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764B1 - 발리스틱 선별기 - Google Patents

발리스틱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764B1
KR101168764B1 KR1020120055686A KR20120055686A KR101168764B1 KR 101168764 B1 KR101168764 B1 KR 101168764B1 KR 1020120055686 A KR1020120055686 A KR 1020120055686A KR 20120055686 A KR20120055686 A KR 20120055686A KR 101168764 B1 KR101168764 B1 KR 10116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orting
ribs
horizontal
cran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기
최두환
채현배
방권옥
신승욱
윤동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텍
Priority to KR102012005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리스틱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축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왕복 회동되며 재활용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단위선별블록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진 선별블록을 포함하고, 단위선별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케이싱, 이 케이싱 상측 테두리를 따라 접하여 고정되는 프레임, 이 프레임의 축 방향을 따라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재활용 선별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리브, 및 이 수직리브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서로 나란한 복수 개로 배치되고 수직리브보다 높게 구비되어 케이싱의 경사진 상측으로 이송되는 선별대상물의 하측 방향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수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비중이나 크기에 따라 선별되는 대상물의 선별 작업 시간을 줄이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리스틱 선별기{BALLISTIC SEPARATOR}
본 발명은 발리스틱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중이나 크기에 따라 선별되는 대상물의 선별 작업 시간을 줄이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리스틱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는 악취를 내며, 쥐, 파리 등이 번식하게 되어 생활환경을 악화시키고 공중위생상으로도 유해하다. 또한 귀중한 생활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며 미관을 해치고 불쾌감을 준다. 이처럼 쓰레기는 환경을 훼손하기 때문에 용기에 담아 수집, 운반, 중간처리, 최종처리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폐기되어야 한다.
한국에서는 폐기물관리법(1991. 03. 08, 법률 4363호)에 의하여, 도시에서 발생되는 일반폐기물은 구청장, 시장, 군수 등 지방자치단체장이 그것을 적절하게 수집, 처리할 책임이 있으며,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특정폐기물은 그 사업소의 책임자에게 처리책임이 있다. 쓰레기의 수집, 운반, 처리, 처분 등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명시되어 있다. 일반폐기물을 합리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배출하는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쓰레기를 정확히 분리하여 수거에 응하여야 한다. 쓰레기는 운반비용과 매토면적(埋土面積) 등을 절약하기 위하여 운반차량 또는 중간수집지점에서 압축되기도 한다. 또한 도시에서는 수집관을 통하여 쓰레기를 운반하는 일도 있다.
2003년부터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EPR)가 확대 시행됨에 따라 갈수록 증가 일로에 있는 폐기물의 재활용문제는 시급한 현안이 되고 있다.
수집된 쓰레기는 성분별로 분류하여 재생 가능한 물질을 생산공장에 보내서 원료로 재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자원절약과 환경보전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혼합된 쓰레기로부터 필요한 물질만을 선별 분리하는 것이 더욱더 중요해 졌다.
하지만, 종래에는 쓰레기를 사람이 일일이 선별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거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경제성이 떨어지거나 선별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비의 과부하가 자주 발생하여 유지보수가 어렵고 이에 대한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그래서, 최근에 재활용 분리기가 제안되고 있다.
