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065B1 -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065B1
KR101953065B1 KR1020180080451A KR20180080451A KR101953065B1 KR 101953065 B1 KR101953065 B1 KR 101953065B1 KR 1020180080451 A KR1020180080451 A KR 1020180080451A KR 20180080451 A KR20180080451 A KR 20180080451A KR 101953065 B1 KR101953065 B1 KR 101953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hamber
filter
window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곤
Original Assignee
고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곤 filed Critical 고정곤
Priority to KR102018008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먼지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필터의 오염 정도를 체크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의 옆면 등에 창을 내고 내부에는 먼지를 포집하는 공간을 조성하여 사용자가 직접 필터의 오염정도를 눈으로 확인하는 새로운 형태의 먼지 관능검사기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먼지의 분포를 수시로 확인하면서 필터의 오염정도를 체크할 수 있는 등 필터의 정확한 수명예측을 통해 필터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의 지속적인 기능 확보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성능 향상과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Dust sensory tester for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먼지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필터의 오염 정도를 체크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로서,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먼지와 세균을 없애고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황사 또는 유해 먼지 등의 증가로 인해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호흡기 질환의 증가와 건강에 대한 국민적 관심 고조 등의 사회 분위기로 인해 공기청정기의 필요성과 그 수요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공기청정기는 정화할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공기토출장치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필터 조립체는 다양한 기공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필터 및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필터의 종류로는 항균 소재를 사용하여 큰 먼지 및 곰팡이,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는 프리 필터, 악취를 제거하는 카본 필터, 헤파(HEPA) 필터 등이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에는 위와 같은 필터 이외에도 공기를 가습하여 일정한 습도를 가지는 가습공기를 공급하게 할 수 있는 가습 필터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공기청정기의 수명은 필터의 수명과 직결된 것으로서, 필터의 수명이 다한 상태로 공기청정기가 사용된다면 오히려 공기청정기에 의해 각종 유해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토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의 필터 오염도를 체크하여 적절한 시기에, 또는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보통 공기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알려주는 방법의 일 예로서, 공급된 전원의 주파수를 누적하거나 모터의 작동시간을 단순히 누적함으로써 제품의 작동시간을 파악하여 필터의 수명을 산출하는 방법, 실제적으로 필터의 수명이 다함에 따라 필터에 포집된 먼지로 발생하는 필터의 차압력을 압력센서로 측정함으로써 필터의 수명을 산출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필터의 수명을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는 등 필터의 적절한 교체시기를 놓쳐 공기청정기의 기능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필터를 교환한 시기부터의 실제적인 공기청정기 사용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필터의 교환주기를 알려주는 제품이 제시되어 있지만, 이 경우 필터의 실제적인 오염도와는 상관없이 단순히 공기청정기의 사용시간만을 가지고 필터의 교환주기를 결정하게 되기 때문에 필터의 교환주기가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오염이 심한 곳에서 사용할 때에는 오염이 약한 곳에서 사용할 때보다 필터의 수명이 현저히 단축됨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적용되는 필터의 잔여수명으로 인하여 필터의 교환을 못하거나 오염된 상태로 공기청정기를 작동하게 되고, 결국 공기청정기가 본래의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998-0029188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98152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9577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7082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54487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공기청정기와 필터부의 장착형태, 크기, 디자인에 따라 옆면, 전면, 상부 등에 창을 내고 내부에는 먼지를 포집하는 공간을 조성하여 사용자가 직접 필터의 오염정도를 눈으로 확인하는 새로운 형태의 먼지 관능검사기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먼지의 분포를 수시로 확인하면서 필터의 오염정도를 체크할 수 있는 등 필터의 정확한 수명예측을 통해 필터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의 지속적인 기능 확보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성능 향상과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연장되는 먼지유도용 관과, 상기 먼지유도용 관에 연결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에 근접 배치되어 챔버 내부에 빛을 비추는 램프와, 상기 공기청정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챔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창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창을 통해 챔버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먼지유도용 관은 필터의 전단부에서 연장되는 제1먼지유도용 관과, 필터의 후단부에 연장되는 제2먼지유도용 관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챔버는 제1먼지유동용 관에 연결되는 제1챔버와, 제2먼지유도용 관에 연결되는 제2챔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유도용 관은 필터의 전단부에 연장되는 제1먼지유도용 관과, 필터의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제1먼지유도용 관 상의 1차 3-웨이 밸브에 연결되는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과,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 상의 2차 3-웨이 밸브로부터 연장되어 제2챔버로 연결되는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챔버는 제1먼지유동용 관에 연결되는 제1챔버와,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에 연결되는 제2챔버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챔버의 제1챔버와 제2챔버는 서로 나란하게 붙어 있는 형태로 결합하여, 1개의 창으로 제1챔버 및 제2챔버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챔버의 제1챔버 및 제2챔버와 창 사이에는 제1챔버 및 제2챔버의 뒷쪽으로 각각 배치되는 경사형 거울과, 상기 경사형 거울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창의 앞쪽에 배치되는 