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281B1 -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281B1
KR101171281B1 KR1020100079407A KR20100079407A KR101171281B1 KR 101171281 B1 KR101171281 B1 KR 101171281B1 KR 1020100079407 A KR1020100079407 A KR 1020100079407A KR 20100079407 A KR20100079407 A KR 20100079407A KR 101171281 B1 KR101171281 B1 KR 101171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zone
visitor
counting
information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889A (ko
Inventor
신요식
김금용
백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10007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2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3Recognition of crowd images, e.g. recognition of crowd conges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 시스템은 카메라로 감지구역을 촬영한 영상에 대한 영상처리에 기반하여 방문자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별도의 무선 인증수단을 구비한 내부자를 구분하여 카운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 시스템은 감지구역을 3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그 3 개의 구역을 통과하는 이동패턴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카운팅하기 때문에, 감지구역을 진입하고 퇴장하는 방향이 어떤 방향이어도 해당 이동 패턴의 방문자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 시스템은 해당 3 개의 구역을 통과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서로 다른 패턴의 방문자를 동시에 계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People Counting System and Method by Image Analysis}
본 발명은, 특정 영역을 통과하는 방문자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인증 가능한 내부자와 실질 방문자를 구분하여 계수할 수 있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문자 계수 시스템(People Count system)은 기계적인 게이트(Gate)를 이용하여 방문자가 게이트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계수하는 방식과, 적외선 센서나 열 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움직임이나 온도 등을 통해 직접 계수 하는 방식과, 해당 영역을 촬영한 영상에 대한 영상처리를 통해 방문자를 계수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계수하는 방법으로는, "오버헤드 카메라 영상에서 사람을 감지하고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74461호)", "비디오 영상에서 템플레이트와 칼만필터를 이용한 이동 물체 추적 방법 및 장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0312427호), "비디오 카메라영상에서 의한 입실/퇴실자 계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0625676호)"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문자 계수 시스템은 공통적으로 단순 이벤트 발생을 통한 계수 방법만을 취하고 있다. 이런 방법은 객체의 구분없이 무조건적으로 계수를 수행하기 때문에 실제 외부인(방문자)이 감지영역을 통과했을 경우와, 직원과 같은 내부자가 감지영역을 통과했을 경우를 구분하지 못하고 모두 동일한 상황으로 판단하게 된다.
결국 종래의 시스템은 외부인의 출입만을 계수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영상처리에 의한 방법의 편리함에 불구하고 실용화에 큰 단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종래의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 계수방법은, 감지영역을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으로 설정하기 보다는 수평 또는 수직의 단방향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설치 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힘든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영역을 통과하는 방문자의 수를 계수함에 있어 방문자의 입장 및 퇴장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해당 방문자를 계수할 수 있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영역을 통과하는 방문자의 수를 계수함에 있어 실질 방문자와 별도로 인증되는 자를 구분하여 계수할 수 있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 시스템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공간을 촬영하여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영상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상기 공간을 통과하는 방문자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와, 상기 객체인식부가 인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객체의 이동을 추적하고, 상기 추적 결과를 기초로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추적부와, 상기 객체추적부가 제공하는 상기 카운팅 정보에 따라 상기 방문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객체추적부는, 상기 공간을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선행감지구역, 활성감지구역 및 비활성감지구역으로 나누고, 상기 방문자가 상기 선행감지구역, 활성감지구역 및 비활성감지구역의 순서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방문자에 대한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상기 카운터부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방문자의 카운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공간 내에 상기 선행감지구역과 비활성감지구역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시스템은, 제1 안테나와, 상기 제1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출입자가 소지한 무선 태그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객체추적부에게 