재활용품 선별 회전분리기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 제10-1130679호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의 재활용품 선별 회전분리기는 걸름바를 흔들어서 캔이나 병 등 비교적 비중이 큰 재활용품을 아래로 흘러내려 배출하고, 비닐 등 비교적 비중이 작은 재활용품을 위로 올려 배출하게 되는데, 재활용품이 걸름바의 흔들림으로 인해 측방향으로 유출됨과 아울러 재활용품이 복수 개의 걸름바 사이에 걸려 부하(load)를 발생시킴에 따라 전력 소모량이 크고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중이나 크기에 따라 선별되는 대상물 중 기울어진 경사부위에서 상측으로 이송되는 대상물을 타격하여 상측으로 이송되는 시간을 줄이고, 스토퍼를 구비하여 하측 방향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하며, 측 방향으로 흘러내림을 막음에 따라 선별 작업 시간을 줄이고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발리스틱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는: 축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왕복 회동되며 재활용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단위선별블록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진 선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선별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상측 테두리를 따라 접하여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축 방향을 따라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재활용 선별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리브, 및 상기 수직리브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서로 나란한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리브보다 높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경사진 상측으로 이송되는 선별대상물의 하측 방향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수평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리브는 양측에 돌출턱을 구비하여 선별대상물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리브 사이에는 상기 케이싱의 왕복 회동시 경사진 상측으로 이송되는 선별대상물을 밀어 올리는 푸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는, 상기 수평리브 사이에서 양측이 상기 케이싱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회동시 자연 회전되는 윙, 및 상기 윙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윙에 회전 관성을 부여하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내부에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파이프는 상기 케이싱의 상측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수평리브와 상기 수직리브에 걸린 선별대상물을 이탈시키도록 에어노즐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은 하측으로 갈수록 이웃한 케이싱과 점차적으로 이격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비중이나 크기에 따라 선별되는 대상물 중 기울어진 경사부위에서 상측으로 이송되는 대상물을 타격하여 상측으로 이송되는 시간을 줄이고, 스토퍼를 구비하여 하측 방향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하며, 측 방향으로 흘러내림을 막음에 따라 선별 작업 시간을 줄이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 중 크랭크 암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의 한 쌍의 크랭크 암 모듈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 중 선별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 중 단위선별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 중 단위선별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 중 크랭크 암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의 한 쌍의 크랭크 암 모듈이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 중 선별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 중 단위선별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 중 단위선별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100)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선별블록(205)이 회동하면서 재활용 선별대상물을 비중 또는 형태에 따라서 선별하는 설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100)는 선별블록(200)을 포함한다. 선별블록(200)은 축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왕복 회동되며 재활용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단위선별블록(205)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리스틱 선별기(100)는 크랭크 암 모듈(120), 회전축 샤프트(130) 및 구동모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복수 개인 단위선별블록(205)은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선별블록(205)은 좌, 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선별대상물이 위치하는 일정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선별대상물이 놓여지는 면이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즉, 경사진 면은 수평면과 일정각도(θ1)를 형성한다. 편의상, 면은 바닥에 대해 수평한 상태에서, 단위선별블록(205)이 바닥에 대해 일정각도(θ1)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각 단위선별블록(205)은 크랭크 암 모듈(120)의 회전축 샤프트(130)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면서 선별대상물을 비중 또는 형태에 따라서 선별한다.
경사면(270)을 기준으로 전체 회전경로 중 상부의 회전경로에서 단위선별블록(205) 각각은 경사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하부의 회전경로에서 단위선별블록(205) 각각은 경사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선별대상물 중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덩어리 형태의 캔이나 PET병 등은 단위선별블록(205) 각각의 회전(회동)에 의한 상하 방향 회전에 의해서 경사방향으로 따라 단위선별블록(205)의 하부로 굴러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선별대상물 중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거나 시트 형상의 비닐류 등은 단위선별블록(205) 각각의 회전(회동)을 따라 상부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설정 위치로 낙하하게 된다.
특히, 선별대상물이 쓰레기인 경우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덩어리 형태의 유리병, 플라스틱 병, 금속조각, 플라스틱 조각 등은 단위선별블록(205)의 경사진 하부로 굴러 떨어지면서 선별이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거나 헝겊 등의 평평한 시트 형상의 쓰레기는 선별대상물의 회전을 따라 경사진 상부로 이동한 다음 선별된다.
한편, 크랭크 암 모듈(120)은 선별블록(200)의 하부에 연결되고, 회전축 샤프트(13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하면서 단위선별블록(205) 각각이 동일하게 또는 엇갈리게 회동하도록 한다.
크랭크 암 모듈(120)은 하나 이상이 단위선별블록(205)에 결합될 수 있는데, 편의상, 2개의 크랭크 암 모듈(120)이 하나의 단위선별블록(205)의 하부에 결합되고, 2개의 크랭크 암 모듈(120)이 동일한 단위선별블록(205)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복수 개의 단위선별블록(205)은 상하측 각각 2개의 축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 회전을 하게 된다.
예로서, 크랭크 암 모듈(120)은 연결부재(121), 크랭크 샤프트(122) 및 크랭크 암(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21)는 각 단위선별블록(205)의 하부에 연결되고, 삽입홀(121a)이 형성된다. 연결부재(1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의 내부에 원형의 삽입홀(1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21)의 상부에는 결합부(121b)가 형성되고, 결합부(121b)는 단위선별블록(205)의 하부에 연결된다.
