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400A - 컵라면 용기 - Google Patents

컵라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400A
KR20130031400A KR1020110094945A KR20110094945A KR20130031400A KR 20130031400 A KR20130031400 A KR 20130031400A KR 1020110094945 A KR1020110094945 A KR 1020110094945A KR 20110094945 A KR20110094945 A KR 20110094945A KR 20130031400 A KR20130031400 A KR 20130031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unit
water
ope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가연
Original Assignee
유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가연 filed Critical 유가연
Priority to KR102011009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1400A/ko
Publication of KR2013003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05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 및 스프 투입을 용이하게 하고, 컵라면을 손으로 잡기에 편하게 하고, 넣을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뚜껑(170) 및 제 2 뚜껑(180)을 포함하는 컵라면 용기는, 몸체(130)는 기둥형이며, 상기 몸체의 제 1 부(140) 및 제 2 부(150)는 각각 외겹 및 내겹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부의 외겹은 상기 제 1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160a)을 축으로 펼쳐져 제 1 손잡이부(145)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부의 외겹은 상기 제 2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160b)을 축으로 펼쳐져 제 2 손잡이부(155)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 및 제 2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은 기둥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하고, 상기 몸체는 투명 표시창(110)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표시창은 상기 제 1 부의 내겹 또는 상기 제 2 부의 내겹의 일부에 위치하여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물의 높이를 안내하는 표시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뚜껑(170)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완전히 덮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뚜껑(180)은 상기 제 1 뚜껑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90)보다 크고, 상기 제 1 뚜껑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뚜껑을 개폐하지 않으면서 물 및 스프를 투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컵라면 용기{A CUPNOODLE BOWL}
본 발명은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물 및 스프를 투입하기 편하고, 손으로 잡기 편한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즉석라면 용기는 덮개 일측에 형성된 개폐용 돌기부를 잡고 적당한 부분까지 덮개를 뜯어서 개봉한 다음 온수를 주입하고 다시 덮개 일단의 돌기부로서 용기 단부에 지지되게 하여 수분 후 개봉하여 먹게 되므로 이때 덮개의 돌기부에 의해서 용기를 덮지만 돌기부가 작기 때문에 돌기부 양측부위의 개봉부는 틈이 벌어 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몹시 시간이 바쁜 사람이나 더운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식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책 등으로 용기의 덮기를 눌러서 사용하곤 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 컵라면용기 뚜껑(1)은 뚜껑이 컵라면용기(2) 위 부분과 완전히 부착 되어 있어 뚜껑을 열기 위해서는 뚜껑을 용기에서 꼭 뜯어내고 나서 다시 닫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 한 가지는 용기와 뚜껑이 부착되어 있지 않는 형태로 뚜껑을 열기 위해서는 뚜껑이 용기에서 완전히 분리 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경우 컵라면용기 안에 뜨거운 물을 붓기 위해 용기와 붙어있는 뚜껑을 뜯을 때 뚜껑 종이가 찢어지지 않도록 조심히 뜯어야 하는 불편함과 뜯을 때 시간이 소요되며 뜯을 때 뚜껑이 말리거나 구겨져 다시 컵라면용기를 닫을 때 도 4와 같이 컵라면용기와 뚜껑 사이가 완전히 닫혀 지지 않고 조금씩 벌어져서 용기 안의 뜨거운 물이 빨리 식어지고 뜨거운 김이 용기와 뚜껑 사이로 새어나와 음식물 익는 속도가 오래 걸리며 잘 익혀지지 않을 때도 있으며 그로 인해 음식물 맛이 떨어진다.
그래서 뜨거운 김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컵라면용기 위에 책을 올려놓거나 손으로 뜨거운 김이 새는 곳을 막고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경험하였을 것이다.
