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502B1 -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 Google Patents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502B1
KR101168502B1 KR1020107009929A KR20107009929A KR101168502B1 KR 101168502 B1 KR101168502 B1 KR 101168502B1 KR 1020107009929 A KR1020107009929 A KR 1020107009929A KR 20107009929 A KR20107009929 A KR 20107009929A KR 101168502 B1 KR101168502 B1 KR 10116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ntenna
patch
frequency
co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480A (ko
Inventor
조르지 파브레가산체스
죠 레
Original Assignee
키오세라 와이어리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오세라 와이어리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키오세라 와이어리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6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406)는 다른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2 안테나(204)와 코로케이트되어, 제2 안테나로부터의 간선을 최소화시킨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406)는 인쇄 배선 기판 "PWB"(408) 상에, 셀룰러 전화와 같은 라디오 케이스 상에 인쇄될 수 있거나, 자기 지지될 수 있는 컴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원하는 대역 내 성능 및 대역 외 신호 거부는 상위 대역 패치(402)에 결합된 미앤더 라인(404)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미앤더 라인(404)은 양호한 하위 대역 매치를 제공하고, 상위 대역 패치는 양호한 고 대역 매치 또는 공진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상위 대역 패치는 또한, 고 대역 미만에서 송신하는 코로케이트된 제2 안테나로부터의 주파수를 거부하는, 고 대역 이전에 복귀 손실의 급격한 롤 오프를 야기한다.

Description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CO-LOCATION INSENSITIVE MULTI-BAND ANTENNA}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극(monopole)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무선파들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고 또한 무선파들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안테나는 레이더 안테나에서와 같이 함께 결합되는 단순한 와이어로부터 안테나들의 복잡한 어레이까지의 어느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안테나는 전기 신호를 무선파로 변환하거나, 추가의 처리를 위해 무선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공통 목표를 공유한다. 무선파를 수신하든, 무선파를 송신하든,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가능한 최대의 신호를 받아들이거나 가능한 최대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계될 것이다.
안테나는 이것이 인접한 회로로의 하나의 물리적인 연결이기 때문에 1 포트 장치라고 가정될 수 있다. 안테나 설계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목적은 안테나의 포트에서의 임피던스를 송신기나 다른 원하는 라디오 회로(예컨대, 안테나 스위치, 듀플렉서(duplexer), 저역 통과 필터 등)의 임피던스에 매치하는 것이다. 매치된 조건 하에서, 송신기로부터의 최대 크기의 신호 또는 신호 파워가 안테나에 결합된 후 대기로 방출될 수도 있다. 수신할 때, 양호한 매치가 수신된 라디오 신호에서의 최대 크기의 파워가 저 잡음 증폭기("LNA") 등과 같은 후속하는 수신기 회로에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양호한 매치가 라디오 신호를 효율적으로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매치는 일반적으로 주파수의 대역 전체에 걸쳐 전혀 완전하지 않다. 안테나는 반응성 장치이다. 따라서, 안테나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 및/또는 인덕턴스(inductance)와 관련되어 있다.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는 그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의존하는 고유의 에너지 저장 파라미터이다. 즉, 주파수가 변할 때, 안테나 포트에서의 임피던스가 변하고 안테나 포트에서의 매치도 또한 변할 것이다. 설계자는 하나의 주파수에서 가능한 최상의 매치를 제공하도록 최적화된 안테나가 동작 대역에서의 다른 주파수에서 불만족스런 매치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 수도 있다. 설계자는 모든 동작 대역에 걸쳐 또는 단일 주파수에서 획득될 수 있는 반드시 최상의 것이 아닐 수도 있는 여러 동작 대역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있는 매치를 갖는 안테나를 설계하기를 종종 추구한다.