제공하는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객체추적부는 상기 무선수신부의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선행감지구역 또는 활성감지구역에 나타난 방문자에 대하여는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방문자가 카운팅되지 않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 무선수신부는 무선 태그를 감지하는 경우 그 감지정보를 카운터부에게 제공하고,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객체추적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카운팅 정보에 따라 카운팅된 방문자의 수에서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의 수를 뺌으로서 상기 방문자를 카운팅에서 제외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태그의 소지자는 예컨대 무선 태그에 기초한 별도의 인증이 가능한 내부자 또는 직원에 해당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활성감지구역을 지향하고, 상기 무선수신부는 상기 활성감지구역 내의 상기 무선 태그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계수 시스템은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문자만을 계수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문자를 동시에 계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객체추적부는, 상기 비활성감지구역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처음 입장하는 다른 방문자가 있는 경우, 상기 다른 방문자에 대하여 상기 비활성감지구역을 선행감지구역으로 처리하고 상기 선행감지구역을 비활성감지구역으로 처리하여 상기 다른 방문자에 대한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안테나와 더불어, 상기 비활성감지구역과 활성감지구역을 구분하는 가상의 선상에 마련되어 상기 활성감지구역을 지향하는 제2 안테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객체추적부는, 상기 제1 안테나에 의한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활성감지구역에 진입한 상기 방문자에 대하여는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상기 제2 안테나에 의한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활성감지구역에 진입한 상기 다른 방문자에 대하여는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여러 방향에서 진입하는 방문자를 카운팅함과 동시에 내부자를 카운팅에서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문자 계수 시스템의 방문자 계수방법은, 카메라가 공간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 각각에 대해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공간을 통과하는 방문자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 프레임 상에서 상기 공간을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선행감지구역, 활성감지구역 및 비활성감지구역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객체를 인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객체의 이동을 추적하여, 상기 방문자가 상기 선행감지구역, 활성감지구역 및 비활성감지구역의 순서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방문자에 대한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 정보에 따라 상기 방문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계수 시스템은 감지구역을 선행감지구역, 활성감지구역 및 비활성감지구역의 3 개 구역으로 나누고 그 중에서 선행감지구역과 비활성감지구역은 복수 개를 두어, 그 3 개의 구역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방문자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카운팅한다. 따라서, 그 3 개의 구역을 통과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방문자가 감지구역을 진입하고 퇴장하는 방향이 어떤 방향이어도 카운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출입문의 위치 및 진입각도, 기타 주변 환경 등에 영향을 덜 받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 시스템은 해당 3 개의 구역을 통과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서로 다른 패턴의 방문자를 동시에 계수할 수 있다. 예컨대 감시구역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통과하는 방문자 뿐만 아니라 오른쪽이나 윗쪽에서 왼쪽으로 통과하는 방문자도 동시에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시스템은 별도로 인증되는 자(일반적으로 직원 또는 내부자)가 방문자에 섞여서 카운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실질적인 방문자만을 계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자 계수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시스템이 설치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8은 영상처리기에서 처리되는 영상 프레임으로서 객체의 인식 및 카운팅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자 계수시스템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영상처리기에서 처리되는 영상 프레임으로서 다양한 이동 패턴의 방문자를 동시에 카운팅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 시스템(100)은 제1 안테나(111), 제2 안테나(113), 무선수신부(117), 카메라(130), 영상처리기(150) 및 카운터부(170)를 포함한다.
무선수신부(117)는 도 2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안테나(111) 및/또는 제2 안테나(113)와 연결되며, 제1 안테나(111) 및/또는 제2 안테나(113)를 통해 무선 태그(Tag)(115)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태그(115)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영상처리기(150) 및/또는 카운터부(170)에게 제공한다.
무선 태그(115)는 내부자나 직원과 같이 실질적인 방문자가 아닌 출입자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자나 직원이 휴대하며, 자체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제1 안테나(111) 또는 제2 안테나(113)를 통해 무선수신부(117)와 통신한다. 이하에서도 설명의 편리를 위해, 무선 태그(115)를 보유하여 별도로 인증되는 출입자를 '내부자'라고 표시하고 설명한다.
