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418B1 -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418B1
KR101426418B1 KR1020130010090A KR20130010090A KR101426418B1 KR 101426418 B1 KR101426418 B1 KR 101426418B1 KR 1020130010090 A KR1020130010090 A KR 1020130010090A KR 20130010090 A KR20130010090 A KR 20130010090A KR 101426418 B1 KR101426418 B1 KR 10142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efficient information
outdoor
outdoor space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910A (ko
Inventor
김혁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0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4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54Analysis of motion involving subtraction of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Blind source separation
    • G06F18/2163Partitioning the feature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공간을 복수개의 부분공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부분공간 별로 다른 계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부분공간 별로 정확하게 객체를 계수할 수 있는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객체 계수 방법은 임의의 전체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공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공간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할 단계, 전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입장/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전체공간 계수 단계, 실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입장/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실내공간 계수 단계, 및 전체공간 계수 정보 및 실내공간 계수 정보와, 실외공간에 배치된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외공간의 객체를 계수하고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실외공간 계수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unting the number of object}
본 발명은 특정 시간에 특정 공간 내의 객체를 계수하는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공간에 존재하는 객체를 계수하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인력을 활용하여 객체를 수동으로 계수하는 방식, 적외선 센서나 열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이나 온도 등을 이용하여 객체를 계수하는 방식 또는 촬영 영상에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객체를 계수하는 방식 등이 있다.
별도의 인력을 활용하여 객체를 수동으로 계수하는 방식의 경우, 정기적으로 수동 계수 및 합산 결과를 통합 관제 센터로 전송해야 하고, 정보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동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를 계수하는 방식의 경우, 센서 설치 비용 소요 및 특히 카운팅 대상(객체)을 센싱 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치가 추가되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영상을 이용하여 객체를 계수하는 방식의 경우, 전적으로 영상 분석 결과에 의존해야 하며, 영상 내에 대규모 인력이 존재할 경우 카운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0-009379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전체공간을 복수개의 부분공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부분공간 별로 다른 계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부분공간 별로 정확하게 객체를 계수할 수 있는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계수 장치는 임의의 공간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공간과 다른 임의의 공간을 통과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전체공간을 복수개의 부분공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부분공간에 배치된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개의 부분공간 각각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한 감지신호에 의해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통합 관제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센터는, 상기 전체공간을 입장/퇴장할 수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여, 출입문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공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공간으로 분할하는 공간 모델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간 모델링부는, 상기 실외공간에 대하여, 2분면이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실외공간, 1분면이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실외공간 및 막힘 없이 열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실외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센터는, 상기 전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된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전체공간을 입장/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전체공간 계수부; 상기 실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된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실내공간을 입장/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실내공간 계수부; 및 상기 전체공간 계수정보 및 상기 실내공간 계수정보와, 상기 실외공간에 배치된 상기 카메라 또는/및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실외공간 내의 객체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실외공간 계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간 계수부는, 상기 실외공간 중 2분면이 막힌 제1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에 제1 오차를 적용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계수부; 상기 실외공간 중 1분면이 막힌 제2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정보에 상기 제1 오차와는 다른 제2 오차를 적용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2 계수부; 및 상기 실외공간 중 막힘 없이 열린 제3 실외공간에 대해, 상기 전체 객체 계수 정보로부터 상기 실내공간 객체 계수 정보, 상기 제1 실외공간 계수정보 및 상기 제2 실외공간 계수정보를 감산하여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는 제3 계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간 모델링부는, 상기 제3 실외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각 공간에 상기 카메라를 배치하며, 상기 공간분할 경계면에 상기 센서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계수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생성한 객체 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실외공간 중 어느 한 공간 및 나머지 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계수 방법은 임의의 전체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공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공간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할 단계; 상기 전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입장/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전체공간 계수 단계; 상기 실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입장/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실내공간 