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450B1 -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450B1
KR101170450B1 KR1020110132138A KR20110132138A KR101170450B1 KR 101170450 B1 KR101170450 B1 KR 101170450B1 KR 1020110132138 A KR1020110132138 A KR 1020110132138A KR 20110132138 A KR20110132138 A KR 20110132138A KR 101170450 B1 KR101170450 B1 KR 10117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ub
case
main body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재
김한수
강창익
김지선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to KR102011013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450B1/ko
Priority to US13/645,828 priority patent/US901017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1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comprising two or more sensors, e.g. a sensor array
    • G01N33/003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comprising two or more sensors, e.g. a sensor array using two or more different physical functioning m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체의 오염 성분 및 오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체의 오염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 중 일부의 센서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교체를 원하는 센서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pollution measurement apparatus for changing sensor easily}
본 발명의 기체의 오염 성분 및 오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체의 오염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 중 일부의 센서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교체를 원하는 센서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체의 오염 성분 및 오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2009년 10월 22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가스 농도 측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스 농도 측정장치(출원번호:KR10-2009-0100544)'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그러나, '가스 농도 측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스 농도 측정장치(출원번호:KR10-2009-0100544)'에 개시된 장치는 가스의 오염 성분 및 오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센서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하나의 센서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다수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센서부 전체를 장치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기체 농도 측정 센서나 메인(main) 연산부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한 기체 농도 측정 센서나 메인(main) 연산부가 구비된 측정 단위체를 본체의 수용부로부터 인출하여 등가의 다른 측정 단위체와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메인(main) 유동로(120H)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main) 유동로(120H)를 유동하는 기체에 접촉되는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가 설치되는 메인(main) 블록(block)(120); 상기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에 연결되는 메인(main) 연산부(520) 및 상기 메인(main) 블록(block)(120)이 각각 설치되는 메인(main) 케이스(420); 상기 메인(main) 유동로(120H)에 연통하도록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후방으로 돌출되는 메인(main) 유입관(321); 상기 메인(main) 유동로(120H)에 연통하도록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후방으로 돌출되는 메인(main) 유출관(323); 전면에 n개의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가 끼워지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1000); n개의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가운데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의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과, n개의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가운데 제(k+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을 상호 연통시키며 연결하는 제k 번째 메인(main)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고, k는 1 부터 (n-1) 까지의 자연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기체가 유동하도록 (n-1)개의 메인(main) 유동홈(1220G)이 형성되고, (n-1)개의 상기 메인(main) 유동홈(1220G) 중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에는,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이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k 번째 메인(main) 유출공(1220H3-k)과, 상기 제(k+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이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k 번째 메인(main) 유입공(1220H1-k)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연결 수단은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의 개방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k 번째 메인(main) 덮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취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제1-1 서브(sub) 유입관(311-1), 오염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제1-2 서브(sub) 유입관(311-2) 및 제1 서브(sub) 유출관(313)이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1 서브(sub) 유입관(311-1)과 제1-2 서브(sub) 유입관(311-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서브(sub) 유출관(313)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선택 밸브(CV)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0)의 수용부에 끼워지는 제1 서브(sub) 케이스(410); 상기 제1 서브(sub) 유출관(313)과, n개의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가운데 제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을 상호 연통시키며 연결하는 제1 서브(sub) 연결 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기체가 유동하도록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에는, 상기 제1 서브(sub) 유출관(313)이 상기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1 서브(sub) 유출공(1210H3)과, 상기 제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이 상기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1 서브(sub) 유입공(1210H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서브(sub)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의 개방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100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1 