회전형 거울을 설치하여, 거울 반사를 통해 1개의 창으로 제1챔버 및 제2챔버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시험기는 제1챔버의 배출구에서부터 필터의 전단부까지 연장 설치되는 리사이클 관과, 상기 챔버에 근접 배치되어 챔버 내의 공기 중 먼지의 개수를 측정하는 파티클 카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먼지 관능시험기의 먼지유도용 관에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와,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창은 볼록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기청정기에 설치되어 있는 창(窓)을 통해 공기청정기 내부에 떠다니는 먼지의 양을 눈으로 확인하여 필터의 오염정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필터의 수명을 점검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또 수시로 먼지의 분포를 확인하면서 필터의 오염정도를 체크할 수 있는 등 필터의 정확한 수명예측을 통해 필터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필터의 지속적인 기능 확보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성능 향상과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먼지 포집을 위한 챔버, 먼지 식별을 위한 램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렌즈 등을 조합한 간단한 구조의 관능검사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먼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등 관능검사의 효율성을 높이고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먼지의 입자를 측정할 수 있는 파티클 카운터와 관능검사기를 조합하여 운용함으로써, 먼지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등 필터의 교체주기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먼지 관능검사기를 적용한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능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능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능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능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능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먼지 관능검사기를 적용한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관능시험기는 공기청정기 옆면 등의 일부 공간을 이용하여 여과 전/후 먼지를 비교할 수 있는 창을 내고, 공기청정기 내부에 사이드 유로를 만들어 들어오는 공기와 필터, 예를 들면 헤파 필터로 여과된 공기를 따로 포집하는 공간에 채우고, 아래쪽에서 강력한 빛으로 먼지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필터의 오염정도를 체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 예를 들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창(15)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한 창(15)을 통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수시로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측면에 있는 창(15)을 통해 그 내부의 먼지 분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창(15)은 일반적인 유리창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배율을 적용한 볼록 렌즈 등을 적용하여 먼지를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능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먼지를 챔버(13)측으로 유도하는 수단으로 먼지유도용 관(12)을 포함한다.
이러한 먼지유도용 관(12)은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연장되어 챔버(13)측으로 연결되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필터(11)의 후단부에 연장되어 챔버(13)측으로 연결되는 제2먼지유도용 관(12b)으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챔버(13)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되고, 또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2먼지유도용 관(12b)을 통해 챔버(13)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2먼지유도용 관(12b)은 필터(1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측면쪽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2먼지유도용 관(12b)에는 각각 펌프(22)와 체크 밸브(23)가 설치되고, 이때의 펌프(22)는 공기를 강제 펌핑하여 일정량의 공기(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챔버(13)측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체크 밸브(23)는 챔버(13)측에 포집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2먼지유도용 관(12b)을 통해 재차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22)의 경우 먼지 관능검사를 위한 먼지 포집 시, 먼지 관능검사 후의 먼지 배출 시 등 선택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먼지 관능검사를 위해 필터(11)의 전단부에서 포집한 먼지를 재차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제1챔버(13a)의 배출구에는 리사이클 관(20)이 연결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리사이클 관(200은 제1챔버(13a)의 배출구에서부터 필터(11)의 전단부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먼지 관능검사를 위해 포집한 여과 전의 먼지를 재차 필터(11)의 전단부로 보내어 필터(11)를 통해 여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먼지유도용 관(12)측과 연결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수단으로 챔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13)는 길다랗고 투명한 사각관 또는 원형관 형태로서,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챔버(13)의 선단 유입구에는 먼지유도용 관(12)이 연결되며, 챔버(13)의 후단 배출구로는 챔버 내부의 공기 및 먼지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챔버(13)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로 구성되며, 이때의 제1챔버(13a)에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이 연결되어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필터 여과 전 먼지)가 제1챔버(13a) 내에 포집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챔버(13b)에는 제2먼지유도용 관(12b)이 연결되어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필터 여과 후 먼지)가 제2챔버(13b) 내에 포집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포집된 먼지는 일정시간 챔버 내에서 체류한 후에 펌프 재가동 시에 챔버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챔버(13)에 근접 배치되어 챔버 내부에 빛을 비추는 수단으로 램프(14)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14)는 먼지 관능검사 시에, 즉 사용자가 눈으로 챔버 내의 먼지 확인 시에 보다 정확하고 확실한 확인을 위해 챔버(13)의 내부를 환하게 비춰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램프(14)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챔버(13)의 일측에 근접 배치되면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14)는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각각 1개씩 배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챔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창(15)을 포함한다.