계수 단계; 및 상기 전체공간 계수 정보 및 상기 실내공간 계수 정보와,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공간의 객체를 계수하고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실외공간 계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할 단계는, 상기 실외공간에 대하여, 2분면이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실외공간, 1분면이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실외공간 및 막힘 없이 열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실외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간 계수단계는, 상기 2분면이 막힌 제1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정보에 제1 오차를 적용하여 객체를 계수하고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간 계수단계는, 상기 1분면이 막힌 제2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정보에 상기 제1 오차와는 다른 제2 오차를 적용하여 객체를 계수하고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간 계수단계는, 상기 막힘 없이 열린 제3 실외공간에 대해, 상기 전체 객체 계수 정보로부터 상기 실내공간 객체 계수 정보, 상기 제1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 및 상기 제2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할 단계는, 상기 제3 실외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각 공간에 상기 카메라를 배치하며, 상기 공간분할 경계면에 상기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간 계수단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상기 공간별로 계수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 의해 객체의 이동량을 계수하여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 및 상기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실외공간 중 어느 한 공간 및 나머지 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공간을 복수개의 부분공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부분공간 별로 다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부분공간별로 정확하게 객체를 계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계수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 중 카메라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1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공간의 분할 결과를 보이는 조감도 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 중 출입문이 배치된 공간에서의 객체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 중 실외공간에서의 객체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 중 열린 실외공간에서의 객체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계수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10은 도 9 중 실외공간에서의 객체 계수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은 도 9 중 분할된 열린 실외공간에서의 객체 계수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계수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객체 계수 장치는 카메라(100), 센서부(200) 및 통합 관제 센터(300)를 포함한다.
카메라(100)는 특정 공간의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스피드 돔 카메라일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팬(pan)/틸트(tilt)/줌(zoom) 기능을 구비한 PTZ 카메라 일 수 있다. 카메라(100)는 PTZ 기능에 의해 얻은 특정 장소에 대한 영상인 라이브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0~360도 패닝 및 -5~185도 틸팅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서 몸체를 회전시켜 가면서 연속적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네트워크 또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에 의해 통합 관제 센터(300)로 전송한다.
카메라(100)는 통합 관제 센터(300)로부터 PTZ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PTZ 제어신호에 따라 패닝(panning), 틸팅(tilting) 및 주밍(zooming)을 수행한다. 패닝이란 카메라(10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틸팅이란 카메라(100)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카메라(100)는 제1 카메라(100_1) 내지 제N 카메라(100_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00_1) 내지 제N 카메라(100_N) 각각은 통합 관제 센터(300)의 제어 하에 후술하는 전체공간 및 실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되어 출입문에 대한 객체의 입장/퇴장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으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 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00_1) 내지 제N 카메라(100_N) 각각은 통합 관제 센터(300)의 제어 하에 후술하는 실외공간의 임의의 영역에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는 이러한 카메라(100)의 상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100)의 상세블록도가, 도 2b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100)의 상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카메라(100)는 제1 영상 획득부(110), 전경/배경 분리부(120), 객체 추출부(130) 및 제1 객체 계수부(140)를 포함한다. 제1 영상 획득부(1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구성된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카메라(100)가 배치된 공간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한다. 전경/배경 분리부(120)는 획득한 영상 프레임들로부터 전경영역과 배경영역을 분리한다.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전경영역과 배경영역을 분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연속된 두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그 차이로부터 전경영역을 찾는 프레임 차이법(frame difference)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각 화소의 색 분포를 한 개의 가우시안 함수로 모델링하거나 여러 개의 가우시안 함수를 사용하여 모델링 할 수 있다. 또한 색 분포를 특정 함수로 모델링 하지 않고 확률 분포로만 표현하여 화소를 전경영역 또는 배경영역으로 분리하는 방법도 있다. 일반적으로 전경/배경 분리에는 색을 이용하지만, 색 이외에 에지(edge) 또는 텍스쳐(texture)를 이용하기도 한다. 텍스쳐를 이용하는 방법에는 “local binary pattern” 이나 “mixture of dynamic texture”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객체 추출부(130)는 분리된 전경영역으로부터 SVM(support vector machine) 학습기를 적용하여 객체들을 중요 영역 후보군과 비중요 영역 후보군으로 분류하고, 중요 영역 후보군으로부터 객체 즉, 객체를 추출한다. 제1 객체 계수부(140)는 추출된 객체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카메라(100)는 제2 영상 획득부(150), 차영상 획득부(160), 객체 추출부(170), 객체 추적부(180) 및 제2 객체 계수부(190)를 포함한다. 제2 영상 획득부(150)는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로 구성된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카메라(100)가 배치된 공간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한다. 차영상 획득부(160)는 전 영상 프레임과 후 영상 프레임의 차이 영상을 산출한다. 객체 추출부(170)는 차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추출한다. 객체 추출 시에, SVM 학습기를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차영상으로부터 설정된 기준 객체를 스캔하여 유사한 크기를 갖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객체 추적부(180)는 추출한 객체의 이동 방향을 추적한다. 제2 객체 계수부(190)는 이동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다.
