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69Y1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069Y1 KR200491069Y1 KR2020180000329U KR20180000329U KR200491069Y1 KR 200491069 Y1 KR200491069 Y1 KR 200491069Y1 KR 2020180000329 U KR2020180000329 U KR 2020180000329U KR 20180000329 U KR20180000329 U KR 20180000329U KR 200491069 Y1 KR200491069 Y1 KR 2004910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handle portion
- user
- handle
- holder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7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insulating sleeves or jackets for cans, bottles, barrels,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는, 컵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타단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이음부를 포함하며, 내주면에 컵을 수용하는 홀더 몸체부, 및 상기 홀더 몸체부의 일면에 한 쌍이 평행 대칭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더 몸체부의 외주면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절단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에 형성되며 원형의 중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 내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1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 및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컵이 수용되는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제조음료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커피전문점 또는 음료전문점의 수가 증가하면서 테이크-아웃(take-out)을 위한 일회용 컵의 사용량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한편, 온도가 높은 음료의 경우 종이 재질의 컵을, 온도가 낮은 음료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컵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컵을 직접 손으로 쥐게 되면 고온 음료의 경우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저온 음료의 경우 컵을 쥔 손에 물기가 맺히게 되므로 손에 컵을 들고 음료를 음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커피전문점 또는 음료전문점에서는 컵 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고온의 음료를 담는 종이 컵 또는 저온의 음료를 담는 플라스틱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기 또는 냉기가 바로 사용자의 손으로 전달되지 않고 컵 홀더를 거쳐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홀더 몸체부의 외주면에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손잡이부는 원형의 중공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컵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손잡이부 일측에 제1굴곡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컵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조립 전에 띠 형태의 컵 홀더를 이음부를 통해 부착 형성하며, 이음부 및 손잡이부는 컵이 수용되는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컵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는, 컵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타단에 일정 면적 중첩되어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이음부를 포함하며, 내주면에 컵을 수용하는 홀더 몸체부, 및 상기 홀더 몸체부의 일면에 한 쌍이 평행 대칭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더 몸체부의 외주면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절단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에 형성되며 원형의 중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 내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1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 및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컵이 수용되는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음부 및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컵이 수용되는 방향에 대하여 45도 이하의 예각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 몸체부는 컵과 접촉하는 상기 내부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 외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굴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음부는 한 쌍이 평행 대칭하여 형성된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공부는 15mm 내지 25mm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부는 5mm 내지 10mm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굴곡부는 1.5mm 내지 3.5mm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컵 홀더에 한 쌍의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한 쌍의 손잡이부에 각각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중공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저온의 음료 또는 고온의 음료가 담긴 컵을 직접적으로 파지하지 않으면서 들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한 손가락을 중공부에 삽입하고 다른 한 손가락을 제1굴곡부에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나머지 손가락들로 전자기기를 조작함에도 컵에 수용된 음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굴곡부를 형성하여, 제1굴곡부를 파지한 다른 한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에 수용된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에 컵이 수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가 형성되기 전 띠 형태로 형성된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사용예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내주면에 수용부가 형성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에 컵이 수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가 형성되기 전 띠 형태로 형성된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사용예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내주면에 수용부가 형성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에 컵(C)이 수용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는, 컵(C)을 수용하도록 일단(110a)이 타단(110b)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이음부(110)를 포함하며, 내주면에 컵(C)을 수용하는 홀더 몸체부(100), 및 홀더 몸체부(100)의 일면에 한 쌍이 평행 대칭하여 형성되며, 홀더 몸체부(100)의 외주면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절단 형성된 손잡이부(200)를 포함하며, 손잡이부(200)는 손잡이부(200)의 중심에 형성되며 원형의 중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210), 및 손잡이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손잡이부(200) 내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손잡이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 제1굴곡부(220)를 포함하고, 이음부(110) 및 손잡이부(200)는 컵(C)이 수용되는 방향에 대하여 예각(θ)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컵 홀더(1)는 홀더 몸체부(100)를 포함한다. 