크랭크 샤프트(122)는 삽입홀(121a)에 삽입된다. 그리고, 크랭크 샤프트(122)는 다양한 방식으로 크랭크 암(123)에 결합될 수 있고, 크랭크 샤프트(122)의 양 끝단(122a)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크랭크 암(123)의 다각형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 2결합부(123b)에 결합된다.
크랭크 암(123)은 크랭크 샤프트(122)의 양 끝단(122a)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다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제 1결합부(123a)가 크랭크 암(123)의 회전 중심에 각각 형성된다. 제 1결합부(123a)는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될 수도 있고,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크랭크 암(123)은 제 1결합부(123a)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고, 제 1결합부(123a)의 중심(C1)과 제 2결합부(123b)의 중심(C2)은 일정거리(d)를 형성하게 된다. 결국, 크랭크 암(123)이 제 1결합부(123a)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제 2결합부(123b)에 결합된 연결부재(121)도 제 1결합부(123a)의 중심(C1)과 제 2결합부(123b)의 중심(C2)사이의 거리(d)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이동경로로 하여 회전을 한다.
그리고, 연결부재(121)의 상부에 연결된 단위선별블록(205)도 제 1결합부(123a)의 중심(C1)과 제 2결합부(123b)의 중심(C2)사이의 거리(d)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이동경로로 하여 회전을 한다.
회전축 샤프트(130)는 제 1결합부(123a)에 삽입되는 다각형의 삽입부(131)가 양 끝단에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크랭크 암 모듈(120)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마주보는 크랭크 암 모듈(120)의 회전중심인 제 1결합부(123a)에 각각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크랭크 암 모듈(120)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을 다른 크랭크 암 모듈(120)로 전달한다.
즉, 첫 번째 단위선별블록(205)에 연결되는 크랭크 암 모듈(120)의 제 1결합부(123a)에는 구동모듈(140)과 구동축(142)으로 연결된다. 이때, 구동축(142)은 고정부재(150)에 지지된다. 고정부재(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한데, 편의상, 사각 틀 형상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구동모듈(140)의 구동력에 의해서 첫 번째 크랭크 암 모듈(120)은 회전한다. 그리고, 첫 번째 크랭크 암 모듈(120)과 두 번째 크랭크 암 모듈(120)은 첫 번째 회전축 샤프트(130)로 연결되고, 첫 번째 크랭크 암 모듈(120)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은 첫 번째 회전축 샤프트(130)를 통하여 두 번째 크랭크 암 모듈(120)로 전달된다.
같은 방식에 의해서, 구동모듈(140)의 구동력은 복수 개의 크랭크 암 모듈(120)로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복수 개의 크랭크 암 모듈(120)의 회전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선별블록(205)도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회전축 샤프트(130)는 서로 마주보는 크랭크 암 모듈(120)이 일정각도를 형성하도록 결합한다. 즉, 다각형 형상의 회전축 샤프트(130)의 일단의 삽입부(131)는 어느 하나의 크랭크 암 모듈(120)의 다각형 형상의 제 1결합부(123a)에 결합된 다음, 다른 하나의 크랭크 암 모듈(12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나서 삽입부(131)의 타단에 결합된다.
삽입부(131) 및 제 1결합부(123a)가 서로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결합시 사용자는 별도의 각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다각형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서로 마주보는 크랭크 암 모듈(120)이 일정 각도(α)를 형성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 1결합부(123a) 및 삽입부(131)를 정육각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1결합부(123a)와 삽입부(131)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여 정육각형의 중심(C)을 중심으로 크랭크 샤프트(122)의 중심이 6개의 지점(C1, C2, C3, C4, C5, C6)에 위치하도록 결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점은 정확하게 60도의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크랭크 암 모듈(120)의 결합시 별도의 각도의 측정을 하지 않고도 서로 마주보는 크랭크 암 모듈(120)이 정확하게 60도의 배수에 해당하는 각도를 형성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삽입부(131)와 제 1결합부(123a)가 정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마주보는 크랭크 암 모듈(120)이 120도를 형성하도록 간단하게 결합을 할 수 있고,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90도의 배수에 해당하는 각도를 형성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결국, 각 크랭크 암 모듈(120)의 크랭크 샤프트(122)의 중심은 서로 다른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각 크랭크 샤프트(122)에 연결되는 각 단위선별블록(205)은 서로 다른 지점을 출발점으로 하여 회전을 한다.
