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823B1 -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의 도어패널 - Google Patents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의 도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823B1
KR101167823B1 KR1020110117442A KR20110117442A KR101167823B1 KR 101167823 B1 KR101167823 B1 KR 101167823B1 KR 1020110117442 A KR1020110117442 A KR 1020110117442A KR 20110117442 A KR20110117442 A KR 20110117442A KR 101167823 B1 KR101167823 B1 KR 101167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improved durability
connection assembly
shap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춘
김병남
Original Assignee
김병남
김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남, 김병춘 filed Critical 김병남
Priority to KR102011011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55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측 테두리부재(115)(116)를 포함하여 각 단위별로 조합되고, 이송 및 제어수단측에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출입구로부터 승강식 도어를 이루는 도어패널(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100)은 알루미늄소재로서 압출성형되며, 상부에 연결조립부(101), 지지돌부(102)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측에 형성된 연결조립부(101)와 지지돌부(102)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조립부(103), 지지홈부(104)가 형성된 성형 강재(110)가 다수개 연속으로 상,하 조합되며, 연결조합되는 성형강재(110)의 양측에는 상기 좌우측 테두리부재(115)(116)로서 마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각각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성형 강재는 다수개 종방향으로 배열 조합한 다음 그 양측에서 좌우측 테두리부재로서 마감 설치하여 하나의 단위로 이루어지는 도어패널을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판넬방식의 도어패널에 비해 외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어패널의 횡방향 길이에 따라 포밍기를 세팅할 필요없이 요구하는 길이로 성형, 절단하여 연결조합하는 형태로서 제작이 매우 간단해지는 이점과 함께 각각의 성형 강재는 압출성형후 별도의 도장처리에 의해 단위별로 도어패널 조합시 전면에 압춥성형시 형성된 문양 홈과 요구하는 색상을 표현되도록 하여 승강식 도어를 이룸에 있어 미감을 다양하게 창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의 도어패널{Durability and unit of measure that improve assembly, descent type of door panel}
본 발명은 승강식 도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대형건물의 출입구를 승강식으로 개폐시키는 도어패널에 있어, 도어를 이루도록 각 단위별로 조합되는 도어패널의 제작을 간단하게 제작함은 물론, 외압에 의한 전면, 후면을 포함한 측면의 내구성을 높여 승강식 도어의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포, 차고 등과 같은 각종 생산공장, 물류센터, 크게는 항공기 격납고, 소방서차고 및 변전소 등과 같이 대형 구조물에 있어서는 물품의 운반, 보관 등에 유리하도록 차량의 진출이 가능하도록 대형 승강식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승강식 도어는 통상적으로 작은 점포 등에 설치되는 롤 타입의 셧터 방식에 비하여 다수개의 단위로 된 도어패널을 연속되게 조합하여 연속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부 내측에서 가이드 상에 그대로 안내되도록 하여 출구를 개방하는 오버헤드 도어(Overhead dood)와 각 도어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킨 다음 상부측에 상승된 각각의 단위로 된 도어패널을 순차로 나열시켜 출구를 완전 개방되도록 하는 디펜스도어(Defense door)가 설치된다.
상기 디펜스도어의 일 예는, 각각의 도어패널이 각각 단위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정면이나 측면으로부터 설치되는 가이드포스트(1)에 대해 디스펜스도어의 승하강 설치 및 출입구 형성을 위해 소정거리를 두고 대응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와, 상기 가이드레일(2)의 상부측 지지패널(3)로부터 대응 설치되는 스프라켓휠(4) 및 상기 스프라켓휠(4)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M)와, 상기 스프라켓휠(4)을 통한 체인(5)은 별도로 구비되는 연결구(6)를 통해 가이드레일(2)의 길이방향 내에 설치되어 각각의 도어패널(7)과 연결되어 미도시된 제어수단으로 하여금 승,하강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디펜스도어를 구축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 상기 도어패널(7)은 설치되는 범위에 따라 적게는 5M에서 크게는 10M에 이르기까지 그 횡방향으로 길게 제작되어 설치되는바, 보통 변전소나, 항공기 격납고 등과 같이 대형 건축구조물에 적용 설치된다.
상기 승강식 도어는 태풍으로부터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도어패널의 내구성을 강화하여 설치되고 있다.
참고로, 대형 승강식 도어의 경우, 강풍에 휨 발생은 전반적으로 도어의 개폐가 어렵게 되어 시설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보통 판넬 타입으로 제작되는 도어패널은 강한 외풍으로 하여금 도어패널이 휨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그 내부에는 수개의 금속소재의 지지바(프레임)를 지그재그 타입으로 용접 실시하여 도어패널의 형태 유지와 외압에 대해 내구성이 있게 제작된다.
