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868B1 -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868B1
KR101166868B1 KR1020100099242A KR20100099242A KR101166868B1 KR 101166868 B1 KR101166868 B1 KR 101166868B1 KR 1020100099242 A KR1020100099242 A KR 1020100099242A KR 20100099242 A KR20100099242 A KR 20100099242A KR 101166868 B1 KR101166868 B1 KR 10116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hinge
hole
long hole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652A (ko
Inventor
김진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Priority to KR102010009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8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60N2/757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in a recess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차량용 시트를 이루는 시트백에 부설되어 탑승객의 팔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암레스트의 인출 및 인입을 도모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의 일측에 취부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의 옆으로는 반원 형태로 연장되는 안내공이 형성되되, 상기 안내공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힌지판체; 상기 암레스트의 일측에 힌지체결되어 암레스트의 힌지회동을 도모하면서 힌지판체의 장공에 수용되도록 돌출됨으로써 암레스트를 밀면 장공에서 이동되는 힌지구; 상기 암레스트의 일측에서 걸림턱에 수용되도록 돌출되어 암레스트의 하부를 밀면 걸림턱에서 이탈된 후 안내공에서 안내되어 암레스트를 시트백에서 인출시킬 수 있는 회동구; 상기 힌지구를 수용하면서 일측은 힌지판체에 고정되며 타측은 회동구에 걸림되어 회동구를 안내공에 안내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힌지판체에 형성된 장공 부위에 형성되어 힌지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고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손쉽게 암레스트의 인출이 이루어져 편리하게 사용되면서도 차량의 주행 중에 암레스트의 떨림을 방지하여 인출된 암레스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Hinge-structure of seat arm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부설되어 탑승객의 팔은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암레스트를 회동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백에서 부설되는 암레스트를 탄성력에 의해 인출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레스트는 차량 시트를 이루는 시트백의 중앙에서 인출되어 탑승객의 팔을 안착시켜 안락한 탑승을 도모하는 것으로, 이러한 암레스트가 인출되는 형태는, 시트백의 중앙에 암레스트가 인입되어 있는 부설홈이 구성되고 상기 부설홈에 손을 넣어 암레스트의 상측을 잡고 아래로 회동시켜 인출하게 되어 탑승객의 팔을 안착할 수 있도룩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시트백에서 인출된 암레스트는 차량의 주행 중에 떨림이 일어나 내부 부품의 파손을 야기시키거나 떨림에 따른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개발된 암레스트는, 암레스트가 인입되는 시트백 내부에 기어부재를 형성되고 기어부재에 대응되는 기어를 암레스트 후측에 형성하여 상호 치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어가 상호 치합된 상태로 암레스트가 시트백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어 차량의 주행 중에 암레스트의 떨림을 차단하고자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암레스트 구조는 기어부재가 시트백에 부설되며 암레스트에도 기어부재에 대응되는 기어가 필수적으로 형성되어야 작동되기 때문에 그 설치비용이 고가로 이루어져 일반차량에 접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기어가 치합된 암레스트를 회동하기가 어려려 구동이 원활하지 않으며 기어가 치합됨에 따라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백에서 부설되는 암레스트를 탄성력에 의해 인출할 수 있는 암레스트 힌지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의 주행 중에 암레스트의 떨림을 방지하면서도 암레스트의 인출 또는 인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차량용 시트를 이루는 시트백에 부설되어 탑승객의 팔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암레스트의 인출 및 인입을 도모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의 일측에 취부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의 옆으로는 반원 형태로 연장되는 안내공이 형성되되, 상기 안내공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힌지판체; 상기 암레스트의 일측에 힌지체결되어 암레스트의 힌지회동을 도모하면서 힌지판체의 장공에 수용되도록 돌출됨으로써 암레스트를 밀면 장공에서 이동되는 힌지구; 상기 암레스트의 일측에서 걸림턱에 수용되도록 돌출되어 암레스트의 하부를 밀면 걸림턱에서 이탈된 후 안내공에서 안내되어 암레스트를 시트백에서 인출시킬 수 있는 회동구; 상기 힌지구를 수용하면서 일측은 힌지판체에 고정되며 타측은 회동구에 걸림되어 회동구를 안내공에 안내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힌지판체에 형성된 장공 부위에 형성되어 힌지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고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시트백에서 부설되는 암레스트가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할 수 있는 암레스트 힌지구조로 이루어면서도 고정스프링에 의해 암레스트의 인입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암레스트의 인출이 이루어져 편리하게 사용되면서도 암레스트의 인출 및 인출 시에 고정스프링과 토션스프링이 암레스트를 각각 고정하게되므로 차량의 주행 중에 암레스트의 떨림을 방지하여 인출된 암레스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가 적용되는 시트프레임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의해 암레스트가 인출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b), (c)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가 작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가 적용되는 시트프레임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의해 암레스트가 인출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차량용 시트를 이루는 시트백(5)에 부설되어 탑승객의 팔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1)를 탄성력으로 인해 힌지회동시킴으로써 암레스트(1)의 인출 및 인입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1)의 일측에 취부되는 힌지판체(10), 상기 힌지판체(10)에 수용되어 암레스트(1)의 회동을 도모하는 힌지구(20) 및 회동구(30), 상기 회동구(30)에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40), 상기 힌지구(20)에 탄성력을 가하는 고정스프링(50)으로 구성되어진다.