무선수신부(117)와 무선 태그(115) 사이의 통신방식은 일반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로 알려진 전자파 유도 방식, 블루투스(Blurtooth) 또는 지그비(Zigbe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900 MHz 대역을 사용하는 RFID 방식이 바람직하다.
제1 안테나(111) 및 제2 안테나(113)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감지구역(C) 내를 커버하여 감지구역(C) 내의 무선 태그(115)를 검출할 수 있는 안테나로서, 특별히 활성감지구역(C2) 내를 커버하여 활성감지구역(C2) 내의 무선 태그(115)를 검출할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가 바람직하다.
카메라(130)는 도 2에서처럼 방문자 계수를 위한 감지구역(C)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영상처리를 위해 감지구역(C)을 수직으로 내려보면서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8은 카메라(130)가 촬영한 영상 프레임이면서, 감지구역(C)에 대응될 수 있다.
카메라(130)는 흑백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여도 무방하나, 디지털 컬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카메라(130)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별도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카메라(130)와 영상처리기(150)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처리기(150)는 카메라(130)로부터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들 각각에 대하여 영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감지구역(C)을 통과하는 객체(즉, 방문자)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객체마다 레이블링(Labeling)하면서 객체의 이동을 추적하고, 그 추적 결과에 기초한 카운팅 정보를 카운터부(170)에게 제공한다. 카운터부(170)는 영상처리기(150)로부터 카운팅 정보를 수신하면 방문자를 카운팅한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기(150)는 객체인식부(151) 및 객체추적부(153)를 포함한다.
객체인식부(151)는 카메라(130)로부터 입력되는 모든 영상 프레임에 대하여 영상추적의 전제가 되는 객체 인식 내지 레이블링(Labeling)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식의 대상이 되는 객체는 카운팅의 대상이 되는 방문자로서, 객체인식부(151)는 카메라(130)로부터 입력되는 각 영상 프레임에서 객체를 인식하고 그 인식정보를 객체추적부(153)에게 제공한다.
객체인식부(151)의 객체 인식 내지 레이블링 방법은 종래에 알려진 객체 영상인식 방법 뿐만 아니라 최근에 특허출원 제10-2010-0076880호로 제시한 출원인의 다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객체추적부(153)는 객체인식부(151)가 카메라(130)로부터 입력되는 모든 영상 프레임에 대하여 영상처리한 결과를 기초로 인식된 객체의 이동을 추적한다. 그리고 이러한 객체 추적은, 도 2에서처럼, 감지구역(C)의 일 지점(아래에서 설명된 선행감지구역)에서 입장하여 다른 지점(비활성감지구역)으로 퇴장하는 것처럼 하나의 방향성을 가진 방문자에 대해 이루어지며, 객체의 영상추적에 따른 객체의 카운팅도 마찬가지다.
도 2를 참조하면, 객체추적부(153)는 방문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가상의 활성감지선(L1)과 비활성감지선(L2)으로 카메라(130)가 촬영한 영상 프레임상의 감지구역(C)을 나누어 인식한다.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는 방문자를 카운팅하는 경우에, 활성감지선(L1)은 처음 입장하는 지점 쪽에 배치되고 비활성감지선(L2)은 퇴장하는 지점 쪽에 배치됨으로써 상호 이격되어 설정된다. 도 2 및 도 3에서처럼, 영상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방문자를 카운팅하는 경우에, 활성감지선(L1)은 왼쪽에 배치되고 비활성감지선(L2)은 오른쪽에 배치된다.
활성감지선(L1)과 비활성감지선(L2)에 의해 감지구역(C)은 선행감지구역(C1), 활성감지구역(C2) 및 비활성감지구역(C3)의 3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활성감지선(L1)은 선행감지구역(C1)과 활성감지구역(C2)을 구분하고, 비활성감지선(L2)은 활성감지구역(C2)과 비활성감지구역(C3)을 구분한다.