상기 창(15)은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 예를 들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한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창(15)으로서, 이때의 창(15)을 통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챔버(13) 내의 먼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창(15)은 챔버(13)의 길이방향 후단부에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창(15)을 통해 챔버(13)의 내부 전체 길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먼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창(15)은 소정의 배율을 적용한 볼록 렌즈 등을 적용하여 먼지를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창(15)은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각각 1개씩 배속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창(15)을 통해 먼지의 분포를 눈으로 보는 방식으로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ON 조작하게 되면, 펌프(22)가 ON 작동됨과 더불어 램프(14)도 점등되고, 이에 따라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유도되면서 제1챔버(13a)의 내부에 포집되는 한편,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도 제2먼지유도용 관(12b)을 통해 유도되면서 제2챔버(13b)의 내부에 포집된다.
이때, 상기 펌프(22)의 경우, 스위치 ON 조작 시부터 계속 가동될 수 있거나, 별도의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일정시간 가동 후에 중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눈으로 창(15)을 통해 각각의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 내의 먼지 분포를 확인할 수 있고, 결국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 양의 많고 적음을 검사하는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통해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의 관능검사를 이용하여 필터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챔버(13a)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과 제2챔버(13b)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2챔버(13b) 내의 먼지의 양(필터 여과 후의 먼지의 양)이 제1챔버(13a) 내의 먼지의 양(필터 여과 전의 먼지의 양)과 같은 경우(유사한 경우)나, 제2챔버(13b) 내의 먼지의 양(필터 여과 후의 먼지의 양)이 제1챔버(13a) 내의 먼지의 양(필터 여과 전의 먼지의 양) 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필터(11)가 오염된 것으로 판정하여 점검, 세척, 교체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챔버(13a)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과 제2챔버(13b)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2챔버(13b) 내의 먼지의 양(필터 여과 후의 먼지의 양)이 제1챔버(13a) 내의 먼지의 양(필터 여과 전의 먼지의 양)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필터(11)가 정상적으로 여과 성능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외부 일측에 필터(11)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공기청정기 가동 시간의 경과 등에 기초한 여러 단계(정상, 보통, 오염 등의 단계)의 기준표(미도시), 예를 들면 각 단계별로 먼지의 양을 측정하고 각 단계별의 상태를 촬영한 후에 이를 사진으로 나타낸 각 단계별 기준표와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제2챔버(13b) 내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대비하여, 현재 확인한 먼지의 양과 가장 근접한 단계별 기준표에 근거하여 필터(11)의 오염 정도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별 기준표는 다양한 조건 하에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결정된 필터의 오염정도(먼지의 양)를 나타내는 기 설정된 단계별 기준표로서, 창(15)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된 먼지의 양을 단계별 기준표와 비교하여 필터의 오염정도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능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먼지를 챔버(13)측으로 유도하는 수단으로 먼지유도용 관(12)을 포함한다.
이러한 먼지유도용 관(12)은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으로 구성되고, 이때의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는 2개의 3-웨이 밸브, 즉 1차 3-웨이 밸브(16)과 2차 3-웨이 밸브(17)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은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연장되어 챔버(13)측, 즉 제1챔버(13a)로 연결되고, 상기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은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제1먼지유도용 관(12a) 상의 1차 3-웨이 밸브(16)에 연결되며, 상기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은 제1먼지유도용 관(12a) 상의 2차 3-웨이 밸브(17)로부터 연장되어 제2챔버(13b)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제1챔버(13a)로 보내질 수 있게 되고, 또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제1먼지유도용 관(12a)의 일부 구간→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을 통해 제2챔버(13b)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2먼지유도용 관(12b)은 필터(1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측면쪽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는 펌프(22)와 체크 밸브(23)가 설치되고, 이때의 펌프(22)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 설치되어 있는 1차 3-웨이 밸브(16)와 2차 3-웨이 밸브(17)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먼지유도용 관(12d)에는 체크 밸브(2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22)는 공기를 강제 펌핑하여 일정량의 공기(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챔버(13)측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체크 밸브(23)는 챔버(13)측에 포집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을 통해 재차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22)의 경우 먼지 관능검사를 위한 먼지 포집 시, 먼지 관능검사 후의 먼지 배출 시 등 선택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3-웨이 밸브(16)와 2차 3-웨이 밸브(17)의 경우에도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한 제어를 받아 제1먼지유도용 관(12a)측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측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여기서도 먼지 관능검사를 위해 필터(11)의 전단부에서 포집한 먼지를 재차 필터(11)의 전단부로 보내서 여과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챔버(13a)의 배출구에 연결 설치되는 리사이클 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여기서는 제1실시예 대비 펌프(22)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배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먼지유도용 관(12)측과 연결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수단으로 챔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13)는 길다랗고 투명한 사각관 또는 원형관 형태로서,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챔버(13)의 선단 유입구에는 먼지유도용 관(12)이 연결되며, 챔버(13)의 후단 배출구로는 챔버 내부의 공기 및 먼지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챔버(13)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로 구성되며, 이때의 제1챔버(13a)에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이 연결되어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필터 여과 전 먼지)가 제1챔버(13a) 내에 포집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챔버(13b)에는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이 연결되어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필터 여과 후 먼지)가 제2챔버(13b) 내에 포집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포집된 먼지는 일정시간 챔버 내에서 체류한 후에 펌프 재가동 시에 챔버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챔버(13)에 근접 배치되어 챔버 내부에 빛을 비추는 수단으로 램프(14)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14)는 먼지 관능검사 시에, 즉 사용자가 눈으로 챔버 내의 먼지 확인 시에 보다 정확하고 확실한 확인을 위해 챔버(13)의 내부를 환하게 비춰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램프(14)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챔버(13)의 일측에 근접 배치되면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14)는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각각 1개씩 배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챔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창(15)을 포함한다.