또한 컵라면용기와 뚜껑이 분리되어 있는 형태는, 용기에서 뚜껑을 열기 위해서는 반드시 뚜껑을 용기와 완전 분리해서 뚜껑을 다른 곳에 놓아두었다가 컵라면용기 위 부분을 다시 맞추어 뚜껑을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 및 스프 투입을 용이하게 하고, 컵라면을 손으로 잡기에 편하게 하고, 넣을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뚜껑(170) 및 제 2 뚜껑(180)을 포함하는 컵라면 용기는, 몸체(130)는 기둥형이며, 상기 몸체의 제 1 부(140) 및 제 2 부(150)는 각각 외겹 및 내겹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부의 외겹은 상기 제 1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160a)을 축으로 펼쳐져 제 1 손잡이부(145)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부의 외겹은 상기 제 2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160b)을 축으로 펼쳐져 제 2 손잡이부(155)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 및 제 2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은 기둥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하고, 상기 몸체는 투명 표시창(110)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표시창은 상기 제 1 부의 내겹 또는 상기 제 2 부의 내겹의 일부에 위치하여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물의 높이를 안내하는 표시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뚜껑(170)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완전히 덮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뚜껑(180)은 상기 제 1 뚜껑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90)보다 크고, 상기 제 1 뚜껑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뚜껑을 개폐하지 않으면서 물 및 스프를 투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 및 스프 투입이 용이하고, 컵라면을 손으로 잡기에 편리하며, 편하게 넣을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 및 관련 도면은 이러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양상들은 단지 일 예일 뿐이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시된 실시예들은 이러한 실시예들 및 이러한 실시예들의 균등물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관습에 따라 도면의 다양한 특징들은 실측에 따라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특징들의 치수들은 간명성을 위하여 임의로 확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일부가 간명성을 위해 단순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은 제시된 장치(예를 들어 디바이스) 또는 방법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도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유사한 도면번호들이 상세한 설명 및 도면 전반에서 유사한 특징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제 2 뚜껑을 확대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뚜껑(170) 및 제 2 뚜껑(180)을 포함하는 컵라면 용기는, 몸체(130)는 기둥형이며, 상기 몸체의 제 1 부(140) 및 제 2 부(150)는 각각 외겹 및 내겹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부의 외겹은 상기 제 1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160a)을 축으로 펼쳐져 제 1 손잡이부(145)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부의 외겹은 상기 제 2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160b)을 축으로 펼쳐져 제 2 손잡이부(155)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 및 제 2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은 기둥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하고, 상기 몸체는 투명 표시창(110)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표시창은 상기 제 1 부의 내겹 또는 상기 제 2 부의 내겹의 일부에 위치하여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물의 높이를 안내하는 표시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뚜껑(170)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완전히 덮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뚜껑(180)은 상기 제 1 뚜껑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90)보다 크고, 상기 제 1 뚜껑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뚜껑을 개폐하지 않으면서 물 및 스프를 투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손잡이부(145, 155)는 컵라면 용기의 몸체(130)의 제 1 부(140) 및 제 2 부(150)로부터 형성된다. 제 1 부(140)는 외겹 및 내겹의 두 겹으로 되어 있고, 외겹은 내겹과 접촉되어 있는 한 변(160a)을 축으로 하여 내겹으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제 2 부(150)는 외겹 및 내겹의 두 겹으로 되어 있고, 외겹은 내겹과 접촉되어 있는 한 변(160b)을 축으로 하여 내겹으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제 1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 및 제 2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은 기둥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펼쳐진 외겹들은 서로 맞닿게 되고 그 맞닿은 외겹들을 한 손으로 쥘 수 있게 되어 손잡이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145, 155)가 마련됨으로써 컵라면을 이동하거나 시식할 때 한 손으로 뜨겁지 않고 편리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보관시 및 배달시에는 상기 외겹 및 내겹은 겹쳐져 있는 상태, 다시 말해 외겹이 펼쳐지지 않는 상태로 이뤄진다. 사용시 외겹을 펼쳐 손잡이를 만들어 임의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 1 부(140) 또는 제 2 부(150)의 내겹의 일부분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표시창(110)이 마련되어 있어 물이 얼마나 컵라면 용기에 부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내겹의 일부분에 표시창을 가지고 있어, 보관시 등에 파손의 우려가 없다. 내부를 물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투명도이면 되며, 투명의 정도는 당업자에 의해 임의 선택가능함은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투명도를 달성하기 위한 재질로 투명표시창이 이뤄짐도 이해될 것이다. 투명 표시창(110)은 적정 양의 물이 컵라면 용기에 부어졌는지 확인하기에 적절한 높이에 적절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라면 용기의 몸체의 중간지점부터 4/5 높이의 지점까지 긴 타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투명 표시창(110)에는 물의 높이를 안내하는 표시부(115)가 마련되어 있어 물을 얼마만큼 컵라면 용기에 부어야 하는 지를 안내할 수 있다.