도 3 내지 도 5은 왼쪽에서 입장하여 오른쪽으로 퇴장하는 방문자를 카운팅하기 위해, 활성감지선(L1)을 왼쪽에 수직으로 배치하고 비활성감지선(L2)을 오른쪽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감지구역(C)을 가로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선행감지구역(C1), 활성감지구역(C2) 및 비활성감지구역(C3)으로 구분한 예이다.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영상 프레임은 그 설정방법에 따라 복수 개의 활성감지선과 복수 개의 비활성감지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영상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방향일 필요도 없다. 도 6 내지 도 8은 복수 개의 활성감지선(L1a, L1b, L1c)과 비활성감지선(L2a, L2b, L2c)을 포함한 예로서, 이 경우에도 감지구역(C)은 선행감지구역(C1a, C1b, C1c), 활성감지구역(C2a, C2b, C2c) 및 비활성감지구역(C3a, C3b, C3c)의 3 영역으로 구분되며, 복수 개의 선행감지구역(C1a, C1b, C1c)과 비활성감지구역(C3a, C3b, C3c)이 하나의 활성감지구역(C2a, C2b, C2c)을 중심에 두고 배치된 것과 같다.
객체추적부(153)는 선행감지구역(C1)에서 처음 인식된 객체가 활성감지구역(C2)을 지나고 비활성감지구역(C3)으로 입장하는 순간 카운팅 정보를 카운터부(170)에게 제공하여, 카운터부(170)가 방문자를 카운팅하도록 한다.
객체추적부(153)는 인식된 객체를 추적하는 중에 무선수신부(117)로부터 무선 태그(115)를 감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즉 내부자를 인식하는 경우)에 해당 추적 중에 객체에 대한 추적을 중지함으로써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지 아니할 수 있다.
카운터부(170)는 기본적으로 영상처리기(150)로부터 카운팅 정보를 제공받아 계수하는 방법으로 감지구역(C)을 통과하는 방문자를 카운팅한다.
이상의 객체추적부(153) 및 카운터부(170)의 동작을 다음의 도 2 내지 도 5와 도 9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5는 감지구역(C)의 왼쪽에서 입장하여 오른쪽으로 퇴장하는 방문자를 카운팅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만, 아래의 설명은 다른 방향의 입장과 퇴장에 대하여도 그대로 적용된다.
<선행감지구역에서 객체 영상인식 및 레이블링 단계: S901, S903>
먼저 객체추적부(153)는 객체인식부(151)가 카메라(130)로부터 입력되는 모든 영상 프레임에 대하여 영상처리한 결과를 기초로 선행감지구역(C1)에 입장한 객체에 대하여 레이블링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제 영상에서 인식된 4 개의 객체를 원(1), 삼각형(2), 마름모(3) 및 육각형(4)의 도형으로 표시하였으며, 각 객체에 대하여 각각 1, 2, 3, 4의 레이블링이 이루어짐을 도시하고 있다.
객체추적부(153)는 레이블링된 객체의 이동을 추적함으로써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영상인식에 의한 객체의 카운팅단계: S905, S909, S911>
도 4와 같이 선행감지구역(C1)에 위치한 객체가 활성감지구역(C2)으로 이동하더라도, 객체추적부(153)는 해당 레이블링을 그대로 유지한다(S905).
이후에, 활성감지구역(C2)에 위치하던 객체가 비활성감지구역(C3)으로 이동하면 객체에 대한 레이블링을 제거하고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여 카운터부(170)에게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활성감지구역(C2)에 위치하였던 원(1)과 육각형(4)이 비활성감지구역(C3)으로 이동하였고, 이에 따라 도 5는 원과 육각형의 레이블링이 제거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있다(S909).