더 나아가 카메라(100)는 획득한 공간영상 내에 가상의 선을 설정하고, 추출된 객체가 상기 가상의 선을 통과하는 경우 이를 객체 수로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카메라(100_1) 내지 제N 카메라(100_N)를 카메라(100)로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부(200)는 카메라(100)가 배치된 공간 이외의 공간에 배치되어 객체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네트워크 또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에 의해 통합 관제 센터(300)로 전송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센서부(200)는 제1 센서(200_1) 내지 제N 센서(200_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200_1) 내지 제N 센서(200_N) 각각은 통합 관제 센터(300)의 제어 하에 후술하는 전체공간, 실내공간 및 실외공간에 배치되어 객체를 감지한 후 감지신호를 통합 관제 센터(300)로 전송한다. 기본적으로 제1 센서(200_1) 내지 제N 센서(200_N)의 배치는 제1 카메라(100_1) 내지 제N 카메라(100_N)의 배치와 중복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간의 특성상 제1 센서(200_1) 내지 제N 센서(200_N)와 제1 카메라(100_1) 내지 제N 카메라(100_N)의 배치는 중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부(200)는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간의 특성에 따라 다른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200)를 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센서로 한정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200)가 적외선 센서인 경우, 적외선 발광부(미도시) 및 적외선 수광부(미도시)를 구비하고, 발광된 적외선이 기준시간 내에 수신되는 경우 제1값을 출력하고, 발광된 적외선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되는 경우 제2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값은 객체가 적외선 센서를 통과하지 않은 경우로 계수의 대상이 아니지만, 제2 값은 객체가 적외선 센서를 통과한 경우로 계수의 대상이 된다.
센서부(200)가 압력 센서인 경우, 객체가 보행하는 바닥에 설치되며, 압력 감지 값이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제1 값을 출력하고, 압력 감지 값이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2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값은 객체가 압력 센서를 밟지 않은 경우로 계수의 대상이 아니지만, 제2 값은 객체가 압력 센서를 밟은 경우로 계수의 대상이 된다.
센서부(200)가 온도 센서인 경우, 객체의 기준온도를 36.5도로 설정한 상태에서 일정 범위 오차를 초과하거나 미만인 기준온도가 감지되면 제1 값을 출력하고, 일정 범위 오차 내의 기준온도가 감지되면 제2 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1 값은 객체가 아닌 경우로 계수의 대상이 아니지만, 제2 값은 객체인 경우 계수의 대상이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센서(200_1) 내지 제N 센서(200_N)를 센서부(200)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전체공간을 복수개의 부분공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공간에 카메라(100) 또는 센서부(200)의 배치를 제어하고, 카메라(100) 및 센서부(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복수개의 부분공간 각각에 대하여, 카메라(100)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및 센서부(200)를 통해 수신한 감지신호에 의해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제어부(310), 공간 모델링부(320), 전체공간 계수부(330), 실내공간 계수부(340), 제1 내지 제3 실외공간 계수부(351-353)를 포함하는 실외공간 계수부(35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통합 관제 센터(300)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전체 공간의 공간 모델링 및 공간 모델링에 따른 카메라(100) 또는 센서부(200)의 배치를 제어하며, 특히, 카메라(100)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각 공간별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거나, 센서부(200)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각 공간별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각 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시에 발생하는 오차를 결정하여 각 계수부로 출력한다.
