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832B1 - 휴대용 가열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832B1
KR101167832B1 KR1020120003487A KR20120003487A KR101167832B1 KR 101167832 B1 KR101167832 B1 KR 101167832B1 KR 1020120003487 A KR1020120003487 A KR 1020120003487A KR 20120003487 A KR20120003487 A KR 20120003487A KR 101167832 B1 KR101167832 B1 KR 10116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oove
portable heating
heating contain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숙경
이태림
Original Assignee
이태림
유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림, 유숙경 filed Critical 이태림
Priority to KR102012000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 형태를 가지며 홈부가 형성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부를 접어 음식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입체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로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홈부를 경계로 내부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네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열 용기{PORTABLE HEATING CONTAINER}
본 발명은 휴대용 가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여건의 향상으로 여가 선용의 기회가 늘어나게 되어, 야외 레저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야외 활동 시 음식을 조리하여 식사를 준비하게 되는데, 이때 일반적인 가정용 가열 용기보다 가볍고 휴대하기 편리한 코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펠은 용기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일정한 부피를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빈 용기라고 하여도 코펠의 부피를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휴대 시 불편함이 있다.
실시예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가열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는 판상 형태를 가지며 홈부가 형성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부를 접어 음식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입체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로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홈부를 경계로 내부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네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이 때, 상기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와 상기 측면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 홈부와,
상기 용기부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 홈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들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2 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홈부의 선폭이 0.3~3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두께에 대한 상기 홈부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의 비율이 0.05~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선 부분은 120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홈부를 경계로 인접한 상기 측면부들에 각기 고리용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부에 분리 탁찰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용기부를 접을 때 사용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부에 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 계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가열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판상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어, 휴대용 가열 용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용기부와 함께 고정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음식 조리 시 용기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의 일부를 뚜껑으로 이용할 수 있어 조리 시 음식을 좀더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음식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의 용기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부의 음식 조리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b 내지 도 3e는 변형예에 따른 홈부의 단면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용기부의 실물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용기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부의 음식 조리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는, 휴대 시 판상 형태를 가지는 용기부(100d)를 포함한다. 이때, 용기부(100d)에 홈부(130d)가 형성되며, 이 홈부(130d)를 이용하여 용기부(100d)를 접어 음식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입체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용기부(100d)는, 홈부(130d)를 경계로 내부에 위치하는 중앙부(110d)와, 중앙부(110d)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부(12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부(130)가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130d)가 네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네 가장자리에 홈부(130d)가 모두 형성되어, 조리 시 상태(즉, 도 2의 상태)에서 내부 부피(즉, 음식물이 위치하는 부분의 부피)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홈부(130d)는, 용기부(100d)의 네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네 개의 제1 홈부(131)과, 용기부(100d)의 각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홈부들(131)로 분지(分枝)되는 복수의 제2 홈부들(1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홈부(131)는 용기부(100d)의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110d)와 측면부(120d)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홈부(132)는 상기 용기부(100d)의 모서리로부터 제1 홈부(131)까지 연장되어 측면부들(120d) 사이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홈부(132)는 제1 홈부(131)에 인접한 부분, 즉, 제2 홈부(132)에서 두 개의 제1 홈부(131)로 분지되는 부분에서 곡선 부분(P)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곡선 부분(P)은 120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곡률 반경이 120mm를 초과하면 조리 시 상태(즉, 도 2의 상태)에서 내부 부피(즉, 음식물이 위치하는 부분의 부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곡선 부분(P)의 곡률 반경이 10~120mm일 수 있다. 곡선 부분(P)의 곡률 반경이 10mm 미만이면 이 부분에서 용기부(100d)에 불필요한 주름이 생기거나 용기부(100d)가 잘 접히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부(100d)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홈부(132)는 용기부(100d)의 모서리 부분에서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용기부(100d)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서리 부분에 의하여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측면부(120d)에는 조리 시 상태에서 내부 부피(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을 표시하는 계량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계량부(146)는 프레스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을 돌출 또는 몰입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한 용량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 조리 시 계량부(146)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용량을 용기부(100d)에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홈부(312)를 경계로 인접한 측면부들(120d)에 각기 고리용 구멍(1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용 구멍(140)에 고정용 고리(142)를 끼워 조리 시 측면부들(120d)이 좀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120d)에 분리 탁찰 가능하게 끼워지며 용기부(100d)를 접을 때 사용하는 손잡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44)는 내부에 측면부(120d)가 끼워지는 홈(144a)과, 손가락에 대응하도록 움푹하게 패여서 손가락을 고정하는 손가락 고정부(144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부(100d)를 조리 시 상태로 접을 때 양쪽 측면부(120d)에 각기 손잡이부(144)를 끼우로 이를 이용하여 측면부(120d)를 쉽게 접고, 조리 시에는 측면부(120d)로부터 손잡이부(144)를 빼서 따로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부(100d)를 접을 때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주거나 사용자가 다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곡선 부분(P)의 곡률 반경, 모서리 부분의 형상, 고리용 구멍(140), 계량부(146), 손잡이부(144)는 다른 변형예 및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3a 내지 도 3e을 참조하여 홈부(130)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Ⅲ-Ⅲ선을 따라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b 내지 도 3e는 변형예에 따른 홈부(130)의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홈부(130)에서는 용기부(100)의 상면에서 오목한 형태(131)를 가지면서 하면에서는 볼록한 형태(13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오목한 형태(131)의 깊이가 볼록한 형태(132)의 두께와 동일하여, 홈부(130)에서의 두께가 중앙부(110) 및 측면부(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3b를 참조하면, 오목한 형태(131)의 깊이가 볼록한 형태(132)의 두께보다 커서 홈부(130)에서의 두께가 중앙부(110) 및 측면부(120)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도 3b와 반대로, 도 3c와 같이 오목한 형태(131)의 깊이가 볼록한 형태(132)의 두께보다 작아서 홈부(130)에서의 두께가 중앙부(110) 및 측면부(120)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도 가능하다.