또한, 도어패널의 내측에는 단열효과와 함께 도어의 외형에 대한 내구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발포우레탄 폼이 내측에 발포/충진되는 것으로, 각 전면판, 후면판, 상,하부 프레임, 측면프레임의 조합으로서 하나의 도어패널이 제작된다.
상기 도어패널의 휨 방지를 위해 그 내부에 설치된 수개의 지지바는 내구성을 보완할 수 있는 구조이지만, 그 설치에 따른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21342호(명칭: 건축구조물용 도어패널의 보강구조)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는 전면판(11), 후면판(12), 상,하부 테두리부재(13),(14) 및 좌우측 테두리부재(15)(16)로서 직사각형체가 되게 조합되고, 내부에 발포우레탄 폼(F)이 발포/충진된 단위별 도어패널(10)을 하나의 도어로서 형성하여 건축구조물의 출입구 측에 마련되는 구동수단을 통해 승,하강 개폐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10)의 좌우측 테두리부재(15)(16)가 설치되는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내부 양측에 체결나사(S)에 의해 보강프레임(17)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프레임(17)을 상호 연결하여 도어패널(10)의 길이방향을 긴장 지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20)가 도어패널(10) 내에 횡으로 연결 설치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0)는 보강프레임(17)에 관통되어 너트(N)에 의해 체결되는 아이볼트(21)와, 상기 아이볼트(21)를 연결하는 와이어(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패널(10)의 길이에 따라 그 내부에 상하부프레임(15),(16)과 전면판(11), 후면판(12)을 고정하는 한편, 아이볼트(21)의 단부를 너트(N)의 체결 고정으로 지지하기 위한 중간 지지프레임(18)이 더 설치된 도어패널의 보강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도어패널의 구성에 있어서, 전면판과 후면판의 제작은 포밍기에 의해 상부와 하부측을 직각으로 절곡하는 작업에 의해 제작되는바, 상기 포밍기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횡방향 길이에 대하여 매번 세팅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포밍기의 운영상에 따른 취급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면판과 후면판은 비교적 얇은 철판을 절곡 형성하고, 이들을 상,하부 테두리부재과 좌우측 테두리부재의 조합으로서 직사각형의 긴 패널을 이루고, 그 내부에 발포우레탄 폼 충전 및 지지프레임, 와이어로서 도어패널의 강도를 구축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얇은 철판으로 절곡된 전면판과 후면판은 외압에 의해서 쉽게 움푹 들어가는 변형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외형 변형조건에서 상기한 보강요소들은 태풍이나 기타 외부압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제작에서도 포밍기의 세팅을 포함한 많은 공정을 요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현저히 낮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대형건물의 출입구를 승강식으로 개폐시키는 도어패널에 있어, 도어를 이루도록 각 단위별로 조합되는 도어패널의 제작을 간단하게 제작함은 물론, 외압에 의한 전면, 후면을 포함한 측면의 내구성을 높여 승강식 도어의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도어패널의 조합에 따라 미감을 갖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측 테두리부재를 포함하여 각 단위별로 조합되고, 이송 및 제어수단측에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출입구로부터 승강식 도어를 이루는 도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은 알루미늄소재로서 압출성형되며, 상부에 연결조립부, 지지돌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측에 형성된 연결조립부와 지지돌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조립부, 지지홈부가 형성된 성형 강재가 다수개 연속으로 상,하 조합되며, 연결조합되는 성형강재의 양측에는 상기 좌우측 테두리부재로서 마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각의 성형 강재 전면에는 문양 홈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각의 성형 강재 요구하는 색상으로 도장처리되어 조합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돌부는 반구형상으로 상향 돌출되고, 지지홈부는 반구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조립부는 단면이 T형으로 된 결합돌기 형상과 T형으로 된 가이드레일 홈 형상이 각각 한 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수개의 성형 강재 중 상부에 위치한 성형 강재의 상부측 연결조립부와 하부에 위치한 성형 강재의 하부측 연결조립부에는 연속되는 도어패널의 마찰과 소음을 줄이기 위한 완충재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도어패널은, 각각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성형 강재는 다수개 종방향으로 배열 조합한 다음 그 양측에서 좌우측 테두리부재로서 마감 설치하여 하나의 단위로 이루어지는 도어패널을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판넬방식의 도어패널에 비해 외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어패널의 횡방향 길이에 따라 포밍기를 세팅할 필요없이 요구하는 길이로 성형, 절단하여 연결조합하는 형태로서 제작이 매우 간단해지는 이점과 함께 각각의 성형 강재는 압출성형후 별도의 도장처리에 의해 단위별로 도어패널 조합시 전면에 압춥성형시 형성된 문양 홈과 요구하는 색상을 표현되도록 하여 승강식 도어를 이룸에 있어 미감을 다양하게 창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승강식 도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승강식 도어의 도어패널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도어패널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도어패널을 이루는 성형 강재들의 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패널이 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패널의 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강재의 상부측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강재의 하부측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좌우측 테두리부재(115)(116)를 포함하여 각 단위별로 조합되고, 이송 및 제어수단측에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출입구로부터 승강식 도어를 이루는 도어패널(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100)은 알루미늄소재로서 성형 강재(110)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상기 성형 강재(110)의 상부에 연결조립부(101), 지지돌부(102)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측 연결조립부(101)와 지지돌부(102)에 대응되어 조합되는 연결조립부(103), 지지홈부(104)가 형성된 성형 강재(110)가 다수개 연속으로 상,하 조합되며, 연결조합되는 양측에는 상기 좌우측 테두리부재(115)(116)로서 마감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성형 강재(110) 전면에는 문양 홈(105)이 일체로 다수개 성형된다.
