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086B1 - 텀블러 - Google Patents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086B1
KR102131086B1 KR1020190044313A KR20190044313A KR102131086B1 KR 102131086 B1 KR102131086 B1 KR 102131086B1 KR 1020190044313 A KR1020190044313 A KR 1020190044313A KR 20190044313 A KR20190044313 A KR 20190044313A KR 102131086 B1 KR102131086 B1 KR 102131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umbler
container
groove
gripp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Priority to KR102019004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5/28Handles
    • B65D2525/281Details relating to handles
    • B65D2525/286Details relating to handles movable between two or more stable positions, e.g. a retracted and an extend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및 상기 용기 일 측에 형성된 손잡이 홈에서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송하여 접철되는 파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텀블러{TUMBLER}
본 발명은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수용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일시 보관하거나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컵과 같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 용기를 일컫는다. 텀블러의 용도는 물, 맥주, 주스, 차 등 음료를 마실 때 사용되며, 이 외에 하이볼, 진피즈 등 롱 드링크 종류를 마실 때도 쓰인다.
텀블러의 어원은 ‘굴러가다’라는 뜻을 가진 영어의 텀블(tumble)에서 온 말이다. 크기는 6온스 텀블러(180㎖), 8온스 텀블러(240㎖), 10온스 텀블러(300㎖) 등이 있는데, 8온스가 표준이다. 기본형 외에 온더록스(on the rocks)에 쓰이는 주둥이가 넓으며 키가 낮은 올드패션이란 텀블러와, 주스 같은 것을 마실 때 쓰이는 키가 높고 원통형인 좀비 등이 있다.
텀블러의 재료로는 유리가 가장 많고 도자기, 금속, 플라스틱도 있으며, 간편하게 종이로 만든 것도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이러한 텀블러는 대게 컵 보다는 크고, 보온병 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져,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고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조된다. 그리고 뚜껑이 구비된 경우에는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이 더 효과적이고, 또한 밀폐구조를 적용할 수 있어 이동이나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텀블러는 컵 보다 큰 사이즈로 보통 제조되는데 비하여 손잡이가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이동 중에 텀블러를 소지하는데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에 파지수단을 구비하여 컵 대용으로 음료를 마시거나, 또는 보관된 음료를 가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는 텀블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및 상기 용기 일 측에 형성된 손잡이 홈에서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송하여 접철되는 파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손잡이 홈 내측을 커버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가 상기 손잡이 홈 외부에서 보이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손잡이를 잡아 뺄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홈 주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손잡이 홈 내부 상측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타 단부에서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손잡이 홈 내부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결합되는 제2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제2손잡이가 상기 손잡이 홈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파지수단이 접히거나 펴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홈 주변에서 상기 제2손잡이의 타 단부가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제2손잡이가 상기 투시창과 마주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시창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를 설정 각도 범위로 곡면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손잡이 홈 내부 상측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타 단부에서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손잡이 홈 내부 하측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2손잡이의 타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손잡이 홈 내부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2손잡이의 타 단부가 상기 용기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제2손잡이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바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에 따르면,
첫째, 용기에 파지수단이 구비되기 때문에 용량이 큰 텀블러도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고,
둘째, 용기로부터 파지수단이 접철되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고,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셋째, 파지수단의 내측에 단열부재를 구비하여 보온 또는 보냉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넷째, 파지수단이 펴지거나 벤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용기를 안전하게 파지하거나 보관할 수 있으며,
다섯째, 파지수단을 체인 구조로 적용하여 파지감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여섯째, 파지수단의 고정 높이를 조정하여 내용물의 무게중심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텀블러의 파지수단이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텀블러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텀블러의 파지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텀블러의 파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에 대해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텀블러의 파지수단이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텀블러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텀블러의 파지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텀블러(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된 용기(110)와, 용기(110) 외부에 접철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파지수단(120)을 포함한다. 파지수단(120)은 용기(110)로부터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파지수단(120)은 용기(110)에 밀착되는 경우 도 1과 같이 용기와 일체감 있게 손잡이 홈(112) 내부에 삽입되고, 파지수단(120)이 용기(110)로부터 벤딩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면서 손잡이 기능을 제공한다.
먼저, 용기(110)는 내부에 물, 커피 등과 같은 액체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설정 부피의 수용공간(111)이 형성된다. 용기(110)는 단일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진공 구조일 수도 있다.