서브(sub) 덮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브(sub) 유동로(130H)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sub) 유동로(130H)를 유동하는 기체의 온도와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물성 측정 센서(230S)가 설치되는 서브(sub) 블록(block)(130); 상기 물성 측정 센서(230S)에 연결되는 서브(sub) 연산부(530) 및 상기 서브(sub) 블록(block)(130)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0)의 수용부에 끼워지는 제2 서브(sub) 케이스(430); 상기 서브(sub) 유동로(130H)에 연통하도록 상기 서브(sub) 케이스(430)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서브(sub) 유입관(331); 상기 서브(sub) 유동로(130H)에 연통하도록 상기 서브(sub) 케이스(430)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서브(sub) 유출관(333); n개의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가운데 제n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n)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1220H3)과, 상기 제2 서브(sub) 유입관(331)을 상호 연통시키며 연결하는 제2 서브(sub) 연결 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기체가 유동하도록 기체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에는, 상기 제n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n)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이 상기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2 서브(sub) 유출공(1230H3)과, 상기 제2 서브(sub) 유입관(331)이 상기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2 서브(sub) 유입공(1230H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sub) 연결 수단은 상기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의 개방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100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2 서브(sub) 덮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상기 제1-1 서브(sub) 유입관(311-1)이 끼워지는 제1-1 서브(sub) 유입공(1111H1) 및 상기 제1-2 서브(sub) 유입관(311-2)이 끼워지는 제1-2 서브(sub) 유입공(1112H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상기 제2 서브(sub) 유출관(333)이 끼워지는 제2 서브(sub) 유출공(1300H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에는 오염 성분의 농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50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0)의 수용부 내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0)에 연결되는 메인(main)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20C)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main) 연산부(520)에는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가 상기 본체(1000)의 수용부에 끼워진 경우 상기 메인(main)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20C)에 끼워지는 메인(main) 연산부 커넥터(520C)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오염 성분 및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기체 농도 측정 센서 및 메인(main) 연산부 등을 하나의 메인(main) 케이스에 장착함으로써 하나의 측정 단위체를 형성한다. 또한, 하나의 측정 단위체를 통과한 기체가 다른 하나의 측정 단위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나의 측정 단위체와 다른 하나의 측정 단위체는 메인(main) 연결 수단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 경우 하나의 측정 단위체와 다른 하나의 측정 단위체는 본체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단순히 끼워짐으로써 메인(main) 연결 수단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특정한 기체 농도 측정 센서나 메인(main) 연산부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한 기체 농도 측정 센서나 메인(main) 연산부가 구비된 측정 단위체를 본체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로부터 인출하여 등가의 다른 측정 단위체와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면 사시도.
도2 및 도3은 도1의 본체 하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수용부에 끼워지는 제1 서브(sub) 케이스의 사시도.
도5는 도4의 제1 서브(sub) 케이스에 설치되는 지지블록(supporting block)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6은 도3의 수용부에 끼워지는 메인(main) 케이스의 사시도.
도7은 도6의 메인(main) 케이스에 설치되는 메인(main) 블록(block)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8은 도3의 도3의 수용부에 끼워지는 제2 서브(sub) 케이스의 사시도.
도9는 도8의 제2 서브(sub) 케이스에 설치되는 서브(sub) 블록(block)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개략적 배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면 사시도를, 도2 및 도3은 도1의 본체 하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사시도를, 도4는 도3의 수용부에 끼워지는 제1 서브(sub) 케이스의 사시도를, 도5는 도4의 제1 서브(sub) 케이스에 설치되는 지지블록(supporting block)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6은 도3의 수용부에 끼워지는 메인(main) 케이스의 사시도를, 도7은 도6의 메인(main) 케이스에 설치되는 메인(main) 블록(block)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8은 도3의 도3의 수용부에 끼워지는 제2 서브(sub) 케이스의 사시도를, 도9는 도8의 제2 서브(sub) 케이스에 설치되는 서브(sub) 블록(block)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개략적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체(1000)를 가진다. 본체(1000)의 하부에는 제1 서브(sub) 케이스(410), n개의 메인(main) 케이스(420) 및 제2 서브(sub) 케이스(430)가 끼워진다. 따라서, 본체(1000)의 정면에는 제1 서브(sub) 케이스(410), n개의 메인(main) 케이스(420) 및 제2 서브(sub) 케이스(430)를 끼우기 위한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된다. 제1 서브(sub) 케이스(410), n개의 메인(main) 케이스(420) 및 제2 서브(sub) 케이스(430)가 상기 본체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원활히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는 다수개의 레일(도면부호 미부여)이 설치될 수 있다.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데, 도면에는 n이 9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제1 서브(sub) 케이스(410)에는 지지블록(supporting block)(110), 선택 밸브(CV) 및 밸브 조절부(510)가 설치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지지블록(supporting block)(110)에는 제1-1 서브(sub) 유입관(311-1), 제1-2 서브(sub) 유입관(311-2) 및 제1 서브(sub) 유출관(313)이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된다. 제1-1 서브(sub) 유입관(311-1)은 본체(1000) 내부로 무취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고, 제1-2 서브(sub) 유입관(311-2)은 본체(1000) 내부로 오염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지지블록(supporting block)(110)에는 후방으로 돌출부(110P)가 형성된다. 돌출부(110P)가 제1 서브(sub) 케이스(410)의 후면에 끼워져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1 서브(sub) 케이스(410)의 후면에는 돌출부(110P)에 대응하는 끼움공이 형성된다.