이것은 다수의 타입의 안테나가 존재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안테나 이득, 빔 성형(shaping) 등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도록 설계되는 안테나 이외에, 다른 설계가 동작 주파수에서의 양호한 매치를 달성하는 데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주어진 범위의 주파수에 대해 받아들여질 수 있는 매치를 달성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고,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구성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안테나의 설계 및 최종 형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파라미터들은 안테나가 사용되는 환경과, 안테나에 사용 가능한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셀 폰 사용자의 머리, 큰 금속 표면 및 다른 안테나와 같은, 안테나 근처에 물체의 존재도 또한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물리적인 공간 제약은 셀 폰의 본체로부터 뽑아내는 안테나 및 전화기 케이스 상의 노브(knob)나 스터브(stub)인 것 같은 안테나 및 다른 독특한 설계와 같은 구성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안테나의 존재는 안테나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는 안테나가 에너지를 송신하는 것만큼 쉽게 에너지를 수신한다. 2개의 안테나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여 하나가 송신하면서 다른 하나가 수신하면, 송신하는 안테나로부터의 에너지는 인접하는 안테나의 관련 수신기에 영향을 주어 간섭할 수 있다. 안테나의 각각이 상이한 주파수 범위에 대해 최적화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안테나들이 가까우면, 안테나들 사이의 (상이한 동작 대역으로 인해) 약한 결합도 인접한 안테나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송신할 것이다. 안테나로부터의 에너지는 안테나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대략 역비례하여 감소한다. 따라서, 안테나들이 가까울 때, 인접한 안테나 및 수신기에 영향을 주는 에너지의 밀도는 상당히 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섭하는 주파수 대역으로부터의 코로케이션 간섭에 민감하지 않고 다른 주파수에서 라디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는 독자들에게 기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물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한다. 이 요약은 개시물의 확장된 개관이 아니라, 발명의 키/임계적인 요소들을 식별하거나 발명의 범위를 기술하는 것은 아니다. 그 단일 목적은 여기에 개시된 개념의 일부를 이후에 제공되는 더욱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곡으로서의 간략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예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한다. 안테나는 다른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와 코로케이트될 수 있어 그 안테나로부터의 간섭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는 셀룰러 전화와 같은 라디오의 케이스 위에 또는 인쇄 배선 기판("PWB") 위에 인쇄될 수 있는 컴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원하는 대역내 성능 및 대역외 신호 거부가 상위 대역 패치에 결합되는 미앤더 라인(meander line)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미앤더 라인은 양호한 하위 대역 매치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고, 상위 대역 패치는 양호한 높은 대역 매치 또는 공진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상위 대역 패치는 또한, 높은 대역 아래에서 송신하는 코로케가트된 안테나로부터의 주파수를 거부하는 경향이 있는 높은 대역 이전에 복귀 손실의 급격한 롤 오프(roll off)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다수의 수반되는 특징들은, 그들이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섭하는 주파수 대역으로부터의 코로케이션 간섭에 민감하지 않고 다른 주파수에서 라디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를 얻을 수 있다.
본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고려하여 보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코로케이션 간섭 문제를 야기하기 쉬운 안테나가 설치된 종래의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코로케이션 간섭에 대해 양호한 격리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가 설치된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가 설치된 셀룰러 전화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셀룰러 전화에 결합된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인쇄 배선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인쇄 배선 어셈블리에 대한 금속 패턴의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셀룰러 전화 대역으로의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의 일반적인 복귀 손실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같은 참조 번호가 첨부하는 도면에서 같은 부품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예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된 것이며,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의 본 예가 구성되거나 이용될 수 있는 형태만을 제공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가 분산 회로이기 때문에, 미앤더 라인 및 상위 대역 패치의 치수는 구성에 민감하다. 그러나, 당업자는 구성의 변형이 동일한 설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도입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설명은 예의 기능 및 예를 구성하고 동작시키는 단계들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그러나, 동일하거나 등가의 기능 및 시퀀스들이 상이한 예들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아래의 예들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를 설명한다. 본 예는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 셀룰러 전화에서 동작하는 인쇄 배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여기에 설명 및 예시되어 있지만, 설명된 시스템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의 일례로서 제공될 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예가 다른 유사하게 구성된 간섭하는 주파수 대역으로부터의 코로케이션 간섭에 민감하지 않고 다른 주파수에서 라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다양한 다른 타입의 라디오 시스템에 적용하는 데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코로케이션 간섭 문제를 나타내기 쉬운 안테나들이 설치된 종래의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1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2 및 104)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구성은 2개의 동작 대역이 셀룰러 전화(100)에 제공될 수 있을 때 일반적으로 생긴다.
예를 들면, 제1 안테나(104)의 동작 주파수는 제2 안테나(102)의 동작 주파수 대역과 양립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2개의 안테나는 각 대역으로부터의 신호가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100)로부터 충분히 송신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이 배열에서, 코로케이션 간섭(106)이 문제일 수 있다. 하나의 안테나가 송신 중일 때, 다른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로부터의 에너지를 얻는 수신기로서의 역할을 한다. 안테나들이 서로 너무 근접해 있기 때문에, 약한 결합이라도 하나의 안테나로부터의 실재 전력이 다른 안테나에 진입하여 수신기의 오버로드 등과 같은 잠재적인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안테나는 코로케이션 간섭(106)을 거부하는 역할을 하기 쉬운 안테나 매칭 네트워크 등과 같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 매칭 네트워크와 같은 회로는 튜닝을 필요로 할 수 있고, 라디오 회로에 부가적인 손실을 추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셀룰러 전화 등의 케이싱 내에 컴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는 코로케이션 간섭에 인센서티브인 경향이 있는 안테나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는 코로케이션 간섭(202)에 대해 양호한 격리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가 설치된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를 도시한다. 동작의 중간 주파수 대역(210)용의 통상의 안테나(204)가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다중 대역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가 또한 전화(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는 하위 주파수 대역(208) 및 상위 주파수 대역(212)을 송신한다.