최종적으로, 객체가 선행감지구역(C1)에서 감지되고 활성감지구역(C2)을 거쳐 비활성감지구역(C3)으로 이동한 경우에, 객체추적부(153)는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여 카운터부(170)에게 제공하게 되고, 카운터부(170)는 해당 카운팅 정보를 계수함으로써 방문자를 계수하게 된다(S911).
도 5는 새로운 객체(십자가 형상)가 선행감지구역(C1)에 등장함에 따라 새롭게 레이블링이 이루어짐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무선태그에 의한 내부자 감지: S907, S913>
만약, S905 단계에서 객체추적부(153)가 선행감지구역(C1)에 위치한 객체가 활성감지구역(C2)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였더라도, 해당 객체가 '내부자', 다시 말해 무선 태그(115)를 소지한 출입자인 경우에는 해당 객체에 대한 추적을 중단함과 동시에 해당 객체에 기반한 어떠한 카운팅 정보도 생성하지 아니한다.
우선, 도 2에서처럼 제1 안테나(111)는 활성감지구역(C2)을 지향하도록 마련되어, 무선수신부(117)는 활성감지구역(C2)내의 무선 태그(115)를 감지한다. 따라서 무선 태그(115)를 보유한 내부자가 활성감지선(L1)을 통과하여 활성감지구역(C2)으로 진입하는 순간 무선수신부(117)는 제1 안테나(111)를 통해 무선 태그(115)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활성감지구역(C2) 내의 무선 태그(115)가 감지되면, 무선수신부(117)는 해당 감지정보를 객체추적부(153) 또는 카운터부(170)에 제공한다.
따라서, 객체추적부(153)는 객체가 활성감지구역(C2)으로 진입하는 순간에 무선수신부(117) 또는 카운터부(170)로부터 무선 태그(115)를 감지한 감지정보가 제공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907).
만약, 무선수신부(117) 또는 카운터부(170)로부터 무선 태그(115)를 감지한 감지정보가 제공되면, 객체추적부(153)는 그 순간에 활성감지구역(C2)으로 진입한 객체에 대한 레이블링을 제거하고, 해당 객체에 대한 추적을 중지한다. 따라서 S911 단계의 카운팅 정보도 생성되지 아니한다(S913).
이상에서, 제1 안테나(111)의 커버 영역이 활성감지구역(C2)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다만, 제1 안테나(111)에 의한 구역설정이 영상처리 상의 감지선에 의한 구역설정만큼 용이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무선 태그(115)의 감지를 위한 구역은 활성감지구역(C2)에서 비활성감지구역(C3)으로 진행하는 '내부자'만을 감지하면 그만이므로, 무선 태그(115)의 감지를 위한 구역이 반드시 활성감지구역(C2)과 일치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예컨대, 도 8에서처럼, 제1 안테나(111)의 커버 영역(d)은 선행감지구역(C1)과 비활성감지구역(C3)을 구분하면서 활성감지구역(C2)에 포함되는 형태이면 가능하다.
만약, S907 단계의 판단결과, 객체추적부(153)가 무선 태그(115)를 감지한 감지정보가 제공받지 못하면, 다음 단계인 S909 단계로 진입하여 객체에 대한 추적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카운터부(170)는 무선 태그(115)를 착용한 내부자가 아닌 실질적인 방문자 만을 카운팅할 수 있게 된다.