도4를 참조하면 제1-1 서브(sub) 유입관(311-1)에는 제1 연결관(CP1)이 연결되고, 제1-2 서브(sub) 유입관(311-2)에는 제2 연결관(CP2)이 연결되고, 제1 서브(sub) 유출관(313)에는 제3 연결관(CP3)이 연결된다. 제3 연결관(CP3)은 선택 밸브(CV)를 통하여 제1 연결관(CP1)과 제2 연결관(CP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밸브 조절부(510)에는 선택 밸브(CV)를 조절하기 위한 전기 소자가 장착된다. 또한 밸브 조절부(510)에는 밸브 조절부 커넥터(510C)가 형성된다. 밸브 조절부 커넥터(510C)는 제1 서브(sub) 케이스(410)의 후면에 형성된 개방공(도면부호 미부여)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도6을 참조하면 각각의 메인(main) 케이스(420)에는 메인(main) 블록(block)(120) 및 메인(main) 연산부(520)가 설치된다.
도7을 참조하면 메인(main) 블록(block)(120) 내부에는 메인(main) 유동로(120H)가 형성된다. 메인(main) 유동로(120H)는 상호 연통되는 제1 메인(main) 유동로(120H1), 제2 메인(main) 유동로(120H2) 및 제3 메인(main) 유동로(120H3)를 포함한다. 제1 메인(main) 유동로(120H1) 및 제3 메인(main) 유동로(120H3)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메인(main) 유동로(120H2)는 제1 메인(main) 유동로(120H1)의 전측단 및 제3 메인(main) 유동로(120H3)의 전측단을 상호 연통시키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메인(main) 블록(block)(120)에는 메인(main) 유동로(120H)를 유동하는 기체에 접촉되는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가 설치된다.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는 반도체(Semiconductor)식 기체 농도 측정 센서, 전기화학(Electrochemical)식 기체 농도 측정 센서, 또는 광이온화(Photoionization)식 기체 농도 측정 센서 등일 수 있다. 전기화학(Electrochemical)식 기체 농도 측정 센서는 기체 농도 측정 센서의 감지 표면이 기체의 흐름에 평행하게 위치한 경우보다 기체의 흐름에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에 보다 높은 감지 효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가 전기화학(Electrochemical)식 기체 농도 측정 센서인 경우,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는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의 감지 표면이 기체의 흐름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는 상기 감지 표면이 제1 메인(main) 유동로(120H1)와 제2 메인(main) 유동로(120H2)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 도1 참조)에 설치되는 메인(main) 블록(block)(120)을 제k 번째 메인(main) 블록(block)(120)이라 하고, 제(k+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1), 도1 참조)에 설치되는 메인(main) 블록(block)(120)을 제(k+1) 번째 메인(main) 블록(block)(120)이라 한다. 여기서, k는 1 부터 (n-1) 까지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이때, 제k 번째 메인(main) 블록(block)(120)에 설치되는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와 제(k+1) 번째 메인(main) 블록(block)(120)에 설치되는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는 서로 다른 오염 성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일 수 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메인(main) 블록(block)(120)에는 메인(main) 유입관(321) 및 메인(main) 유출관(323)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메인(main) 유입관(321)은 제1 메인(main) 유동로(120H1)에 연통하도록 장착되고, 메인(main) 유출관(323)은 제3 메인(main) 유동로(120H3)에 연통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메인(main) 블록(block)(120)에는 후방으로 돌출부(120P)가 형성된다. 돌출부(120P)가 메인(main) 케이스(420)의 후면에 끼워져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메인(main) 케이스(420)의 후면에는 돌출부(120P)에 대응하는 끼움공이 형성된다.
도6을 참조하면 메인(main) 연산부(520)에는 오염 성분의 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전기 소자가 장착된다. 따라서, 메인(main) 연산부(520)는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에 연결된다. 메인(main) 연산부(520)에 의하여 상기 오염 성분의 농도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대한민국에 특허 출원된 '가스 농도 측정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스 농도 측정장치(출원번호:KR10-2009-0100544)'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한 메인(main) 연산부(520)에는 메인(main) 연산부 커넥터(520C)가 형성된다. 메인(main) 연산부 커넥터(520C)는 메인(main) 케이스(420)의 후면에 형성된 개방공(도면부호 미부여)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도8을 참조하면 제2 서브(sub) 케이스(430)에는 서브(sub) 블록(block)(130) 및 서브(sub) 연산부(530)가 설치된다.