제 1 뚜껑(170)은 종래의 컵라면 용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뚜껑으로서, 상기 몸체의 상면을 완전히 덮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뚜껑(170)에는 개구(1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90)는 물 및 스프를 투입하기 위한 개구(190)로서 제 1 뚜껑(170)을 제거하지 않고 물 및 스프를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뚜껑(180)은 상기 제 1 뚜껑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90)보다 크고, 상기 제 1 뚜껑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뚜껑을 개폐하지 않으면서 물 및 스프를 투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뚜껑(180)의 한 변은 제 1 뚜껑(170)으로부터 완전히 제 2 뚜껑(180)이 분리되지 않도록 제 1 뚜껑(170)과 붙어있을 수 있고, 제 2 뚜껑(180)의 일부분 및 그에 접착되는 제 1 뚜껑(170)의 일부분은 포스트잇의 접착부와 같이 한번 떨어지더라도 접착력이 유지되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어, 제 2 뚜껑(180)을 개봉했다가도 다시 제 1 뚜껑(170)에 붙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뚜껑의 고정대(195)가 마련될 수 있어, 제 2 뚜껑(180)의 볼록한 부분을 고정대(195)에 끼워 제 2 뚜껑(180)이 제대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서 제 2 뚜껑(180)을 개봉하고, 물 및 스프를 개구를 통하여 투입한 후에 제 2 뚜껑(180)을 제 1 뚜껑(170)에 다시 고정시킴으로써 열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구(190)에 스프를 털어놓기 좋도록 스프 봉지를 커피 믹스와 같이 스프 봉지를 절단 또는 개봉하였을 때 절단면이 원의 형태가 되도록 스프 봉지를 원기둥의 형태로 만들어 몸체의 측면에 부착하여 놓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컵라면 용기는 도 1의 컵라면 용기와 동일한 제 1 뚜껑(170) 및 제 2 뚜껑(180)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컵라면 용기의 손잡이부(120)가 도 1과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손잡이부(120)는 컵라면 용기의 몸체에 뒤집혀진 "ㄷ"자 형상의 손잡이를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의 재질은 컵라면 용기와 동일한 재질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두꺼운 종이와 같이, 컵라면에 물이 들어갔을 때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손잡이는 고정을 위해 금속 재질의 심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몸체의 일 측면에는 긴 타원의 형태로 투명 표시창(210)이 마련될 수 있고, 투명 표시창(210)에는 물의 높이를 안내하는 표시부(220)가 마련되어 있어 물을 얼마만큼 컵라면 용기에 부어야 하는 지를 안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제 2 뚜껑을 확대한 도면을 도시한다.