제1의 전형적인 안테나(204)는 임의의 통상적인 안테나 구조로서 제조된 외부 안테나일 수 있다. 제1 안테나에 대한 동작의 주파수 대역은 전형적인 GPS 주파수 대역으로 될 수 있다. 제1 안테나(204)는 일반적으로 제2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의 송신 대역들 사이에 있는 대역 상으로 송신한다. 대체 예에서, 제1 안테나(204)는 제1 안테나(204)의 동작 대역을 거부하도록 설계 시에 적절하게 주파수 조정되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와 다른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송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형적인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는 다중 대역 안테나일 수 있고, 주파수의 하위 대역(또는 대역들)(208) 및 주파수의 상위 대역(또는 대역들)(212)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예들에서,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는 상위 대역(212)으로서 AWS 대역으로 송신 및 수신하면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WS 대역은 1,710~1,755 MHz의 일반적인 송신 주파수 범위를 갖는다. AWS 대역은 2,110~2,155 MHz의 일반적인 수신 대역을 갖는다. AWS 대역의 수신 및 송신 주파수 사이에, PCS 대역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인 PCS 주파수 범위는 1,850~1,990 MHz이다. 하위 대역(208)은 AMP 대역 또는 그 등가일 수 있다. AMP(또는 US 셀룰러) 주파수 범위는 일반적으로 824~894 MHz의 범위이다.
대체 예에서,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송수신할 뿐만 아니라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1 안테나(204)로부터의 간섭을 거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를 생산하기 위한 설계 방법은 208, 210, 212로 도시된 관계가 존재하는 한 다른 주파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208, 210, 212)은 유지될 수 있는 서로로부터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대 거리를 가질 수 있지만, 대역들은 하나의 그룹으로서 주파수 스펙트럼 위나 아래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조정 또는 다른 등가의 방법은 서로에 대해 유사하게 구성되어 균형이 잡힌 다른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의 동작의 설계 주파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수의 주파수들 또는 주파수 대역들이 상위 대역(212)에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임의의 수의 주파수 대역들 또는 주파수들이 하위 주파수 대역(208)에 존재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임의의 수의 주파수들 또는 주파수 대역들이 중간 대역(210)에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역들 사이의 관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되는 한,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설계 개념이 사용될 수 있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 204)는 셀룰러 전화(200) 내의 코로케이트된 안테나 사이에 격리(206)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의 구성은 제1 안테나(204)로부터의 방사가 제2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에 결합된 회로에 입사하는 것이 거부 및 방지되기 쉽게 하도록 한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는 메인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 기판의 부분인 회로 기판 상에, 또는 셀룰러 전화(200)의 부분일 수 있는 그 기판의 서브 어셈블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를 포함하는 독립된 별개의 회로 기판이 셀룰러 전화의 하우징에 배치되어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셀룰러 전화 회로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가 설치된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는 일반적으로, 차례로 통상적인 구성의 다중 대역(또는 종래의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306)에 결합될 수 있는 종래의 멀티플렉서(318)에 결합된다. 통상적인 구성의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306)는 단순히 예시할 목적의 일례이다. 임의의 적절한 다중 대역 송수신기 장치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 입력 포트(302)에서, 성능 지수(figure of merit) S11(304)나 그 등가물이 측정될 수 있다. 산란 파라미터 S11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의 안테나 입력 포트(302)에 테스트 신호를 주사함으로써, 그리고 입사 신호가 있으면 반사된 신호와 입사 신호의 비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산란 파라미터 S11은 멀티플렉서(318)를 통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와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306) 사이의 매치의 표시를 제공하는 성능 지수이다. 산란 파라미터는 벡터량이고, 그 자체로 복소수로 또는 크기 및 각도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S11의 크기의 절대값은 복귀 손실로서 정의되고, 또한, 멀티플렉서 조합을 통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와 1차 다중 대역 전화 회로(306) 사이의 매치를 평가할 때 중요한 성능 지수이다. 복귀 손실은 간단히 스칼라량이고 양수로 표현된다. 복귀 손실(|S11|)은 주파수에 따라 변하고, 이 성능 지수를 검토함으로써, 설계 기술자가 다중 대역 셀룰러 회로(306)가 얼마나 잘 매치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안테나(202)에 신호를 전송한다. 복귀 손실용으로 큰 양수가 바람직하지만, 실제로 5~18 dB, 복귀 손실이 일반적으로 양호한 매치로 고려된다. 또한, 안테나(204)로부터의 방사 간섭이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에 의해 얼마나 잘 거부되는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와 같은 회로 내의 공진이 입력 복귀 손실에 대한 개선을 야기할 수 있다. 주파수 공진이 발생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은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고, 그들 공진을 바람직한 위치에 만족스럽게 위치시키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와 같은 설계를 생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306)는 통상적으로 다중 셀룰러 대역 상에서 송수신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안테나(202)가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306)의 송수신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306)에 양호한 매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AWS 대역, PCS 대역 및 AMP 대역이 (멀티플렉서(318)를 경유하여)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306)를 통해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306)는 통상적인 구성이고, 듀플렉서 또는 다이플렉서(diplexer: 310), 듀플렉서에 결합되고 또한 신호 처리 회로(316)에 결합되는 수신기(314)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회로(316)는 통상적인 구성이고, 듀플렉서(310)에 차례로 결합되는 통상적인 구성의 송신기(312)에 결합된 출력을 포함한다. 듀플렉서 또는 등가의 회로는 일반적으로 음성이나 다른 정보가 동시에 송수신될 수 있는 셀룰러 전화를 통해 듀플렉스 통신을 허용한다. 듀플렉서 대신에, 다이플렉서, 커플러, 서큘레이터 또는 다른 등가 회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송신기(312)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송신기(312)는 일반적으로, 음성이나 데이터 신호가 듀플렉서(310)를 통해 안테나(202)에 송신되기 전에 신호 처리 회로(316)로부터 음성이나 데이터 신호를 증폭시키는 회로를 포함한다.