상기 각각의 성형 강재(110)들은 압출성형 이후 요구하는 색상으로 도장처리되어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돌부(102)는 반구형상으로 상향 돌출되고, 지지홈부(104)는 반구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연결조립부(101),(103)는 단면이 T형으로 된 결합돌기 형상과 T형의 가이드레일 홈 형상이 각각 한 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와 가이드레일 홈은 하나의 성형 강재(110)에 있어, 상부측과 하부측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조합에 따른 내구성을 갖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개의 성형 강재(110) 중 상부에 위치한 성형 강재의 상부측 연결조립부(101)와 하부에 위치한 성형 강재(110)의 하부측 연결조립부(103)에는 연속되는 도어패널(100)의 마찰과 소음을 줄이기 위한 완충재(106)가 삽입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승강식 도어패널의 조합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출성형 된 성형 강재(110)들은 제작하고자 하는 승강식 도어의 회방향 폭에 준하도록 각 동일한 길이로 절단한다.
절단된 성형 강재(110)는 4개를 단위로 하여 조합하여 하나의 도어패널(100)로서 제작하며, 각 성형 강재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연결조립부(101)(103), 지지돌부(102), 지지홈부(104)를 상호 교호로 성형 강재(110)의 일측에서부터 슬라이딩방식으로 연결조립부인 T형의 결합돌기와 T형의 가이드레일 홈에 맞추어 연결 조합한다.
상기 연결조립부(101)(103)를 포함한 지지돌부(102)는 지지홈부(104)에 안내되어 성형 강재(110)가 상호 지지되는 형태는 상,하 3지점이 맞물려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 후에는 더욱 안정된 하나의 도어패널(100)을 구축하게 된다.
더욱이 조합되는 성형 강재들은 속이 빈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압출 성형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체 내구성을 갖추면서 특히 이들의 연결조합은 외압에 대한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속이 빈 상태의 성형 강재는 그대로 조합할 수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내부에 단열효과를 갖는 발포우레탄 폼을 충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조합된 상태에서 최상부에 위치한 성형 강재의 연결조립부인 가이드레일 홈과 최하부에 위치한 성형강재의 연결조립부인 가이드레일 홈에는 완충재가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내되고, 조합된 성형 강재(110)의 양측에는 좌우측 테두리부재(115)(116)를 덧대어 성형 강재 양단부가 안내되도록 함 상태에서 리벳팅 혹은 체결나사 등을 이용한 조합으로 하나의 도어패널(10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성형 강재(110)들은 전에 문양 홈(105)이 형성되어 미관을 갖추고, 특히 압출성형 이후 도장처리됨으로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색상으로 조합하여 도어패널을 형성함으로써, 승강식 도어의 다양한 미감을 줄 수 있다.
상기 완충재(106)는 상기와 같이 제작된 도어패널(100)을 이송수단에 연속되게 연결 설치함에 있어, 도어패널과 도어패널 사이의 마찰을 줄여 마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마찰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패널(100)은 기존의 판넬을 이용한 제작방식에 비해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승강식 도어를 구축에 의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고, 태풍이나 직접적인 외압에 의한 내구성이 보장되어 안정되고 견고한 도어를 제공하며, 다수개로 이루어진 성형 강재의 색상 조합에 의해 미적 감각을 부여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제공된다.