상기 창(15)은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 예를 들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한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창(15)으로서, 이때의 창(15)을 통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챔버(13) 내의 먼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창(15)은 챔버(13)의 길이방향 후단부에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창(15)을 통해 챔버(13)의 내부 전체 길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먼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창(15)은 소정의 배율을 적용한 볼록 렌즈 등을 적용하여 먼지를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창(15)은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각각 1개씩 배속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창(15)을 통해 먼지의 분포를 눈으로 보는 방식으로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ON 조작하게 되면, 펌프(22)가 ON 작동됨과 더불어 램프(14)도 점등되고, 이에 따라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유도되면서 제1챔버(13a)의 내부에 포집되는 한편(이때의 1차 및 2차 3-웨이 밸브의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측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측 유로는 차단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1차 3-웨이 밸브(16) 및 2차 3-웨이 밸브(17)의 유로 전환을 통해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도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을 통해 유도되면서 제2챔버(13b)의 내부에 포집된다.
이때, 상기 펌프(22)의 경우, 스위치 ON 조작 시부터 계속 가동될 수 있거나, 별도의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일정시간 가동 후에 중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눈으로 창(15)을 통해 각각의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 내의 먼지 분포를 확인할 수 있고, 결국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 양의 많고 적음을 검사하는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통해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의 관능검사를 이용하여 필터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능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먼지를 챔버(13)측으로 유도하는 수단으로 먼지유도용 관(12)을 포함한다.
이러한 먼지유도용 관(12)은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으로 구성되고, 이때의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는 2개의 3-웨이 밸브, 즉 1차 3-웨이 밸브(16)과 2차 3-웨이 밸브(17)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은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연장되어 챔버(13)측, 즉 제1챔버(13a)로 연결되고, 상기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은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제1먼지유도용 관(12a) 상의 1차 3-웨이 밸브(16)에 연결되며, 상기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은 제1먼지유도용 관(12a) 상의 2차 3-웨이 밸브(17)로부터 연장되어 제2챔버(13b)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제1챔버(13a)로 보내질 수 있게 되고, 또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제1먼지유도용 관(12a)의 일부 구간→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을 통해 제2챔버(13b)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2먼지유도용 관(12b)은 필터(1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측면쪽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는 펌프(22)와 체크 밸브(23)가 설치되고, 이때의 펌프(22)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 설치되어 있는 1차 3-웨이 밸브(16)와 2차 3-웨이 밸브(17)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먼지유도용 관(12d)에는 체크 밸브(2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22)는 공기를 강제 펌핑하여 일정량의 공기(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챔버(13)측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체크 밸브(23)는 챔버(13)측에 포집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을 통해 재차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22)의 경우 먼지 관능검사를 위한 먼지 포집 시, 먼지 관능검사 후의 먼지 배출 시 등 선택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3-웨이 밸브(16)와 2차 3-웨이 밸브(17)의 경우에도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한 제어를 받아 제1먼지유도용 관(12a)측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측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여기서도 위에서 언급한 배관 구조를 대체하여 제1실시예에서 제시하고 있는 배관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여기서도 먼지 관능검사를 위해 필터(11)의 전단부에서 포집한 먼지를 재차 필터(11)의 전단부로 보내서 여과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챔버(13a)의 배출구에 연결 설치되는 리사이클 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먼지유도용 관(12)측과 연결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수단으로 챔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13)는 길다랗고 투명한 사각관 또는 원형관 형태로서,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챔버(13)의 선단 유입구에는 먼지유도용 관(12)이 연결되며, 챔버(13)의 후단 배출구로는 챔버 내부의 공기 및 먼지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챔버(13)는 서로 나란하게 붙어 있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로 이때의 제1챔버(13a)에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이 연결되어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필터 여과 전 먼지)가 제1챔버(13a) 내에 포집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챔버(13b)에는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이 연결되어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필터 여과 후 먼지)가 제2챔버(13b) 내에 포집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포집된 먼지는 일정시간 챔버 내에서 체류한 후에 펌프 재가동 시에 챔버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챔버(13)에 근접 배치되어 챔버 내부에 빛을 비추는 수단으로 램프(14)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14)는 먼지 관능검사 시에, 즉 사용자가 눈으로 챔버 내의 먼지 확인 시에 보다 정확하고 확실한 확인을 위해 챔버(13)의 내부를 환하게 비춰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램프(14)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챔버(13)의 일측에 근접 배치되면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14)는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각각 1개씩 배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챔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창(15)을 포함한다.