우선 시트백(5)으로는 암레스트(1)를 부설할 수 있는 부설홈(6)이 형성되어 암레스트(1)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판체(10)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암레스트(1)의 일측에 취부되며, 더욱 자세히는 암레스트(1)의 인출 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시트백(5)의 부설홈(6)에 부설된 형태로 암레스트(1)의 일측에 취부된다.
또한 상기 힌지판체(10)의 일측으로 후술되는 힌지구(20)를 수용하는 장공(11)이 형성되고 장공(11)의 옆으로는 반원 형태로 연장되되, 반원 형태의 일측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회동구(30)를 수용하는 안내공(13)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구(20)는 힌지판체(10)가 취부되는 암레스트(1)의 일측에 힌지체결되어 힌지판체(10)의 장공(11)에 수용되도록 돌출됨으로써 암레스트(1)의 하부를 밀면 장공(11)에서 이동되어 암레스트(1)의 회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구(30)는 암레스트(1)의 일측에서 힌지판체(10)에 형성되는 안내공(13)의 걸림턱(14)에 수용되도록 돌출되어 암레스트(1)의 하부를 밀면 걸림턱(14)에서 이탈된 후 반원 형태로 연장된 안내공(13)에 안내되어 암레스트(1)를 반원방향으로 회동시켜 암레스트(1)를 시트백(5)에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회동구(30)는 평상 시에는 안내공(13)의 걸림턱(14)에 걸림되어 있다가 힌지구(20)가 형성되는 암레스트(1) 부위를 밀면 암레스트(1)의 이동이 이루어져 장공(11)의 일측에 위치한 힌지구(20) 또한 장공(11)의 타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암레스트(1)의 이동에 따라 회동구(30)는 걸림턱(14)에서 이탈되어 암레스트(1)의 인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힌지구(20)는 암레스트(1)와 힌지체결되기 때문에 암레스트(1)는 힌지구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암레스트(1)의 회동과 관계없이 힌지구(20)는 힌지판체(10)의 장공(11)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토션스프링(40)은 힌지구(20)를 수용하면서 일측은 힌지판체(10)에 고정되며 타측은 고리 형태로 회동구(30)에 걸림되어 회동구(30)를 안내공(13)의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하여 걸림턱(14)에서 이탈된 회동구(30)를 탄성력으로 하여금 안내공(13)으로 안내시켜 암레스트(1)를 시트백(5)에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스프링(50)은 통상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더욱 자세히는 힌지판체(10)에 형성된 장공(11) 부위에 고정되어 장공(11)에 수용된 힌지구(20)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힌지구(20)가 장공(11)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스프링(50)의 탄성력보다 큰 외력에만 힌지구(20)가 장공(11)에서 이동되어 회동구(30)가 걸림턱(14)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인해 평상 시에는 힌지구(20)가 장공(11)의 일측에 고정되며 회동구(30) 또한 걸림턱(14)에 걸림되다가 고정스프링(50)의 장력보다 큰 힘으로 암레스트(1)의 힌지구(20) 부위를 밀면 힌지구(20)에 의해 고정스프링(50)은 압축되면서 힌지구(20)가 장공(11)의 타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회동구(30) 또한 걸림턱(14)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1)는 시트백(5)에 부설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힌지구(20)는 장공(11)의 일측에 위치되고 회동구(30)는 안내공(13)의 걸림턱(14)에 걸림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도록 고정스프링(50)이 힌지구(20)에 탄성력을 가하여 힌지구(20)를 고정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암레스트(1)를 시트백(5)에서 인출하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암레스트(1)의 힌지구(20)가 형성된 부위를 손가락으로 밀면 암레스트(1)에 힌지체결되어 장공(11)에 수용된 힌지구(20)는 고정스프링(50)을 압축시킨 후에 압축된 공간에 의해 장공(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구(20)의 이동에 따라 암레스트(1) 또한 후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암레스트(1)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구(30)는 안내공(13)의 걸림턱(14)에서 이탈되게 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30)가 걸림턱(14)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구(30)는 반원 형태로 연장된 안내공(13)에 안내되게 된다.