일례로, 홈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두께(T1)에 대한 홈부(130)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T2)의 비율(T2/T1)이 0.05~3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이 0.05 미만이면 홈부(130) 부분에서 용기부(100)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어 용기부(100)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이 3을 초과하면 홈부(130) 부분을 이용하여 용기부(100)를 접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홈부(130)의 선폭은 0.3~30mm일 수 있다. 선폭이 0.3mm 미만이면 홈부(130)를 이용하여 용기부(100)를 접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선폭이 30 mm를 초과하면 홈부(130)가 불필요하게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하나의 홈부(130)에서 오목한 형태(131) 및 볼록한 형태(132)가 단일로 구비되어 홈부(130)의 단면 형태가 반원 형상 또는 옴(Ω) 기호의 역상 형태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일례로 도 3d 및 도 3e에서와 같이, 하나의 홈부(130)에서, 오목한 형태(131) 및 볼록한 형태(132)가 복수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오목한 형태(131) 및 볼록한 형태(132)를 복수로 구비하여 용기부(100)를 좀더 쉽게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홈부(13)에 의하여 휴대 시에는 용기부(100)가 판상 형태를 가지고, 음식 조리를 위하여 측면부(120)를 안쪽으로 밀면 측면부(120)가 접힌 상태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홈부(130)는 탄성 변형 또는 소성 변형에 의하여 접힐 수 있다. 조리 후에는 다시 측면부(120)를 펴서 용기부(100)가 판상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일례로, 용기부(100)는 연질 또는 경질 스테리인스, 알루미늄, 인-청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용기부(100)는 열 전도도가 높아 음식 조리 시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면서 입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홈부(130)를 구비하는 용기부(100)는 프레스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설명에서는 용기부(100)가 휴대 시 판상 현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측면부(120)를 일정 각도로 세운 상태로 프레스하여 용기부(100)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부(100)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상술한 홈부(130)를 구비하는 용기부(100)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용기부(100)로 구성된 휴대용 가열 용기(10)는 휴대 시에 판상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참조를 위하여,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용기부(100d)의 실물 사진을 첨부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 및 도 2의 변형예에 따른 용기부의 실물 사진이다. (참고로, 고리용 구멍(140), 손잡이부(144)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이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판상 형태를 가지며 홈부가 형성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부를 접어 음식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입체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로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홈부를 경계로 내부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네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와 상기 측면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 홈부와,
    상기 용기부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 홈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들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선폭이 0.3~30 mm인 휴대용 가열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두께에 대한 상기 홈부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의 비율이 0.05~3인 휴대용 가열 용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휴대용 가열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를 경계로 인접한 상기 측면부들에 각기 고리용 구멍이 형성되는 휴대용 가열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분리 탁찰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용기부를 접을 때 사용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 계량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KR1020120003487A 2012-01-11 2012-01-11 휴대용 가열 용기 KR10116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87A KR101167832B1 (ko) 2012-01-11 2012-01-11 휴대용 가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87A KR101167832B1 (ko) 2012-01-11 2012-01-11 휴대용 가열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930A Division KR20120131079A (ko) 2011-05-24 2011-07-22 휴대용 가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832B1 true KR101167832B1 (ko) 2012-07-26

Family

ID=4671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487A KR101167832B1 (ko) 2012-01-11 2012-01-11 휴대용 가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8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635Y1 (ko) * 2004-04-13 2004-06-30 이영희 접이식 용기
KR200388538Y1 (ko) * 2005-04-18 2005-06-29 조우정 일회용 비상식품 가열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635Y1 (ko) * 2004-04-13 2004-06-30 이영희 접이식 용기
KR200388538Y1 (ko) * 2005-04-18 2005-06-29 조우정 일회용 비상식품 가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95010S1 (en) Set of handles for cookware vessel with lid
USD798655S1 (en) Set of handles for cookware vessel with lid
JP7026146B2 (ja) 眼球保湿器
CA136456S (en) Closure for a specimen container having an indicator surface
US20120204351A1 (en) X-rayable patient positioning plate
KR101167832B1 (ko) 휴대용 가열 용기
US20160227947A1 (en) Shaped covering blanket with pocket
KR20120131079A (ko) 휴대용 가열 용기
JP3142815U (ja) 足湯バッグ
US9186021B1 (en) Tortilla molding device
JP6831071B2 (ja) 風呂蓋
USD715004S1 (en) Padded hand wrap
JP2006296654A (ja) 3次元形状計測装置を用いた個人別枕の提供方法
ES2656341T3 (es) Jarra con indicador de temperatura
KR20100003482U (ko) 돗자리 겸용 가방
JP2010240250A (ja) 採血及び注射用台
KR20120001106U (ko) 종이컵 건조대
JP6738146B2 (ja) 浴槽装置
KR20140003318U (ko) 간이식 족욕기
RU211358U1 (ru) Лоток
CN209285303U (zh) 一种轻便式浴盆
JP3162270U (ja) 蓋付き調理用容器
NL2019383B1 (en) Bag with foldable back support
JP3151294U (ja) 洗髪用補助具
CN205322193U (zh) 一种婴儿清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