공간 모델링부(320)는 임의의 전체공간을 입장/퇴장할 수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여, 출입문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공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공간으로 분할한다. 도 3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공간의 분할 결과를 보이는 조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간 모델링부(320)는 전체공간(400)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공간(5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공간(600)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공간 모델링부(320)는 실외공간(600)을 2분면이 막힌 제1 실외공간(610), 1분면이 막힌 제2 실외공간(620) 및 막힘 없이 열린 제3 실외공간(630)으로 다시 분할한다. 또한 공간 모델링부(320)는 전체공간(400) 및 실내공간(500)에 객체가 입장/퇴장할 수 있는 출입문(700: 710-750)을 배치한다.
도 3에서는 일 실시 예로, 실내공간(500)은 총 4개의 실내공간(510-540)으로 분할되고, 제1 실외공간(610)은 총 3개의 제1 실외공간(611-613)으로 분할되고, 제2 실외공간(620)은 총 3개의 제2 실외공간(621-623)으로 분할되고, 제3 실외공간(630)은 총 2개의 제3 실외공간(631,632)로 분할되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공간 모델링부(320)가 도 3과 같이 전체공간(400)을 분할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분할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체공간(400) 및 실내공간(500)의 출입문(700: 710-750) 주변에는 각각 카메라(100) 또는 센서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외공간(610) 및 제2 실외공간(620)에는 각각 카메라(100)가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3 실외공간(630)에는 각각 카메라(100) 또는 센서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은 도 3을 국한하여 설명한 것이며, 카메라(100) 및 센서부(200)의 배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의 특성상 카메라(100) 및 센서부(200)를 둘 다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3-1 실외공간(631) 및 제3-2 실외공간(632) 각각에는 카메라(100)가 배치되고, 제3-1 실외공간 및 제3-2 실외공간의 공간 분할 경계면에는 센서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각 공간별로 객체의 계수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객체 계수를 실현하기 위해 몇 가지 전제조건이 요구되는데, 그 전제조건이라 함은, 카메라(100) 및 센서부(200)의 신호는 통합 관제 센터(300)에 동시에 전송되고, 카메라(100)의 계수 오차 범위는 고정되어 있고, 공간 분할 격자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전체공간 계수부(330)는 전체공간(400)으로의 입장 및 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다. 전체공간 계수부(330)는 출입문(710)이 구비된 전체공간(400)에 대해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를 전체공간(400)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거나, 센서부(20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 중 제2값을 계수하여 전체공간(400)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전체공간(400)의 출입문(710)을 입장 또는 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는 카메라(100)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및 설명에 의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추출 및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전체공간 계수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는 전체공간(400)의 출입문(710)을 입장 또는 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는 카메라(100)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100)는 획득한 공간영상 내에 가상의 선(370)을 설정하고, 도 2의 구성에 의해 추출된 객체가 가상의 선(370)을 통과하는 경우 이를 객체 수로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 후 전체공간 계수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는 전체공간(400)의 출입문(710)을 입장 또는 퇴장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센서부(200)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부(200)가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고, 전체공간 계수부(330)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제1값 및 제2값을 수신한 후, 이로부터 발광된 적외선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되는 경우의 제2값을 계수하여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밖에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부(200)가 압력 센서로 구성된 경우, 전체공간 계수부(330)는 압력 센서로부터 제1값 및 제2값을 수신한 후, 이로부터 압력 감지 값이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의 제2 값을 계수하여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센서부(200)가 온도 센서로 구성된 경우, 전체공간 계수부(330)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제1값 및 제2값을 수신한 후, 이로부터 일정 범위 오차 내의 기준온도가 감지되는 경우의 제2값을 계수하여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실내공간 계수부(340)는 실내공간(500)으로의 입장 및 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다. 실내공간 계수부(340)는 출입문(720-750)이 구비된 실내공간(510-540) 각각에 대하여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를 실내공간(500)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거나, 센서부(20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 중 제2값을 계수하여 실내공간(510-540) 각각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실내공간 계수부(340)의 동작은 전체공간 계수부(33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외공간 계수부(350)는 실외공간(230-250)에 존재하는 객체수를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다. 