상기 창(15)은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 예를 들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한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창(15)으로서, 이때의 창(15)을 통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챔버(13) 내의 먼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창(15)은 챔버(13)의 길이방향 후단부, 즉 제1챔버(13a) 및 제2챔버(13b)의 길이방향 후단부에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됨과 더불어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의 폭을 합한 크기의 폭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1개의 창(15)을 통해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의 내부 전체 길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먼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창(15)은 소정의 배율을 적용한 볼록 렌즈 등을 적용하여 먼지를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창(15)을 통해 먼지의 분포를 눈으로 보는 방식으로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ON 조작하게 되면, 펌프(22)가 ON 작동됨과 더불어 램프(14)도 점등되고, 이에 따라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유도되면서 제1챔버(13a)의 내부에 포집되는 한편(이때의 1차 및 2차 3-웨이 밸브의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측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측 유로는 차단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1차 3-웨이 밸브(16) 및 2차 3-웨이 밸브(17)의 유로 전환을 통해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도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을 통해 유도되면서 제2챔버(13b)의 내부에 포집된다.
이때, 상기 펌프(22)의 경우, 스위치 ON 조작 시부터 계속 가동될 수 있거나, 별도의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일정시간 가동 후에 중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눈으로 창(15)을 통해 각각의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 내의 먼지 분포를 확인할 수 있고, 결국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 양의 많고 적음을 검사하는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통해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의 관능검사를 이용하여 필터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능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먼지를 챔버(13)측으로 유도하는 수단으로 먼지유도용 관(12)을 포함한다.
이러한 먼지유도용 관(12)은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으로 구성되고, 이때의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는 2개의 3-웨이 밸브, 즉 1차 3-웨이 밸브(16)과 2차 3-웨이 밸브(17)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은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연장되어 챔버(13)측, 즉 제1챔버(13a)로 연결되고, 상기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은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제1먼지유도용 관(12a) 상의 1차 3-웨이 밸브(16)에 연결되며, 상기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은 제1먼지유도용 관(12a) 상의 2차 3-웨이 밸브(17)로부터 연장되어 제2챔버(13b)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제1챔버(13a)로 보내질 수 있게 되고, 또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제1먼지유도용 관(12a)의 일부 구간→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을 통해 제2챔버(13b)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2먼지유도용 관(12b)은 필터(1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측면쪽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는 펌프(22)와 체크 밸브(23)가 설치되고, 이때의 펌프(22)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 설치되어 있는 1차 3-웨이 밸브(16)와 2차 3-웨이 밸브(17)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먼지유도용 관(12d)에는 체크 밸브(2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22)는 공기를 강제 펌핑하여 일정량의 공기(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챔버(13)측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체크 밸브(23)는 챔버(13)측에 포집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을 통해 재차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22)의 경우 먼지 관능검사를 위한 먼지 포집 시, 먼지 관능검사 후의 먼지 배출 시 등 선택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3-웨이 밸브(16)와 2차 3-웨이 밸브(17)의 경우에도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한 제어를 받아 제1먼지유도용 관(12a)측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측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여기서도 위에서 언급한 배관 구조를 대체하여 제1실시예에서 제시하고 있는 배관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여기서도 먼지 관능검사를 위해 필터(11)의 전단부에서 포집한 먼지를 재차 필터(11)의 전단부로 보내서 여과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챔버(13a)의 배출구에 연결 설치되는 리사이클 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먼지유도용 관(12)측과 연결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수단으로 챔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13)는 길다랗고 투명한 사각관 또는 원형관 형태로서,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챔버(13)의 선단 유입구에는 먼지유도용 관(12)이 연결되며, 챔버(13)의 후단 배출구로는 챔버 내부의 공기 및 먼지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챔버(13)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로 구성되며, 이때의 제1챔버(13a)에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이 연결되어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필터 여과 전 먼지)가 제1챔버(13a) 내에 포집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챔버(13b)에는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이 연결되어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필터 여과 후 먼지)가 제2챔버(13b) 내에 포집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포집된 먼지는 일정시간 챔버 내에서 체류한 후에 펌프 재가동 시에 챔버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챔버(13)에 근접 배치되어 챔버 내부에 빛을 비추는 수단으로 램프(14)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14)는 먼지 관능검사 시에, 즉 사용자가 눈으로 챔버 내의 먼지 확인 시에 보다 정확하고 확실한 확인을 위해 챔버(13)의 내부를 환하게 비춰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램프(14)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챔버(13)의 일측에 근접 배치되면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14)는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각각 1개씩 배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챔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창(15)을 포함한다.