도 4에서처럼, 단위선별블록(205)은 크랭크 암 모듈(120)의 크랭크 샤프트(122)의 중심이 C1 지점에 있을 때 가장 높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크랭크 샤프트(122)의 중심이 C4 지점에 있을 때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각 단위선별블록(205)은 회전을 하면서 ⓐ 지점과 ⓑ지점을 왕복하면서 상, 하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된다. 그리고, 각 단위선별블록(205)의 상, 하 방향 회전에 의해서 선별대상물 중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덩어리 형태의 선별대상물은 경사진 하측으로 굴러 떨어지면서 선별이 된다.
또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위선별블록(205)은 크랭크 암 모듈(120)의 크랭크 샤프트(122)의 중심이 C5와 C6 사이의 지점에 있을 때 가장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크랭크 샤프트(122)의 중심이 C2와 C3 사이의 지점에 있을 때 가장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각 단위선별블록(205)은 회전을 하면서 ⓒ 지점과 ⓓ 지점을 왕복하면서 전, 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된다. 그리고 각 단위선별블록(205)의 전, 후 방향 회전에 의해서 단위선별블록(205) 상부의 선별대상물 중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거나, 시트 형태의 평평한 선별대상물은 경사진 단위선별블록(205)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낙하되면서 선별된다.
한편, 도 1 및 도 6에서처럼, 각 단위선별블록(205)은 케이싱(210), 프레임(220), 수직리브(230), 및 수평리브(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싱(210)은 각 단위선별블록(205)의 하측에 위치하여 프레임(220), 수직리브(230), 및 수평리브(2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싱(210)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케이싱(210)은 평면상 장방형의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싱(210)의 축 방향을 따라 상측 하부와 하측 하부는 각각 한 쌍씩의 연결부재(121)에 연결된다.
그리고, 프레임(220)은 케이싱(210) 상측 테두리를 따라 접하여 고정된다. 즉, 프레임(220)은 장방형의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케이싱(210)의 테두리를 따라 접한 상태로 볼팅 등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아울러, 수직리브(230)는 프레임(220)의 축 방향을 따라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재활용 선별대상물을 지지하고, 수평리브(240)는 수직리브(230)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서로 나란한 복수 개로 배치된다. 즉, 각각 복수 개로 이루어진 수직리브(230)와 수평리브(240)는 서로 연결되어 메쉬(mesh)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수평리브(240) 각각과 수직리브(230) 각각이 케이싱(210) 상측 테두리에 직접 볼팅이나 용접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현장 조립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프레임(220)에 연결된 후 이 프레임(220)이 케이싱(21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평리브(240)는 케이싱(210)의 상측으로 선별 이송되는 선별대상물의 이송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수직리브(230)보다 높게 구비된다. 그래서, 케이싱(210)의 경사진 상측으로 이송되는 선별대상물의 하측 방향 흘러내림이 방지된다. 즉, 수평리브(240)는 선별대상물을 지지하며 이송하는 역할과 아울러 하측 방향 이송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도 한다.
물론, 수평리브(240)와 수직리브(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설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수평리브(240)와 수직리브(23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서로 교차되게 설치된다.
이때, 최초 재활용 쓰레기는 단위선별블록(205)의 축 방향에 대해 중앙 부위로 낙하하게 된다. 그래서, 비교적 작은 부피의 흙과 유리 가루 등은 수평리브(240)와 수직리브(230)에 의해 형성된 타공홀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거나 헝겊 등의 평평한 시트 형상의 쓰레기는 선별대상물의 회전을 따라 경사진 상부로 이동한 다음 선별되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덩어리 형태의 선별대상물은 경사진 하측으로 굴러 떨어지면서 선별이 된다.
한편, 도 1 및 도 4에서처럼, 수평리브(240)는 양측에 돌출턱(242)을 구비한다. 즉, 돌출턱(242)은 수평리브(2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선별대상물이 수평리브(240)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돌출턱(242)은 수직리브(230)보다 높게 설치된 수평리브(240)로 낙하하는 선별대상물을 수평리브(240)의 축 방향에 대한 중앙 부위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돌출턱(242)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수평리브(240) 각각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수평리브(240)가 수직리브(230)보다 높게 구비됨에 따라, 선별대상물이 수평리브(240)에 걸려 상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 간섭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선별대상물의 이송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그래서, 수평리브(240)와 수직리브(230) 상의 선별대상물은 상부 방향으로 밀려 올라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 도 7 및 도 8에서처럼, 수평리브(240) 사이에는 케이싱(210)의 왕복 회동시 경사진 상측으로 이송되는 선별대상물을 밀어 올리는 푸쉬부(250)가 구비된다.