수신기(314)는 통상적인 구성이고, 일반적으로 착신 신호가 신호 처리 회로(316)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착신 신호의 다운 변환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회로(316)는 송신되는 음성 신호나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가 송신기(312)에 인가하기 전에 적절히 변조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 회로(316)는 또한 수신된 신호를 가청 신호나, 통상적인 복조 기술을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하는 다중 대역에서, 다중 회로가 제공될 수 있거나, 개별 회로가 다중 대역으로부터의 라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안테나(204)는 통상적인 구성이고 멀티플렉서(318)를 통해 통상적인 구성의 제2(또는 중간 대역) 셀룰러 회로(308)에 결합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2 셀룰러 전화 회로(308) 및 안테나(204)는 일반적으로 1,575 MHz이지만 1,565 내지 1,585 MHz에서 측정되는 GPS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체 예에서, 다른 주파수 및 변조 방법이 적용되는 적절한 크기 조정 및 설계 기술에 따라 제2 셀룰러 전화에 적용될 수 있다.
셀룰러 전화 회로를 2 이상의 별개의 어셈블리(306 및 308)로 분할하는 것은, 단일 전자 어셈블리 또는 제조 및 설계의 용이함을 위해 쉽게 분리되는 집적 회로 상에서 쉽게 집적되지 않는 기능을 허용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202)는 거부 신호로 구성되어 안테나(202)의 신호 거부 특성에 의해 제2 안테나(204)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도 4는 셀룰러 전화 회로(306)에 결합된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인쇄 배선 어셈블리(202)를 도시한 도면이다. 안테나 입력(302)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셀룰러 전화 회로(306)를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어셈블리(202)에 결합시킨다. 이 포인트에서 인쇄 배선 어셈블리(202)를 조사하면 성능 지수 S11이 측정될 수 있다.
어셈블리(202)는 기판(408) 상에 배치되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안테나(406)의 금속 패턴을 포함한다. 금속 패턴(406)은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요소(또는 상위 대역 패치)(402) 및 미앤더 라인(4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어셈블리(202)의 치수는 대략 40㎜ ×13㎜이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어셈블리(202)는 2개의 메인 성분을 갖는다. 2개의 성분은 폴드된 단극 안테나(410)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미앤더 라인(404) 및 상위 대역 패치이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조합은 S11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원하는 공명을 갖는 원하는 안테나 성능이 달성될 수 있게 한다.
대체 실시예에서, 안테나 어셈블리(202)는 셀룰러 전화의 케이스 상 또는 다른 라디오 어셈블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회로(306)는 셀룰러 전화용의 하우징 또는 플라스틱이나 다른 적절한 재료 위에 배치되는 금속 패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반전된 F("IFA") 안테나로서 폴드된 단극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안테나를 구성하는 대체 예에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인 연결(420)이 도시되어 있다. 반전된 F 구성은 일반적으로 부가적인 공진을 생성한다. 안테나의 제1 방사 브랜치는 신호 공급 컨덕터 및 접지 공급 컨덕터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방사 브랜치는 일 단부에서 신호 공급 컨덕터 및 접지 공급 컨덕터에 결합될 수 있고, 타 단부에서 제1 방사 브랜치에 용량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안테나가 부가적인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하게 하며, 이것은 다중 대역 능력을 부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인쇄 배선 어셈블리(도 4의 202)에 대한 금속 패턴(406)의 레이아웃이다. 이 패턴은, 등가의 성능이 상이한 유전 상수, 유전체 두께 및 패턴 치수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므로,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단순한 일례이다. 또한, 미앤더 라인에서 구부림의 수는 일반적으로 안테나 성능의 제어가 아니라, 구부림의 수는 원하는 대로 조정될 수 있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어셈블리용의 PWB의 측면도는 PWB 어셈블리가 3개의 층(540, 408, 542)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제1층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406)의 금속 패턴을 포함하는 금속 패턴측(540)이다. 금속층은 그 형상을 유지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안테나를 지지하는 데 적합한 두게를 갖고, 구리나 다른 등가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의 층 또는 중간층은 금속층을 지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는 적절한 두께 또는 높이 h의 기판(408)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기판은 안테나의 대체 예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금속은 기판의 도움 없이 안테나 형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게 두껍다. 다른 등가의 금속이 원하는 경우, 시트 금속 등과 같은 더욱 단단한 재료로 생산될 수도 있다.