도9를 참조하면 서브(sub) 블록(block)(130) 내부에는 서브(sub) 유동로(130H)가 형성된다. 서브(sub) 유동로(130H)는 상호 연통되는 제1 서브(sub) 유동로(130H1), 제2 서브(sub) 유동로(130H2) 및 제3 서브(sub) 유동로(130H3)를 포함한다. 제1 서브(sub) 유동로(130H1) 및 제3 서브(sub) 유동로(130H3))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서브(sub) 유동로(130H2)는 제1 서브(sub) 유동로(130H1)의 전측단 및 제3 서브(sub) 유동로(130H3)의 전측단을 상호 연통시키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9을 참조하면 서브(sub) 블록(block)(130)에는 서브(sub) 유동로(130H)를 유동하는 기체에 접촉되는 물성 측정 센서(230S)가 설치된다. 물성 측정 센서(230S)는 서브(sub) 유동로(130H)를 유동하는 기체의 온도와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서브(sub) 블록(block)(130)에는 제2 서브(sub) 유입관(331) 및 제2 서브(sub) 유출관(333)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제2 서브(sub) 유입관(331)은 제1 서브(sub) 유동로(130H1)에 연통하도록 장착되고, 제2 서브(sub) 유출관(333)은 제3 서브(sub) 유동로(130H3)에 연통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서브(sub) 블록(block)(130)에는 후방으로 돌출부(130P)가 형성된다. 돌출부(130P)가 서브(sub) 케이스(430)의 후면에 끼워져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서브(sub) 케이스(430)의 후면에는 돌출부(130P)에 대응하는 끼움공이 형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서브(sub) 연산부(530)에는 서브(sub) 유동로(130H)를 유동하는 기체의 온도나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산출하기 위한 전기 소자가 장착된다. 따라서, 서브(sub) 연산부(530)는 물성 측정 센서(230S)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물성 측정 센서(230S)에 연결된다. 또한 서브(sub) 연산부(530)에는 서브(sub) 연산부 커넥터(530C)가 형성된다. 서브(sub) 연산부 커넥터(530C)는 서브(sub) 케이스(430)의 후면에 형성된 개방공(도면부호 미부여)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도2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체(1000)의 후면에는 제1-1 본체 유입공(1111H1) 및 제1-2 본체 유입공(1112H1)이 형성된다. 도1 및 도4를 함께 참조하면 제1-1 본체 유입공(1111H1)은, 제1 서브(sub) 케이스(410)가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진 경우, 내부에 제1-1 서브(sub) 유입관(311-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도1 및 도4를 함께 참조하면 제1-2 본체 유입공(1112H1)은, 제1 서브(sub) 케이스(410)가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진 경우, 내부에 제1-2 서브(sub) 유입관(311-2)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이 형성된다.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은 일자형으로 형성되는데,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의 상측단에는 제1 서브(sub) 유출공(1210H3)이 형성되고,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의 하측단에는 제1 서브(sub) 유입공(1210H1)이 형성된다. 도1 및 도2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서브(sub) 유출공(1210H3)은, 제1 서브(sub) 케이스(410)가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진 경우, 내부에 제1 서브(sub) 유출관(313, 도4 참조)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제1 서브(sub) 유출공(1210H3)에 제1 서브(sub) 유출관(313, 도4 참조)이 끼워짐에 따라 제1 서브(sub) 유출관(313, 도4 참조)이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에 연통된다. 도1 및 도2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서브(sub) 유입공(1210H1)은, 제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1)가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진 경우, 내부에 제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 도6 참조)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제1 서브(sub) 유입공(1210H1)에 제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 도6 참조)이 끼워짐에 따라 제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 도6 참조)이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에 연통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의 개방단은 제1 서브(sub) 덮개판(도면 부호 미부여)에 의하여 밀폐된다. 따라서, 제1 서브(sub) 유출공(1210H3)을 통하여 유출된 기체가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을 따라 유동하고, 이어서 제1 서브(sub) 유입공(1210H1)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1 서브(sub) 덮개판(도면 부호 미부여)은 덮개판(1400)의 일부일 수 있다. 덮개판(1400)에는 제1-1 본체 유입공(1111H1)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1 덮개판 유입공(1411H1)과, 제1-2 본체 유입공(1112H1)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2 덮개판 유입공(1412H1)이 각각 형성된다.