<무선태그에 의한 내부자 감지의 다른 실시 예: 병렬적 카운팅방법>
도 9의 S907 및 S913 단계에 의한 방법처럼, 활성감지구역(C2)에 진입한 객체의 레이블을 제거하는 방법 이외에도, 영상추적에 의한 객체의 카운팅은 무선 태그(115) 감지정보에 의한 방해 없이 S901, S903, S905, S909, S911 단계로 그냥 진행되고 이에 병행하여 무선수신부(117)의 무선 태그(115) 감지에 의한 '내부자' 카운팅이 카운터부(170)에 의해 별개로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병렬적 카운팅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후에, 카운터부(170)는 영상추적에 의한 카운팅 값에서 무선 태그(115)에 의한 카운팅 값을 뺌으로써 실질적인 방문자만을 카운팅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무선태그에 의한 내부자 감지의 다른 방법으로, 제1 안테나(111)가 선행감지구역(C1)을 감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객체추적부(153)는 객체가 선행감지구역(C1)에 나타난 순간에 바로 무선 태그(115)의 감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해당 객체에 대한 레이블링 자체를 처음부터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 다양한 이동방향의 방문자 카운팅>
이상 도 2 내지 도 8에 기초한 설명은 영상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방문자를 카운팅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해당 구역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방문자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 시스템(100)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한 방문자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 방문자와 함께 계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도 9의 카운팅 방법도 그대로 적용된다. 다만, 감지구역(C)의 구분에 관한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감지구역(C)을 활성감지선(L1)과 비활성감지선(L2)를 이용하여 3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카운팅의 대상이 되는 방문자는 3개의 구역을 통과하는 방식 또는 패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것에 의하면, 카운팅의 대상이 된 방문자는 선행감지구역(C1) → 활성감지구역(C2) → 비활성감지구역(C3)의 순서로 이동한 방문자가 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카운팅 방법은 비활성감지구역(C3)을 선행감지구역으로 인식하고, 선행감지구역(C1)을 다시 비활성감지구역으로 인식하는 순간 반대 방향의 이동을 동시에 감지하는데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방문자 계수 시스템(100)이 감시구역을 나누어 그 나누어진 구역을 통과하는 이동패턴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카운팅하기 때문에, 다른 패턴으로 이동하는 방문자도 동시에 검출하여 계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 방문자를 계수하기 위해 제공된 활성감지선(L1)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한 방문자를 계수하기 위한 비활성감지선(L3)으로 사용되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 방문자를 계수하기 위해 제공된 비활성감지선(L2)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한 방문자를 계수하기 위한 활성감지선(L4)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객체추적부(153)는 선행감지구역(C1)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 방문자를 계수하기 위해 사용하면서 동시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한 방문자를 계수하기 위한 비활성감지구역(C5)으로 사용하고, 비활성감지구역(C3)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 방문자를 계수하기 위해 사용하면서 동시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한 방문자를 계수하기 위한 선행감지구역(C4)으로 사용함으로써 양방향의 이동을 모두 카운팅할 수 있다.
이 때, 객체추적부(153)는 선행감지구역(C4)에서 활성감지구역(C2)으로 이동한 방문자가 활성감지선(L3)을 통과하는 시점에서 무선태그가 감지되면 해당 객체를 내부자으로 인식하여 카운팅에서 배제하는 것도 동일하다. 이러한 경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내부자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활성감지구역(C2)을 지향하도록 마련된 제2 안테나(113)가 바람직하며, 따라서 도 1 및 도 2의 구성 및 배치는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모든 방문자를 카운팅하기에 바람직한 구성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의 경우, 선행감지구역(Clb) 중 아래에 위치한 것은 동시에 비활성감지구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왼쪽 → 오른쪽, 오른쪽 → 왼쪽 뿐만 아니라 위쪽 → 아래쪽, 아랫쪽 → 위쪽, 왼쪽 → 윗쪽 또는 오른쪽 → 아랫쪽 등 가능한 모든 경우의 패턴도 동시에 계수할 수 있다. 다만, 도 11과 같이, 선행감지구역(C1), 활성감지구역(C2) 및 비활성감지구역(C3)이 해당 패턴을 지원하는 형태를 가져야 한다.