상기 예는 제2 또는 하부 층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금속을 부분적으로 덮거나 그렇지 않으면 오버랩할 수도 있는 제3 층 내에 접지면 또는 다른 차단물(obstruction)을 갖는 대체 예에서는, 성능이 감소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접지면의 존재는 안테나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하부 층은 일반적으로 접지 및 다른 차단물이 없이 유지된다.
당업자는 금속 패턴(406)이 주어진 특성을 갖는 기판에 대해 치수의 세트가 부여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그러나, 기판 파라미터가 변하면, 금속 패턴(406)은 유사한 성능 파라미터(S11과 같은)를 달성하기 위해 변할 수 있다.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406)의 PWB에 대한 금속 패턴은 2개의 영역, 즉, 상위 대역 패치 영역(402)과 미앤더 라인 영역(404)으로 분할될 수 있다. 미앤더 라인 영역(404)은 직선 런의 영역(506)과 폴드된 런의 영역(536)으로 더욱 세분할될 수 있다. 직선 런 및 폴드된 런은, 직선 런 다음에 폴드된 런이 이어지는 상태로, 직렬 또는 캐스케이드될 수 있다. 직선 런의 대향 단부는 상위 대역 패치(402)의 코너에 결합될 수 있다.
전형적인 상위 대역 패치(402)는 구리나 다른 적절한 금속으로 통상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16.5 ㎜의 일반적인 폭(522) 및 12.5 ㎜의 일반적인 길이(520)를 갖는다. 상위 대역 패치(402) 상의 코너(524)는 일반적으로 직선 런(506)의 제1 단부에서 미앤더 라인(404) 서브섹션에 결합시킨다.
미앤더 라인 섹션(404)은 상위 대역 패치(402)의 코너에 일반적으로 결합되는 직선 런(506)의 제1 단부를 갖는다. 직선 런의 대향 단부에서, 직선 런은 일반적으로 폴드된 런(536)의 제1 단부에 결합한다. 직선 런(506)은 일반적으로 2.0 ㎜ 폭과 23.5 ㎜ 길이의 송신 라인의 직선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폴드된 런(536)은 캐스케이드된 송신 라인 요소(508, 510, 526, 512, 528, 514, 530, 516, 532, 518 및 5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폴드된 런을 구성하는 송신 라인 세그먼트들은 2.0 ㎜ 폭일 수 있다. 세그먼트(508, 526, 528, 530 및 532)는 9.0 ㎜ 길이일 수 있다. 송신 라인 세그먼트(534)는 일반적으로 11 ㎜ 길이이다. 송신 라인 세그먼트(510, 512, 514, 516 및 518)는 일반적으로 5.5 ㎜ 길이일 수 있다.
폴드된 런 섹션(536)에서, 송신 라인 섹션은 아래의 순서: 534, 518, 532, 516, 530, 514, 528, 512, 526, 510 및 508로 캐스케이드될 수 있다. 각 캐스케이드된 세그먼트의 접합에서, 라인을 미앤더하도록 90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90도 회전 시에, 에지는 모따기되지 않는다. 대체 예에서, 90도 접합에서 송신 라인의 코너는 부절귀(dog eared), 연귀 이음(mitered), 모따기 등으로 될 수 있어, 기생 용량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대체 예에서, 교호하는 미앤더링 패턴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의 일반적인 복귀 손실 대 앞서 설명한 예에서의 다양한 셀룰러 전화 대역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시벨(dB)의 음의 복귀 손실이 메가헤르쯔(MHz)의 주파수에 대해 그래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면은 절대값 각도 형태로 벡터 산란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기구의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된다. 각도는 도시되지 않지만, 복귀 손실은 수직축 상에 그래프로 된 음의 수를 간단히 취함으로써 도면에서 찾을 수 있다.
산란 파라미터(또는 S 파라미터)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와 같은 고주파수 장치를 특징짓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는 1 포트 장치로 가정될 수 있다. 그 자체로, 1 포트 장치는 단일 산란 파라미터 S11에 의해 특징지어질 것이다. 이 파라미터는 산란하거나, 1 포트에 송달되는 것에 대해 1 포트로부터 복귀되는 전력의 측정 크기이다. db로의 S11의 절대값은 일반적으로 복귀 손실을 지칭하고, 얼마나 잘 전력이 회로에 송달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성능 지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복귀 손실의 큰 수는 대부분의 전력이 포트를 통해 가고 발신 회로에 복귀되는 것이 거의 없는 것을 나타낸다.
복귀 손실은 일반적으로 장치의 1 포트에서 반사된 전력의 진폭 대 입사 전력의 진폭의 비율이다. 복귀 손실값은 전송 에너지에 비해, 반사된 에너지의 진폭의 감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장치가 16dB의 복귀 손실을 갖는다면, 그 장치로부터 반사된 전력은 항상 제공되는 전송 전력보다 16dB 낮다. 반응 소자들을 포함하는 모든 장치에 있어서, 복귀 손실값은 일반적으로 주파수에 따라 변화한다.