도10을 참조하면 본체(1000)의 후면에는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을 감싸는 제1 서브(sub) 삽착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서브(sub) 삽착홈(도면부호 미부여)에는 제1 서브(sub) 개스킷(asket)(1210S)이 끼워진다. 제1 서브(sub) 개스킷(asket)(1210S)이 상기 제1 서브(sub) 삽착홈(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져 덮개판(1400)에 의하여 눌리어짐으로써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을 유동하는 기체의 밀봉효과가 증대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제1 서브(sub) 유출관(313)과, 제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을 상호 연통시키며 연결하는 제1 서브(sub) 연결 수단은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이 형성된 본체(1000) 및 상기 제1 서브(sub) 덮개판(도면 부호 미부여)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서브(sub) 연결 수단은, 일측단이 제1 서브(sub) 유출공(1210H3)에 연통되고 타측단이 제1 서브(sub) 유입공(1210H1)에 연통되는 제1 서브(sub) 연결관일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본체(1000) 후면에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n-1)개의 메인(main) 유동홈(1220G)이 형성된다. n=9 이므로 본체(1000) 후면에는 8개의 메인(main) 유동홈(1220G)이 형성된다. 8개의 메인(main) 유동홈(1220G)은 일자형으로 형성되는데,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의 상측단에는 제k 번째 메인(main) 유출공(1220H3-k)이 형성되고,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의 하측단에는 제k 번째 메인(main) 유입공(1220H1-k)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1)의 상측단에는 제1 번째 메인(main) 유출공(1220H3-1)이 형성되고, 제1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1)의 하측단에는 제1 번째 메인(main) 유입공(1220H1-1)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n-1)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n-1))의 상측단에는 제(n-1) 번째 메인(main) 유출공(1220H3-(n-1))이 형성되고, 제(n-1)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n-1))의 하측단에는 제(n-1) 번째 메인(main) 유입공(1220H1-(n-1))이 형성된다. 도1 및 도3을 함께 참조하면 제k 번째 메인(main) 유출공(1220H3-k)은,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가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진 경우, 내부에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 도6 참조)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제k 번째 메인(main) 유출공(1220H3-k)에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 도6 참조)이 끼워짐에 따라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 도6 참조)이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에 연통된다. 도1 및 도3을 함께 참조하면 제k 번째 메인(main) 유입공(1220H1-k)은,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가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진 경우, 내부에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 도6참조)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제k 번째 메인(main) 유입공(1220H1-k)에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 도6참조)이 끼워짐에 따라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 도6참조)이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에 연통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의 개방단은 제k 번째 메인(main) 덮개판(도면 부호 미부여)에 의하여 밀폐된다. 따라서, 제k 번째 메인(main) 유출공(1220H3-k)을 통하여 유출된 기체가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을 따라 유동하고, 이어서 제k 번째 메인(main) 유입공(1220H1-k)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덮개판(도면 부호 미부여)은 덮개판(1400)의 일부일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본체(1000)의 후면에는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을 감싸는 제k 번째 메인(main) 삽착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삽착홈(도면부호 미부여)에는 제k 번째 메인(main) 개스킷(asket)(1210S-k)이 끼워진다. 제k 번째 메인(main) 개스킷(asket)(1210S-k)이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삽착홈(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져 덮개판(1400)에 의하여 눌리어짐으로써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을 유동하는 기체의 밀봉효과가 증대한다. 도면부호 '1210S-1'은 제1 번째 메인(main) 개스킷(asket)을 나타내고, '1210S-(n-1)'은 제(n-1) 번째 메인(main) 개스킷(asket)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과, 제(k+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을 상호 연통시키며 연결하는 제k 번째 메인(main) 연결 수단은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이 형성된 본체(1000) 및 제k 번째 메인(main) 덮개판(도면 부호 미부여)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연결 수단은, 일측단이 제k 번째 메인(main) 유출공(1220H3-k)에 연통되고 타측단이 제k 번째 메인(main) 유입공(1220H1-k)에 연통되는 제k 번째 메인(main) 연결관일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이 형성된다.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은 일자형으로 형성되는데,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의 상측단에는 제2 서브(sub) 유출공(1230H3)이 형성되고,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의 하측단에는 제2 서브(sub) 유입공(1230H1)이 형성된다. 