100: 도어패널 101,103: 연결조립부
102: 지지돌부 104: 지지홈부
105: 문양 홈 106: 완충재
110: 성형 강재 115,116: 좌우측 테두리부재

Claims (6)

  1. 좌우측 테두리부재(115)(116)를 포함하여 각 단위별로 조합되고, 이송 및 제어수단측에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출입구로부터 승강식 도어를 이루는 도어패널(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100)은 알루미늄소재로서 압출성형되며, 상부에 연결조립부(101), 지지돌부(102)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측에 형성된 연결조립부(101)와 지지돌부(102)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조립부(103), 지지홈부(104)가 형성된 성형 강재(110)가 다수개 연속으로 상,하 조합되며, 연결조합되는 성형강재(110)의 양측에는 상기 좌우측 테두리부재(115)(116)로서 마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성형 강재(110) 전면에는 문양 홈(105)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성형 강재(110)는 도장처리되어 색상 조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102)는 반구형상으로 상향 돌출되고, 지지홈부(104)는 반구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립부(101), (103)는 단면이 T형으로 된 결합돌기 형상과 T형으로 된 가이드레일 홈 형상이 각각 한 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성형 강재(110) 중 상부에 위치한 성형 강재의 상부측 연결조립부(101)와 하부에 위치한 성형 강재(110)의 하부측 연결조립부(103)에는 연속되는 도어패널(100)의 마찰과 소음을 줄이기 위한 완충재(106)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패널.
KR1020110117442A 2011-11-11 2011-11-11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의 도어패널 KR101167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442A KR101167823B1 (ko) 2011-11-11 2011-11-11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의 도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442A KR101167823B1 (ko) 2011-11-11 2011-11-11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의 도어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823B1 true KR101167823B1 (ko) 2012-07-26

Family

ID=4671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442A KR101167823B1 (ko) 2011-11-11 2011-11-11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의 도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8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91B1 (ko) 2012-08-14 2014-05-28 김병남 승강식 단열 도어패널
KR20180071656A (ko) 2016-12-20 2018-06-28 배유근 인버터 제어를 이용한 통합 컨트롤러
KR101885496B1 (ko) 2018-01-10 2018-09-10 김영석 승강식 도어용 프로파일 및 이로 만들어진 선체용 격납고 도어
KR101999115B1 (ko) 2018-05-02 2019-07-11 김병철 단열성이 강화된 승강식 개폐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509Y2 (ja) 1989-06-28 1995-05-31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ヤッター用パネル
JP2000038883A (ja) 1998-06-12 2000-02-08 Fit Carrosserie パネル連結型閉塞ドア
KR100894724B1 (ko) 2008-10-02 2009-04-24 공간산업(주) 오버헤드 도어용 패널의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509Y2 (ja) 1989-06-28 1995-05-31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ヤッター用パネル
JP2000038883A (ja) 1998-06-12 2000-02-08 Fit Carrosserie パネル連結型閉塞ドア
KR100894724B1 (ko) 2008-10-02 2009-04-24 공간산업(주) 오버헤드 도어용 패널의 보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91B1 (ko) 2012-08-14 2014-05-28 김병남 승강식 단열 도어패널
KR20180071656A (ko) 2016-12-20 2018-06-28 배유근 인버터 제어를 이용한 통합 컨트롤러
KR101885496B1 (ko) 2018-01-10 2018-09-10 김영석 승강식 도어용 프로파일 및 이로 만들어진 선체용 격납고 도어
KR101999115B1 (ko) 2018-05-02 2019-07-11 김병철 단열성이 강화된 승강식 개폐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823B1 (ko)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의 도어패널
EP2923022B1 (en) Frame
CN101481981A (zh) 墙壁、门或窗户组件
CN106837066B (zh) 一种边框拼接型材、外框拼接系统及拼接方法
CN104114797A (zh) 单导轨系统和用于低过梁的组合式卷收门
KR101260614B1 (ko) 외풍 및 소음차단기능이 구비된 승강식 도어패널
CA2543809A1 (en) Sectional overhead garage door having the simulated appearance of a carriage house door
US20150368965A1 (en) Transparent roller shutter
CN201310292Y (zh) 一种新型铝合金卷帘门装置
US20110197539A1 (en) Shutter border frame with channel and cover plug
US20030221803A1 (en) Roll-up door with foam core
CN206753334U (zh) 一种边框拼接型材及外框拼接系统
CN102493732A (zh) 端头呈45度连接角的外木内铝内开门窗
KR102667445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도어패널 조립체
KR100721342B1 (ko) 건축구조물용 도어패널의 보강구조
KR101400491B1 (ko) 승강식 단열 도어패널
CN105946988A (zh) 一种新型四开门消防车驾驶室顶盖总成
CN204899734U (zh) 一种一体化卷帘窗
KR102413134B1 (ko) 단열성 및 소음차단성이 강화된 승강식 도어패널 구조체
CN217151800U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塑钢门窗
CN212898178U (zh) 一种配套不同规格门扇用模块化排骨安装结构
CN2448900Y (zh) 一种组合式伸缩门框
US20240060356A1 (en) Modular barrier panel frame reinforcement systems and methods
CN210798677U (zh) 一种便于安装施工的装配式建筑玻璃幕墙
CN201771357U (zh) 一种卡扣式方柱门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