0dB의 복귀 손실은 1 포트에 송달되는 모든 전력이 발신한 회로로 되돌아 복귀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장치에 개방 또는 단락 회로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모든 전력이 송신기로 되돌아 반사되는 송신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송신기에 손상을 주게 된다. 20db의 비교적 높은 복귀 손실은 양호한 매치라고 고려될 수 있는 1.2:1의 VSWR에 대략 대응한다.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12dB 만큼 낮은 복귀 손실도 허용 가능하다고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된 그래프는 S11이 절대값 위상 형태로 표현된 S11의 실재 절대값이다. 복귀 손실에서 S11의 이 절대값의 음이 도시된다. 또한, 다중 대역 안테나에 대한 동작의 다양한 셀룰러 전화 대역이 그래프에 나타나 있다. 다중 대역 안테나 상으로 송수신될 수 있는 셀룰러 주파수 대역은 824~894 MHz의 amps 대역, 1,710~1,775 MHz의 AWF 송신 대역, 2,110~2,115 MHz의 AWS 수신 대역, 및 (AWS TX 대역과 AWS RX 대역 사이에 배치되는) 1,850~1,990 MHz의 PCS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발전된 라디오 서비스 "AWS(advanced wireless service)"는 PCS, 3세대 셀룰러 서비스, ITU IMT-2000, 고정 라디오 액세스(FWA), 라디오 멀티미디어 및 기타 기술과 같은 대부분 가입자 관련 라디오 통신 서비스 또는 마케팅 용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귀 손실 또는 대부분의 S11은 다중 대역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가 송신하여 구조하는 대역에 대해 비교적 양호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모든 대역에서, 복귀 손실이 양호한 매치라고 고려될 수 있는 5db 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그러나, 코로케이트된 안테나의 동작의 대역일 수 있는 1,565~1,585 MHz에서 실행하는 전형적인 GPS 대역에서는, 복귀 손실이 간섭하는 신호의 양호한 거부를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대략 1db이다.
이 그래프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안테나 요소들의 주파수 응답의 중첩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mps 또는 US 셀룰러 대역 안테나 매치 S11 응답은 대부분 미앤더 라인(도 4의 404)에 의해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상위 주파수 공진 또는 약 1,710 MHz로부터 위로 확장하는 양호한 복귀 손실은 상위 대역 패치(도 4의 402)에 의해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상위 대역 패치는 또한 GPS 안테나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사이에 양호한 격리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는 1,575 MHz~1,710 MHz의 급격한 롤 오프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도 7은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미앤더 라인이 제1 하위 대역 공진(701)에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상위 대역 패치가 제2 상위 대역 공진(702)에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상위 대역 패치가 더 조정되어 제2 공진 아래에 배치되는 간섭 주파수 대역을 생성하거나 격리할 수 있다.
당업자는 상술한 프로세스 시퀀스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임의의 순서로 등가적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프로세스들의 전체 기능으로부터 분리함 없이 원하는 경우 서브프로세스들은 일반적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상술한 안테나가 상대적인 유전 상수, 유전체 두께, 금속피복 두께, 사용되는 금속피복 또는 금속 등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치수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안테나 치수는, 분산된 회로 파라미터의 변화에 응답하여 안테나의 전기 특성을 유지하면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재료 파라미터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화될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안테나를 주파수에서 크기 조정함으로써, 유사한 전기 성능이 상이한 주파수에서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분산된 회로 기술과 다른 회로 구현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데 묶인 회로 구현, 또는 분산되고 한데 묶인 구성의 혼합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분산된 구현에 대한 다양한 구성이 (인쇄 배선 기판 또는 셀룰러 전화 케이스와 같은) 기판 상에 안테나를 지지하거나, 충분히 두꺼운 또는 자체를 지지하기에 충분히 강한 금속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200 :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
202, 204 :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안테나
302 : 안테나 입력 304 : 성능 지수
306 : 다중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
308 : 중간 대역 셀룰러 전화 회로
310 : 듀플렉서 312 : 송신기
314 : 수신기 316 : 신호 처리 회로
318 : 멀티플렉서

Claims (15)

  1. 제1 하위 대역 주파수 매치를 생성하는 미앤더 라인(meander line)으로서, 상위 대역 패치의 코너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하는 송신 라인의 직선 런, 및 상기 상위 대역 패치를 향해 되돌아서 폴드되는 송신 라인의 폴드된 런(folded run)을 포함하며, 상기 폴드된 런은 미앤더링 패턴으로 캐스케이드되는(cascaded)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미앤더 라인; 및
    상기 상위 대역 패치의 상기 코너에서 상기 미앤더 라인의 송신 라인의 상기 직선 런에 결합되어, 제2 상위 대역 주파수 매치(match)를 생성하고, 중간 대역 주파수 매치로부터의 격리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상위 대역 주파수 매치의 하위 주파수 엔드(end)에서 복귀 손실의 급격한 롤 오프(roll-off)를 제공하는, 상기 상위 대역 패치를 포함하는,
    제1 다중 대역 안테나; 및
    상기 중간 대역 주파수 매치를 갖고, 상기 제2 상위 대역 주파수 매치의 하위 주파수 엔드 미만의 최상위 주파수를 갖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위 대역 주파수 매치는 주파수의 US 셀룰러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위 대역 주파수 매치는 주파수의 AWS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 매치는 주파수의 GPS 대역을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위 대역 주파수 매치는 주파수의 PCS 대역을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중 대역 안테나와 코로케이트된 안테나 사이의 격리는 상기 상위 대역 패치로 인해 S11에서 롤 오프가 최대화되는, 안테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중 대역 안테나는 PWB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금속 패턴인, 안테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중 대역 안테나는 라디오의 케이스 상에 배치되는 금속 패턴인, 안테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중 대역 안테나는 시트 금속 및 자기 지지(self supporting)로 형성되는 금속 패턴인, 안테나 시스템.