도1 및 도3을 함께 참조하면 제2 서브(sub) 유출공(1230H3)은, 제n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n)가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진 경우, 내부에 제n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n)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 도6 참조)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제2 서브(sub) 유출공(1230H3)에 제n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n)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 도6 참조)이 끼워짐에 따라 제n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n)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 도6 참조)이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에 연통된다. 도1 및 도3을 함께 참조하면 제2 서브(sub) 유입공(1230H1)은, 제2 서브(sub) 케이스(430)가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진 경우, 내부에 제2 서브(sub) 유입관(331, 도8 참조)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제2 서브(sub) 유입공(1230H1)에 제2 서브(sub) 유입관(331, 도8 참조)이 끼워짐에 따라 제2 서브(sub) 유입관(331, 도8 참조)이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에 연통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의 개방단은 제2 서브(sub) 덮개판(도면 부호 미부여)에 의하여 밀폐된다. 따라서, 제2 서브(sub) 유출공(1230H3)을 통하여 유출된 기체가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을 따라 유동하고, 이어서 제2 서브(sub) 유입공(1230H1)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2 서브(sub) 덮개판(도면 부호 미부여)은 덮개판(1400)의 일부일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본체(1000)의 후면에는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을 감싸는 제2 서브(sub) 삽착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서브(sub) 삽착홈(도면부호 미부여)에는 제2 서브(sub) 개스킷(asket)(1230S)이 끼워진다. 제2 서브(sub) 개스킷(asket)(1230S)이 상기 제2 서브(sub) 삽착홈(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져 덮개판(1400)에 의하여 눌리어짐으로써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을 유동하는 기체의 밀봉효과가 증대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제n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n)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과, 제2 서브(sub) 유입관(331)을 상호 연통시키며 연결하는 제2 서브(sub) 연결 수단은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이 형성된 본체(1000) 및 상기 제2 서브(sub) 덮개판(도면 부호 미부여)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서브(sub) 연결 수단은, 일측단이 제2 서브(sub) 유출공(1230H3)에 연통되고 타측단이 제2 서브(sub) 유입공(1230H1)에 연통되는 제2 서브(sub) 연결관일 수 있다.
도3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체(1000)의 후면에는 본체 유출공(1300H3)이 형성된다. 도1 및 도8을 함께 참조하면 본체 유출공(1300H3)은, 제2 서브(sub) 케이스(430)가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끼워진 경우, 내부에 제2 서브(sub) 유출관(333)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덮개판(1400)에는 본체 유출공(1300H3)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덮개판 유출공(1430H3)이 형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본체(1000)에는 디스플레이부(1500)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1500)는 메인(main) 연산부(520)로부터 산출된 오염 성분의 농도 및 서브(sub) 연산부(530)로부터 산출된 온도나 습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0)는 밸브 조절부(510)나 메인(main) 연산부(52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에 특정 입력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 밸브(CV)가 제3 연결관(CP3)을 제1 연결관(CP1)과 제2 연결관(CP2)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킬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체(1000)의 수용부 내측에는 디스플레이부(1500)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00C)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00C)는 제1 서브(sub)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10C), n개의 메인(main)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20C) 및 제2 서브(sub)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30C)를 포함한다. 제1 서브(sub)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10C)는 제1 서브(sub) 케이스(410)가 본체(1000)의 수용부에 끼워진 경우 밸브 조절부 커넥터(510C)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n개의 메인(main) 디스플레이부(1520C) 커넥터는 n개의 메인(main) 케이스(420)가 본체(1000)의 수용부에 끼워진 경우 각각 n개의 메인(main) 연산부 커넥터(520C)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제2 서브(sub)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30C)는 제2 서브(sub) 케이스(430)가 본체(1000)의 수용부에 끼워진 경우 서브(sub) 연산부 커넥터(530C)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특정한 오염 성분 및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기체 농도 측정 센서(120S) 및 메인(main) 연산부(520) 등을 하나의 메인(main) 케이스(420-k)에 장착함으로써 하나의 측정 단위체를 형성한다. 또한, 하나의 측정 단위체를 통과한 기체가 다른 하나의 측정 단위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나의 측정 단위체와 다른 하나의 측정 단위체는 메인(main) 연결 수단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 경우 하나의 측정 단위체와 다른 하나의 측정 단위체는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단순히 끼워짐으로써 메인(main) 연결 수단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특정한 기체 농도 측정 센서(120S)나 메인(main) 연산부(52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한 기체 농도 측정 센서(120S)나 메인(main) 연산부(520)가 구비된 측정 단위체를 본체(1000)의 수용부(도면부호 미부여)로부터 인출하여 등가의 다른 측정 단위체와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20:메인(main) 블록(block) 120H:메인(main) 유동로
130:서브(sub) 블록(block) 130H:서브(sub) 유동로
220S:기체 농도 측정 센서 230S:물성 측정 센서
311-1:제1-1 서브(sub) 유입관 311-2:제1-2 서브(sub) 유입관
313:제1 서브(sub) 유출관
