맥반석을 각각 투입하여 3 ~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20매쉬 체로 1차 여과한 다음 50미크론 필터로 2차 여과하여 산사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 용매액 1,000ml에 건조된 건강 250g을 세절하여 넣고 20g의 맥반석을 각각 투입하여 3 ~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20매쉬 체로 1차 여과한 다음 50미크론 필터로 2차 여과하여 건강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산사추출물 5.0 ~ 40.0중량%과 건강추출물 5.0 ~ 40.0중량%, 엘-카르니틴 0.625 ~ 5.0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 0.1 ~ 1.0중량% 및 정제수 14.0 ~ 89.275중량%을 각각 혼합기에 투입한 후 120rpm 속도로 10 ~ 30분간 혼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질병 또는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사료를 잘 먹지 않는 가축에게 음수에 희석하여 급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사료 섭취량을 증진시킬 수 있어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양호한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도시해 보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섭취 증진제는 산사추출물, 건강(乾薑)추출물, 엘-카르니틴, 폴리소르베이트-80 및 정제수로 조성된 복합 조성물로 구성되며,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는 여름철 고온시나 질병 발생시 또는 이유 및 이동, 스트레스 발생 등 특정 시기에 사료 섭취 증진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는 대신 음수에 희석하여 급여함으로써, 사료 섭취 증진 효과가 미흡하다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상기 산사(山査, Crataegi fructus)는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bunge)의 열매로서 고지혈증, 고혈압, 심근경색, 급성이질, 장염, 간염, 황달, 폐경, 산후자궁회복부전 등에 사용되고 있고 있다.
상기 건강(乾薑, Zingiberis rhizoma)은 생강(Zingiberis officinale)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으로서, 유행성 감기, 감기 등 상기도 감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좌골 신경통, 기관지염, 급성 세균성 이질, 위십이지장 궤양 등에 상용되고 있다(한약 약리학, 김호철, 집문당).
본 발명에서 보조성분으로 사용되는 엘-카르니틴(L-Carnitine)은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지방산 대사에 필수적인 조효소이다(Martindale, 33판 p1356). 엘-카르니틴은 지방의 분해를 촉진시켜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돕는 약품이나 건강식품의 원료로 상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안정제로 사용되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은 비이온성의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식품과 약품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로 널리 상용되고 있다.
상기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주성분인 산사추출물과 건강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5 ~ 4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사추출물과 건강추출물이 각각 4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사료섭취 증진효과가 미흡하고, 4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제품의 안정성에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조성분인 엘-카르니틴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625 ~ 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카르니틴이 0.625중량%이하일 경우에는 사료 섭취 증진효과가 미흡하고, 5중량% 이상일 때에는 사료 섭취 증진효과가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정제인 폴리소르베이트-80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80이 0.1중량%이하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안정성에 문제를 초래하며, 1.0중량% 이상 시는 사료 섭취를 감소시킴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 중 정제수는 부형제로서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제수는 주성분인 산사추출물과 건강추출물, 보조성분인 엘-카르니틴 및 안정제인 폴리소르베이트-80의 중량% 합산 값에 따라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가 100중량%가 되도록 첨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S100)는 추출 용매액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정제수 200ml에 염화나트륨 8.7g과 베타인5g을 녹인 다음 무수에탄올 750ml를 가한 후 정제수로 1,000ml가 되도록 하여 0.87중량% 염화나트륨, 0.5중량% 베타인, 75중량% 무수에탄올 및 23.63중량% 정제수로 조성된 추출 용매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S100) 추출 용매액 제조공정에서 염화나트륨은 전체 추출 용매액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생약 추출효과가 미흡하며 2.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과량사용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 추출 용매액 제조공정에서 베타인은 전체 추출 용매액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생약 추출효과가 미흡하며 5.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과량사용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1단계(S100) 추출 용매액 제조공정에서 무수에탄올은 전체 추출 용매액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8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생약 추출효과가 미흡하며 8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정제수의 사용량이 적어 생약중 수용성 성분의 추출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계(S100) 추출 용매액 제조공정에서 정제수는 전체 추출 용매액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49.4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생약 추출효과가 미흡하며, 49.4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과량사용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2단계(S200)는 생약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제1단계(S100)에서 제조한 추출 용매액 1,000ml에 건조된 산사 250g을 각각 세절하여 넣고 20g의 맥반석을 투입하여 3 ~ 5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20매쉬 체로 1차 여과한 다음 50미크론 필터로 2차 여과하여 산사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 용매액 1,000ml에 건조된 건강 250g을 각각 세절하여 넣고 20g의 맥반석을 투입하여 3 ~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20매쉬 체로 1차 여과한 다음 50미크론 필터로 2차 여과하여 건강추출물을 각각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S200) 생약추출물 제조단계에서 추출시간은 3 내지 7일이 바람직하며, 3일 이하인 경우에는 추출 상태가 미흡하고 7일 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 추출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3단계(S300)는 최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제조된 산사추출물 5.0 ~ 40.0중량%과 건강추출물 5.0 ~ 40.0중량%, 엘-카르니틴 0.625 ~ 5.0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 0.1 ~ 1.0중량% 및 정제수 14.0 ~ 89.275중량%을 각각 혼합기에 투입한 후 120rpm 속도로 10 ~ 30분간 혼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면 된다.