  8.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중간 대역 송수신기에 결합되는 통상적인 안테나;
    다중 대역 송수신기;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상기 다중 대역 송수신기에 결합되어, 하위 대역 공진용의 미앤더 라인과, GPS 대역에서의 급격한 롤 오프를 갖는 상위 대역 공진용의 상위 대역 패치를 포함하는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미앤더 라인은 상기 상위 대역 패치의 코너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하는 송신 라인의 직선 런, 및 상기 상위 대역 패치를 향해 되돌아서 폴드되는 송신 라인의 폴드된 런(folded run)을 포함하고, 상기 폴드된 런은 미앤더링 패턴으로 캐스케이드되는(cascaded)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 대역 송수신기는 주파수의 US 셀룰러 대역 및 AWS 대역의 주파수를 통해 송수신하고, 상기 중간 대역 송수신기는 GPS 대역을 통해 송수신하고;
    상기 다중 대역 송수신기는 상기 중간 대역 송수신기로부터의 간섭으로부터 격리되는, 라디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안테나는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라디오.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안테나는 인쇄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는, 라디오.
  11. 미앤더 라인을 제공하여 제1 하위 대역 공진을 얻는 단계;
    상기 미앤더 라인에 결합되는 상위 대역 패치를 제공하여 제2 상위 대역 공진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미앤더 라인은 상기 상위 대역 패치의 코너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하는 송신 라인의 직선 런, 및 상기 상위 대역 패치를 향해 되돌아서 폴드되는 송신 라인의 폴드된 런(folded run)을 포함하고, 상기 폴드된 런은 미앤더링 패턴으로 캐스케이드되는(cascaded)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상위 대역 패치를 더 조정하여 중간 주파수대역으로부터의 격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테나에서 코로케이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상기 상위 대역 패치의 코너에서 상기 미앤더 라인을 상기 상위 대역 패치에 결합시키는, 안테나에서 코로케이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은 코로케이트된 안테나에 의해 생성되는 라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안테나에서 코로케이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위 대역 공진 및 제2 상위 대역 공진은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셀룰러 전화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안테나에서 코로케이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107009929A 2007-10-05 2008-10-01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KR101168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68,257 2007-10-05
US11/868,257 US8618988B2 (en) 2007-10-05 2007-10-05 Co-location insensitive multi-band antenna
PCT/US2008/078505 WO2009046146A1 (en) 2007-10-05 2008-10-01 Co-location insensitive multi-band anten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480A KR20100068480A (ko) 2010-06-23
KR101168502B1 true KR101168502B1 (ko) 2012-07-27

Family

ID=4014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929A KR101168502B1 (ko) 2007-10-05 2008-10-01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18988B2 (ko)
EP (1) EP2218134A1 (ko)
JP (1) JP5129861B2 (ko)
KR (1) KR101168502B1 (ko)
CN (1) CN101849316A (ko)
WO (1) WO20090461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595B1 (ko) * 2013-01-18 2015-03-26 (주)심플렉스테크놀로지 탑 로우딩된 미앤더 선로 방사체의 소형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5642B2 (ja) * 2007-11-28 2013-03-0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Idタグ
FI20095085A (fi) * 2009-01-30 2010-07-31 Pulse Finland Oy Moniresonanssiantenni
US7965239B2 (en) * 2009-06-25 2011-06-2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Antenna structure
DE102010003152A1 (de) 2010-03-23 2011-09-29 Zf Friedrichshafen Ag Funkschalter
CN102164013B (zh) * 2011-04-18 2013-12-11 西安电子科技大学 电台共址干扰的emc综合预测分析系统和分析方法
CN102158296B (zh) * 2011-04-18 2013-05-15 西安电子科技大学 模拟电台共址干扰的emc综合预测分析系统
GB2516869A (en) 2013-08-02 2015-02-11 Nokia Corp Wireless communication
US9466870B2 (en) 2014-03-31 2016-10-11 Elster Solutions, Llc Electricity meter antenna configuration
US9437926B2 (en) * 2014-12-01 2016-09-06 Wistron Corporation Antenna having asymmetric T shape coupled feed
CN104409851A (zh) * 2014-12-02 2015-03-11 成都深思科技有限公司 微带贴片天线
KR102532660B1 (ko) * 2016-09-19 202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4359B1 (ko) * 2021-04-28 2022-10-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대역 안테나
KR102454355B1 (ko) * 2021-04-28 2022-10-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대역 주파수 재구성 가능한 안테나
US20240014578A1 (en) * 2022-07-11 2024-01-11 Yilin MAO Dual mode cloaking base station antenna system using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6609A (en) * 1998-06-03 1999-11-16 Ericsson Inc.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US6408190B1 (en) 1999-09-01 2002-06-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mi built-in multi-band printed antenna