푸쉬부(250)는 샤프트(252), 윙(254), 및 웨이트부재(2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샤프트(252)는 수평리브(240) 사이에 위치하고, 양측이 케이싱(210)의 테두리에 연결된다.
그리고, 윙(254)은 샤프트(252)를 축 삽입하고, 샤프트(25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래서, 케이싱(210)이 크랭크 암 모듈(120)의 작동으로 왕복 회동시, 윙(254)은 자연 회전된다. 이에 따라, 윙(254)은 선별대상물을 타격하며 케이싱(210)의 경사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또한, 웨이트부재(256)는 윙(254)의 단부에 구비되어 윙(254)에 회전 관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웨이트부재(256)는 윙(254)보다 무거워 윙(254)이 회전 속도를 유지하거나 빠르게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웨이트부재(256)는 윙(254)의 단부의 부피나 크기를 크게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윙(254)과 웨이트부재(2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웨이트부재(256)가 윙(254)보다 무거워 부피가 큰 선별대상물에 대한 타격력이 크기 때문에, 해당 선별대상물은 더 빠르게 케이싱(21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분리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리브(240)가 수직리브(230)보다 높게 구비됨에 따라, 선별대상물이 수평리브(240)에 걸려 상측이나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 간섭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수평리브(240)와 수직리브(230)에 걸린 선별대상물은 수평리브(240)와 수직리브(230)로부터 이탈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투하되는 재활용 쓰레기 중 흙이나 유리가루 등이 특정 부위로 집중할 경우 단위선별블록(205)의 하측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흙이나 유리가루 등이 고르게 퍼져 투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이에 따라, 도 1, 도 7 및 도 8에서처럼, 케이싱(210)은 내부에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파이프(260)의 양측을 연결하고, 에어파이프(260)에는 에어노즐(262)이 구비된다.
에어노즐(262)은 에어파이프(260)로 공급되는 에어를 케이싱(210)의 상측 방향으로 분사 안내하여 수평리브(240)와 수직리브(230)에 걸린 선별대상물을 이탈시키거나 공급되는 흙이나 유리가루 등을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분사되는 에어의 압력은 비닐류와 같은 선별대상물이 단위선별블록(205)의 외측으로 비산되어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조절되어야 한다. 물론, 에어파이프(260)는 고정부재(15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비닐류나 천 등의 선별대상물은 이웃한 케이싱(210) 사이에 끼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단위선별블록(205)을 회동시키는 크랭크 암 모듈(120)은 큰 부하를 받을 수 있다.
그래서, 도 4에서처럼, 케이싱(210)은 하측으로 갈수록 이웃한 케이싱(210)과 점차적으로 이격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면(270)을 형성한다.
즉, 이웃한 케이싱(210) 사이의 거리는 경사면(270)에 의해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이웃한 케이싱(210) 사이에 끼인 선별대상물은 쉽게 하측으로 이탈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발리스틱 선별기 120: 크랭크 암 모듈
130: 회전축 샤프트 140: 구동모듈
150: 고정부재 200: 선별블록
205: 단위선별블록 210: 케이싱
220: 프레임 230: 수직리브
240: 수평리브 242: 돌출턱
250: 푸쉬부 252: 샤프트
254: 윙 256: 웨이트부재
260: 에어파이프 262: 에어노즐
270: 경사면

Claims (6)

  1. 축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왕복 회동되며 재활용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단위선별블록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진 선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선별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상측 테두리를 따라 접하여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축 방향을 따라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재활용 선별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리브; 및
    상기 수직리브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서로 나란한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리브보다 높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경사진 상측으로 이송되는 선별대상물의 하측 방향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수평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리브 사이에는 상기 케이싱의 왕복 회동시 경사진 상측으로 이송되는 선별대상물을 밀어 올리는 푸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리스틱 선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리브는 양측에 돌출턱을 구비하여 선별대상물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리스틱 선별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수평리브 사이에서 양측이 상기 케이싱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회동시 자연 회전되는 윙; 및
    상기 윙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윙에 회전 관성을 부여하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리스틱 선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내부에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파이프는 상기 케이싱의 상측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수평리브와 상기 수직리브에 걸린 선별대상물을 이탈시키도록 에어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리스틱 선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하측으로 갈수록 이웃한 케이싱과 점차적으로 이격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리스틱 선별기.