실외공간 계수부(350)는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전체 실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의 합을 감산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각 실외공간(610-630)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외공간 계수부(351)는 제1 실외공간(611-613) 각각에 배치된 카메라(100)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에 제1 오차, 예를 들어 1%를 적용한 결과를 제1 실외공간(611-613) 각각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는 제1 실외공간(611-613) 각각에 존재하는 객체를 계수하는 카메라(100)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및 설명에 의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객체 추출 및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 후 제1 실외공간 계수부(35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밖에 카메라(100)는 획득한 공간영상 내에 가상의 선(370)을 설정하고, 도 2의 구성에 의해 추출된 객체가 가상의 선(370)을 통과하는 경우 이를 객체 수로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 후 제1 실외공간 계수부(351)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실외공간(611-613) 각각에 센서부(200)를 배치하고, 실외공간 계수부(351)가 센서부(200)로부터 수신한 제2값을 계수하여 이를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제2 실외공간 계수부(352)는 제2 실외공간(621-623) 각각에 배치된 카메라(100)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에 제1 오차와 다른 제2 오차, 예를 들어 2%를 적용한 결과를 제2 실외공간(621-623) 각각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외공간(621-623)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은 제1 실외공간(611-613)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외공간 계수부(353)는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전체 실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의 합과, 제1 실외공간(611-613)의 객체 계수 정보의 합과, 제2 실외공간(621-623)의 객체 계수 정보의 합을 감산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제3 실외공간(630)이 복수 개로 분할된 경우, 도 8을 참조하여 각 분할된 제3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 상 분할된 제3 실외 공간을 제3-1 실외공간(631) 및 제3-2 실외공간(632)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공간 모델링부(320)는 제3-1 실외공간(631) 및 제3-2 실외공간(632) 각각에 카메라(100)를 배치하고, 제3-1 실외공간(631) 및 제3-2 실외공간(632)의 분할 경계면에 센서부(200)를 배치할 수 있다.
제3 실외공간 계수부(353)는 제3-1 실외공간(631)에 대해 카메라(100)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고, 제3-2 실외공간(632)에 대해 카메라(100)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한다.
제3 실외공간 계수부(353)는 센서부(200)로부터 수신한 제2값으로부터 제3-1 실외공간(631)에서 제3-2 실외공간(632)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 또는 제3-2 실외공간(632)에서 제3-1 실외공간(631)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0)가 압력 센서로 구성된 경우, 제3-1 실외공간(631) 및 제3-2 실외공간(632)의 분할 경계면에 두 줄의 압력 센서를 배치하고, 동일한 압력을 갖는 제2값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3 실외공간 계수부(353)는 이로부터 객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200)가 온도 센서로 구성된 경우 동일한 온도를 갖는 제2값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3 실외공간 계수부(353)는 이로부터 객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실외공간 계수부(353)는 제3-1 실외공간(631)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시에, 제3-1 실외공간(631)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2 실외공간(632)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1 실외공간(631)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외공간 계수부(353)는 전체 제3 실외공간(630)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2 실외공간(632)의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1 실외공간(631)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고, 제3-1 실외공간(631)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2 실외공간(632)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1 실외공간(631)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실외공간 계수부(353)는 제3-2 실외공간(632)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시에, 제3-2 실외공간(632)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1 실외공간(631)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2 실외공간(632)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외공간 계수부(353)는 전체 제3 실외공간(630)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1 실외공간(631)의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2 실외공간(632)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고, 제3-2 실외공간(632)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1 실외공간(631)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2 실외공간(632)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360)는 공간 모델링 정보 및 각 공간별 객체 계수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공간을 복수개의 부분공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부분공간 별로 다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부분공간별로 정확하게 객체를 계수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계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계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계수 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통합 관제 센터(30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계수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합 관제 센터(300)는 임의의 전체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공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공간으로 분할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여기서 통합 관제 센터(300) 실외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2분면이 막힌 제1 실외공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1분면이 막힌 제2 실외공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힘 없이 열린 제3 실외공간으로 다시 분할한다. 또한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제3 실외공간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공간으로 다시 분할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3 실외공간을 제3-1 실외공간 및 제3-2 실외공간으로 분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전체공간 및 실내공간 각각에 객체가 입장/퇴장할 수 있는 출입문을 배치한다.