용기(110)의 형상은 일 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110)의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 또는 증가하거나,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용기(110)의 재질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용기(110)는 상부에 내용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용기(110)의 하부 바닥면은 용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나 코르크 등의 이종재질이 결합될 수 있다.
용기(110)는 일 측에 상하방향으로 손잡이 홈(112)이 형성된다. 용기(110)는 손잡이 홈(112)에 의해 용기(110)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투시창(113)이 구비된다.
이때 투시창(113)은 용기(110) 내부에 구비된 투명 내부용기가 손잡이 홈(112) 상에 노출된 것일 수 있다. 즉, 투시창(113)은 손잡이 홈(112)에만 용기(110) 내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내부용기의 일부가 손잡이 홈(112)에 대응하여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투시창(113)은 투명 또는 적어도 일부 투시되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투시창(113)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경우, 외부에서 수용공간(111)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투시창(113)에는 수용공간(111)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114)가 구비될 수 있다.
용기(110)는 손잡이 홈(112) 주변에 마련되는 파지홈(115)을 포함한다. 파지홈(115)은 손잡이 홈(11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양 측에 배치되며, 파지수단(120)을 사용자가 잡아 뺄 수 있도록 파지수단(120)의 양 측면 일부를 노출시킨다. 여기서 파지홈(115)은 후기할 제1손잡이(121)와 제2손잡이(122)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지수단(120)은 제1손잡이(121)와 제2손잡이(122)를 포함한다.
제1손잡이(121)는 손잡이 홈(112) 내부 상측에서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에는 제2손잡이(122)의 일 단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또한 제2손잡이(122)는 타 단부가 손잡이 홈(112) 내부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용기(110)는 제2손잡이(122)의 타 단부가 손잡이 홈(112)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홈(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홈(116) 내부에는 제2손잡이(122)의 타 단부가 설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스토퍼(117)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손잡이(121)와 제2손잡이(122)는 하나의 링크절로 연동하도록 배치된다.
파지수단(120)의 작동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제1손잡이(121)의 일 단부가 용기(110)로부터 회전하면, 제1손잡이(121)의 타 단부에 결합된 제2손잡이(122)의 일 단부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손잡이 홈(11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제2손잡이(122)의 일 단부가 회전하면서 제2손잡이(122)의 타 단부는 손잡이 홈(112)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슬라이딩 홈(116) 상에서 슬라이딩 이송된다. 제2손잡이(122)의 타 단부는 슬라이딩 홈(116)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스토퍼(117)에 의해 슬라이딩 이송에 간섭이 발생하여 파지수단(120)이 펴진 상태와 벤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잡이(121)와 제2손잡이(122)가 투시창(113)과 마주하는 면에는 단열부재(123)가 구비된다.
단열부재(123)는 투시창(113)과 파지수단(120) 사이에 열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용기(110)가 보온 또는 보냉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부재(123)는 탄성을 가지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단열부재(123)는 합성고무, 실리콘, 폼패드 등으로 구비되어 단열 기능을 보완함과 동시에, 파지수단(120)이 접철 과정에서 투시창(113)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부재(123)는 사용자가 파지수단(120)을 잡았을 때 내용물이 가진 고온 또는 저온의 온도가 갑자기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수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손잡이(121)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124)과, 제2손잡이(122)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125)은 제1손잡이(121) 또는 제2손잡이(122)의 양 단부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손잡이(121)와 제2손잡이(122) 사이에 결합되는 제3회전축(126)은 제1손잡이(121) 또는 제2손잡이(122)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손잡이 홈(112) 내부에 파지수단(120)이 오롯이 삽입되어 용기(110)의 외주면과 삽입된 파지수단(120)의 외주면이 동일한 반경을 갖도록 도시하였지만, 용기(110) 외주면에서 돌출된 구조로 파지수단(120)이 결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손잡이(121)와 제2손잡이(12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손잡이(121)와 제2손잡이(122) 중 어느 하나에서 파지홈(115)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재는 파지수단(120)을 손잡이 홈(112)으로부터 꺼낼 때, 사용자가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파지홈(115)이 형성된 영역 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텀블러의 파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수단(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손잡이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손잡이는 서로 설정 각도의 범위로 회동하여 완만한 곡선 또는 원호 형상으로 예컨대 손목시계의 체인과 같이 접철된다.