<영상처리 이외의 카운팅 방법에 기초한 내부자 감지의 예>
이상에서 내부자를 제외한 실질적인 방문자를 계수하는 방법은 영상처리에 의한 카운팅 방법에 기초하여 별도로 확인된 내부자의 수를 제거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그 기본되는 방문자 카운팅 방법이 도 9에서 제시된 영상인식에 의한 방문자 카운팅 방법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감지수단 내지 그 감지수단에 기초한 카운팅 방법이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적외선 센서와 같은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특정한 공간을 통과하는 방문자를 카운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 1의 장치에서 카메라(130)와 영상처리기(150)는 적외선 센서, 즉 감지수단(미도시)으로 대체될 것이며, 카운터부(170)는 감지수단(미도시)이 제공하는 카운팅 정보에 따라 방문자의 수를 카운팅하되, 무선수신부(117)로부터 감지정보가 제공된 시점에 감지수단(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된 카운팅 정보는 무시하고 카운팅하지 않으므로써 내부자가 카운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적외선 카운팅이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적외선 센서와 함께 기구적 구조물(예컨대, 1인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통로)이 함께 사용된다면 그 효용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2)

  1. 감시대상 공간의 상측에서 수직으로 내려보면서 촬영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공간 전체를 촬영하여 상기 공간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상기 영상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상기 공간을 통과하는 복수의 방문자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방문자 객체 각각에 대해 레이블링(Labeling)을 하는 객체인식부;
    상기 객체인식부가 인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객체들의 이동을 추적하고, 상기 추적 결과를 기초로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추적부; 및
    상기 객체추적부가 제공하는 상기 카운팅 정보에 따라 상기 방문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추적부는,
    상기 공간을 하나 이상의 선행감지구역과, 하나의 활성감지구역과, 하나 이상의 비활성감지구역으로 나누되, 상기 활성감지구역은 상기 선행감지구역과 일부가 접하고, 상기 비활성감지구역은 상기 활성감지구역과 일부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방문자 중에서 상기 선행감지구역, 활성감지구역 및 비활성감지구역의 순서로 인식되는 방문자에 대해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카운터부에게 제공하고,
    상기 객체추적부는, 상기 비활성감지구역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처음 입장하는 다른 방문자가 있는 경우, 상기 다른 방문자에 대하여 상기 비활성감지구역을 선행감지구역으로 처리하고 상기 선행감지구역을 비활성감지구역으로 처리하여 상기 다른 방문자에 대한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출입자가 소지한 무선 태그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객체추적부에게 제공하는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체추적부는 상기 무선수신부의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선행감지구역 또는 활성감지구역에 나타난 방문자에 대하여는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특정 출입자가 카운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출입자가 소지한 무선 태그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카운터부에게 제공하는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객체추적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카운팅 정보에 따라 카운팅된 방문자 수에서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의 수를 뺌으로써 상기 특정 출입자가 카운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활성감지구역을 지향하고,
    상기 무선수신부가 상기 활성감지구역 내의 상기 무선 태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감지구역과 활성감지구역을 구분하는 가상의 선상에 마련되어 상기 활성감지구역을 지향하는 제1 안테나;
    상기 비활성감지구역과 활성감지구역을 구분하는 가상의 선상에 마련되어 상기 활성감지구역을 지향하는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감지구역 내에 위치하는 특정 출입자가 소지한 무선 태그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객체추적부에게 제공하는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체추적부는,
    상기 제1 안테나에 의한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활성감지구역에 진입한 상기 방문자에 대하여는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상기 제2 안테나에 의한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활성감지구역에 진입한 상기 다른 방문자에 대하여는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
  7. 감시대상 공간의 상측에서 수직으로 내려보면서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공간 전체를 촬영하여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 각각에 대해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공간을 통과하는 복수의 방문자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방문자 객체 각각에 대해 레이블링(Labeling)을 하는 제1 단계;