전체공간의 공간 분할이 완료되면, 통합 관제 센터(300)는 출입문이 구비된 전체공간에 대해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를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거나, 센서부(20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 중 제2값을 계수하여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카메라(100)는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추출 및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합 관제 센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0)는 획득한 공간영상 내에 가상의 선을 설정하고, 도 2의 구성에 의해 추출된 객체가 가상의 선을 통과하는 경우 이를 객체 수로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 후 통합 관제 센터(3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200)로부터 발광된 적외선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되는 경우의 제2값을 계수하여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제 센터(300)는 압력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200)로부터 압력 감지 값이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의 제2 값을 계수하여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통합 관제 센터(300)는 온도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200)로부터 일정 범위 오차 내의 기준온도가 감지되는 경우의 제2값을 계수하여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과 동시에, 통합 관제 센터(300)는 출입문이 구비된 실내공간 각각에 대하여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를 실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거나, 센서부(20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 중 제2값을 계수하여 실내공간 각각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통합 관제 센터(300)의 실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동작은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및 실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과 동시에,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전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및 실내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와 함께,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100) 또는 센서부(200)를 이용하여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0)를 수행한다.
도 10에는 실외공간에서의 객체 계수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제1 실외공간 각각에 배치된 카메라(100)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에 제1 오차, 예를 들어 1%를 적용한 결과를 제1 실외공간 각각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S410)를 수행한다.
카메라(100)는 제1 실외공간 각각에 배치되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객체 추출 및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 후 통합 관제 센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밖에 카메라(100)는 획득한 공간영상 내에 가상의 선을 설정하고, 추출된 객체가 가상의 선을 통과하는 경우 이를 객체 수로 계수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한 후 통합 관제 센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실외공간 각각에 센서부(200)를 배치하고, 통합 관제 센터(300)가 센서부(200)로부터 수신한 제2값을 계수하여 이를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제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과 동시에,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제2 실외공간 각각에 배치된 카메라(100)로부터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에 제1 오차와 다른 제2 오차, 예를 들어 2%를 적용한 결과를 제2 실외공간 각각의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S420)를 수행한다. 통합 관제 센터(300)의 제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동작은 제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및 제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과 동시에,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제3 실외공간에 대해, 전체 객체 계수 정보로부터 실내공간 객체 계수 정보, 제1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 및 제2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30)를 수행한다.
도 11에는 분할된 열린 실외공간 즉, 제3-1 실외공간 및 제3-2 실외공간에서의 객체 계수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통합 관제 센터(300)는 카메라(100)로부터 제3-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및 제3-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31)를 수행한다.
제3-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및 제3-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이 완료되면, 통합 관제 센터(300)는 센서부(200)로부터 수신한 제2값으로부터 제3-1 실외공간에서 제3-2 실외공간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 또는 제3-2 실외공간에서 제3-1 실외공간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32)를 수행한다.