도 5에서는 파지수단(140)이 제1손잡이(141) 내지 제5손잡이(145)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손잡이의 개수나 형상 또는 사이즈에 대해서는 변형이 가능하다.
전기한 제1실시예의 파지수단과 같이, 제1손잡이(141)의 일 단부가 손잡이 홈(도 2 참조, 112) 내부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에는 제2손잡이(142)의 일 단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제2손잡이(142)의 타 단부는 제3손잡이(143)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제3손잡이(143)의 타 단부는 제4손잡이(144)의 일 단부와 인지 결합되며, 제4손잡이(144)의 타 단부는 제5손잡이(145)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제5손잡이(145)의 타 단부는 손잡이 홈(112) 내부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손잡이(141) 내지 제5손잡이(145)는 제5손잡이(145)가 슬라이딩 홈(도 2 참조, 116)에서 이송되면서 연동하여 설정 각도록 회전하게 되고, 제5손잡이(145)의 타 단부가 슬라이딩 홈(116)의 상부에서 고정되면 호(弧)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파지수단(140)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고, 손가락과 접촉하는 부분이 넓어짐에 따라서 파지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기한 실시예와 같이, 제1손잡이(141) 내지 제5손잡이(145)의 내측에는 투시창(도 4 참조, 113)과 접촉하는 부분에 단열부재(도 4 참조, 12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텀블러(200)는 용기(110)와 파지수단(220)을 포함한다.
용기(110)는 일 측면에 손잡이 홈(112)이 형성되고, 손잡이 홈(112)은 용기(110)의 하단까지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수단(220)은 손잡이 홈(112)의 하단에서 가압하거나 밀어낼 수 있어 별도의 파지홈이 불필요하다. 또한 파지홈이 없기 때문에 용기 외주면에 보다 일체감 있는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파지수단(220)은 제1손잡이(221)와 제2손잡이(222)를 포함한다. 제1손잡이(221)와 제2손잡이(222)의 연결구조는 전기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2손잡이(222)의 거치방식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손잡이(222)의 타 단부는 대략 고리 또는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23)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23)는 투시창(113)과 마주하거나 반대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용기(110)는 손잡이 홈(112) 내부에 복수개의 고정바(2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손잡이 홈(112)의 가장 하측에 배치된 고정바(213)에 고정부재(223)가 결합되면 파지수단(220)이 용기(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반대로, 손잡이 홈(112) 내부에 파지수단(220)이 위치해 있다가 사용자가 제2손잡이(222)의 타 단부를 밀어 올리면(최 하측의 고정바에서 고정부재(223)가 탈거되면) 파지수단(220)이 용기(110)로부터 일부 분리(제2손잡이(222)의 티 단부가 손잡이 홈(112) 상에서 분리)되고, 고정부재(223)의 결합위치에 따라서 설정된 높이의 고정바에 고정부재(223)가 결합되면서 파지수단(220)이 손잡이로써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 홈(112) 내부의 고정바(213)는 용기(1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저장 용량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실시예에서 투시창(113)에 마련된 눈금자 대신에 고정바(213)에 내용물의 저장 용량에 따른 용량 표기가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단위 저장 용량에 따라서 예컨대 50㎖ 또는 100㎖ 단위 높이에 고정바(213)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기한 실시예들과 같이, 파지수단(220)의 내측면에는 투시창(113)과 접촉하는 부분에 마주하도록 단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체인구조와 같이 복수개의 손잡이가 연결된 곡면 형상의 파지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파지수단(220)의 내측면 또는 단열부재의 내측면에는 파지수단(220)이 손잡이 홈(112) 내부에 결합되는 경우 고정바와 간섭되지 않도록 고정바 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텀블러(200)에 의하면 파지수단(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기(110) 내부에 내용물의 용량에 따른 무게중심을 변경하여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200 : 텀블러
110 : 용기 111 : 수용공간
112 : 손잡이 홈 113 : 투시창
114 : 눈금자 115 : 파지홈
116 : 슬라이딩 홈 117 : 스토퍼
120, 140, 220 : 파지수단 121, 221 : 제1손잡이
122, 222 : 제2손잡이 123 : 단열부재
124 : 제1회전축 125 : 제2회전축
126 : 제3회전축 213 : 고정바
223 : 고정부재 224 : 고정바 홈

Claims (1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및