홀더 몸체부(100)는 그 내주면에 일반적인 종이 재질의 컵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 수용면이 하부 수용면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몸체부(100)의 상부 수용면이 하부 수용면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으로 바닥보다 음용부의 직경이 큰 컵(C)을 간극 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홀더 몸체부(100)의 일면에는 홀더 몸체부(100)의 외주면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절단 형성되고, 한 쌍이 서로 평행 대칭하여 손잡이부(200)가 형성된다. 손잡이부(200)는 손잡이부(200)의 중심에 원형의 중공부(210)를 형성하여 컵 홀더(1)의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중공부(21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저온의 음료 또는 고온의 음료가 담긴 컵(C)을 직접적으로 파지하지 않으면서 들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중공부(210)에 끼워지는 사용자의 손가락은 검지손가락 또는 중지손가락일 수 있다. 또한, 중공부(210)의 직경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15mm 내지 25mm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20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200) 내부 방향으로 곡면을 형상의 제1굴곡부(220)가 형성된다. 제1굴곡부(220)는 손잡이부(200)의 내부 방향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제1굴곡부(220)의 곡면 형상은 원주의 일부분일 수 있다. 제1굴곡부(220)가 손잡이부(200)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손잡이부(200)를 지지하게 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을 제1굴곡부(220)에 위치시켜 손잡이부(200)를 지지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가 수용하는 컵(C)이 낙하하지 않도록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제1굴곡부(220)를 지지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은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일 수 있으며, 제1굴곡부(220)를 직접 지지하는 손가락 이외에도 다른 손가락이 제1굴곡부(220)를 직접 지지하는 손가락 아래를 지지함으로써 제1굴곡부(220)를 간접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굴곡부(220)의 곡률반경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최적으로 손잡이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5mm 내지 10mm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가 형성되기 전 띠 형태로 형성된 전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는 띠 형태에서 양단 이음부가 서로 부착되어 컵(C)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이음부(110)의 일단(110a)의 일면이 이음부(110)의 타단(110b)의 타면에 일정 면적 중첩되어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음부(110)의 일단(110a)의 일면이 이음부(110)의 타단(110b)의 타면에 일정 면적 중첩되어 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가 이음부(110)에 의해 결합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띠 형태의 홀더 몸체부(100)에서는 점선 형태의 접철부가 형성되어 컵 홀더(1)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의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의 사용예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에서 이음부(110) 및 손잡이부(200)는 컵(C)이 수용되는 방향에 대하여 예각(θ)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음부(110)와 손잡이부(200)는 컵(C)이 수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잡이부(200)의 중공부(2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중공부(210)에 중지손가락을 삽입하고, 약지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으로 제1굴곡부(220)를 지지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부(210)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다른 손가락으로 제1굴곡부(220)를 통해 손잡이부(200)를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음료가 담긴 컵(C)을 놓지 않고 휴대전화를 조작하는 등의 활동을 해야할 경우가 있다. 이 때, 휴대전화와 같은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선이 전자기기를 바라보도록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사용자의 검지손가락 등은 전자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면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전자기기의 화면을 터치하면서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보다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데, 컵(C)이 수용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손잡이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컵 홀더(1)에 수용된 컵(C)이 기울어지면서 음료가 컵(C) 밖으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는 이음부(110) 및 손잡이부(200)가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보다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컵 홀더(1)에 수용된 컵(C)이 기울어지지 않고, 따라서 컵(C)에 담긴 음료는 컵(C) 밖으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를 통해 음료를 든 상태에서 중공부(210)에 삽입된 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손가락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도 6에서 가상의 선으로 표현되었다.
한편, 이음부 및 손잡이부는 컵이 수용되는 방향에 대하여 45도 이하의 예각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자기기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도 컵 홀더에 수용된 컵을 지지하기에 용이하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서 컵 홀더를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및 사용하지 않을 때 모두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00)는 손잡이부(200) 일측에 형성되며 손잡이부(200) 외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여 손잡이부(200)를 지지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2굴곡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굴곡부는 제1 굴곡부를 지지하는 손가락이 손잡이부(200) 외주면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2굴곡부(230)를 형성하여, 제1굴곡부(220)를 파지한 다른 한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에 수용된 컵(C)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굴곡부(230)는 제1굴곡부(220)를 지지한 다른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는 최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굴곡부(230)의 곡률반경은 1.5mm 내지 3.5mm 일 수 있다.
