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635Y1 - 접이식 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635Y1
KR200354635Y1 KR20-2004-0010190U KR20040010190U KR200354635Y1 KR 200354635 Y1 KR200354635 Y1 KR 200354635Y1 KR 20040010190 U KR20040010190 U KR 20040010190U KR 200354635 Y1 KR200354635 Y1 KR 200354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lding
container bottom
side wall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20-2004-0010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6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원형으로 형성된 강성의 용기바닥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바닥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무재질의 접이부(20)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이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강성의 상부측벽(30)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바닥부(10)와 접이부(20)의 경계부분과 상기 접이부(20)와 상부측벽(30)의 경계부분에 요홈(15,25)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용기바닥부(10)의 저면에 흡착기구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하여, 용기몸체의 측벽을 변형시켜 접음으로써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보관하고 휴대할 수 있으며, 흡착판을 통해 벽면에 간편하게 부착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바닥면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용기몸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용기{ A foldable receptacle }
본 고안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가 개방된 용기의 측벽 일부를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수대야나 바가지와 같은 용기는 형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사용시의 부피가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특히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벽면의 못에 걸어 두기도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용기몸체의 일측에 구멍을 천공하고 끈이나 철사를 묶어야 하므로 벽에 못을 치고 끈이나 철사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몸체의 측벽을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보관하고 휴대할 수 있으며 벽면이나 바닥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다른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용기바닥부 15 : 제1요홈
20 : 접이부 25 : 제2요홈
30 : 상부측벽 41 : 결합브라켓
42,42' : 흡착판 51 : 수결합구
52 : 암결합구 53 : 벨크로우즈 테잎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형으로 형성된 강성의 용기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무재질의 접이부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강성의 상부측벽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바닥부와 접이부의 경계부분과 상기 접이부와 상부측벽의 경계부분에 요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용기바닥부의 저면에 흡착기구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일실시예는 원형으로 형성된 강성의 용기바닥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바닥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무재질의 접이부(20)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이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강성의 상부측벽(30)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바닥부(10)와 접이부(20)의 경계부분과 상기 접이부(20)와 상부측벽(30)의 경계부분에 요홈(15,25)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용기바닥부(10)의 저면에 흡착기구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기바닥부(1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접이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접이부(20)와의 경계부분에 제1요홈(15)이 형성되어 접이부(20)가 용기바닥부(10)에 대하여 용이하게 절곡된다.
상기 접이부(20)는 연성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상단에 상부측벽(30)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부측벽(30)과의 경계부분에 제2요홈(25)이 형성되어 상부측벽(30)에 대하여 용이하게 절곡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부(20)는 상기 제1요홈(15)을 따라 상기용기바닥부(10)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변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요홈(25)을 따라 상부측벽(30)이 접이부(20)와 포개어짐으로써 상기 상부측벽(30)이 상기 용기바닥부(10)에 대하여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이부(20)는 도 3와 같이 변형된 상태에서도 환형의 띠형상을 유지하려는 관성이 작용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부측벽(30)이 용기바닥부(10)의 아래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외부의 힘이 가해지게 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기구는 상기 용기바닥부(10)의 저면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결합브라켓(41)과, 상기 결합브라켓(41)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벽면이나 바닥면에 압착되는 흡착판(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브라켓(41)은 일측에 흡착판 수용홈이 형성되어 흡착판(42)을 끼워 지지하게 되고, 상기 흡착판(42)은 일측이 상기 결합브라켓(41)의 흡착판 수용홈에 끼워지며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이나 벽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벽면에 상기 흡착판(42)을 부착함으로써 용기를 벽면에 고정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바닥면에 흡착판(42)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용기바닥부(10)를 바닥면에 고정시켜 미끄러지지 않고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다른 일실시예는 상기 접이부(20)의 외측에 수결합구(51)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바닥부(10')의 외측에 암결합구(52)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바닥부(10')의 저면에 흡착판(4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결합구(51)는 상기 암결합구(52)와 탈착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이부(20)가 상기 용기바닥부(10')에 포개어지게 변형된 상태에서 접이부(20)와 용기바닥부(10')를 결합시키게 되고, 벨크로우즈 테잎(53)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흡착판(42)은 용기바닥부(10)의 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바닥부(10)를 벽면이나 바닥면에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 용기바닥부(10)는 가장자리를 따라 선단이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부(20)가 변형된 상태에서도 용기바닥부(10)에 액체를 담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용기에 의하면, 용기몸체의 측벽을 변형시켜 접음으로써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보관하고 휴대할 수 있으며, 흡착판을 통해 벽면에 간편하게 부착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바닥면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용기몸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원형으로 형성된 강성의 용기바닥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바닥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무재질의 접이부(20)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이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강성의 상부측벽(30)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접이식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부(10)와 접이부(20)의 경계부분과 상기 접이부(20)와 상부측벽(30)의 경계부분에 요홈(15,25)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20)의 외측과 상기 용기바닥부(1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결합구(51)와 암결합구(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부(10)의 저면에 흡착기구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KR20-2004-0010190U 2004-04-13 2004-04-13 접이식 용기 KR200354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190U KR200354635Y1 (ko) 2004-04-13 2004-04-13 접이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190U KR200354635Y1 (ko) 2004-04-13 2004-04-13 접이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635Y1 true KR200354635Y1 (ko) 2004-06-30

Family

ID=4943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190U KR200354635Y1 (ko) 2004-04-13 2004-04-13 접이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6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32B1 (ko) * 2012-01-11 2012-07-26 이태림 휴대용 가열 용기
WO2012161523A2 (en) * 2011-05-24 2012-11-29 You Suk Gyeong Portable heating contai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523A2 (en) * 2011-05-24 2012-11-29 You Suk Gyeong Portable heating container
WO2012161523A3 (en) * 2011-05-24 2013-01-31 You Suk Gyeong Portable heating container
KR101167832B1 (ko) * 2012-01-11 2012-07-26 이태림 휴대용 가열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7179S1 (en) Oval container
USD612021S1 (en) Fluid coupling face
USD619822S1 (en) Folding tray table
USD515942S1 (en) Muffin tray
USD511442S1 (en) Peeler
USD514779S1 (en) Sandal
USD491271S1 (en) Massage device
USD499329S1 (en) Wall hook
USD562154S1 (en) Container having a shoulder and flutes
USD475141S1 (en) Handheld acupressure applicator
USD514432S1 (en) Flexible hose component connector
USD504172S1 (en) Primary roof vent
USD544448S1 (en) Transition adapter for electrical conduit
USD506126S1 (en) Captive line cleat
KR200354635Y1 (ko) 접이식 용기
USD517308S1 (en) Bladder with a tethered top and hose
USD534670S1 (en) Luminous body
USD565749S1 (en) Shim for tilt wall construction
USD565748S1 (en) Shim for tilt wall construction
USD509158S1 (en) Bubble level
USD496446S1 (en) Shower fixture
USD456488S1 (en) Hose nozzle with ring design
USD482956S1 (en) Split coupling
USD515939S1 (en) Container
USD482598S1 (en) Coupling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