321:메인(main) 유입관 323:메인(main) 유출관
331:제2 서브(sub) 유입관 333:제2 서브(sub) 유출관
410:제1 서브(sub) 케이스
420:메인(main) 케이스 420-1:제1 번째 메인(main) 케이스
420-k: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
420-(k+1):제(k+1) 번째 메인(main) 케이스
420-n:제n 번째 메인(main) 케이스
430:제2 서브(sub) 케이스
520:메인(main) 연산부 520C:메인(main) 연산부 커넥터
530:서브(sub) 연산부
1000:본체
1111H1:제1-1 본체 유입공 1112H1:제1-2 본체 유입공
1210G:제1 서브(sub) 유동홈
1210H1:제1 서브(sub) 유입공 1210H3:제1 서브(sub) 유출공
1220G:메인(main) 유동홈
1220G-k: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
1220H1-k:제k 번째 메인(main) 유입공 1220H3-k:제k 번째 메인(main) 유출공
1230G:제2 서브(sub) 유동홈
1230H1:제2 서브(sub) 유입공 1230H3:제2 서브(sub) 유출공
1300H3:본체 유출공
1500:디스플레이부 1520C:메인(main) 디스플레이부 커넥터
CV:선택 밸브

Claims (9)

  1. 삭제
  2. 메인(main) 유동로(120H)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main) 유동로(120H)를 유동하는 기체에 접촉되는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가 설치되는 메인(main) 블록(block)(120);
    상기 기체 농도 측정 센서(220S)에 연결되는 메인(main) 연산부(520) 및 상기 메인(main) 블록(block)(120)이 각각 설치되는 메인(main) 케이스(420);
    상기 메인(main) 유동로(120H)에 연통하도록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후방으로 돌출되는 메인(main) 유입관(321);
    상기 메인(main) 유동로(120H)에 연통하도록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후방으로 돌출되는 메인(main) 유출관(323);
    전면에 n개의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가 끼워지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1000);
    n개의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가운데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의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과, n개의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가운데 제(k+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을 상호 연통시키며 연결하는 제k 번째 메인(main) 연결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기체가 유동하도록 (n-1)개의 메인(main) 유동홈(1220G)이 형성되고,
    (n-1)개의 상기 메인(main) 유동홈(1220G) 중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에는,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이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k 번째 메인(main) 유출공(1220H3-k)과, 상기 제(k+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k+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이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k 번째 메인(main) 유입공(1220H1-k)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연결 수단은 상기 제k 번째 메인(main) 유동홈(1220G-k)의 개방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100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k 번째 메인(main)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고, k는 1 부터 (n-1) 까지의 자연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무취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제1-1 서브(sub) 유입관(311-1), 오염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제1-2 서브(sub) 유입관(311-2) 및 제1 서브(sub) 유출관(313)이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1 서브(sub) 유입관(311-1)과 제1-2 서브(sub) 유입관(311-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서브(sub) 유출관(313)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선택 밸브(CV)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0)의 수용부에 끼워지는 제1 서브(sub) 케이스(410);
    상기 제1 서브(sub) 유출관(313)과, n개의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가운데 제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을 상호 연통시키며 연결하는 제1 서브(sub)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기체가 유동하도록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에는, 상기 제1 서브(sub) 유출관(313)이 상기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1 서브(sub) 유출공(1210H3)과, 상기 제1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1)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입관(321)이 상기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1 서브(sub) 유입공(1210H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서브(sub)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서브(sub) 유동홈(1210G)의 개방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100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1 서브(sub)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서브(sub) 유동로(130H)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sub) 유동로(130H)를 유동하는 기체의 온도와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물성 측정 센서(230S)가 설치되는 서브(sub) 블록(block)(130);
    상기 물성 측정 센서(230S)에 연결되는 서브(sub) 연산부(530) 및 상기 서브(sub) 블록(block)(130)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0)의 수용부에 끼워지는 제2 서브(sub) 케이스(430);
    상기 서브(sub) 유동로(130H)에 연통하도록 상기 서브(sub) 케이스(430)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서브(sub) 유입관(331);
    상기 서브(sub) 유동로(130H)에 연통하도록 상기 서브(sub) 케이스(430)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서브(sub) 유출관(333);