여기서, 압력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200)는 제3-1 실외공간 및 제3-2 실외공간의 분할 경계면에 두 줄로 배치될 수 있고, 동일한 압력을 갖는 제2값을 감지신호로 출력하고, 통합 관제 센터(300)는 이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200)는 제3-1 실외공간 및 제3-2 실외공간의 분할 경계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온도를 갖는 제2값을 감지신호로 출력하고, 통합 관제 센터(300)는 이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 객체 계수 정보 생성이 완료되면, 통합 관제 센터(300)는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 정보 및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제3-1실외공간 및 제3-2실외공간 각각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33)를 수행한다.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제3-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시에, 제3-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2 실외공간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전체 제3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고, 제3-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2 실외공간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제3-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 생성 시에, 제3-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1 실외공간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제 센터(300)는 전체 제3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1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고, 제3-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에서 제3-1 실외공간으로 이동한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2 실외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카메라 200: 센서부
300: 통합 관제 센터 310: 제어부
320: 공간 모델링부 330: 전체공간 계수부
340: 실내공간 계수부 350: 실외공간 계수부
351: 제1 실외공간 계수부 352: 제2 실외공간 계수부
353: 제3 실외공간 계수부 360: 저장부
370: 가상의 선 400: 전체공간
500: 실내공간 600: 실외공간
610: 제1 실외공간 620: 제2 실외공간
630: 제3 실외공간 700: 출입문

Claims (14)

  1. 임의의 전체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공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공간으로 분할하는 공간 모델링부;
    상기 전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입장/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전체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전체공간 계수부;
    상기 실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입장/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실내공간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실내공간 계수부; 및
    상기 전체공간 계수 정보 및 상기 실내공간 계수 정보와,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공간의 객체를 계수하고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실외공간 계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공간은 2 분면이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실외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공간 계수부는, 상기 제1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정보에 제1 오차를 적용하여 객체를 계수하고 제1 실외공간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계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모델링부는,
    상기 실외공간에 대하여, 상기 제1 실외공간, 1분면이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실외공간 및 막힘 없이 열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실외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간은 1분면이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실외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공간 계수부는, 상기 제2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정보에 상기 제1 오차와는 다른 제2 오차를 적용하여 객체를 계수하고 제2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2 계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간은 막힘이 없이 열린 제3 실외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실외공간에 대해, 상기 전체 객체 계수 정보로부터 상기 실내공간 객체 계수 정보, 상기 제1 실외공간 계수정보 및 상기 제2 실외공간 계수정보를 감산하여 제3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3 계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장치.
  5. 삭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모델링부는,
    상기 제3 실외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각 공간에 상기 카메라를 배치하며, 상기 공간분할 경계면에 센서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계수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상기 공간별로 계수된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 의해 객체의 이동량을 계수하여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객체 계수 정보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생성한 객체 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실외공간 중 어느 한 공간 및 나머지 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장치.
  8. 임의의 전체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공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공간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할 단계;
    상기 전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입장/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전체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전체공간 계수 단계;
    상기 실내공간의 출입문 주변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입장/퇴장하는 객체를 계수하여 실내공간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실내공간 계수 단계; 및
    상기 전체공간 계수 정보 및 상기 실내공간 계수 정보와,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공간의 객체를 계수하고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실외공간 계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공간은 2 분면이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실외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공간 계수단계는, 상기 제1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정보에 제1 오차를 적용하여 객체를 계수하고 제1 실외공간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할 단계는,
    상기 실외공간에 대하여, 상기 제1 실외공간, 1분면이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실외공간 및 막힘 없이 열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실외 공간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간은 1분면이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실외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공간 계수단계는, 상기 제2 실외공간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 계수정보에 상기 제1 오차와는 다른 제2 오차를 적용하여 객체를 계수하고 제2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간은 막힘이 없이 열린 제3 실외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공간 계수단계는, 상기 제3 실외공간에 대해, 상기 전체 객체 계수 정보로부터 상기 실내공간 객체 계수 정보, 상기 제1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 및 상기 제2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를 감산하여 제3 실외공간 객체 계수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할 단계는,
    상기 제3 실외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각 공간에 상기 카메라를 배치하며, 상기 공간분할 경계면에 상기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간 계수단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상기 공간별로 계수된 객체 계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 의해 객체의 이동량을 계수하여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객체 계수 정보 및 상기 이동 객체 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실외공간 중 어느 한 공간 및 나머지 공간의 객체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계수 방법.