한편, 이음부(110)는 한 쌍이 평행 대칭하여 형성된 손잡이부(2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손잡이부(200)와 이음부(110), 그리고 다른 하나의 손잡이부(200)가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음부(110)는 두께를 가져 하나의 중공부(210)의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음부(110)가 컵 홀더(1)의 오른쪽 외주면이 왼쪽 내주면과 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의 손가락이 중공부(210)에 삽입될 때, 왼쪽 손잡이부(200) 중공부(210)의 일부를 가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음부(110)가 중공부(210)의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중공부(210)에 삽입될 때 간극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컵 홀더(1)에 수용된 컵(C)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의 내주면에 수용부(120)가 형성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컵(C)과 직접 접촉하는 홀더 몸체부(100)의 내주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수용부(120)는 요철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골판지 소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몸체부(100)의 내주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수용부(120)를 형성함으로써, 컵(C)을 간극없이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컵(C)에 담긴 음료의 열기 또는 냉기 전달을 지연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온의 음료가 담긴 컵(C)에서 컵(C) 외부로 물이 맺히는 경우, 물이 수용부(120)에 스며들어 사용자의 손에 직접 닿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컵 홀더
100 : 홀더 몸체부
110 : 이음부
110a : 일단
110b : 타단
120 : 수용부
200 : 손잡이부
210 : 중공부
220 : 제1굴곡부
230 : 제2굴곡부
θ : 예각
C : 컵
100 : 홀더 몸체부
110 : 이음부
110a : 일단
110b : 타단
120 : 수용부
200 : 손잡이부
210 : 중공부
220 : 제1굴곡부
230 : 제2굴곡부
θ : 예각
C : 컵
Claims (4)
- 삭제
- 삭제
- 컵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타단에 일정 면적 중첩되어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이음부를 포함하며, 내주면에 컵을 수용하는 홀더 몸체부; 및
상기 홀더 몸체부의 일면에 한 쌍이 평행 대칭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더 몸체부의 외주면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절단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에 형성되며 원형의 중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 내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1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 및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컵이 수용되는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홀더 몸체부는
컵과 접촉하는 상기 내주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 외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굴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음부는 한 쌍이 평행 대칭하여 형성된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컵 홀더.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329U KR200491069Y1 (ko) | 2018-01-22 | 2018-01-22 | 컵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329U KR200491069Y1 (ko) | 2018-01-22 | 2018-01-22 | 컵 홀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928U KR20190001928U (ko) | 2019-07-31 |
KR200491069Y1 true KR200491069Y1 (ko) | 2020-02-17 |
Family
ID=6743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0329U KR200491069Y1 (ko) | 2018-01-22 | 2018-01-22 | 컵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06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3326A (ko) | 2022-07-22 | 2024-01-30 | 오세군 | 컵 홀더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7467B1 (ko) | 2016-09-26 | 2017-02-16 | 박일훈 | 일회용 컵홀더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0256Y1 (ko) * | 1984-11-13 | 1987-02-11 |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 보온내피 |
KR20100063278A (ko) | 2008-12-03 | 2010-06-11 | 강명환 | 일회용컵 손잡이 |
JP3154204U (ja) * | 2009-07-23 | 2009-10-08 | 東名化学工業株式会社 | カップ用のスリーブ及びそれを用いたスリーブ付カップ |
KR20140028487A (ko) * | 2012-08-29 | 2014-03-10 | 두선산업 주식회사 | 일회용 컵의 홀더 |
-
2018
- 2018-01-22 KR KR2020180000329U patent/KR20049106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7467B1 (ko) | 2016-09-26 | 2017-02-16 | 박일훈 | 일회용 컵홀더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154204 U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3326A (ko) | 2022-07-22 | 2024-01-30 | 오세군 | 컵 홀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928U (ko) | 2019-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55805A (en) | Cup holder | |
US5950856A (en) | Plate and cup holder | |
US8573437B1 (en) | Food plate and beverage container holder | |
US20140091101A1 (en) | Tilted grooved beverage drinking container | |
US8348091B1 (en) | Cocktail plate | |
US8985379B1 (en) | Food plate and beverage container holder | |
US5613720A (en) | Cup holder | |
KR101707467B1 (ko) | 일회용 컵홀더 | |
EP3073872B1 (en) | Plate | |
WO2014133673A2 (en) | Party plate | |
US20220110469A1 (en) | Serving Tray | |
KR101243076B1 (ko) | 종이컵 홀더 | |
KR200491069Y1 (ko) | 컵 홀더 | |
WO2014042521A1 (en) | Serving tray | |
KR102289413B1 (ko) | 이중 구조의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85922Y1 (ko) | 컵 받침 겸용 종이 컵 홀더 | |
KR200466532Y1 (ko) | 휴대용 컵 | |
US20140231438A1 (en) | Food and drink plate | |
US9044111B2 (en) | Cocktail plate | |
KR100851814B1 (ko) | 컵홀더 | |
KR20140075523A (ko) | 띠 형상을 갖는 종이컵 홀더 | |
CN209932313U (zh) | 一种不烫手的一次性水杯杯托 | |
CA2861482C (en) | Cocktail plate | |
KR20120006515U (ko) | 컵 홀더 | |
US20070045329A1 (en) | Cup having a burn-preven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