한편, 상기 조성물의 다른 조성비는 정제수 500ml에 엘-카르니틴 25g을 녹인 다음 상기 산사 추출물과 건강 추출물 각각 200ml 및 폴리소르베이트-80 30ml를 가하고 정제수를 추가하여 전체 조성물이 1,000ml가 되도록 한 다음 120rpm 속도로 10 ~ 30분간 혼합하여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 예 및 실험 예에 의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는 바이다.
[실시예 1]
다음의 표 1과 같은 성분으로부터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리터 중
산사추출물 200ml
건강추출물 200ml
엘-카르니틴 25g
폴리소르베이트-80 30ml
정제수 잔량
이에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제수 500ml를 혼합조에 넣고 엘-카르니틴 25g을 넣어 120rpm 속도로 15분간 녹인 다음 산사 추출물과 건강 추출물 각각 200ml 및 폴리소르베이트-80 30ml를 가하고 정제수를 추가하여 전체 조성물이 1,000ml가 되도록 한 다음 120rpm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여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실시예 2]
다음의 표 2의 성분으로부터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리터 중
산사추출물 200ml
건강추출물 200ml
폴리소르베이트-80 30ml
정제수 잔량
이에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제수 500ml를 혼합조에 넣고 산사 추출물과 건강 추출물 각각 200ml 및 폴리소르베이트-80 30ml를 가하고 정제수를 추가하여 전체 조성물이 1,000ml가 되도록 한 다음 120rpm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여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실시예 3]
다음의 표 3의 성분으로부터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리터 중
산사추출물 200ml
엘-카르니틴 25g
폴리소르베이트-80 30ml
정제수 잔량
이에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제수 500ml를 혼합조에 넣고 엘-카르니틴 25g을 넣어 120rpm 속도로 15분간 녹인 다음 산사 추출물 200ml 및 폴리소르베이트-80 30ml를 가하고 정제수를 추가하여 전체 조성물이 1,000ml가 되도록 한 다음 120rpm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여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실시예 4]
다음의 표 4의 성분으로부터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리터 중
건강추출물 200ml
엘-카르니틴 25g
폴리소르베이트-80 30ml
정제수 잔량
이에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제수 500ml를 혼합조에 넣고 엘-카르니틴 25g을 넣어 120rpm 속도로 15분간 녹인 다음 건강 추출물 각각 200ml 및 폴리소르베이트-80 30ml를 가하고 정제수를 추가하여 전체 조성물이 1,000ml가 되도록 한 다음 120rpm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여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실시예 5]
다음의 표 5의 성분으로부터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리터 중
산사추출물 400ml
폴리소르베이트-80 60ml
정제수 잔량
이에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혼합조에 산사추출물 400ml와 폴리소르베이트-80 60ml를 넣고 정제수를 추가하여 전체 조성물이 1,000ml가 되도록 한 다음 120rpm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여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실시예 6]
다음의 표 6의 성분으로부터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리터 중
건강추출물 400ml
폴리소르베이트-80 60ml
정제수 잔량
이에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혼합조에 건강추출물 400ml와 폴리소르베이트-80 60ml를 넣고 정제수를 추가하여 전체 조성물이 1,000ml가 되도록 한 다음 120rpm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여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실시예 7]
다음의 표 7의 성분으로부터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리터 중
엘-카르니틴 50g
폴리소르베이트-80 30ml
정제수 잔량
이에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제수 500ml를 혼합조에 넣고 엘-카르니틴 50g을 넣어 120rpm 속도로 15분간 녹인 다음 폴리소르베이트-80 30ml를 가하고 정제수를 추가하여 전체 조성물이 1,000ml가 되도록 한 다음 120rpm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여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구성
종 류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
실시 예 1 산사추출물 + 건강추출물 + 엘-카르니틴 + 폴리소르베이트-80 + 정제수
실시 예 2 산사추출물 + 건강추출물 + 폴리소르베이트-80 + 정제수
실시 예 3 산사추출물 + 엘-카르니틴 + 폴리소르베이트-80 + 정제수
실시 예 4 건강추출물 + 엘-카르니틴 + 폴리소르베이트-80 + 정제수
실시 예 5 산사추출물 + 폴리소르베이트-80 + 정제수
실시 예 6 건강추출물 + 폴리소르베이트-80 + 정제수
실시 예 7 엘-카르니틴 + 폴리소르베이트-80 + 정제수
[실험예 1]
1. 실험 방법
21일령 닭(육계) 80마리를 10마리씩 8개 군으로 나누어 실시 예 1, 2, 3, 4, 5, 6 및 7을 음수에 0.1%희석하여 27일령까지 7일간 자유급여하고 나머지 한 개 군에는 대조구로서 음수만을 자유급여 하였다. 사료는 전기사료에서 후기사료로 교체하여 자유 급이 하였고 시험 개시일 부터 시험 종료일 까지 총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을 측정하였다.