상기 창(15)은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 예를 들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한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창(15)으로서, 이때의 창(15)을 통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챔버(13) 내의 먼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창(15)은 1개가 구비되며, 후술하는 거울을 통해 1개의 창(15)만으로도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의 내부 전체 길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먼지를 선택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창(15)은 소정의 배율을 적용한 볼록 렌즈 등을 적용하여 먼지를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챔버(13a) 및 제2챔버(13b)와 창(15) 사이에는 경사형 거울(18a,18b)과 회전형 거울(19)이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는 경사형 거울(18a,18b)과 회전형 거울(19)을 이용하여 제1챔버(13a) 및 제2챔버(13b)의 내부에 분포되어 있는 먼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의 뒷쪽으로 공기청정기 본체(10) 상에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의 경사형 거울(18a,18b)이 각각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경사형 거울(18a,18b) 중에서 제1챔버(13a)측에 배속되는 1개의 경사형 거울(18a)은 약 45°정도의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면서 그 반사면이 제1챔버(13a)의 내부와 윗쪽을 동시에 향하도록 하는 자세를 취하게 되며, 제2챔버(13a)측에 배속되는 다른 1개의 경사형 거울(18b) 역시 그 반사면이 약 45°정도의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면서 제2챔버(13a)의 내부와 아래쪽을 동시에 향하도록 하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형 거울(19)은 위아래의 경사형 거울(18a,18b) 사이에 위치됨과 더불어 창(15)의 바로 앞쪽에 배치되면서 공기청정기 본체(10) 상에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모터(미도시)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회전형 거울(19)은 약 90°정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그 반사면이 윗쪽의 경사형 거울(18b)을 향하도록 하는 나란한 자세, 또는 아래쪽의 경사형 거울(18a)을 향하도록 하는 나란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출력 제어되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으로 자세를 전환하는 회전형 거울(19)의 자세에 따라 사용자는 창(15)과 회전형 거울(19) 및 경사형 거울(18a)을 통해 제1챔버(13a)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또 창(15)과 회전형 거울(19) 및 경사형 거울(18b)을 통해 제2챔버(13b)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창(15)을 통해 먼지의 분포를 눈으로 보는 방식으로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ON 조작하게 되면, 펌프(22)가 ON 작동됨과 더불어 램프(14)도 점등되고, 이에 따라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유도되면서 제1챔버(13a)의 내부에 포집되는 한편(이때의 1차 및 2차 3-웨이 밸브의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측 및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측 유로는 차단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1차 3-웨이 밸브(16) 및 2차 3-웨이 밸브(17)의 유로 전환을 통해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도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을 통해 유도되면서 제2챔버(13b)의 내부에 포집된다.
이때, 상기 펌프(22)의 경우, 스위치 ON 조작 시부터 계속 가동될 수 있거나, 별도의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일정시간 가동 후에 중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눈으로 창(15)과 회전형 거울(19) 및 경사형 거울(18a,19b)을 통해 각각의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 내의 먼지 분포를 확인할 수 있고, 결국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 양의 많고 적음을 검사하는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통해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의 관능검사를 이용하여 필터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능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먼지를 챔버(13)측으로 유도하는 수단으로 먼지유도용 관(12)을 포함한다.
이러한 먼지유도용 관(12)은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으로 구성되고, 이때의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는 1차 3-웨이 밸브(16)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은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연장되어 챔버(13)측, 즉 제1챔버(13a)로 연결되고, 상기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은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제1먼지유도용 관(12a) 상의 1차 3-웨이 밸브(16)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제1챔버(13a)로 보내질 수 있게 되고, 또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제2챔버(13b)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은 필터(1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측면쪽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는 펌프(22)와 체크 밸브(23)가 설치되고, 이때의 펌프(22)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에 설치되어 있는 1차 3-웨이 밸브(16)의 뒷쪽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22)는 공기를 강제 펌핑하여 일정량의 공기(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챔버(13)측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체크 밸브(23)는 챔버(13)측에 포집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을 통해 재차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22)의 경우 먼지 관능검사를 위한 먼지 포집 시, 먼지 관능검사 후의 먼지 배출 시 등 선택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3-웨이 밸브(16)의 경우에도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한 제어를 받아 제1먼지유도용 관(12a)측과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여기서도 먼지 관능검사를 위해 필터(11)의 전단부에서 포집한 먼지를 재차 필터(11)의 전단부로 보내서 여과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챔버(13a)의 배출구에 연결 설치되는 리사이클 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먼지유도용 관(12)측과 연결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수단으로 챔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13)는 길다랗고 투명한 사각관 또는 원형관 형태로서,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챔버(13)의 선단 유입구에는 먼지유도용 관(12), 즉 제1먼지유도용 관(12a)이 연결되며, 이때의 챔버(13)의 후단 배출구로는 챔버 내부의 공기 및 먼지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챔버(13)에는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필터 여과 전 먼지)는 물론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되는 먼지(필터 여과 후 먼지)가 포집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챔버(13)에 포집된 먼지는 일정시간 챔버 내에서 체류한 후에 펌프 재가동 시에 챔버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챔버(13)에 근접 배치되어 챔버 내부에 빛을 비추는 수단으로 램프(14)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14)는 먼지 관능검사 시에, 즉 사용자가 눈으로 챔버 내의 먼지 확인 시에 보다 정확하고 확실한 확인을 위해 챔버(13)의 내부를 환하게 비춰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램프(14)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챔버(13)의 일측에 근접 배치되면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14)는 챔버(13)에 배속되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관능검사기는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챔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창(15)을 포함한다.