    상기 용기 일 측에 형성된 손잡이 홈에서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송하여 접철되는 파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손잡이 홈 내측을 커버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가 상기 손잡이 홈 외부에서 보이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손잡이 홈 내부 상측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타 단부에서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손잡이 홈 내부 하측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손잡이를 잡아 뺄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홈 주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손잡이 홈 내부 상측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타 단부에서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손잡이 홈 내부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결합되는 제2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2손잡이가 상기 손잡이 홈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파지수단이 접히거나 펴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홈 주변에서 상기 제2손잡이의 타 단부가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제2손잡이가 상기 투시창과 마주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를 설정 각도 범위로 곡면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2손잡이의 타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손잡이 홈 내부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2손잡이의 타 단부가 상기 용기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제2손잡이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바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KR1020190044313A 2019-04-16 2019-04-16 텀블러 KR102131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13A KR102131086B1 (ko) 2019-04-16 2019-04-16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13A KR102131086B1 (ko) 2019-04-16 2019-04-16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086B1 true KR102131086B1 (ko) 2020-07-08

Family

ID=7160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313A KR102131086B1 (ko) 2019-04-16 2019-04-16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9128A1 (en) * 2021-02-09 2022-08-10 Thermos LLC Beverage container with hanging memb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089A (ja) * 2000-10-25 2002-05-09 Tiger Vacuum Bottle Co Ltd 液体保温容器のハンドル構造
KR20110004080U (ko) * 2009-10-19 2011-04-27 (주)아모레퍼시픽 회전 전개형 걸고리를 갖는 용기
KR20130031400A (ko) * 2011-09-21 2013-03-29 유가연 컵라면 용기
US20170253380A1 (en) * 2016-03-04 2017-09-07 Ignite Usa, Llc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Robust, Collapsible Handle
US20190055062A1 (en) * 2017-08-21 2019-02-21 Dublyu, LLC Fully collapsible handle system and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089A (ja) * 2000-10-25 2002-05-09 Tiger Vacuum Bottle Co Ltd 液体保温容器のハンドル構造
KR20110004080U (ko) * 2009-10-19 2011-04-27 (주)아모레퍼시픽 회전 전개형 걸고리를 갖는 용기
KR20130031400A (ko) * 2011-09-21 2013-03-29 유가연 컵라면 용기
US20170253380A1 (en) * 2016-03-04 2017-09-07 Ignite Usa, Llc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Robust, Collapsible Handle
US20190055062A1 (en) * 2017-08-21 2019-02-21 Dublyu, LLC Fully collapsible handle system and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9128A1 (en) * 2021-02-09 2022-08-10 Thermos LLC Beverage container with hanging member
TWI805198B (zh) * 2021-02-09 2023-06-11 皇冠金屬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吊掛件之飲料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5543B2 (en) Highly adaptable thermal insulator for adapting to an unprecedented range of sizes and shapes of beverage containers
US8690006B1 (en) Tilted grooved beverage drinking container
US20100263549A1 (en) Tea and herb infusing beverage container
KR102131086B1 (ko) 텀블러
US5102000A (en) Drink Mug
US20180140122A1 (en) Food pouch container
KR20230153753A (ko) 텀블러
KR200491069Y1 (ko) 컵 홀더
KR101865549B1 (ko) 위생 마개 구조를 갖는 텀블러
US6138829A (en) Beverage containment device
KR20240063382A (ko) 손잡이로 개폐되는 텀블러
KR200466728Y1 (ko) 유아용 다용도 컵
JP2021019731A (ja) 容器
KR102238587B1 (ko) 절첩식 다용도 홀더
KR200282144Y1 (ko) 컵 삽입용 이중용기
CN213248205U (zh) 一种便于出门携带的手提保温杯
KR200429845Y1 (ko)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CN219680285U (zh) 一种带手柄结构的防烫水杯
KR200493525Y1 (ko) 골프카트용 보온보냉가방 및 이 가방을 구비한 가방세트
CN1730355A (zh) 饮料容器运送箱
KR200412069Y1 (ko) 이중 용기
KR101167284B1 (ko) 휴대용 분식류 포장기구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TWM647574U (zh) 具自動浮出吸管的飲料杯
RU73312U1 (ru) Буты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