이에 따라 암레스트(1) 또한 시트백(5)에서 인출되며 회동구(30)가 안내공(13)의 단부에까지 안내되면 회동구(30)는 고정되고 암레스트(1)는 탑승객의 팔을 안착할 수 있는 각도로 인출 후 고정되어 암레스트(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암레스트(1)를 다시 시트백(5)에 인입하기 위해서는 암레스트(1)의 상측을 파지한 후 암레스트(1)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밀면 암레스트(1)는 힌지구(20)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시트백(5)에 인입되게 된다.
이때 회동구(30)는 안내공(13)의 반대방향으로 안내된 후 걸림턱(14)에 안착 걸림되어 고정되게 되며 힌지구(20) 또한 장공(11)의 일측으로 다시 이동됨과 동시에 고정스프링(50)의 탄성력을 인가받아 고정되어 암레스트(1)가 시트백(5)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다 손쉽게 암레스트(1)의 인출이 이루어져 편리하게 사용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암레스트(1)는 고정스프링(50)과 토션스프링(40)에 의해 고정되므로 차량의 주행 중에 암레스트(1)의 떨림을 방지하여 인출된 암레스트(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암레스트 5 : 시트백
6 : 부설홈 10: 힌지판체
11 : 장공 13 : 안내공
14 : 걸림턱 20 : 힌지구
30 : 회동구 40 : 토션스프링
50 : 고정스프링

Claims (1)

  1. 차량용 시트를 이루는 시트백(5)에 부설되어 탑승객의 팔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암레스트(1)의 인출 및 인입을 도모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1)의 일측에 취부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장공(11)이 형성되고 장공(11)의 옆으로는 반원 형태로 연장되는 안내공(13)이 형성되되, 상기 안내공(13)의 일측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되는 힌지판체(10);
    상기 암레스트(1)의 일측에 힌지체결되어 암레스트(1)의 힌지회동을 도모하면서 힌지판체(10)의 장공(11)에 수용되도록 돌출됨으로써 암레스트(1)를 밀면 장공(11)에서 이동되는 힌지구(20);
    상기 암레스트(1)의 일측에서 걸림턱(14)에 수용되도록 돌출되어 암레스트(1)의 하부를 밀면 걸림턱(14)에서 이탈된 후 안내공(13)에서 안내되어 암레스트(1)를 시트백(5)에서 인출시킬 수 있는 회동구(30);
    상기 힌지구(20)를 수용하면서 일측은 힌지판체(10)에 고정되며 타측은 회동구(30)에 걸림되어 회동구(30)를 안내공(13)에 안내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40);
    상기 힌지판체(10)에 형성된 장공(11) 부위에 형성되어 힌지구(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고정스프링(50);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20100099242A 2010-10-12 2010-10-12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116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42A KR101166868B1 (ko) 2010-10-12 2010-10-12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42A KR101166868B1 (ko) 2010-10-12 2010-10-12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652A KR20120037652A (ko) 2012-04-20
KR101166868B1 true KR101166868B1 (ko) 2012-07-19

Family

ID=4613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242A KR101166868B1 (ko) 2010-10-12 2010-10-12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71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시트 암레스트 록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71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시트 암레스트 록킹장치
KR101865585B1 (ko) * 2016-11-29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시트 암레스트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652A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4651B2 (ja) スライド構造体への給電用装置
JP3894431B2 (ja) 移動体のケーブル張力装置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US9038842B2 (en) Storage compartment
KR200471361Y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KR101584902B1 (ko) 암레스트 록킹장치
JP6125223B2 (ja) ロック部構造
KR20110023440A (ko) 폴드 앤 다이브 시트
US20140183896A1 (en) Multibox for vehicles
JP5020321B2 (ja) リモコン保持装置
KR101166868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구조
CN103802893A (zh) 旋启式后挡板检查器总成
ES2858426T3 (es) Dispositivo de retención
CN104367012B (zh) 用于家具抽屉前面板的锁离系统
EP1514748B1 (fr) Dispositif de guidage de sangle d'une ceinture de sécurité
JP4855219B2 (ja) 車両用シート
KR200478023Y1 (ko) 차량용 암레스트 조립장치
JP2006219028A (ja) ウォークイン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ガイド構造
JP2006327329A (ja) アームレスト
KR10158486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레버장치
KR20200011158A (ko)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JP5857919B2 (ja) ロック機構
KR20150002659U (ko) 차량용 암레스트 지지장치
KR101126903B1 (ko) 차량 내 수납 공간
KR102021902B1 (ko) 차량의 시트백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