JP3503556B2 (ja) 2000-02-04 2004-03-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アンテナを装備した通信装置
WO2002013312A1 (fr) 2000-08-04 2002-02-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e et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comprenant cette antenne
FI118404B (fi) * 2001-11-27 2007-10-31 Pulse Finland Oy Kaksoisantenni ja radiolaite
JP2005519509A (ja) 2002-03-04 2005-06-30 シーメンス インフォメイション アンド コミュニケイション モバイル エルエルシー メアンダ構造を有するマルチバンドpifアンテナ
US6670923B1 (en) 2002-07-24 2003-12-30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Dual feel multi-band planar antenna
EP1643591A4 (en) 2003-07-04 2006-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ANTENNA ELEMENT AND MOBILE TELEPHONE UNIT
FI116333B (fi) * 2003-09-11 2005-10-31 Lk Products Oy Menetelmä säteilijän asentamiseksi radiolaitteeseen ja radiolaite
JP4079060B2 (ja) 2003-09-18 2008-04-23 日立電線株式会社 平面多重アンテナ
JP4149357B2 (ja) 2003-11-06 2008-09-10 株式会社ヨコオ 複合アンテナ
JP4460046B2 (ja) 2003-11-10 2010-05-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周波共用アンテナ
KR100530667B1 (ko) * 2003-11-20 2005-11-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 안테나
JP4189306B2 (ja) * 2003-12-04 2008-12-03 株式会社ヨコオ 誘電体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能を有する電気機器
EP1714353A1 (en) * 2004-01-30 2006-10-25 Fractus, S.A. Multi-band monopole antennas for mobile network communications devices
US7091908B2 (en) 2004-05-03 2006-08-15 Kyocera Wireless Corp. Printed monopole multi-band antenna
US7193565B2 (en) * 2004-06-05 2007-03-20 Skycross, Inc. Meanderline coupled quadband antenna for wireless handsets
WO2007028448A1 (en) * 2005-07-21 2007-03-15 Fractus, S.A. Handheld device with two antennas, and method of enhancing the isolation between the antennas
DE102005049820A1 (de) 2005-10-18 2007-04-19 Benq Mobile Gmbh & Co. Ohg Mehrfachresonante Antenneneinheit, zugehörige Leiterplatine sowie Funkkommunikationsgerät
WO2008084273A2 (en) * 2006-12-21 2008-07-17 Nokia Corporation An antenna device
US7629932B2 (en) * 2007-03-23 2009-12-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Antenna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a multi-band radio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595B1 (ko) * 2013-01-18 2015-03-26 (주)심플렉스테크놀로지 탑 로우딩된 미앤더 선로 방사체의 소형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18988B2 (en) 2013-12-31
CN101849316A (zh) 2010-09-29
KR20100068480A (ko) 2010-06-23
EP2218134A1 (en) 2010-08-18
WO2009046146A1 (en) 2009-04-09
JP5129861B2 (ja) 2013-01-30
US20090091508A1 (en) 2009-04-09
JP2010541497A (ja)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502B1 (ko)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AU750257B2 (en)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US6943746B2 (en) Radio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US6529749B1 (en) Convertible dipole/inverted-F antenna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the same
EP2840651B1 (en) Tunable multiband multiport antennas and method
KR101525426B1 (ko) 안테나 크기 소형화를 유지하고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안테나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132669B2 (ja) 無給電放射素子を有するデュアル・バンド・ダイバーシチ・アンテナ
Augustin et al. An integrated ultra wideband/narrow band antenna in uniplanar configuration for cognitive radio systems
KR100349422B1 (ko)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US6016126A (en) Non-protruding dual-band antenna for communications device
US20020126052A1 (en) Antenna arrangement
US6359589B1 (en) Microstrip antenna
KR20010075231A (ko) 용량성으로 튜닝된 광대역 안테나 구조
WO1998018177A1 (en) Stacked microstrip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6680704B2 (en) Built-in patch antenna
JP2006528465A (ja) 無線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多重帯域アンテナ
Borka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for 4G applications
KR100395269B1 (ko)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0395267B1 (ko)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20030021068A (ko) 마이크로 칩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