    상기 영상 프레임 상의 상기 공간을, 상기 공간을 하나 이상의 선행감지구역과, 하나의 활성감지구역과, 하나 이상의 비활성감지구역으로 나누되, 상기 활성감지구역은 상기 선행감지구역과 일부가 접하고, 상기 비활성감지구역은 상기 활성감지구역과 일부가 접하도록 배치하는 제2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레이블링된 객체의 이동을 추적하여, 상기 복수의 방문자 중에서 상기 선행감지구역, 활성감지구역 및 비활성감지구역의 순서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는 방문자에 대한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여 카운팅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비활성감지구역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처음 입장하는 다른 방문자가 있는 경우, 상기 다른 방문자에 대하여 상기 비활성감지구역을 선행감지구역으로 처리하고 상기 선행감지구역을 비활성감지구역으로 처리하여 상기 다른 방문자에 대한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고 카운팅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의 방문자 계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출입자가 소지한 무선 태그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감지정보가 생성되는 시점에 상기 선행감지구역 또는 활성감지구역에 나타난 방문자에 대하여는 상기 카운팅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의 방문자 계수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1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출입자가 소지한 무선 태그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카운팅 정보에 따라 카운팅된 방문자의 수에서 상기 생성된 감지정보의 수를 빼서 상기 방문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의 방문자 계수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활성감지구역을 지향하여,
    상기 감지정보는 상기 활성감지구역 내의 상기 무선 태그를 감지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계수 시스템의 방문자 계수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79407A 2010-08-17 2010-08-17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171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407A KR101171281B1 (ko) 2010-08-17 2010-08-17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407A KR101171281B1 (ko) 2010-08-17 2010-08-17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89A KR20120016889A (ko) 2012-02-27
KR101171281B1 true KR101171281B1 (ko) 2012-08-06

Family

ID=4583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407A KR101171281B1 (ko) 2010-08-17 2010-08-17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5508B (zh) * 2012-08-17 2015-05-27 江苏中源物联网技术发展有限公司 敞开式校园防尾随系统
KR101960741B1 (ko) * 2012-09-25 2019-03-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관심경계에 따른 이벤트 룰 설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감시장치
KR101970129B1 (ko) * 2012-09-25 2019-08-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벤트 룰 설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감시장치
KR101426418B1 (ko) * 2013-01-29 2014-09-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
KR102335045B1 (ko) 2014-10-07 2021-12-03 주식회사 케이티 깊이 카메라 기반 사람 객체를 판별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89A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587B1 (ko) 객체인식과 추적감시 및 이상상황 감지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통합감시관제시스템
CN108241844B (zh) 一种公交客流统计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215041B1 (ko) 정의된 영역 내의 객체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127439B2 (en) Object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EP2037426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suspicious activit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171281B1 (ko)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8224A (ko) 객체 인식 방법 및 장치
US11163972B2 (en) Convergent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finger joint and finger vein, and apparatus therefor
CN103106393A (zh) 一种基于机器人平台的嵌入式人脸识别智能身份认证系统
US11398121B2 (en) Method for provisioning a device with an information element allowing to identify unauthorized users in a restricted area
KR101858396B1 (ko) 지능형 침입 탐지 시스템
JP2006236183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20130097868A (ko) 카메라 기반 지능형 주차관제 방법 및 시스템
US9640003B2 (e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 subject tracking and multi-tagging in access control systems
CN106034217A (zh) 远距离脸部监控系统及其方法
US20130016880A1 (en) Traffic monitoring device
KR101795798B1 (ko)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
KR20190072323A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영상 감시방법
US20160133023A1 (en) Method for image processing, presence detector and illumination system
El Gemayel et al. Automated face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using computer vision based video analytics to avoid the spreading of Covid-19
CN110718003B (zh) 基于rfid的入口进出检测方法
Yang et al. Deeppirates: A training-light pir-based localization method with high generalization ability
JPH1132322A (ja) 凶器所持者自動追尾装置
KR102096324B1 (ko) Qr코드를 이용한 인원 수 판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원 수 판단 방법
KR20140060081A (ko) 원거리 얼굴인식 기반 스피드 게이트 통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