    n개의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 가운데 제n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n)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과, 상기 제2 서브(sub) 유입관(331)을 상호 연통시키며 연결하는 제2 서브(sub)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기체가 유동하도록 기체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에는, 상기 제n 번째 메인(main) 케이스(420-n) 후방으로 돌출된 메인(main) 유출관(323)이 상기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2 서브(sub) 유출공(1230H3)과, 상기 제2 서브(sub) 유입관(331)이 상기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에 연통하도록 끼워지는 제2 서브(sub) 유입공(1230H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sub) 연결 수단은 상기 제2 서브(sub) 유동홈(1230G)의 개방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100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2 서브(sub)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상기 제1-1 서브(sub) 유입관(311-1)이 끼워지는 제1-1 본체 유입공(1111H1) 및 상기 제1-2 서브(sub) 유입관(311-2)이 끼워지는 제1-2 본체 유입공(1112H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 후면에는 상기 제2 서브(sub) 유출관(333)이 끼워지는 본체 유출공(1300H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0)에는 오염 성분의 농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50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0)의 수용부 내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0)에 연결되는 메인(main)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20C)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main) 연산부(520)에는 상기 메인(main) 케이스(420)가 상기 본체(1000)의 수용부에 끼워진 경우 상기 메인(main) 디스플레이부 커넥터(1520C)에 끼워지는 메인(main) 연산부 커넥터(520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KR1020110132138A 2011-12-09 2011-12-09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KR10117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138A KR101170450B1 (ko) 2011-12-09 2011-12-09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US13/645,828 US9010173B2 (en) 2011-12-09 2012-10-05 Pollution measurement apparatus for easily exchanging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138A KR101170450B1 (ko) 2011-12-09 2011-12-09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450B1 true KR101170450B1 (ko) 2012-08-07

Family

ID=4688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138A KR101170450B1 (ko) 2011-12-09 2011-12-09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10173B2 (ko)
KR (1) KR101170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965A (ko) * 2014-03-06 2017-12-12 엑스트랄리스 글로벌 다중-채널 감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6538B1 (en) 2016-12-15 2020-11-11 Geoservices Equipements SAS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at least a flow of gas extracted from a drilling fluid
US11045800B1 (en) * 2020-10-21 2021-06-29 Lawrence Kaplan Laboratory on location test system for accreditation of breathing air qual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6976A (en) * 1994-12-17 1998-05-05 Horiba Ltd. Detachable gas analyzing apparatus
JP3004885B2 (ja) 1994-12-17 2000-01-31 株式会社堀場製作所 挿抜式ガス分析装置
KR101022267B1 (ko) 2008-03-27 2011-03-21 김동원 악취 모니터링 시스템
US8196479B2 (en) * 2009-10-20 2012-06-12 Midwest Research Institute, Inc. Portable multi-tube air sampler unit
KR101131958B1 (ko) 2009-10-22 2012-03-29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가스 농도 측정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스 농도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965A (ko) * 2014-03-06 2017-12-12 엑스트랄리스 글로벌 다중-채널 감지기
KR102367875B1 (ko) 2014-03-06 2022-02-24 엑스트랄리스 글로벌 다중-채널 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10173B2 (en) 2015-04-21
US20130145824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450B1 (ko) 센서 교환이 용이한 오염 측정 장치
KR102231051B1 (ko) 주위 공기 모니터링 및 능동 제어 및 대응을 위한 실시간 현장의 기체 분석 네트워크
NO20100539L (no) Fremgangsmate og apparatur for bestemmelse av en paramter ved en kontroll innstrommningsanordning i en bronn
CN106461592B (zh) 气体成分浓度测量装置和用于测量气体成分浓度的方法
KR101932483B1 (ko) 미세먼지 측정방법
CN117092188A (zh) 气体检测装置
ES2735353T3 (es) Soporte de sonda modular
CN105465090A (zh) 模块化阀系统
WO2008081089A3 (fr)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et/ou de quantification de fuites d'eau
ATE553323T1 (de) Gaszufuhrvorrichtung
KR20110045090A (ko) 유량 센서를 구비한 분석장치 및 유량 센서의 조정방법
CN117106579A (zh) 一种流体检测系统、测序仪及其液路检测方法
CN104713839A (zh) 一种微藻自动在线od测定仪
KR20180093471A (ko) 층류소자를 이용하는 누설률 모니터링 장치
WO2010032805A1 (ja) 流量センサおよびこれを備えた分析装置
KR101279920B1 (ko) 매니폴드 공기누출 테스트 장치
CN110566441B (zh) 压缩装置
JP7115408B2 (ja) ガスクロマトグラフ
JP6016183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欠陥検査装置および欠陥検査方法
KR102206835B1 (ko) 가스측정시스템
JP2005069305A (ja) 流体制御装置
KR20110045091A (ko) 분석장치
KR20110129680A (ko) 자동 채수 장치
EP3374759B1 (en) Gaz analyzer with protection for optical components
KR101953065B1 (ko)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