상기 창(15)은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 예를 들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한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창(15)으로서, 이때의 창(15)을 통해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챔버(13) 내의 먼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창(15)은 챔버(13)의 길이방향 후단부에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창(15)을 통해 챔버(13)의 내부 전체 길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먼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창(15)은 소정의 배율을 적용한 볼록 렌즈 등을 적용하여 먼지를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챔버(13)에 근접한 일측에는 챔버 내의 공기 중 먼지의 개수를 측정하는 역할의 파티클 카운터(21)가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파티클 카운터(Particle counter)는 공기 중의 먼지 크기와 분포를 측정하는 계측 수단으로서, 펌프(22)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공간, 즉 챔버(13) 내에 공기를 모으고, 모아진 공기 속의 먼지를 계측하게 되며, 컨트롤러(24)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파티클 카운터(21)는 공기가 챔버(13)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내부 레이저 센서 앞을 지나게 되면, 깨끗한 공기 중에서는 똑바로 직진하지만, 먼지 등과 만나게 되면 입자가 산란하는 성질의 레이저 원리를 이용해서 산란 횟수로 먼지 갯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산란되는 광량으로 먼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티클 카운터(21)에서의 센싱값(측정 먼지 양)이 컨트롤러(24)측에 입력되면, 컨트롤러(24)에서는 입력되는 센싱값과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기준 먼지 양)을 비교 판단한 후에 그 결과를 출력하게 되며, 이렇게 출력되는 결과치, 즉 먼지의 갯수 등과 같은 먼지의 분포상태가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에 정상, 양호, 오염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은 공기청정기의 운전시간 등을 고려한 다양한 조건 하에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설정된 필터의 오염정도(먼지의 양)를 나타내는 기준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파티클 카운터의 센싱값을 입력받은 컨트롤러의 출력 제어를 통해 먼지의 분포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하는 방법,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먼지의 양 대비 필터의 오염정도를 설정하는 방법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창(15)을 통해 먼지의 분포를 눈으로 보는 방식으로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ON 조작하게 되면, 펌프(22)가 ON 작동됨과 더불어 램프(14)도 점등되고, 이에 따라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유도되면서 챔버(13)의 내부에 포집된다(이때의 1차 3-웨이 밸브의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측 유로는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펌프(22)의 경우, 스위치 ON 조작 시부터 계속 가동될 수 있거나, 별도의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일정시간 가동 후에 중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눈으로 창(15)을 통해 챔버(13) 내의 먼지 분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1차 3-웨이 밸브(16)의 유로 전환을 통해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가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과 제1먼지유도용 관(12a)을 통해 챔버(13)의 내부로 포집된다.
이때, 상기 펌프(22)의 경우, 스위치 ON 조작 시부터 계속 가동될 수 있거나, 별도의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일정시간 가동 후에 중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눈으로 창(15)을 통해 챔버(13) 내의 먼지 분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수집한 먼지를 포집하기에 앞서, 펌프(22)의 가동 제어를 통해 챔버(13)에 포집되어 있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사용자는 두차례에 걸쳐 순차적으로 챔버(13)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 양의 많고 적음을 검사하는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통해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능검사 이외에도 사용자는 파티클 카운터(21)에서 계측한 먼지의 양에 따른 필터 오염정도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확인하는 방법으로도 필터(11)의 오염정도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공기청정기에 있는 창을 통해 내부의 먼지 분포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필터의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새로운 먼지 관능검사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먼지의 분포를 확인하여 필터의 오염정도를 체크할 수 있는 등 필터의 정확한 수명예측을 통해 필터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취급할 수 있다.