KR1020130010090A 2013-01-29 2013-01-29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 KR10142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090A KR101426418B1 (ko) 2013-01-29 2013-01-29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090A KR101426418B1 (ko) 2013-01-29 2013-01-29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10A KR20140096910A (ko) 2014-08-06
KR101426418B1 true KR101426418B1 (ko) 2014-09-23

Family

ID=5174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090A KR101426418B1 (ko) 2013-01-29 2013-01-29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4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203B1 (ko) * 2016-03-29 2018-01-3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대상 개체 계수 장치 및 대상 개체 계수 장치의 대상 개체 계수 방법
KR20220103572A (ko) * 2021-01-15 2022-07-22 주식회사 비트코퍼레이션 무인 매장에서의 출입 고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인 매장 출입 고객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90B1 (ko) * 2015-01-19 2023-08-29 한화비전 주식회사 사람계수장치
KR102051855B1 (ko) 2018-01-02 2019-12-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Uwb 레이더를 이용하는 인원 계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008A (ja) * 1997-12-19 1999-07-09 Giken Torasutemu Kk 移動体計数装置
JP2003085563A (ja) * 2001-09-12 2003-03-20 Giken Torasutemu Kk 分離計数装置
KR20120016889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008A (ja) * 1997-12-19 1999-07-09 Giken Torasutemu Kk 移動体計数装置
JP2003085563A (ja) * 2001-09-12 2003-03-20 Giken Torasutemu Kk 分離計数装置
KR20120016889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203B1 (ko) * 2016-03-29 2018-01-3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대상 개체 계수 장치 및 대상 개체 계수 장치의 대상 개체 계수 방법
KR20220103572A (ko) * 2021-01-15 2022-07-22 주식회사 비트코퍼레이션 무인 매장에서의 출입 고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인 매장 출입 고객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11569B1 (ko) * 2021-01-15 2023-03-17 주식회사 비트코퍼레이션 무인 매장에서의 출입 고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인 매장 출입 고객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10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9791B (zh) 行人跟踪方法和装置及跨摄像头行人跟踪方法和装置
US9386298B2 (en) Three-dimensional image sensors
TWI405150B (zh) 視訊移動偵測方法及使用該方法之非暫時性電腦可讀取媒體和攝影機
KR101223046B1 (ko) 정지장면의 연속프레임 영상에 기반한 영상분할장치 및 방법
EP342559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426418B1 (ko) 객체 계수 장치 및 방법
KR101747214B1 (ko) 다채널 영상 분석 방법 및 시스템
US10650229B2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occupancy detection
AU2013260753A1 (en) Rapid shake detection using a cascade of quad-tree motion detectors
JP5771039B2 (ja) 放置人物検出装置
JPWO2008035411A1 (ja) 移動体情報検出装置、移動体情報検出方法および移動体情報検出プログラム
KR101861245B1 (ko) 멀티 센서 cctv 파노라마 영상에서 움직임 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109371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7211098A (zh) 针对顺序子图像的基于噪声电平的曝光时间控制
JP2010262527A (ja) 通行者計数装置、通行者計数方法および通行者計数プログラム
KR101214858B1 (ko)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이동물체 검출장치 및 방법
KR20110037486A (ko)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
JP6253950B2 (ja) 画像監視システム
KR102474697B1 (ko) 촬상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Low et al. Frame Based Object Detection--An Application for Traffic Monitoring
JP6301202B2 (ja) 撮影条件設定装置および撮影条件設定方法
Dhaief People counting technology
KR100695128B1 (ko) 컬러 영상으로부터의 조명색 추출 방법
JP2017068650A (ja) 複数のカメラで撮影した画像から個々の被写体を識別する識別装置、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20864B1 (ko) 형상체를 활용한 모니터링영역 내의 외부 객체 유무 판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