몸체의 상면을 완전히 덮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뚜껑(170)에는 개구(190)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190)는 물 및 스프를 투입하기 위한 개구(190)로서 제 1 뚜껑(170)을 제거하지 않고 물 및 스프를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뚜껑(180)은 상기 제 1 뚜껑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90)보다 크고, 상기 제 1 뚜껑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뚜껑을 개폐하지 않으면서 물 및 스프를 투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뚜껑(180)의 한 변(330)은 제 1 뚜껑(170)으로부터 완전히 제 2 뚜껑(180)이 분리되지 않도록 제 1 뚜껑(170)과 붙어있을 수 있고, 제 2 뚜껑(180)의 일부분 및 그에 접착되는 제 1 뚜껑(170)의 일부분(310)은 포스트잇의 접착부와 같이 한번 떨어지더라도 접착력이 유지되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어, 제 2 뚜껑(180)을 개봉했다가도 다시 제 1 뚜껑(170)에 붙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뚜껑의 고정대(195)가 마련될 수 있어, 제 2 뚜껑(180)의 볼록한 부분(320)을 고정대(195)에 끼워 제 2 뚜껑(180)이 제대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서 제 2 뚜껑(180)을 개봉하고, 물 및 스프를 개구를 통하여 투입한 후에 제 2 뚜껑(180)을 제 1 뚜껑(170)에 다시 고정시킴으로써 열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뚜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제 2 뚜껑만을 개폐하여 물 및 스프를 투입함으로써 뜨거운 김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컵라면용기 위에 책을 올려놓거나 손으로 뜨거운 김이 새는 곳을 막고 누르고 있어야 할 필요 없이 효과적으로 열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 및 스프 투입이 용이하고, 컵라면을 손으로 잡기에 편리하며, 편하게 넣을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고, 뜨거운 물의 열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제 1 뚜껑(170) 및 제 2 뚜껑(180)을 포함하는 컵라면 용기로서,
    몸체(130)는 기둥형이며,
    상기 몸체의 제 1 부(140) 및 제 2 부(150)는 각각 외겹 및 내겹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부의 외겹은 상기 제 1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160a)을 축으로 펼쳐져 제 1 손잡이부(145)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부의 외겹은 상기 제 2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160b)을 축으로 펼쳐져 제 2 손잡이부(155)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 및 제 2 부의 내겹에 접촉되어 있는 한 변은 기둥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하고,
    상기 몸체는 투명 표시창(110)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표시창은 상기 제 1 부의 내겹 또는 상기 제 2 부의 내겹의 일부에 위치하여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물의 높이를 안내하는 표시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뚜껑(170)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완전히 덮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뚜껑(180)은 상기 제 1 뚜껑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90)보다 크고, 상기 제 1 뚜껑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뚜껑을 개폐하지 않으면서 물 및 스프를 투입하도록 형성되는, 컵라면 용기.

KR1020110094945A 2011-09-21 2011-09-21 컵라면 용기 KR20130031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45A KR20130031400A (ko) 2011-09-21 2011-09-21 컵라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45A KR20130031400A (ko) 2011-09-21 2011-09-21 컵라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00A true KR20130031400A (ko) 2013-03-29

Family

ID=4818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945A KR20130031400A (ko) 2011-09-21 2011-09-21 컵라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14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6178A (zh) * 2014-07-05 2014-09-10 何剑波 一种带安全开关的面条机
KR102131086B1 (ko) * 2019-04-16 2020-07-08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텀블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6178A (zh) * 2014-07-05 2014-09-10 何剑波 一种带安全开关的面条机
KR102131086B1 (ko) * 2019-04-16 2020-07-08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텀블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1400A (ko) 컵라면 용기
KR20060122200A (ko)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CN107149360A (zh) 便携式饮料容器
CA2833899A1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140001528U (ko) 혼합수단이 내장된 포장박스
KR20140050907A (ko) 클립이 부착된 차 거름 용기
KR20140075523A (ko) 띠 형상을 갖는 종이컵 홀더
KR20180106019A (ko) 분리 및 가열 가능한 도시락 용기 세트
KR200450743Y1 (ko) 티백용 컵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TWM524144U (zh) 茶壺及以茶壺作為包裝盒的茶葉禮盒
KR101113953B1 (ko) 안전 컵 홀더
TWM509008U (zh) 沖泡容器、容器蓋及容物匣
KR101721177B1 (ko) 식사도구를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
KR101667337B1 (ko) 분리 및 가열 가능한 도시락 용기 세트
GB2368333A (en) Infuser bag with foldable lid or holder for squeezing out liquid
KR101388256B1 (ko) 컵라면 뚜껑의 고정장치
CN106691158A (zh) 食物烹饪设备及相连的篮筐
KR101167832B1 (ko) 휴대용 가열 용기
JP3163634U (ja) 鍼灸針包装容器
CN211108935U (zh) 带有漏网的新型方便面碗盒
KR20120086482A (ko) 스틱류 제품의 진열 겸용 포장상자
KR20120086805A (ko) 국자로 접을 수 있는 친환경 컵라면 용기 뚜껑 및 접는 법
JP3154695U (ja) カップ入り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