10 : 공기청정기 본체
11 : 필터
12 : 먼지유도용 관
12a : 제1먼지유도용 관 12b : 제2먼지유도용 관
12c :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 12d :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
13 : 챔버
13a : 제1챔버 13b : 제2챔버
14 : 램프
15 : 창
16 : 1차 3-웨이 밸브
17 : 2차 3-웨이 밸브
18a,18b : 경사형 거울
19 : 회전형 거울
20 : 리사이클 관
21 : 파티클 카운터(Particle counter)
22 : 펌프
23 : 체크 밸브
24 : 컨트롤러

Claims (10)

  1. 공기청정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연장되는 먼지유도용 관(12)과, 상기 먼지유도용 관(12)에 연결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챔버(13)와, 상기 챔버(13)에 근접 배치되어 챔버 내부에 빛을 비추는 램프(14)와, 상기 공기청정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챔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창(15)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창(15)을 통해 챔버(13)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챔버(13)의 제1챔버(13a) 및 제2챔버(13b)와 창(15) 사이에는 제1챔버(13a) 및 제2챔버(13b)의 뒷쪽으로 각각 배치되는 경사형 거울(18a,18b)과, 상기 경사형 거울(18a,18b)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창(15)의 앞쪽에 배치되는 회전형 거울(19)이 설치되어, 거울 반사를 통해 1개의 창(15)으로 제1챔버(13a) 및 제2챔버(13b)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유도용 관(12)은 필터(11)의 전단부에서 연장되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필터(11)의 후단부에 연장되는 제2먼지유도용 관(12b)으로 구성되고, 상기 챔버(13)는 제1먼지유동용 관(12a)에 연결되는 제1챔버(13a)와, 제2먼지유도용 관(12b)에 연결되는 제2챔버(1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유도용 관(12)은 필터(11)의 전단부에 연장되는 제1먼지유도용 관(12a)과, 필터(11)의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제1먼지유도용 관(12a) 상의 1차 3-웨이 밸브(16)에 연결되는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c)과, 상기 제1먼지유도용 관(12a) 상의 2차 3-웨이 밸브(17)로부터 연장되어 제2챔버(13b)로 연결되는 제1먼지유도용 분기관(12d)으로 구성되고, 상기 챔버(13)는 제1먼지유동용 관(12a)에 연결되는 제1챔버(13a)와, 제2먼지유도용 분기관(12d)에 연결되는 제2챔버(1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3)의 제1챔버(13a)와 제2챔버(13b)는 서로 나란하게 붙어 있는 형태로 결합되어, 1개의 창(15)으로 제1챔버(13a) 및 제2챔버(13b)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의 양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13a)의 배출구에서부터 필터(11)의 전단부까지 연장 설치되는 리사이클 관(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3)에 근접 배치되어 챔버 내의 공기 중 먼지의 개수를 측정하는 파티클 카운터(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유도용 관(12)에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유도용 관(12)에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2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15)은 볼록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KR1020180080451A 2018-07-11 2018-07-11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KR101953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451A KR101953065B1 (ko) 2018-07-11 2018-07-11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451A KR101953065B1 (ko) 2018-07-11 2018-07-11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065B1 true KR101953065B1 (ko) 2019-02-27

Family

ID=6556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451A KR101953065B1 (ko) 2018-07-11 2018-07-11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0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188U (ko) 1996-11-27 1998-08-17 구자홍 엔드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실내기의 열교환기
KR200329577Y1 (ko) 2003-06-10 2003-10-10 (주)나노바이오티스 먼지필터 교환시기 알림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337082Y1 (ko) 2003-09-25 2003-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교환주기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JP2004301363A (ja) * 2003-03-28 2004-10-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50098152A (ko)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오염도를 알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100544875B1 (ko) 2004-04-06 2006-01-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교환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JP2010207711A (ja) * 2009-03-10 2010-09-24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KR20160028728A (ko) * 2014-09-04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188U (ko) 1996-11-27 1998-08-17 구자홍 엔드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실내기의 열교환기
JP2004301363A (ja) * 2003-03-28 2004-10-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329577Y1 (ko) 2003-06-10 2003-10-10 (주)나노바이오티스 먼지필터 교환시기 알림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337082Y1 (ko) 2003-09-25 2003-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교환주기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20050098152A (ko)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오염도를 알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100544875B1 (ko) 2004-04-06 2006-01-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교환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JP2010207711A (ja) * 2009-03-10 2010-09-24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KR20160028728A (ko) * 2014-09-04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5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5978B1 (ko) 미세먼지 정화기능이 구비된 천장용 조명등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20170035481A (ko) 차량용 공기청정 시스템
KR19990084486A (ko) 공기 청정기의 필터 교체시기 판단방법
KR101729934B1 (ko) 가스센서 흡입관의 역세척 방법
JP6561213B2 (ja) 空気フィルタ寿命インジケータを含む空気清浄機、及び、空気フィルタの寿命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KR20200056222A (ko)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세척 방법
JP2007117859A (ja) 空気浄化装置
KR101953065B1 (ko) 공기청정기의 먼지 관능검사기
KR20190071917A (ko) 공기정화장치 및 그것의 필터 교체시점 판단 방법
KR102223801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교체시기 계산방법
KR20180083113A (ko) 필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에어컨
KR100544875B1 (ko) 필터교환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20050098152A (ko) 필터오염도를 알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20180116795A (ko) 오염 감지 센서
KR101982565B1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필터수명 예측방법
KR20040091821A (ko) 공기청정기용 인공지능 제어시스템
KR100602697B1 (ko) 공기 청정기
KR20160104829A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필터 센싱 방법
CN110022960B (zh) 用于确定空气净化设备中的颗粒过滤器的污染状态的设备和方法
KR200462316Y1 (ko) 씨비알 급기 배기필터 유닛
KR20180090679A (ko) 이물질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20210120344A (ko) 공기청정기의 필터 교환주기 측정방법
JPH08206540A (ja) 空気清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