KR1020120055686A 2012-05-24 2012-05-24 발리스틱 선별기 KR10116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686A KR101168764B1 (ko) 2012-05-24 2012-05-24 발리스틱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686A KR101168764B1 (ko) 2012-05-24 2012-05-24 발리스틱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764B1 true KR101168764B1 (ko) 2012-07-30

Family

ID=4671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686A KR101168764B1 (ko) 2012-05-24 2012-05-24 발리스틱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7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7441A (zh) * 2017-12-01 2018-03-20 苏州杰锐思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敲击测试装置
KR20210077903A (ko) 2019-12-18 2021-06-28 강성호 발리스틱 선별 처리시스템
KR102309960B1 (ko) * 2021-03-26 2021-10-08 경일산업개발(주) 발리스틱 선별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243A (ja) 1996-10-25 1998-05-19 Satake Usa Inc 選別機のための詰まり防止チャンネル傾斜樋
KR100396451B1 (ko) * 2002-09-28 2003-09-13 유한회사 개암환경 건축폐기물의 토사 선별장치
KR100752243B1 (ko) 2007-01-05 2007-08-27 주식회사 아이엔텍 혼합 재활용품 선별방법
KR101046574B1 (ko) * 2010-03-24 2011-07-06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발리스틱 선별유닛,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비중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243A (ja) 1996-10-25 1998-05-19 Satake Usa Inc 選別機のための詰まり防止チャンネル傾斜樋
KR100396451B1 (ko) * 2002-09-28 2003-09-13 유한회사 개암환경 건축폐기물의 토사 선별장치
KR100752243B1 (ko) 2007-01-05 2007-08-27 주식회사 아이엔텍 혼합 재활용품 선별방법
KR101046574B1 (ko) * 2010-03-24 2011-07-06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발리스틱 선별유닛,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비중 선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7441A (zh) * 2017-12-01 2018-03-20 苏州杰锐思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敲击测试装置
CN107817441B (zh) * 2017-12-01 2024-05-03 苏州杰锐思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敲击测试装置
KR20210077903A (ko) 2019-12-18 2021-06-28 강성호 발리스틱 선별 처리시스템
KR102309960B1 (ko) * 2021-03-26 2021-10-08 경일산업개발(주) 발리스틱 선별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2232B2 (ja) 袋ゴミの袋破壊とゴミ選別装置
KR101556406B1 (ko)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 재활용쓰레기 선별시스템
KR101168764B1 (ko) 발리스틱 선별기
CN102357456A (zh) 固体废弃物筛分设备及筛分方法
KR102466435B1 (ko) 비닐 선별 분리장치
CN110787909A (zh) 一种垃圾分选方法
CN101985110A (zh) 生活垃圾自动分类系统
CN210965449U (zh) 一种建筑垃圾破碎系统
CN113600323A (zh) 一种建筑垃圾循环利用处理装置
CN202045122U (zh) 一种生活垃圾自动快速分类机改进结构
CN104998830B (zh) 一种垃圾输送分拣装置
CN1221334C (zh) 袋包垃圾破袋及垃圾筛选的装置
CN2730480Y (zh) 袋包垃圾破袋及垃圾筛选的装置
CN209317820U (zh) 道路桥梁施工垃圾加工处理设备
KR200266263Y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CN202045123U (zh) 一种生活垃圾自动快速分类机
CN209425651U (zh) 一种具有自动粉碎废料功能的旋切机
CN201632471U (zh) 自动分类生活垃圾处理装置
CN206604786U (zh) 有机垃圾微生物处理机的分拣台
CN207204321U (zh) 一种移动式建筑垃圾破碎装置
CN102211106B (zh) 一种生活垃圾自动快速分类机
KR101703426B1 (ko) 인조잔디 회수기
CN1310710C (zh) 袋装垃圾破袋及软性条状物、粉尘收集装置
CN113522425A (zh) 一种家用纺织制成品分类回收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10076929B (zh) 一种节能环保废弃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