2. 실험 결과
사료섭취량은 실시 예 1 급여구가 대조구 대비 9.1%가 증진되어 가장 높았으며 실시 예 2 급여구가 6.6%, 실시 예 5 급여구가 4.4%, 실시 예 6 급여구가 3.7%, 실시 예 4 급여구가 3.6%, 실시 예 3 급여구가 3.2%, 실시 예 7 급여구가 2.4% 각각 증가 되었다.
각 실시 예 조성물의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다음의 표 9와 같다.
종류 수당 개시체중 수당 종료체중 수당 증체량 수당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실시 예 1 680g 1,133g 453g 875g 1.93
실시 예 2 690g 1,131g 441g 855g 1.94
실시 예 3 688g 1,111g 423g 828g 1.96
실시 예 4 691g 1,112g 421g 831g 1.97
실시 예 5 689g 1,120g 431g 837g 1.94
실시 예 6 693g 1,117g 424g 832g 1.96
실시 예 7 695g 1,103g 408g 821g 2.01
대조군 691g 1,096g 405g 802g 1.98
S100 ~ S300 : 제1단계 ~ 제3단계

Claims (3)

  1. 삭제
  2. 정제수에 염화나트륨과 베타인을 녹인 다음 무수에탄올을 가하여 추출 용매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제1단계(S100)에서 제조한 추출 용매액 1,000ml에 건조된 산사 250g을 세절하여 넣고 20g의 맥반석을 각각 투입하여 3 ~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20매쉬 체로 1차 여과한 다음 50미크론 필터로 2차 여과하여 산사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 용매액 1,000ml에 건조된 건강 250g을 세절하여 넣고 20g의 맥반석을 각각 투입하여 3 ~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20매쉬 체로 1차 여과한 다음 50미크론 필터로 2차 여과하여 건강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제조된 산사추출물 5.0 ~ 40.0중량%과 건강추출물 5.0 ~ 40.0중량%, 엘-카르니틴 0.625 ~ 5.0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 0.1 ~ 1.0중량% 및 정제수 14.0 ~ 89.275중량%을 각각 혼합기에 투입한 후 120rpm 속도로 10 ~ 30분간 혼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S100)의 추출 용매액은 염화나트륨 0.5 ~ 2.0중량%, 베타인 0.1 ~ 5.0중량%, 무수에탄올 50.0 ~ 85.0중량% 및 정제수 8.0 ~ 49.4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076316A 2010-08-09 2010-08-09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71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16A KR101171923B1 (ko) 2010-08-09 2010-08-09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16A KR101171923B1 (ko) 2010-08-09 2010-08-09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336A KR20120014336A (ko) 2012-02-17
KR101171923B1 true KR101171923B1 (ko) 2012-08-08

Family

ID=4583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316A KR101171923B1 (ko) 2010-08-09 2010-08-09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573A (ko) 2022-08-22 2024-02-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소르베이트-숙신산-카르니틴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활성 물질 또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354B1 (ko) * 2015-04-13 2015-09-04 권혁천 사료섭취 증진 및 성장 촉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573A (ko) 2022-08-22 2024-02-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소르베이트-숙신산-카르니틴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활성 물질 또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336A (ko) 201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87105B (zh) 一种鸭饲料
CN102987106B (zh) 一种肉小鸡饲料
CN105341373A (zh) 一种奶牛饲料添加剂
KR101171923B1 (ko) 사료 섭취 증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582129A (zh) 一种防治仔猪腹泻的黄连解毒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2919607A (zh) 一种具有抗腹泻和改善猪肉品质的中草药复合饲料添加剂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9130B1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52630B1 (ko) 어린이 및 청소년 성장 발육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WO2016167502A1 (ko) 사료섭취 증진 및 성장 촉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721294A (zh) 一种猪饲料
CN101181009A (zh) 一种降低鸡蛋中胆固醇含量的饲料添加剂
KR100915848B1 (ko) 해삼용 사료첨가물
US2024011564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astritis or peptic ulcer comprising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fraction of said extract, isolate of said fraction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KR20170011525A (ko) 축산용 사료
KR101350046B1 (ko) 항비만 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839486A (zh) 一种具有肝脏保护功效的黄颡鱼饲料添加剂及其应用
KR101767837B1 (ko) 면역활성이 증진된 해삼 및 미역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00114266A (ko) 체중증가의 방지 및 혈중 중성지질의 감소를 위한 울금 메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이조성물
KR101521341B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09411B1 (ko) 체지방감소용 조성물
KR20180020798A (ko) 혈중요산감소를 위한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31350B1 (ko) 장어 양식용 사료 조성물
CN107281304A (zh) 一种治疗仔猪腹泻的中兽药组合物及其制备工艺
CN110638958A (zh) 一种改善肠道健康的中药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